KR20190002094U -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94U
KR20190002094U KR2020180000608U KR20180000608U KR20190002094U KR 20190002094 U KR20190002094 U KR 20190002094U KR 2020180000608 U KR2020180000608 U KR 2020180000608U KR 20180000608 U KR20180000608 U KR 20180000608U KR 20190002094 U KR20190002094 U KR 20190002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movement
bracket
coupling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도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0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094U/ko
Publication of KR20190002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3/08Plug-in housing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조절부재가 회전하면서 회로 차단기를 밀어 분기 부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함으로써, 회로 차단기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CIRCUIT BREAKER CONNECTING STRUCTURE OF DISTRIBUTING BOARD}
본 고안은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차단기가 분전반에 손쉽게 설치되게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분전함 내에서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는 메인 차단기 , 분기 부스바에 연결되는 분기 차단기, 모선 부스바 및 분기 부스바들로 이루어지며,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각 차단기에 연결되는 선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누전,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분전반에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통해 주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분전반에서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종래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종래의 분전반에 구비되는 접촉도체와 브라켓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전반(1)에는 베이스(50)에 메인 차단기(10)와, 다수개의 분기 차단기(20)가 구비되는데, 메인 차단기(10)와 분기 차단기(20) 등의 회로 차단기는 각각 모선 부스바(30)와, 분기 부스바(40)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로 차단기(20)의 일측에는 분기 부스바(4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접속도체(23)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브라켓(21)이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21)에는 제1 관통홀(21a)이 형성되고, 베이스(50)에는 제1 관통홀(21a)에 대응되도록 제2 관통홀(51)이 형성되는데, 각 홀(21a, 51)에 일자 형상을 갖는 이동도구를 삽입한 다음 이동도구를 이용하여 브라켓(21)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회로 차단기(20)를 분기 부스바(40)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이동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1)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는, 일자형의 이동도구를 이용하여 회로 차단기(20)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 홀(21a, 51)의 거리가 짧으면, 이동도구를 통해 회로 차단기(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거리가 짧아져 작업횟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자형의 이동도구를 이용하여 수차례 반복하여 회로 차단기(2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접속도체(23)를 분기 부스바(40)에 결합하거나 분기 부스바(40)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부스바(40)가 활선상태일때에는 감전사고가 발생 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로 차단기가 분전반에 손쉽게 설치되게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모선 부스바 또는 분기 부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브라켓에 끼워져 회전하면서 상기 회로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분기 부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이동조절부재; 상기 회로 차단기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조절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이동조절부재에 맞닿아 상기 분기 부스바측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측 폭이 상기 이동조절부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재가 끼워지면 상기 이동조절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상기 이동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이동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조절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조절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상하길이만큼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가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지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베이스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서 상기 브라켓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조절홀의 일측면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회전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조절홀의 타측면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에서 상기 브라켓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 중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에 맞닿는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조절홀 중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측 폭이, 이에 수직된 방향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는, 이동조절부재가 회전하면서 회로 차단기를 밀어 분기 부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함으로써, 회로 차단기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차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조절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게 하여, 손잡이부를 통해 이동조절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회전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조절부재에 브라켓 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조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도 회로 차단기가 이동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바의 하부에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끼움부를 형성시키고, 끼움부가 이동조절 끼움홀에 끼어지도록 하여, 끼움부를 통해 회전바가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어지는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바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밀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회전바가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졌을 때, 위치 조절부가 이동조절홀에 적절하게 위치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 중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브라켓에 맞닿은 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위치 조절부가 브라켓을 밀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조절홀 중 브라켓의 이동방향측 폭이, 이에 수직된 방향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여,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부가 회전될 때, 이동조절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맞닿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에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분스바를 통해 주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분전반에서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분전반에 구비되는 접촉도체와 브라켓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브라켓과 베이스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이동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이동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홀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브라켓과 베이스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이동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이동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로 차단기가 분기 부스바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홀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에서, 분전반(100)에는 모선 부스바(미도시)에 결합되는 메인 차단기(미도시)와,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분기 차단기(110) 등의 회로 차단기가 베이스(170) 등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이때,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는 회로 차단기(110)는 일측에 브라켓(111)이 구비되고, 타측에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는 접속도체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11)은 상기 회로 차단기(1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이동조절부재(130)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면, 이동조절부재(130)에 맞닿아 상기 분기 부스바(150)측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로 차단기(110)가 상기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에는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조절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70)에는 상기 이동조절홀(111a)에 대응되도록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조절홀(111a)은 상기 브라켓(111)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1)의 이동방향측 폭(W1)이 상기 이동조절부재(130)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끼워지면 상기 이동조절부재(130)와 상기 브라켓(111) 사이에 상기 이동조절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111)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상기 이동조절홀(111a)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111)을 밀면, 상기 브라켓(111)은 이동공간 만큼 이동하면서 상기 회로 차단기(110)가 상기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동시킨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조절부재(130)는 손잡이부(131), 회전바(133) 및 위치 조절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3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31)를 쥔 상태에서 상기 이동조절부재(13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바(133)는 상기 손잡이부(13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조절홀(111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135)는 상기 회전바(133)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회전바(133)에서 상기 브라켓(111)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133)에서 상기 브라켓(111)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홀(111a)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13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111)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110)가 상기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위치 조절부(135)는 상기 이동조절홀(111a)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부(13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조절홀(111a)의 일측면을 밀어 상기 브라켓(111)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11)에 연결된 상기 회로 차단기(110)도 함께 이동시켜, 상기 회로 차단기(110)가 상기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게 이동시킨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조절홀(111a)의 타측면을 밀어 상기 브라켓(111)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로 차단기(110)가 상기 분기 부스바(150)와 분리되도록 이동시킨다.
이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조절홀(111a)은 상기 회로 차단기의 이동방향측 폭(L1)이, 이에 수직된 방향의 폭(L2)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회전할때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상기 이동조절홀(111a)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맞닿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135) 중 상기 회전바(1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111)에 맞닿는 일면(135a)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111)을 밀때,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상기 브라켓(111)과 맞닿게 되는 일면(135a)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111)에 부딪치더라도 부딪친면이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133)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끼움부(13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조절부재(130)가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질때, 상기 회전바(133)는 상기 끼움부(137)의 상하길이만큼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에서, 이동조절부재(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부(231), 상기 손잡이부(23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3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233) 및 상기 회전바(2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111)을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바(233)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밀착부(2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233)가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지면 상기 밀착부(237)가 상기 베이스(170)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밀착부(237)를 통해 상기 위치 조절부(135)가 상기 이동조절홀(111a)에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조절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를 통해 회로 차단기(110)가 분전반(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조절부재(130)의 손잡이부(131)를 쥔 상태에서 회전바(133)를 이동조절홀(111a)을 관통한 상태로 베이스(170)의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넣게 되면, 이동조절부재(130)는 베이스(170)와 브라켓(111)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부(131)에 연결된 회전바(133)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바(1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바(133)에 형성된 위치 조절부(135)도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조절홀(111a)의 일단을 밀어 브라켓(111)을 분기 부스바(15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브라켓(111)이 이동하면, 브라켓(111)에 연결된 회로 차단기(110)도 함께 이동하면서 분기 부스바(150)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손잡이부(1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바(1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위치 조절부(13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조절홀(111a)의 타단을 밀어 브라켓(111)을 분기 부스바(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브라켓(111)이 분기 부스바(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브라켓(111)에 연결된 회로 차단기(110)도 분기 부스바(150)와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분기 부스바(150)와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고안의 경우, 이동조절부재(130)가 회전하면서 회로 차단기(110)를 밀어, 회로 차단기(110)가 분기 부스바(150)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함으로써, 회로 차단기(110)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차단기(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조절부재(130)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부(131)가 형성되게 하여, 손잡이부(131)를 통해 이동조절부재(130)가 사용자에 위해 손쉽게 회전되게 한다.
또한, 이동조절부재(130)의 하부 외주면에 브라켓(111) 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조절부(135)를 형성시키고, 이동조절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부(135)가 회로 차단기(110)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회로 차단기(110)가 이동되게 한다.
또한, 회전바(133)의 하부에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끼움부(137)를 형성시키고, 끼움부(137)가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어지도록 하여, 끼움부(137)를 통해 회전바(133)가 끼어지는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되게 한다.
또한, 회전바(233)의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밀착부(237)를 형성시킴으로써, 회전바(233)가 이동조절부재 끼움홀(171)에 끼워졌을 때, 밀착부(237)가 베이스(170)에 맞닿게 되어, 위치 조절부(235)가 이동조절홀(111a)에 적절하게 위치하게 한다.
또한, 위치 조절부(135) 중 회전바(133)의 회전에 따라 브라켓(111)에 맞닿은 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위치 조절부(135)가 회전하여 브라켓(111)을 밀 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조절홀(111a)은, 회로 차단기(110)의 이동방향측 폭이, 이에 수직된 방향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여, 회전바(133)의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부(135)가 회전될때, 위치 조절부(135)가 이동조절홀(111a)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맞닿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메인 차단기 20, 110: 분기 차단기
21, 111: 브라켓 21a: 제1 관통홀
23: 접속도체 30: 모선 부스바
40, 150: 분기 부스바 50, 170: 베이스
51: 제2 관통홀 100: 분전반
111a: 이동조절홀 131, 231: 손잡이부
133, 233: 회전바 135, 235: 위치 조절부
135a: 라운드진 면 137: 끼움부
237: 밀착부 130, 230: 이동조절부재
171: 이동조절부재 끼움홀

Claims (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모선 부스바 또는 분기 부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브라켓에 끼워져 회전하면서 상기 회로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분기 부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이동조절부재;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재가 회전되게 끼워지는 이동조절부재 끼움홀;
    상기 회로 차단기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조절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이동조절부재에 맞닿아 상기 분기 부스바측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측 폭이 상기 이동조절부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재가 끼워지면 상기 이동조절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상기 이동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이동 조절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조절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는 상기 끼움부의 상하길이만큼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가 상기 이동조절부재 끼움홀에 끼워지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베이스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의 결합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서 상기 브라켓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조절홀의 일측면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회전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조절홀의 타측면을 밀어 상기 회로 차단기가 상기 분기 부스바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에서 상기 브라켓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 중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에 맞닿는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홀은,
    상기 브라켓의 이동방향측 폭이, 이에 수직된 방향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KR2020180000608U 2018-02-07 2018-02-07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KR20190002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08U KR20190002094U (ko) 2018-02-07 2018-02-07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08U KR20190002094U (ko) 2018-02-07 2018-02-07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94U true KR20190002094U (ko) 2019-08-16

Family

ID=6776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08U KR20190002094U (ko) 2018-02-07 2018-02-07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0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389A1 (ko) * 2022-01-07 2023-07-13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
KR20230106913A (ko) * 2022-01-07 2023-07-1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389A1 (ko) * 2022-01-07 2023-07-13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
KR20230106913A (ko) * 2022-01-07 2023-07-1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분전반용 차단기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430B1 (en) Electric plug connection between head piece and tubular motor of a winding shaft
CN103280727B (zh) 一种电动底盘车
DE102004054360A1 (de) Leistungsversorgungs-Trennschalter eines Hebelanbringungstyps
KR20190002094U (ko)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US3836885A (en) Electrical connectors
RU2416848C1 (ru) Вы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ателя и выключатель, имеющий д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US20140134856A1 (en) Power-track adapter
PT1131868E (pt) Barramento para distribuicao de energia electrica
CN205406775U (zh) 一种接地线装置
EP0338001B1 (en) Connection device
DE3825654C2 (ko)
US20050142925A1 (en) Quick cable connector for electrical devices and components
US2681966A (en) Circuit breaker enclosure and mounting
JP2002176901A (ja) 鳥害防止装置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DE102021131353B4 (de) Elektrisches/elektronisches Installationsgerät und Anordnung mindestens zweier solcher
DE202012006667U1 (de) Komfort-Flachstecker
KR101660885B1 (ko) 공동주택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101037716B1 (ko) 설치위치조정이 가능한 특고압 전선로
EP0498056A1 (de) Haushaltsgerät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KR10131549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DE19835812C2 (de) Schreibtischelektrifizierungs-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