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34U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Google Patents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1834U KR20190001834U KR2020180000140U KR20180000140U KR20190001834U KR 20190001834 U KR20190001834 U KR 20190001834U KR 2020180000140 U KR2020180000140 U KR 2020180000140U KR 20180000140 U KR20180000140 U KR 20180000140U KR 20190001834 U KR20190001834 U KR 2019000183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upper plate
- hole forming
- present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부와, 상기 통공 형성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통공이 없는 비통공 형성부를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상기 브리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되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높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나 플랜트, 조선소 등의 산업현장에서 높은 위치의 벽면 작업 또는 기타 용도로 작업할 때 소위 족장판이라 불리기도 하는 건설용 발판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용 발판의 사용상태도이다. 편의상 참조부호는 생략하였는데, 통상의 건설용 발판은 도 1처럼 건축물 시공 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작업자는 이러한 건설용 발판을 밟고 해당 작업을 진행한다.
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도 1과 같은 형태의 건설용 발판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인데, 이와 같은 건설용 발판, 즉 매쉬(mesh) 철망의 경우, 그 구조적 혹은 재질적인 한계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경량화 구현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리성과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이러한 이유로 인해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다소 미흡하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부와, 상기 통공 형성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통공이 없는 비통공 형성부를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상기 브리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되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에 의해 달성된다.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비통공 형성부에 마련되는 난반사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 플레이트에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에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비통공 형성부에 마련되는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 및 상기 브리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측부에 마련되되 이웃된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과의 연결을 위한 착탈식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용 발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2개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일측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타측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2개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일측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타측 단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2개의 부분 배치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연결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여러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판 플레이트(110)와, 상판 플레이트(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브리지(120)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상판 플레이트(110)는 평평한 판상체를 이룬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을 예컨대 도 1처럼 배치하더라도 올라 밟기가 좋다.
이러한 상판 플레이트(110)는 종전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판 플레이트(110)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부(111)와, 통공 형성부(111)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통공(H)이 없는 비통공 형성부(112)를 포함한다.
통공(H)들은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물 빠짐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볼트와 너트 등의 부품들을 비롯해서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도면에는 통공(H)들이 모두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통공(H)들은 사각형 등을 비롯해서 다수의 다각형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판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비통공 형성부(112)는 전술한 것처럼 통공 형성부(111)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통공(H)이 없는 구간을 이룬다.
이러한 상판 플레이트(110)의 비통공 형성부(112)에는 난반사 패턴부(121),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122), 그리고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난반사 패턴부(121)는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판 플레이트(110)의 비통공 형성부(112)에 두세 줄 형태의 난반사 패턴용 스티커로 적용될 수 있다. 난반사 패턴부(121)는 상판 플레이트(110)에 음각을 형성한 후, 그곳에 적용할 수도 있다.
난반사 패턴부(121)의 주변에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122)이 형성된다.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122)은 상판 플레이트(1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즉 발판의 시점과 종점에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122)이 형성될 수 있다.
난반사 패턴부(121)의 주변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131)는 매립식 혹은 일체식을 비롯해서 요철식 등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131) 역시, 난반사 패턴부(121)와 마찬가지로 라인(line)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브리지(120)는 상판 플레이트(110)에 연결되는 지지용 받침이다. 다수 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리지(120)에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13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132)가 착탈식으로 적용되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에서 상판 플레이트(110)와 브리지(12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되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이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면 기존의 매쉬(mesh) 철망과 동일한 강도를 제공하면서도 가벼워 취급 및 핸들링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종전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도 7 및 도 8처럼 여러 개가 줄지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들이 연결되어 사용되면 강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의 측부에는 이웃된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과의 연결을 위한 착탈식 연결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연결부(140)는 제1 연결 후크(141)와, 제1 연결 후크(141)와 반대 형상을 갖는 제2 연결 후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을 경우, 도 8처럼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들을 줄지어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의 효과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도 1 참조)은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작업자의 안전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즉 기존의 건설용 발판, 즉 매쉬(mesh) 철망은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작업 중 발빠짐 사고, 즉 실족이 발생될 소지가 높다. 이는 철근 간격 등에서 개구부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고강도 플라스틱 다공판 구조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 상부 이동 시 기존의 건설용 발판이 동질의 스틸 계열이고, 철망 디딜 시 처짐으로 인해 철근과 접촉 시 미끄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철망과 철근의 접촉으로 인한 슬라이딩 현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작업자의 하중 및 접지압을 침하 없이 견디는 재질과 구조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판 플레이트(110)와 그에 따른 브리지(120) 구조, 그리고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132)를 브리지(120)에 신발 신듯이 덧입혀 끼우는 구조로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형철근의 요철부와 사각 고무패드 하부의 거친홈과의 마찰저항 증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그러하지 않다.
기존의 건설용 발판, 즉 매쉬(mesh) 철망은 조립 및 결속 완료된 철근 부재에 작업자 이동 시 철망 처짐으로 직접 조립부재를 딛고 다니는 현상으로 조립용 결속선 이완 및 풀림, 철근 처짐으로 인한 설계 철근 유효치수 확보에 불리할 수 있다는 의견으로 구조물 품질관리에 매우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는 보행자 하중이 철근 등의 조립 부재에 집중 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보행 하중에 처짐 없는 구조로 개선되어 작업자의 하중이 직접 철근부재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근 처짐 및 하중직접 재하를 예방하고 품질변동성을 최소화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경량화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플라스틱 재질이라서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이동 설치가 매우 편리해진다. 쉬운 이동을 위해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에 손가락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넷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편리성이 떨어진다. 즉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서로 일체화되거나 묶이지 않는 구조라서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착탈식 연결부(140)의 구조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웃된 것끼리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경제성이 떨어진다. 즉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재질의 특성 상 상대적으로 고가 제품이라 적용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꺼리는 현상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은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 및 보급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여섯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어려움이 있다. 즉 기존의 건설용 발판, 즉 매쉬(mesh) 철망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동절기 작업 투입 등 조도 미확보 시기 또는 어두운 일기상 부득이 작업 투입될 시 시인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 플레이트(110)의 비통공 형성부(112)에 난반사 패턴부(121),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122) 등이 갖춰지기 때문에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유리하다.
일곱째, 기존의 건설용 발판은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종전처럼 시각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건설용 발판은 작업자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물건 등을 가지고 출렁이는 현상 및 처짐의 원인을 이룬다. 또한 미끄러움 등으로 몸에 힘이 들어가고 보행 시 불안전한 자세로 이동하는 현상이 보이게 되는데, 이는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우려를 높여 보건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일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한 느낌과 더불어 넓고 잘 보이며, 처짐이 없는 안전한 발판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100)이 담당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의 일측 단면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타측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200) 역시, 상판 플레이트(210)와, 상판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다수의 브리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브리지(220)에도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23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232)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브리지(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물론, 브리지(220)보다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232)가 더 돌출되게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200)에도 이웃된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200)과의 연결을 위해 착탈식 연결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착탈식 연결부(240)는 상판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용 돌기부(241)와, 상판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형성되되 이웃된 발판(200)의 연결용 돌기부(241)가 끼워지면서 연결되는 연결용 홈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발빠짐을 방지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 및 콘크리트 품질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용 시 종전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시인성 확보 및 안전의식 강화에 도움이 될뿐더러 근로자 및 관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110 : 상판 플레이트
111 : 통공 형성부 112 : 비통공 형성부
120 : 브리지 121 : 난반사 패턴부
122 :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 131 :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
132 :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 140 : 착탈식 연결부
141 : 제1 연결부 142 : 제2 연결부
111 : 통공 형성부 112 : 비통공 형성부
120 : 브리지 121 : 난반사 패턴부
122 :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 131 :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
132 :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 140 : 착탈식 연결부
141 : 제1 연결부 142 : 제2 연결부
Claims (5)
-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부와, 상기 통공 형성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통공이 없는 비통공 형성부를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상기 브리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되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비통공 형성부에 마련되는 난반사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에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에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안전의식 강화용 문구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비통공 형성부에 마련되는 상부 미끄러짐 방지부; 및
상기 브리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미끄러짐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측부에 마련되되 이웃된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과의 연결을 위한 착탈식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140U KR20190001834U (ko) | 2018-01-10 | 2018-01-10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140U KR20190001834U (ko) | 2018-01-10 | 2018-01-10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834U true KR20190001834U (ko) | 2019-07-18 |
Family
ID=6743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140U KR20190001834U (ko) | 2018-01-10 | 2018-01-10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1834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567A (ko) | 2014-09-01 | 2016-03-10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
-
2018
- 2018-01-10 KR KR2020180000140U patent/KR20190001834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567A (ko) | 2014-09-01 | 2016-03-10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8240Y1 (ko) | 작업용 안전발판 | |
US7676927B2 (en) | Method of making a skylight fall protection safety panel | |
KR20190001834U (ko) | 건설용 발빠짐 방지 발판 | |
CN208965919U (zh) | 一种防滑钢格板楼梯 | |
KR101459723B1 (ko) | 비계용 발끝막이판 | |
KR200444262Y1 (ko) | 조선소용 작업발판 | |
KR20210117824A (ko) | 비계용 안전발판 | |
KR20110009078U (ko) | 작업용 안전발판 | |
CN213391101U (zh) | 一种带踏板的脚手架 | |
KR200477538Y1 (ko) | 생명줄 걸이봉 | |
KR200383100Y1 (ko) | 철제 마루판구조 | |
KR101353089B1 (ko) |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 |
JP4216217B2 (ja) | 梯子状脚体及びこれを用いた可搬式作業台 | |
CN206800983U (zh) | 一种建筑脚手架安全踏板 | |
CN205591272U (zh) | 挖掘机下车多级防撞脚踏 | |
CN211690813U (zh) | 一种钢结构衔接用加强结构件 | |
KR102671364B1 (ko) | 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 |
JP3612683B2 (ja) | スレート屋根用仮設通路及びその構成部材 | |
KR20200001712U (ko) | 조립식 개구부 덮개 | |
KR20130004636U (ko) | 비후크타입의 건축비계용 발판 | |
KR20050120608A (ko) | 비계용 작업발판 | |
TWM573363U (zh) | Strengthen the anti-fall bracket work safety fall device | |
JP5634456B2 (ja) | 足場用の幅木 | |
JP5648274B2 (ja) | 作業足場における足場板の段差吸収プレート | |
KR200366815Y1 (ko) | 사다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20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2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21 Effective date: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