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38Y1 - 생명줄 걸이봉 - Google Patents
생명줄 걸이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538Y1 KR200477538Y1 KR2020140009267U KR20140009267U KR200477538Y1 KR 200477538 Y1 KR200477538 Y1 KR 200477538Y1 KR 2020140009267 U KR2020140009267 U KR 2020140009267U KR 20140009267 U KR20140009267 U KR 20140009267U KR 200477538 Y1 KR200477538 Y1 KR 20047753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lifeline
- fixing body
- hang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생명줄 걸이봉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생명줄 걸이봉은, 걸이봉 고정 바디;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연결되며, 생명줄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고리부;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 및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의 나사부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생명줄 걸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생명줄 걸이봉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건축물을 축조할 때는 안전 난간대가 가설된다. 이러한 안전 난간대는 건축용 안전 시설재이면서 안전용품이고, 또한 공사 자재의 일종인 물품이다. 안전 난간대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통상의 안전 난간대는 H-빔(beam)에 의해 격자 형식으로 시공되며, 바닥에는 족장판이 가설된다.
이때, 안전 난간대들에는 밧줄 형태의 생명줄이 줄지어 배설되기도 한다. 생명줄은 안전 난간대와 작업자를 연결함으로써, 혹시 모를 추락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생명줄은 고소(高所) 작업에 따른 추락을 방지하여 산업 재해를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생명줄은 그 일단부가 작업자의 허리 벨트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안전 난간대 등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줄의 타단부가 안전 난간대가 아닌 별도의 걸이봉에 걸려 지지되기도 한다.
이처럼 생명줄 걸이봉은 안전 난간대처럼 생명줄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는 구조물 상의 폴대에 생명줄 걸이봉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생명줄 걸이봉에 생명줄을 걸어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현장에서 적용 중에 있는 통상적인 생명줄 걸이봉의 경우, 그 대부분이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 규격화된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생명줄 걸이봉의 설치 높이를 변경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이 걸리는 위치가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의 생명줄 걸이봉은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 규격화된 제품이 대부분이고 또한 서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길이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을 제작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제작상 혹은 비용상 많은 로스(loss)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신규하면서도 진보된 형태의 생명줄 걸이봉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생명줄 걸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걸이봉 고정 바디;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연결되며, 생명줄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고리부;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 및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의 나사부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줄 걸이봉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 바디와 상기 후크 고리부를 연결하는 연결 더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더미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 바디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후크 고리부는 상기 연결 더미의 타단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 바디는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 바디가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생명줄 걸이봉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생명줄 걸이봉에 다른 형태의 생명줄 걸이봉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회전 바디가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생명줄 걸이봉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생명줄 걸이봉에 다른 형태의 생명줄 걸이봉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회전 바디가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 도 4는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 도 5는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생명줄 걸이봉의 사용 상태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생명줄 걸이봉에 다른 형태의 생명줄 걸이봉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100)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도 5 및 도 7처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걸이봉 고정 바디(110), 회전 바디(120), 후크 고리부(130), 나사부(140), 그리고 너트부(150)를 포함한다.
걸이봉 고정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100)의 골조이다. 가장 큰 힘을 지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100)은 작업자의 중량, 혹은 작업자와 작업자가 들고 있는 도구들의 총 중량의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걸이봉 고정 바디(110)를 비롯하여 모든 구성들이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 바디(120)는 걸이봉 고정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전 바디(120)와 걸이봉 고정 바디(110) 사이에는 베어링(bearing) 등이 개재되어 걸이봉 고정 바디(110)에 대해 회전 바디(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후크 고리부(130)는 회전 바디(120)에 연결되며, 생명줄(1)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생명줄(1)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2)가 임의로 빠져서는 곤란하기 때문에 후크 고리부(130)는 완전 원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바디(120)와 후크 고리부(130) 사이에는 회전 바디(120)와 후크 고리부(130)를 연결하는 연결 더미(125)가 더 마련된다. 연결 더미(125) 역시 금속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연결 더미(125)의 일단부는 회전 바디(12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 더미(125)와 회전 바디(120)는 움직이지 않는 한 몸체를 이룬다.
하지만, 후크 고리부(130)는 연결 더미(125)의 타단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후크 고리부(130)가 연결 더미(125)의 타단부에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생명줄(1)의 타단에 마련되는 후크(3)를 작업자의 벨트(10)에 결합시켜 생명줄(1)을 걸더라도 작업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나사부(140)와 너트부(150)는 걸이봉 고정 바디(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구성들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걸이봉 고정 바디(110)의 양단부에 나사부(140)와 너트부(150)가 마련되기 때문에, 도 5처럼 하나의 생명줄 걸이봉(100)과 이웃된 다른 생명줄 걸이봉(100a)을 연결하고자 할 때,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100a)의 나사부(140)가 생명줄 걸이봉(100)의 너트부(15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면 2개의 생명줄 걸이봉(100,100a)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100,100a)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 6처럼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미도시)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100)에는 도 7처럼 다른 형태의 생명줄 걸이봉(100b)이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도 생명줄 걸이봉(100)의 너트부(150)에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100b)의 나사부(140b)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생명줄 걸이봉(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 위치에 따라 몇 개의 생명줄 걸이봉(100)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하고, 만약 2개의 생명줄 걸이봉(100,100a)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을 연결한다.
즉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100a)의 나사부(140)가 생명줄 걸이봉(100)의 너트부(15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2개의 생명줄 걸이봉(100,100a)을 손쉽게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이들을 폴대(P)에 결합시킨다.
다음, 생명줄(1)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2)를 2개의 생명줄 걸이봉(100,100a) 중 어느 하나의 후크 고리부(130)에 걸고, 생명줄(1)의 타단에 마련되는 후크(3)를 작업자의 벨트(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생명줄(1)의 설치 작업을 손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1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1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200)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210), 걸이봉 고정 바디(2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220), 연결 더미(225)에 의해 회전 바디(2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2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2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240)와 너트부(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 바디(220)는 걸이봉 고정 바디(210)에 대해 회전됨은 물론 걸이봉 고정 바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럴 경우,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200)에는 고정핀(260)이 핀 결합부(221)에 끼워질 수 있음으로써, 걸이봉 고정 바디(210) 상에서 회전 바디(220)가 임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2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2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300)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310), 걸이봉 고정 바디(3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320), 연결 더미(325)에 의해 회전 바디(3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3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3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340)와 너트부(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후크 고리부(330)의 내면에는 생명줄(1)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2)가 미끄러지지 않고 잘 걸리도록 하는 다수의 후크 걸림홈(331a)이 형성된다. 다수의 후크 걸림홈(331a)이 형성됨으로써 생명줄(1)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2)가 미끄러지지 않고 잘 걸릴 수 있어 작업자를 잘 지탱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3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3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400)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410), 걸이봉 고정 바디(4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420), 연결 더미(425)에 의해 회전 바디(4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4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4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440)와 너트부(4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후크 고리부(430)는 연결 더미(425) 상에서 360도 자유롭게 회전되게 결합된다.
이처럼 후크 고리부(430)는 연결 더미(425) 상에서 360도 자유롭게 회전됨으로써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4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4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500)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510), 걸이봉 고정 바디(5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520), 연결 더미(525)에 의해 회전 바디(5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5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5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540)와 너트부(5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걸이봉 고정 바디(510)의 외면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500)이 지탱할 수 있는 하중크기를 표시하는 표시 패턴부(560)가 마련된다.
표시 패턴부(560)가 형성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500)이 지탱할 수 있는 하중크기가 눈으로 보이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안정을 줄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5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5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600)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610), 걸이봉 고정 바디(6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620), 연결 더미(625)에 의해 회전 바디(6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6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6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640)와 너트부(650)를 포함한다.
걸이봉 고정 바디(610)의 외면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600)이 지탱할 수 있는 하중크기를 표시하는 표시 패턴부(660)가 마련된다.
이때, 표시 패턴부(660)에는 발광부(670)가 더 마련된다. 발광부(670)는 시트 형태로 표시 패턴부(66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도료 형태로 표시 패턴부(660)에 도포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발광부(670)가 표시 패턴부(660)에 마련될 경우, 약간 어두운 밤에도 다른 불빛에 의해 반사되면서 발광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안정을 줄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6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6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 2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걸이봉(700,700a) 역시, 걸이봉 고정 바디(710), 걸이봉 고정 바디(71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 바디(720), 연결 더미(725)에 의해 회전 바디(720)에 연결되는 후크 고리부(730), 그리고 걸이봉 고정 바디(710)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740)와 너트부(7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생명줄 걸이봉(700,700a)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형태인데, 이때 별도의 고정핀(781)이 너트부(750)의 나사부(740)와 핀공(782,783)에 추가로 끼워지는 형태를 취한다. 즉 너트부(750)의 나사부(740)가 조립되어 2개의 생명줄 걸이봉(700,700a)이 연결된 때, 고정핀(781)이 더 사용되어 2개의 생명줄 걸이봉(700,700a)에 대한 고정력을 배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2개의 생명줄 걸이봉(700,700a)이 임으로 분리되는 현상은 없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생명줄 걸이봉(7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위치에 따라 혹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생명줄(1, 도 6 참조)이 걸리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생명줄 걸이봉(700)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작상 혹은 비용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생명줄 걸이봉 110 : 걸이봉 고정 바디
120 : 회전 바디 125 : 연결 더미
130 : 후크 고리부 140 : 나사부
150 : 너트부
120 : 회전 바디 125 : 연결 더미
130 : 후크 고리부 140 : 나사부
150 : 너트부
Claims (4)
- 걸이봉 고정 바디;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연결되고, 생명줄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고리부;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나사부;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이웃된 생명줄 걸이봉의 나사부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너트부;
상기 회전 바디와 상기 후크 고리부를 연결하되, 일단부는 상기 회전 바디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후크 고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 더미;
상기 회전 바디의 핀 결합부에 끼워져 상기 회전 바디를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에 결합하는 고정핀;
상기 걸이봉 고정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하중크기를 표시하는 표시 패턴부; 및
상기 표시 패턴부에 마련된 발광부; 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 고리부의 내면에는 생명줄의 일단에 마련되는 후크가 미끄러지지 않고 잘 걸리도록 하는 다수의 후크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줄 걸이봉.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267U KR200477538Y1 (ko) | 2014-12-16 | 2014-12-16 | 생명줄 걸이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267U KR200477538Y1 (ko) | 2014-12-16 | 2014-12-16 | 생명줄 걸이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538Y1 true KR200477538Y1 (ko) | 2015-06-22 |
Family
ID=5351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267U KR200477538Y1 (ko) | 2014-12-16 | 2014-12-16 | 생명줄 걸이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53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3311A (ko) * | 2020-12-11 | 2022-06-20 | 한국전력공사 |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KR20230090906A (ko) * | 2021-12-15 | 2023-06-22 | 한국전력공사 | 안전대 지지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603U (ko) * | 1989-07-20 | 1991-03-14 | ||
JPH08226226A (ja) * | 1995-02-21 | 1996-09-03 | Touden Kogyo Kk | 仮設足場用鋼管 |
JP3024603B2 (ja) * | 1997-08-08 | 2000-03-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レー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162625B2 (ja) * | 1996-05-15 | 2001-05-08 |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 光回路モジュール |
KR20020013732A (ko) * | 2000-08-11 | 2002-02-21 | 히데카즈 오키야마 | 장대 등에 사용하는 훅 |
-
2014
- 2014-12-16 KR KR2020140009267U patent/KR20047753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603U (ko) * | 1989-07-20 | 1991-03-14 | ||
JPH08226226A (ja) * | 1995-02-21 | 1996-09-03 | Touden Kogyo Kk | 仮設足場用鋼管 |
JP3162625B2 (ja) * | 1996-05-15 | 2001-05-08 |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 光回路モジュール |
JP3024603B2 (ja) * | 1997-08-08 | 2000-03-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レー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020013732A (ko) * | 2000-08-11 | 2002-02-21 | 히데카즈 오키야마 | 장대 등에 사용하는 훅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3311A (ko) * | 2020-12-11 | 2022-06-20 | 한국전력공사 |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KR102489583B1 (ko) * | 2020-12-11 | 2023-01-16 | 한국전력공사 |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KR20230090906A (ko) * | 2021-12-15 | 2023-06-22 | 한국전력공사 | 안전대 지지장치 |
KR102671738B1 (ko) | 2021-12-15 | 2024-06-04 | 한국전력공사 | 안전대 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4886C (en) | Scaffol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 |
KR101246665B1 (ko) |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 |
KR200477538Y1 (ko) | 생명줄 걸이봉 | |
KR101426315B1 (ko) |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 시공방법 | |
CN102168483B (zh) | 悬索柔性施工平台 | |
JP3175380U (ja) | 落下防止用治具 | |
KR101008582B1 (ko) | 달비계용 2중 안전 샤클조립체 | |
KR101068229B1 (ko) |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 |
TWI525032B (zh) | Double safety cage structure | |
KR101169218B1 (ko) | 달비계용 작업의자 | |
CN209556416U (zh) | 一种孔洞防护装置及建筑成套设备 | |
NZ736649A (en) | Grid mesh anchor | |
KR200469390Y1 (ko) | 선박용 비계 | |
CN207277874U (zh) | 钢结构施工用的滑动安全带挂钩结构 | |
KR101492774B1 (ko) |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 |
CN204238536U (zh) | 安全防护作业平台 | |
KR20160014353A (ko) |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 |
KR101408781B1 (ko) | 스트랜드 인발을 위한 웨지 및 체인블록을 장착하기 위한 러그 및 이를 포함한 버팀대 | |
CN205088975U (zh) | 一种构架梁 | |
KR101400014B1 (ko) | 추락방지용 족장 | |
CN204139639U (zh) | 建筑用软隔离防护构件 | |
CN204752029U (zh) | 塔吊起重臂安全索 | |
CN109779276A (zh) | 附着升降脚手架安全防护网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 |
JP3154576U (ja) | 仮設足場の下桟への付加構造 | |
CN109629811A (zh) | 用于钢管柱的拆卸式操作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