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19U -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 Google Patents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19U
KR20190001819U KR2020180000111U KR20180000111U KR20190001819U KR 20190001819 U KR20190001819 U KR 20190001819U KR 2020180000111 U KR2020180000111 U KR 2020180000111U KR 20180000111 U KR20180000111 U KR 20180000111U KR 20190001819 U KR20190001819 U KR 20190001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billiard cue
billiard
cue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줌코리아
Priority to KR202018000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819U/ko
Publication of KR20190001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당구를 칠 때 손잡이 부분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큐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하는 그립이 땀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요철면에 의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의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당구 큐의 손잡이 부분에 씌워지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양측 끝단의 폭 1 ~ 5cm의 마감부와, 양측 마감부의 사이에 미끄럼 방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내경면에는 단일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함몰홈이 길이 방향 및 외경 테두리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하고;
당구 큐에 장착했을 때 수축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당구 큐에 밀착하면서 그립의 외경에서 함몰홈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이 일정한 원호를 그리지 않고 함몰홈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당겨져 펴진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The grip for a billiards cue}
본 고안은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당구를 칠 때 손잡이 부분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큐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하는 그립이 땀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요철면에 의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당구는 1915년 창덕궁에 당구대 2대를 설치한 것이 시초라고 알려져 있으며 광복 이후 한국의 당구장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퍼져 1980년대 말 전국의 당구장 수도 4만 개를 넘을 정도로 전성기를 이루었다.
하지만 외환위기 및 인터넷 보급과 PC방 등의 보급은 오랜 침체를 가져 왔으나 최근 당구가 스포츠라는 인식의 전환과 국내 프로선수들의 국제대회 선전 및 각종 TV 채널에서의 당구 경기 방송의 영향으로 당구 동호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함께 장년 노년층의 재유입도 주목할만한 증가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당구장은 4구가 중심으로 대부분의 동호인들은 당구장에 비치되어 있는 당구 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으로 개인이 큐를 구입하는 경우는 드문 경우이며, 당구장의 단골이 자신의 손에 맞는 큐를 당구장에서 개인 큐로 지정해주어 따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큐의 손잡이 부분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공을 타격할 때의 충격이 고스란히 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립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는 개인이 구입한 경우나 개인 큐로 지정된 큐에 장착하고 있으며,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공용 큐에는 그립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립은 과거 고급스러운 가죽 소재로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장착하거나 띠의 형태로 감아 사용하던 것에서 최근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소제 가격이 싸고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용 큐의 경우에도 큰 부담없이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단순한 색상과 손으로 잡았을 때 약간의 탄성복원력과 타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는 하지만 단순한 매끄러운 형상은 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감이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다.
이에 복수 개의 타공된 홀을 형성하여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그립은 손의 땀이 타공된 홀에 의한 경계면인 단턱에 스며들고 각종 이물질과 같이 혼합되어 굳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물수건으로 닦아 제거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당구 큐에 적용하기에는 위생과 미관상으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88145호 (2005년09월01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34531호 (2011년12월1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5836-00000호 (2012년06월14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81410-0000호 (2016년09월21일)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당구 큐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단순한 매끈한 외경면을 가지지 않고 돌출된 부분과 함몰된 부분이 반복 형성되도록 하되 단턱이 형성되어 물기나 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의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당구 큐의 손잡이 부분에 씌워지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양측 끝단의 폭 1 ~ 5cm의 마감부와, 양측 마감부의 사이에 미끄럼 방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내경면에는 단일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함몰홈이 길이 방향 및 외경 테두리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하고;
당구 큐에 장착했을 때 수축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당구 큐에 밀착하면서 그립의 외경에서 함몰홈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이 일정한 원호를 그리지 않고 함몰홈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당겨져 펴진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내경면에는 함몰홈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돌출되고 외측은 경사지게 내경면으로 연장되는 삼각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함몰홈은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인접한 함몰홈 보다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의 전부 또는 끝단 일부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 연장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내주면에 복수 개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함몰홈이 배열된 원통 형상으로 제조하여 당구 큐에 장착하였을 때 그립이 팽창하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함몰홈이 위치한 외면이 함몰되어 단순한 원통 형상보다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외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지 않아 오염이 쉽게 되지 않고 오염된 부분은 간단하게 닦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의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당구 큐(2)의 손잡이 부분에 씌워지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1)에 있어서;
상기 그립(1)은 양측 끝단의 폭 1 ~ 5cm의 마감부(11)와, 양측 마감부(11)의 사이에 미끄럼 방지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내경면에는 단일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함몰홈(121)이 길이 방향 및 외경 테두리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하고;
당구 큐(2)에 장착했을 때 수축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121)의 바닥면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당구 큐(2)에 밀착하면서 그립(1)의 외경에서 함몰홈(121)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이 일정한 원호를 그리지 않고 함몰홈(12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당겨져 펴진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1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그립을 나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은 전통적으로 가죽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러한 가죽도 단순히 매끄러운 형상이 아니라 굴곡을 형성하여 손으로 쥐었을 때 이러한 굴곡에 의한 좋은 그립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원은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그립에서도 양호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면을 굴곡을 내경에 함몰홈(121)을 형성하여 표현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부(12)의 외경에 직접 굴곡을 주어 성형하는 방법도 있으나 굴곡의 차이가 크면 물기나 땀에 의하여 오염되는 부분이 많아지고 굴곡의 차이가 적은 경우 너무 밋밋한 외관을 가져 그립감의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단순한 돌출부나 홈이면 금형제작이 용이하지만 본원과 같은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금형제작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그립(1)은 1~2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함몰홈(121)이 형성된 부분은 그 절반인 0.5~1mm의 두께가 되어 이러한 두께의 차이는 함몰부(122)의 색이 다른 부분과 차이가 나는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함몰홈(121)의 다닥면이 당구 큐(2)에 밀착한 부분과 이격된 테두리 부분의 이격된 부분에서도 색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합성수지가 완전히 불투명한 색이 아닌 반투명이라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본원은 미끄럼 방지부(12)의 함몰부(122)는 밋밋한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술한 물기와 땀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적고 오염되었다고 하더라도 간단하게 닦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함몰홈(121)은 최대한 조밀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예는 도시된 것과 같이 네 모서리가 라운드된 마름모의 형상으로 하나의 열에 2개가 형성되고 인접한 열은 90도 어긋난 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많은 함몰홈(121)을 형성하거나 인접한 함몰홈(121)과의 간격이 넓으면 그립감이나 미관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단일폐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한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원, 다각형, 기타 규칙성이 없는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마감부(11)의 전부 또는 끝단 일부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 연장부(111)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그립(1)을 장착하면 양단이 당구 큐(2)와 단턱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본원은 이러한 단턱을 줄여 당구 큐(2)를 사용할 때 이질감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내경면에는 함몰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돌출되고 외측은 경사지게 내경면으로 연장되는 삼각돌기(1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당구 큐에 장착하였을 때 인접한 함몰홈(121)의 사이 부분이 두께가 두꺼운 돌출된 부분을 이루지만 삼각돌기(123)를 구비하는 경우 함몰부(122)의 테두리를 따라 더욱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그립감이 더욱 향상되며 외관상으로도 확연히 두드러지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함몰홈(121)은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인접한 함몰홈(121) 보다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단조로운 문양의 반복보다는 변화를 주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도 있지만 당구 큐(2)를 잡을 때 일정한 위치를 쥐고 스크로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원에서는 이러한 그립(1)의 외면에 형성되는 굴곡이 중앙에서 선단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서는 굴곡이 조밀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감촉에 의하여 자신이 파지하고 있는 곳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도면은 대략적인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도 6에서는 함몰홈(121) 또는 함몰부(122)의 도면 부호는 생략하였다.
1 : 그립
11 : 마감부
111 : 단턱 연장부
12 : 미끄럼 방지부
121 : 함몰홈 122 : 함몰부
123 : 삼각돌기
2 : 당구 큐

Claims (4)

  1.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의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당구 큐(2)의 손잡이 부분에 씌워지는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1)에 있어서;
    상기 그립(1)은 양측 끝단의 폭 1 ~ 5cm의 마감부(11)와, 양측 마감부(11)의 사이에 미끄럼 방지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내경면에는 단일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함몰홈(121)이 길이 방향 및 외경 테두리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도록 하고;
    당구 큐(2)에 장착했을 때 수축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121)의 바닥면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당구 큐(2)에 밀착하면서 그립(1)의 외경에서 함몰홈(121)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경이 일정한 원호를 그리지 않고 함몰홈(12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당겨져 펴진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1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내경면에는 함몰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돌출되고 외측은 경사지게 내경면으로 연장되는 삼각돌기(1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그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2)의 함몰홈(121)은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인접한 함몰홈(121) 보다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그립.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1)의 전부 또는 끝단 일부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 연장부(111)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용 그립.
KR2020180000111U 2018-01-09 2018-01-09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KR20190001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11U KR20190001819U (ko) 2018-01-09 2018-01-09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11U KR20190001819U (ko) 2018-01-09 2018-01-09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19U true KR20190001819U (ko) 2019-07-17

Family

ID=6743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11U KR20190001819U (ko) 2018-01-09 2018-01-09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44B1 (ko) * 2020-08-28 2021-09-01 김재근 당구 큐용 그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145A (ko) 2002-12-27 2005-09-01 빅 코포레이션 그립 부재
KR20110134531A (ko) 2010-06-09 2011-12-15 주진현 미끄럼 방지 당구 큐
KR200481410Y1 (ko) 2014-07-31 2016-09-27 강상구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145A (ko) 2002-12-27 2005-09-01 빅 코포레이션 그립 부재
KR20110134531A (ko) 2010-06-09 2011-12-15 주진현 미끄럼 방지 당구 큐
KR200481410Y1 (ko) 2014-07-31 2016-09-27 강상구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44B1 (ko) * 2020-08-28 2021-09-01 김재근 당구 큐용 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819U (ko)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US7743780B1 (en) Walker glide
US20070113380A1 (en) Umbrella handle (III)
US7137960B2 (en) Manual massager
KR200388042Y1 (ko)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KR200176020Y1 (ko) 역기의 축봉.
JPH019563Y2 (ko)
KR200496911Y1 (ko) 마사지 기구
KR101723125B1 (ko)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JP2019097909A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ゴルフパター
KR20090003927U (ko) 방향성 돌기를 가진 골프장갑
JP2010201176A (ja) 模様入り握り部を有するバット
JP3119797U (ja) 背中掻き具
JP3070539U (ja) 心経弓杖
KR200406745Y1 (ko) 직선형으로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투명골프채 그립
KR100749153B1 (ko) 젓가락
KR200292850Y1 (ko) 목발용 손잡이
KR200428536Y1 (ko) 콜크부재가 부착된 다단식 지팡이
KR200385212Y1 (ko) 지팡이용 손잡이
JP3159140U (ja) マッサージ用具
KR20230154559A (ko) 돌출부가 있는 등밀이 때타올
JP3126553U (ja) 足の健康器具
KR200204382Y1 (ko) 작은 가시가 형성된 비누
KR20060095428A (ko) 지팡이용 손잡이
JP4881607B2 (ja) ウォーキングステ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