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042Y1 -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 Google Patents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042Y1
KR200388042Y1 KR20-2005-0007738U KR20050007738U KR200388042Y1 KR 200388042 Y1 KR200388042 Y1 KR 200388042Y1 KR 20050007738 U KR20050007738 U KR 20050007738U KR 200388042 Y1 KR200388042 Y1 KR 200388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badminton racket
stri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리엔리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리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리엔리하이테크(주)
Priority to KR20-2005-0007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지(把持)하기 쉽고 잡았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아울러 안정감이 느껴지는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실리콘 소재의 사출물로 되어 있는 외피가 손잡이 외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가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미끄러짐이 확실히 방지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은 타원형의 틀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방향인식을 위하여 다른 면보다 면적이 넓은 면적 확장면을 갖는 다각 형태의 골조부, 및 상기 골조부에 씌워져 골조부의 다각 형상이 표출되고 실리콘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의 반대편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확장된 손잡이; 상기 타격부와 상기 손잡이의 골조부를 잇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와 상기 골조부의 연결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BADMINTON RACKET HAVING HANDLE FOR HIGH GRIP-STABILITY}
본 고안은 파지(把持)하기 쉽고 잡았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아울러 안정감이 느껴지는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실리콘 소재의 사출물로 되어 있는 외피가 손잡이 외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가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확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미끄러짐이 확실히 방지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0165973호(1999.10.21) 『배드민턴 라켓용 보강캡』을 비롯한 일반적인 종래 배드민턴 라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틀(111)과 상기 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상호 엮여서 격자 형상을 이루는 끈으로 이루어진 탄성망(113)을 가지며, 직접적으로 셔틀콕과 접촉하는 타격부(110), 손잡이(130), 그리고 상기 타격부(110)와 상기 손잡이(130)를 잇는 연결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타격부(110)의 틀(111)과 상기 연결대(120)는 일반적으로 속이 빈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손잡이(130)는 통상적으로 목재로 되어 있는 골조부(131) 외면을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합성수지 소재의 테이프(133)로 감싸서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골조부(131)의 양단에는 캡(141)(143)이 씌워져 있어 마무리되어 미감 향상과 사용자의 찰과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배드민턴 라켓에서 손잡이(130)의 외면에 구비된 테이프(133)로는 장시간에 걸친 운동으로 발산되는 땀으로 인한 손의 미끄러짐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 손잡이(130)가 딱딱하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에 피로가 심하고 심지어 단련되지 않은 사용자의 손에 물집이 잡힐 위험까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배드민턴 라켓의 손잡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라켓 손잡이의 외피를 실리콘 재질로 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아울러 안정감이 느껴지는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의 횡단면적이 타격부의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특히 이러한 횡단면적의 확장이 상기 실리콘 외피의 두께 증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라켓을 제공하고, 외피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지압돌기를 통한 건강증진 기능성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은 타원형의 틀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방향인식을 위하여 다른 면보다 면적이 넓은 면적 확장면을 갖는 다각 형태의 골조부, 및 상기 골조부에 씌워져 골조부의 다각 형상이 표출되고 실리콘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의 반대편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확장된 손잡이; 상기 타격부와 상기 손잡이의 골조부를 잇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와 상기 골조부의 연결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R)은 타원형의 틀(11)과 상기 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구멍(도면에서는 간략한 표현을 위하여 생략됨)에 끼워져 상호 엮여서 격자 형상을 이루는 끈으로 이루어진 탄성망(13)을 가지며, 직접적으로 셔틀콕과 접촉하는 타격부(10), 손잡이(30), 그리고 상기 타격부(10)와 상기 손잡이(30)를 잇는 연결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타격부(10)의 틀(11)과 상기 연결대(20)는 일반적으로 속이 빈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로 제조되어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30)는 골조부(31)와 상기 골조부(31) 외면에 결합되는 외피(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골조부(31)는 통상적으로 목재로 되어 있으며,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 특히 8각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8각형의 각 면 중 두 면은 다른 면들 보다 면적이 넓은 면적 확장면(31A)을 갖는다.
상기 두 면적 확장면(31A)은 타격부(10)와 동일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타격부(10)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상기 외피(33)는 실리콘 재질의 사출물로써 마찰력과 촉감이 우수하며, 특유의 탄성으로 인하여 완충기능이 있다.
또 상기 외피(33)는 상기 골조부(31)에 씌워져 골조부의 다각 형상이 표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였을 때 촉감으로 느낄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타격부(10)의 반대편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것이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의 횡단면적 증가는 점증의 방식 또는 상기 타격부(10)의 반대편 단부부위에서만의 급격한 횡단면적 증가 방식 모두 가능하다.
특히 상기 손잡이(30) 횡단면적의 증가는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33)의 두께 확대부(33a)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또 상기 두께 확대부(33a)가 단부에 치우쳐 있어 상기 골조부(31)의 다각 형상의 표출을 위하여 노출된 연결대(20) 인접부분에서는 어느 정도 얇은 두께를 유지하다가 단부에서 급격하게 두꺼워진 두께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31) 역시 연결대(20) 반대쪽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증하는 형태인 것이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라켓(R)을 휘둘러 셔틀콕을 타격할 때 상기 골주부(31)와 상기 외피(3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원통형태인 상기 외피(33)의 두께 확대부(33a) 쪽 단부는 막혀 있는 형태이거나 폐쇄되어 있는 형태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외피(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다수의 지압돌기(33b)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압돌기(33b)를 통하여 건강증진 효과와 강화된 미끄럼 방지효과 모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타격부(10) 틀(11)과 상기 연결대(20) 연결은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용접부위는 별도의 합성수지 커버(미도시 됨)에 의하여 가려져 미관향상과 보강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대(20)와 상기 손잡이(30)의 연결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31)에 형성된 중공에 연결대(20)의 삽입부(20a)를 박고 못이나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대(20)와 상기 손잡이(30) 골조부(31)의 연결부위는 캡(40)에 의하여 마감되어 미감 향상과 사용자의 찰과상 등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b에서, 콘 형상의 상기 캡(4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골주부(31)의 단부는 절두형 원뿔 형상의 단부(31a)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30)의 골조부(31)와 상기 외피(33)는 접착제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확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은 라켓 손잡이의 외피가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어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아울러 안정감이 느껴지고, 실리콘 소재 특유의 완충기능으로 인하여 오랜 사용에도 손의 피로가 적고 물집 등이 잡힐 염려가 없다.
또 상기 손잡이의 횡단면적이 타격부의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특히 이러한 횡단면적의 확장이 상기 실리콘 외피의 두께 증가에 의하여 이루어져서 안정감과 미끄럼 방지효과가 더욱 증가되었으며, 외피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지압돌기를 통한 건강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전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핵심인 손잡이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는 다른 형태의 외피를 갖는 손잡이의 부분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타격부 11: 틀
13: 탄성망 20: 연결대
21: 삽입부 30: 손잡이
31: 골조부 33: 외피
33a: 두께 확대부 33b: 지압돌기

Claims (3)

  1. 타원형의 틀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방향인식을 위하여 다른 면보다 면적이 넓은 면적 확장면을 갖는 다각 형태의 골조부, 및
    상기 골조부에 씌워져 골조부의 다각 형상이 표출되고 실리콘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타격부의 반대편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된 손잡이;
    상기 타격부와 상기 손잡이의 골조부를 잇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와 상기 골조부의 연결부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단부 방향 횡단멱적 증가는 상기 외피의 두께 확대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외피의 표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KR20-2005-0007738U 2005-03-22 2005-03-22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KR200388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38U KR200388042Y1 (ko) 2005-03-22 2005-03-22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38U KR200388042Y1 (ko) 2005-03-22 2005-03-22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042Y1 true KR200388042Y1 (ko) 2005-06-29

Family

ID=4368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38U KR200388042Y1 (ko) 2005-03-22 2005-03-22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0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5B1 (ko) 2007-12-06 2010-04-27 (주) 민성정밀 실리콘을 이용한 스포츠용 폴의 손잡이
WO2013038116A1 (fr) 2011-09-16 2013-03-21 Decathlon Manche de prehension pour raquette de badminton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5B1 (ko) 2007-12-06 2010-04-27 (주) 민성정밀 실리콘을 이용한 스포츠용 폴의 손잡이
WO2013038116A1 (fr) 2011-09-16 2013-03-21 Decathlon Manche de prehension pour raquette de badminton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744B2 (ja) 交換可能なグリップ
TWI405600B (zh) 手把及製做此手把的方法
KR20100012845U (ko) 손목운동기구
TW201206528A (en) Handle with changeable grip
US8016702B2 (en) Contoured hand grip constructions for a racquet
ITUB20159765A1 (it) Impugnatura per attrezzature sportive
US8323130B1 (en) Racquet hand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EP1314456B1 (en) Two-piece grommet assembly for a sports racquet
CA1053281A (en) Tennis racket grip
KR200388042Y1 (ko) 파지(把持) 안정성이 높은 손잡이를 갖는 배드민턴 라켓
WO2005002685A1 (en) Fencing training sword
EP2556863A1 (en) Racquet hand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JP2014097047A (ja) 装飾性直状握り柄
US8814731B2 (en) Flexible racquet handle
US20160271459A1 (en) Sports racquet handle assembly and pallet cap
KR101910343B1 (ko) 배드민턴 라켓
KR200453743Y1 (ko) 라켓 헤드 커버
KR20100133799A (ko) 퍼터용 그립
GB2356351A (en) Grip for golf club
JP2003102867A (ja) 運動具用握り
KR20190001819U (ko) 당구 큐에 사용되는 그립
CN201239491Y (zh) 高尔夫球袋手把
CN210495110U (zh) 一种新型羽毛球拍握把
JPS588269Y2 (ja) とびなわ
KR200323247Y1 (ko) 배드민턴 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