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707U -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707U
KR20190001707U KR2020170006747U KR20170006747U KR20190001707U KR 20190001707 U KR20190001707 U KR 20190001707U KR 2020170006747 U KR2020170006747 U KR 2020170006747U KR 20170006747 U KR20170006747 U KR 20170006747U KR 20190001707 U KR20190001707 U KR 20190001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engaging
coupling
window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순
신석필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7000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707U/ko
Publication of KR20190001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틀몸체와 상기 창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공틀몸체와 상기 공틀몸체에 상기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틀에 조립되는 공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ASSEMBLY WINDOW FRAME AND WINDOW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조립식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다양한 입면에 대응 가능한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콘크리트 벽체(1)에 단열재(3)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이러한 외벽에 창이나 도어 등의 창호를 시공하는 경우, 외벽 시공 시에 형성된 개구부에 창호의 프레임(5, 6)을 설치하고 창짝이나 문짝(21)을 설치한다. 외벽에 적용되는 단열재(3)의 두께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에 따른 열관류율과 단열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용된다.
종래 건축물의 외기 간접면에 해당하는 외벽(1, 2)에 도어를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에너지 절약설계기준인 열관류율 1.6W/㎡K 이하(중부2 기준), 단열재 두께 105mm 이상의 기준에 적용 가능한 도어를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 도어는 130~14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인 경우 종래 외벽과의 마감이 가능하였다.
그런데, 시행 예정인 친환경주택 설계기준에서 외기 간접면 부위 열관류율 1.5W/㎡K 이하(중부2 기준), 단열재 두께 125mm 이상의 기준치로 변경됨에 따라, 현재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체형 도어의 폭으로는 시행 예정인 기준에 따른 벽체의 마감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시점은 단열재의 두께가 80-145mm 등 다양하게 적용되는 벽체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도어 시공 시에 크기가 고정된 일체형 창호프레임(5, 6)을 적용하는 경우 다양한 입면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적용되는 외벽(1, 2)의 두께에 따라 창호프레임을 따로 시공해야 하므로, 도어의 시공 시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변경되는 설계기준을 충족시키면서 다양한 벽체의 입면에도 대응 가능한 창호프레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용되는 벽체에 구비된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틀을 조립하여 건물의 다양한 입면에 대응 가능한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창호프레임의 조립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틀몸체와 상기 창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공틀몸체와 상기 공틀몸체에 상기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틀에 조립되는 공틀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는 도어부 및,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문짝이 장착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틀몸체와 상기 창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공틀몸체와 상기 공틀몸체에 상기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움 조립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틀에 조립되는 공틀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는 다양한 크기의 공틀을 제작하고, 적용되는 벽체에 구비된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틀을 조립함으로써 건물의 다양한 입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공틀과 창틀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공틀을 창틀에 조립하는 방식에 의해 창호프레임을 시공하여 창호프레임의 시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공틀의 회전형 조립방식에 의해 창호프레임의 시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결합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창호와 외벽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와 외벽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과 공틀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과 공틀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라 창틀에 다양한 크기의 공틀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창호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10)는 도어부(20)와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도어부(20)는 문짝(21)과 문짝(21)에 설치되는 유리(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어부(20)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닫이문인 터닝도어일 수도 있고, 창호프레임(100)에 슬라이딩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일 수도 있다.
창호프레임(100)은 벽체(1)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문짝(21)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10)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 창호프레임(100)은 벽체(1) 및 벽체(1)에 시공된 단열재(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창호(10)의 설치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은 창틀(200)과 공틀(300)을 포함한다.
창틀(200)은 창틀몸체(210)와 창틀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창틀몸체(210)에는 도어부(20)의 문짝(21)이 장착되고, 제1 결합부(230)는 공틀(300)과의 결합을 위해 창틀(200)에서 공틀(3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틀(300)은 창틀(200)에 조립된다. 공틀(300)은 공틀몸체(310)와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330)는 공틀몸체(310)에서 창틀(200)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결합부(230)에 끼움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은 공틀(300)을 창틀(200)과 분리하여 제작하고, 공틀(300)을 창틀(200)에 조립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창틀(200)에 구비된 제1 결합부(230)에 공틀(300)에 구비된 제2 결합부(330)를 끼움 조립함으로써 창틀(200)과 공틀(300)을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은 공틀(300)과 창틀(200)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공틀(300)을 창틀(200)에 조립하는 방식에 의해 창호프레임(100)을 시공함으로써 창호프레임(100)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틀(300)을 창틀(200)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창호프레임(100)이 적용되는 벽체(1)의 다양한 입면에 따른 공틀(300)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이 건축물의 외기 간접면에 해당하는 외벽에 적용되는 경우, 시행 예정인 친환경주택 설계기준에 따라 변경되는 단열재(3)의 두께에 대응하여 공틀(300)을 교체함으로써 창호프레임(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축공사 착수는 법규기준이 시행되는 시점으로부터 약 1-2년 후이므로 현 시점의 벽체구조에 적용되는 단열재(3)의 두께는 다양한 두께로 혼재한다. 예를 들어 외기 간접면에 적용되는 외벽의 단열재(3)의 두께는 약 80-145mm 정도의 다양한 두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프레임(100)은 다양한 크기의 공틀(300)을 제작하고, 적용되는 벽체(1)에 구비된 단열재(3)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틀(300)을 조립함으로써, 건물의 다양한 입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330)는 제1 결합돌기(331)와 제2 결합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31)와 제2 결합돌기(332)는 제1 결합부(230) 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결합돌기(332)는 제1 결합돌기(331)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30)는 결합본체(230a)와 제1 결합파트(231)와 제2 결합파트(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파트(231)는 제1 결합본체(230a)에 구비되고 제1 결합돌기(331)가 끼워지며, 제2 결합파트(232)는 결합본체(230a)에 구비되고 제2 결합돌기(332)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230)는 제2 결합부(330)에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본체(230a)는 창틀(200)에서 연장된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공틀(300)과 제2 결합부(330)에 밀착되게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파트(231)와 제2 결합파트(232)는 결합본체(230a)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파트(231)는 도어부(20)를 향하는 방향의 창틀몸체(210) 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파트(232)는 도어부(2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공틀몸체(31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파트(231)와 제2 결합파트(232)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본체(230a) 상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이중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1 결합파트(231)는 결합본체(230a)에 요입 형성되고 제1 결합돌기(3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홈(231)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결합돌기(331)는 단부에 돌출된 후크 형상의 걸림후크(331a)를 포함하며, 끼움홈(231)은 걸림후크(331a)가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편(231a)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끼움홈(231)과 제1 결합파트(231)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끼움홈(231)은 제1 결합돌기(331)가 여유있게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편(231a)은 제1 결합돌기(33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331a)는 제1 결합돌기(331)가 끼움홈(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편(231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돌기(331)를 끼움홈(23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공틀(300)을 회전할 때(도 5의 A 방향) 제1 결합돌기(331)가 회전축이 되도록 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한 조립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제2 결합파트(232)는 제2 결합돌기(332)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결합본체(230a)에서 돌출된 고정돌기(232)로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고정돌기(232)와 제2 결합파트(232)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232)는 끼움홈(231)의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결합돌기(332)는 고정돌기(23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틀(300)을 조립할 때 제1 결합돌기(331)를 끼움홈(231)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창틀(200)과 공틀(300)을 밀착시킨 후 제2 결합돌기(332)를 고정돌기(232)에 걸리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파트(231)와 제2 결합파트(232)의 구성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결합부(330)에 구비된 제1 결합돌기(331)와 제2 결합돌기(33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100)은 제1 결합부(230)가 제1 결합파트(231)와 제2 결합파트(232)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330)가 이에 대응하는 제1 결합돌기(331)와 제2 결합돌기(332)를 포함함으로써, 제1 결합부(230)와 제2 결합부(330)가 이중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향상되어, 창틀(200)과 공틀(300)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창틀(200)에 공틀(300)을 조립 시에, 제1 결합돌기(331)를 끼움홈(231)에 삽입한 후 걸림후크(331a)가 걸림편(231a)에 걸린 상태에서 제1 결합돌기(331)를 회전축으로 하여 공틀(300)을 회전시켜서 제1 결합부(230)와 제2 결합부(330)를 밀착시킨 후 제2 결합돌기(332)를 고정돌기(23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공틀(300)을 창틀(200)에 회전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틀(300)의 회전 조립을 설명한다. 먼저 끼움홈(231)에 제1 결합돌기(331)를 삽입하고 걸림후크(331a)를 걸림편(231a)에 걸리게 한다. 이 후에 걸림후크(331a)와 걸림편(231a)이 결합된 부분을 회전 조립의 회전축으로 하여 도시된 A 방향으로 공틀(300)을 회전하여 공틀몸체(310)를 제1 결합부(230)의 결합본체(230a)에 밀착시킨다. 공틀몸체(310)가 제1 결합부(230)에 밀착되면서 제2 결합돌기(332)가 고정돌기(232)에 걸림으로써, 제2 결합부(330)가 제1 결합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공틀(300)이 창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틀(300)과 창틀(200)의 회전형 조립방식으로 창호프레임(100)의 시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프레임(100)에 다양한 크기의 공틀(300)이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틀(300)을 다양한 크기(L1, L2, L3)로 제작하고, 창호프레임(100)이 설치되는 외벽의 단열재(3)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틀(300)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된 공틀(300)은 상기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열재(3)의 크기에 따라 창호프레임(100) 전체를 제작할 필요 없이, 미리 제작한 적절한 크기의 공틀(300)을 창틀(200)에 조립함으로써 창호프레임(100)의 현장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창호프레임(100)의 제작 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는, 다양한 크기의 공틀을 제작하고, 적용되는 벽체에 구비된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틀을 조립함으로써, 건물의 다양한 입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공틀과 창틀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공틀을 창틀에 조립하는 방식에 의해 창호프레임을 시공하여 창호프레임의 시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공틀의 회전형 조립방식에 의해 창호프레임의 시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결합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벽체 3: 단열재
10: 창호 20: 도어부
21: 문짝 23: 유리
100: 창호프레임 200: 창틀
210: 창틀몸체 230: 제1 결합부
230a: 결합본체 231: 제1 결합파트, 끼움홈
231a: 걸림편 232: 제2 결합파트, 고정돌기
300: 공틀 310: 공틀몸체
330: 제2 결합부 331: 제1 결합돌기
331a: 걸림후크 332: 제2 결합돌기
L1, L2, L3: 공틀의 폭

Claims (6)

  1. 창틀몸체와 상기 창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공틀몸체와 상기 공틀몸체에 상기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틀에 조립되는 공틀을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측으로 돌출된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제1 결합파트와 상기 제2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제2 결합파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2 결합부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파트는 상기 결합본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홈으로 마련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파트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본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로 마련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는 단부에 돌출된 후크 형상의 걸림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걸림후크가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에 상기 공틀을 조립 시에, 상기 제1 결합돌기를 상기 끼움홈에 삽입한 후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편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공틀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밀착시킨 후 상기 제2 결합돌기를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시키는 조립식 창호프레임.
  6. 도어부 및,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문짝이 장착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창호프레임은
    창틀몸체와 상기 창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공틀몸체와 상기 공틀몸체에 상기 창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움 조립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틀에 조립되는 공틀을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
KR2020170006747U 2017-12-27 2017-12-27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KR201900017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7U KR20190001707U (ko) 2017-12-27 2017-12-27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747U KR20190001707U (ko) 2017-12-27 2017-12-27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07U true KR20190001707U (ko) 2019-07-05

Family

ID=6722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747U KR20190001707U (ko) 2017-12-27 2017-12-27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7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627B1 (ko) *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4998A (ko) * 2019-09-23 2021-03-3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터닝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98A (ko) * 2019-09-23 2021-03-3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터닝 도어
KR102171627B1 (ko) *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0124A1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20190001707U (ko) 조립식 창호프레임과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KR101763158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0937691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JP2015105507A (ja) 樹脂製窓枠
KR102114832B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2063967B1 (ko) 개구부 일체형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07452U (ko) 단열 여닫이 창호
KR101728752B1 (ko) 미서기문과 스윙도어의 일체형 연결구조
KR101864615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조립식 창호 프레임
JP3977358B2 (ja) 交換用ドア枠およびドアの交換方法
JP4001829B2 (ja) 断熱嵌殺し窓
JPH10238232A (ja) 合成樹脂製の框
CN215718150U (zh) 一种双边开合平板门
JP3190017B2 (ja) 複合窓枠の無目構造
JP7134074B2 (ja) 断熱建具
JP7238192B2 (ja) 断熱建具
CN216741192U (zh) 建筑节能用防散热窗
KR102527301B1 (ko) 환기창용 경첩의 구조
KR20180003417U (ko) 방충창의 롤러 일체형 마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