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79A -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79A
KR20190001679A KR1020170081577A KR20170081577A KR20190001679A KR 20190001679 A KR20190001679 A KR 20190001679A KR 1020170081577 A KR1020170081577 A KR 1020170081577A KR 20170081577 A KR20170081577 A KR 20170081577A KR 20190001679 A KR20190001679 A KR 2019000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sign
user
type virtual
recogni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109B1 (ko
Inventor
정의철
박기철
허재연
류칭웨이
송기정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제1사용자가 지문인식을 통해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키는 지문인식단계;
(2)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에 사인을 표기를 하는 가상 사인단계;
(3) 상기 사인은 상기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를 거쳐 서버상에 위치 및 공간정보를 가지고 저장되는 가상 사인저장단계;
(4) 제2사용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SP)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공간을 비추면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가상 사인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the trace tracing system us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virtual sign device}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통하여 필기구인 디바이스를 가동하여 공간에 사인을 표기하면 사인의 형상이 그대로 공간상에 남아 제3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사인을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같은 팀의 여러 사람이 보행을 하거나 등산을 하는 경우 앞사람이 뒤쳐지는 뒷사람을 위하여 메모지를 전봇대나 나무 등에 부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럴 경우, 같은 팀의 메모지가 다른 팀의 메모지와 혼동되어 인식하기 어려우며 심지어는 떨어져 훼손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문인식을 통하여 필기구인 디바이스를 가동하여 공간에 사인을 표기하면 사인의 형상이 그대로 공간상에 남아 제3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사인을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5327호 ‘지문인식 수단을 구비한 송신기’, 2001년06월11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9748호 ‘지문인식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2017년04월1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지문인식을 통하여 필기구인 디바이스를 가동하여 공간에 사인을 표기하면 사인의 형상이 그대로 공간상에 남아 제3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사인을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제1사용자가 지문인식을 통해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키는 지문인식단계;
(2)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에 사인을 표기를 하는 가상 사인단계;
(3) 상기 사인은 상기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를 거쳐 서버상에 위치 및 공간정보를 가지고 저장되는 가상 사인저장단계;
(4) 제2사용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SP)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공간을 비추면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가상 사인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인식을 통하여 필기구인 디바이스를 가동하여 공간에 사인을 표기하면 사인의 형상이 그대로 공간상에 남아 제3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사인을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제2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1실시예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응용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착용예 및 사용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1실시예를 다른 디자인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의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제1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이며,
도 3은 제2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은,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제1사용자가 지문인식을 통해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키는 지문인식단계;
(2)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에 사인을 표기를 하는 가상 사인단계;
(3) 상기 사인은 상기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를 거쳐 서버상에 위치 및 공간정보를 가지고 저장되는 가상 사인저장단계;
(4) 제2사용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SP)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공간을 비추면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가상 사인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130) 및 동작감지센서모듈(150)이 내장되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130)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작감지센서모듈(150)을 사용하여 상기 사인의 형상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가상 사인저장단계;에서 서버상에 저장되는 위치 및 공간정보는 제2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4) 가상 사인확인단계;에서 제2사용자가 상기 사인을 확인할 때,
상기 제2사용자는 상기 제1사용자가 표기한 상기 사인 그대로 상하 및 방위의 왜곡없이 3D로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예를 하나만 특정하여 설명하면,
등산중 선행자가 공간상에 화살표(사인)를 북서방향으로 표기하면 시간차를 두고 뒤따라온 후행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를 통하여 정확히 표기위치의 상하 및 방위의 왜곡없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행자의 사인을 작게 표기됐더라도,
선행자 또는 후행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 크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인 후행자가 확인하는 사인의 크기는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인의 공유범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 고유의 색 또는 이모티콘 등 심볼을 설정하여 시각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직감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선등록되어 있다면 별도의 로그인 과정없이 상기 지문인식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로그인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형태이거나 아닌 형태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펜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제1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로써, 상술한 각각의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도 3은 제2사용자 입장에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을 구성한 순서도로써,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Ⅱ.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
도 4는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1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 내부에 배터리(B), 근거리무선통신모듈(130), 동작감지센서모듈(150)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문인식센서(110)가 설치되어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의 (1) 지문인식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본체 외부에 인디케이터LED(LED)가 설치되어 작동여부를 점멸로써 알려준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체 일단에 접촉식충전단자(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모듈(150)는 자이로센서, 틸트센서 등 사용자가 공간에 표기하는 사인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센서를 말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응용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충전케이스(200)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스(200)에는 상기 이동식단말기(SP)의 충전단자와 연결되는 충전포트(240)가 설치되어,
상기 충전포트(240)에 상기 접촉식충전단자(140)가 삽입되므로써 본 발명의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케이스(200)는 통상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포트(240)를 깊게 구성하면 본 발명의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의 평상시 보관홀이 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보관홀을 상기 충전케이스(200)에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보관홀 없이 자석라인을 상기 충전케이스(200)에 구성하고 상기 자석라인에 본 발명의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탈부착형식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착용예 및 사용예이다.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면서 외형만 변화한 것으로 키 또는 목걸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인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의 제1실시예를 다른 디자인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센서(110)와 작동시 버튼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B: 배터리
LED: 인디케이터LED
100: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
130: 근거리무선통신모듈
150: 동작감지센서모듈
200: 충전케이스
240: 충전포트

Claims (4)

  1.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제1사용자가 지문인식을 통해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활성화시키는 지문인식단계;
    (2) 상기 제1사용자가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에 사인을 표기를 하는 가상 사인단계;
    (3) 상기 사인은 상기 제1사용자의 이동식단말기(SP)를 거쳐 서버상에 위치 및 공간정보를 가지고 저장되는 가상 사인저장단계;
    (4) 제2사용자가 자신의 이동식단말기(SP)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공간을 비추면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가상 사인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130) 및 동작감지센서모듈(150)이 내장되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130)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단말기(SP)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작감지센서모듈(150)을 사용하여 상기 사인의 형상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3) 가상 사인저장단계;에서 서버상에 저장되는 위치 및 공간정보는 제2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4) 가상 사인확인단계;에서 제2사용자가 상기 사인을 확인할 때,
    상기 제2사용자는 상기 제1사용자가 표기한 상기 사인 그대로 상하 및 방위의 왜곡없이 3D로 상기 사인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KR1020170081577A 2017-06-28 2017-06-28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KR10195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77A KR101954109B1 (ko) 2017-06-28 2017-06-28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77A KR101954109B1 (ko) 2017-06-28 2017-06-28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79A true KR20190001679A (ko) 2019-01-07
KR101954109B1 KR101954109B1 (ko) 2019-03-05

Family

ID=6501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77A KR101954109B1 (ko) 2017-06-28 2017-06-28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1884A (zh) * 2019-07-31 2019-11-01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终端的追踪方法及装置、存储介质、通信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983A (ja) 1999-07-02 2001-01-26 Fuji Photo Film Co Ltd サイン入力カメラ
MX2007005047A (es) 2004-11-03 2007-07-13 Pen One Inc Dispositivo guia dactilar para usarse con lapiz fotosensible o pluma.
KR101741584B1 (ko) 2010-09-10 201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메모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가상 메모 관리방법
JP2013125487A (ja) 2011-12-16 2013-06-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空間手書きシステム及び電子ペン
JP2013246635A (ja) 2012-05-25 2013-12-09 Sharp Corp 予約受付装置および予約受付方法
KR101311506B1 (ko) 2013-02-27 2013-09-25 (주)판도라테크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1884A (zh) * 2019-07-31 2019-11-01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终端的追踪方法及装置、存储介质、通信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109B1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bjects for augmented reality
CN103262127A (zh) 物体显示装置、物体显示方法以及物体显示程序
WO2015129588A1 (ja) ジェスチャ入力システム
CN102192738B (zh) 一种展馆导航仪和导航系统
KR101341727B1 (ko) 3d gui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168875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248652B1 (en) Visual writing aid tool for a mobile writing device
CN107053902B (zh) 一种辅助书写笔
WO2021068356A1 (zh) 一种基于用户-展品距离的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CN110750992A (zh) 命名实体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1263818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visual object recognition and stored geometry to create and render virtual objects
US201902793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Götzelmann et al. SmartTactMaps: a smartphone-based approach to support blind persons in exploring tactile maps
CN110334736A (zh) 图像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954109B1 (ko)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CN110348318A (zh) 图像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2263695B1 (ko)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US20120169726A1 (en) System for inputting graphical elements
KR20170007593A (ko) Nfc 기능을 이용한 주차연락카드 장치
KR1017748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87843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열차유지보수 교육시스템
CN113011369A (zh) 一种位置区域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arunathilaka et al. Road sign identification application using image processing and augmented reality
US9143882B2 (en) Catch the screen
KR20170004102A (ko)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