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06B1 -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06B1
KR101311506B1 KR1020130021229A KR20130021229A KR101311506B1 KR 101311506 B1 KR101311506 B1 KR 101311506B1 KR 1020130021229 A KR1020130021229 A KR 1020130021229A KR 20130021229 A KR20130021229 A KR 20130021229A KR 101311506 B1 KR101311506 B1 KR 10131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input
pen
data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범수
Original Assignee
(주)판도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도라테크 filed Critical (주)판도라테크
Priority to KR102013002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06B1/ko
Priority to PCT/KR2014/000024 priority patent/WO20141332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펜 입력 장치의 단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광센서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상기 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펜 입력의 궤적 및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펜입력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 입력 장치는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도,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PEN INPU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부가장치가 필요 없이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교하게 인식할 수 있는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각종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메모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테면, 무선 펜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림으로써 무선 펜마우스와 연결된 컴퓨터나 노트북에 위 글씨나 그림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에 직접 터치펜을 이용하여 메모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펜마우스 또는 터치펜을 이용하여 글자를 쓰는 경우, 사용자의 펜 입력은 글자와 글자 사이의 띄어쓰기 간격과 같은, 터치펜 자체의 움직임을 수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펜 입력에 터치펜의 움직임을 보상해야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먼저, 터치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 좌표인식전용패드가 이용될 수 있다. 좌표인식전용패드 상에 터치펜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표인식전용패드와 터치펜 사이의 전자적인 감응을 이용하여, 터치펜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 간의 정확한 좌표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시도로서, 위치측량용 통신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위치측량장치는 전자펜과 지속적으로 통신하면서, 전자펜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특히, 전자펜과의 통신을 통해 서로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등으로 전자펜의 위치를 측량하고,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펜 입력 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시도로서, 좌표인식전용노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펜을 이용하여 좌표인식전용노트 상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 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전자펜 외에 좌표인식전용패드, 위치측량장치, 좌표인식전용노트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용 경제적이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KR 10-0970585 B1 KR 10-1066829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도,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교하게 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펜 입력 장치의 단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광센서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상기 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펜 입력의 궤적 및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펜입력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입력분석부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상태 변화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펜 입력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상기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상기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펜 입력의 궤적 및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상태 변화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펜 입력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상기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도,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 입력을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펜 입력 시스템(100)은 펜 입력 장치(110) 및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펜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펜 입력을 수신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펜 입력 장치(110)는 기존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체하여, 예를 들어,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펜 입력 장치(110)는 전자펜, 펜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기(120)는 펜 입력 장치(110)로부터 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펜 입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 입력 장치(11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펜 입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펜 입력 장치(200)는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감지부(210)는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펜 입력 시, 펜 입력 장치(200)는 종이, 패드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접촉할 수 있는데, 접촉감지부(210)는 이러한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펜 입력 시 외부 물체와의 접촉 감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촉감지부(210)는 펜 입력 장치(2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감지부(21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광센서부(220)는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부(220)는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펜 입력 장치(200)의 단부의 움직임, 즉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펜 입력의 궤적을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광 센서부(220)는 펜 입력 장치(2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부(220)는 외부에 광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반사된 빛을 감지함으로써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접촉감지부(210)가 외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높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광센서부에 따라 접촉감지부(210)가 외부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는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부(130)는 광학센서 및 발광다이오드(LED), 레이저센서, 블루트랙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발광다이오드(LED)가 외부로 조사한 광이 책상이나 노트 등에 반사되어 광학센서에 감지되면, 광학센서의 신호를 처리하여 펜 입력 장치(100)의 펜 입력의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 광센서부(220)의 상기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펜 입력 장치(100)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모션감지부(230)는 펜 입력 장치(200)의 전체적인 움직임, 즉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및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감지부(230)는 펜 입력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다양한 종류의 측정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나침반, compass, 콤파스, 컴파스), 지자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감지부(230)의 상기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펜 입력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펜입력분석부(240)는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펜 입력 데이터는 펜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위치 설정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펜 입력은 예를 들어, 펜 입력 장치(200)를 통해 재현하고 하는 글자 또는 선과 같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을 의미하고, 제 2 펜 입력은 예를 들어, 또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과 같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라는 펜 입력은 "ㄱ"와 "l"의 제 1 펜 입력과, "ㄱ"와 "l" 사이의 간격과 같은 제 2 펜 입력으로 이루어진다.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한 분석은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및 모션감지부(2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3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면,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할 수 있다. 광센서부(220)에 의한 펜 입력 궤적의 감지는 접촉감지부(210)가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높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으나, 접촉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는 펜 입력 궤적의 감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펜 입력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펜 입력 장치(200)는 광센서부(220)를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 및 모션감지부(2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하고,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모션감지부(24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및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실시간으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펜 입력 장치(200)의 동작에 따라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가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접촉감지부(210)가 접촉을 감지하지 못하면,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마우스포트(PS/2 포트)와 같은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및 기타 RF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통신부(250)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50)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지 않으면, 메모리부(260)에 펜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후 통신부(250)와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면, 통신부(250)는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펜 입력 장치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예를 들어, 버튼, 접촉 감지 장치(또는 터치센서), 조이스틱 또는 휠과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펜 입력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한 종류의 입력장치가 복수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필기구 장착부(미도시)에는 필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필기구 장착부에 필기구 장착됨으로써, 전자적인 펜 입력에 부가하여 펜 입력 장치(200)는 필기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필기구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기구 장착부는 펜 입력 장치(20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300)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펜 입력 장치(300)는 접촉감지부(310); 광센서부(320); 모션감지부(330); 펜입력분석부(340); 통신부(350); 메모리부(3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펜 입력 장치(300)의 접촉감지부(310); 광센서부(320); 모션감지부(330); 펜입력분석부(340); 통신부(350); 메모리부(3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7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펜 입력 장치(200)의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되는 펜 입력 장치(300)의 구조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펜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펜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펜 입력(410, 430, 450)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펜 입력은 펜 입력(410), 펜 입력(430) 및 펜 입력(450) 순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펜 입력(410) 및 펜 입력(450)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을 나타내고, 펜 입력(430)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을 나타낸다. 펜 입력 장치는 펜 입력(410, 430, 450)으로부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때 연속하는 펜 입력(410, 430, 450) 간의 연결을 위해 펜 입력(410)의 펜 입력 종료 지점(420)과 펜 입력(430)의 펜 입력 개시 지점(420)을 일치시키고, 펜 입력(430)의 펜 입력 종료 지점(440)과 펜 입력(450)의 펜 입력 개시 지점(440)을 일치시킨다.
펜 입력 데이터는 도 4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펜 입력(410, 450)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이므로, 윤곽 또는 색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되고, 펜 입력(430)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이므로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어, 전체적으로 "기"라는 글자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10)를 통해 외부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20)에 수행되는 펜 입력의 궤적에 대한 감지는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되는 동안 수행되거나,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 즉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 및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펜 입력 데이터는 펜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위치 설정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즉시 또는 이후에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지 않으면,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면,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펜 입력 장치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펜 입력 장치의 단부에 필기구가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54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540)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610);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620); 및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2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630)는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계(540)는, 단계(510) 및 단계(520)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3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540)는 제 3 펜 입력이 생성되면,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의 방법(500)에서 단계(520)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540)는 단계(510) 및 단계(530)로부터 펜 입력을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540)는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 및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하고,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540)는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하는 단계는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져,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컨텐츠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송, 토큰 전송,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송,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여기 제시되는 기술들은 여기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져들, 함수들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펜 입력 시스템 110, 200, 300: 펜 입력 장치
120: 단말기 210, 310: 접촉감지부
220, 320: 광센서부 230, 330: 모션감지부
240, 340: 펜입력분석부 250, 350: 통신부
260, 360: 메모리부 270, 3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4)

  1. 펜 입력 장치로서,
    상기 펜 입력 장치의 단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상기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광센서부;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상기 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펜 입력의 궤적 및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펜입력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입력분석부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상태 변화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펜 입력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상기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한,
    펜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펜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펜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장치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입력분석부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펜 입력을 보상하는,
    펜 입력 장치.
  8.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펜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상기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펜 입력의 궤적 및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상태 변화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펜 입력 데이터에서,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상기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한,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펜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장치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13. 삭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상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펜 입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펜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21229A 2013-02-27 2013-02-27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311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29A KR101311506B1 (ko) 2013-02-27 2013-02-27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CT/KR2014/000024 WO2014133258A1 (en) 2013-02-27 2014-01-03 P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229A KR101311506B1 (ko) 2013-02-27 2013-02-27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506B1 true KR101311506B1 (ko) 2013-09-25

Family

ID=494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29A KR101311506B1 (ko) 2013-02-27 2013-02-27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1506B1 (ko)
WO (1) WO201413325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02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KR20160148872A (ko) * 2015-06-17 2016-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칠판 시스템
KR101954109B1 (ko) 2017-06-28 2019-03-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KR102328569B1 (ko) * 2021-08-03 2021-11-19 (주)티에프프로젝트 다목적 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251A (ja) 1998-09-25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ペン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KR20030036979A (ko) * 2001-11-01 2003-05-12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펜형 광 마우스 장치 및 펜형 광 마우스 장치의 제어방법
US20060244738A1 (en) 2005-04-29 2006-11-02 Nishimura Ken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pen position
JP2009099041A (ja) 2007-10-18 2009-05-07 Smk Corp ペン型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988A (ko) * 2002-03-08 2003-09-19 정대진 전자펜 및 그 동작방법
KR100891100B1 (ko) * 2007-07-27 2009-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펜형 광마우스의 이동 궤적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251A (ja) 1998-09-25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ペン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KR20030036979A (ko) * 2001-11-01 2003-05-12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펜형 광 마우스 장치 및 펜형 광 마우스 장치의 제어방법
US20060244738A1 (en) 2005-04-29 2006-11-02 Nishimura Ken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pen position
JP2009099041A (ja) 2007-10-18 2009-05-07 Smk Corp ペン型入力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02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KR102228812B1 (ko) * 2014-01-10 2021-03-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KR20160148872A (ko) * 2015-06-17 2016-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칠판 시스템
KR102336708B1 (ko) * 2015-06-17 202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칠판 시스템
KR101954109B1 (ko) 2017-06-28 2019-03-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KR102328569B1 (ko) * 2021-08-03 2021-11-19 (주)티에프프로젝트 다목적 펜
KR102353940B1 (ko) * 2021-08-03 2022-01-21 (주)티에프프로젝트 다목적 펜을 포함하는 양방향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58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6934B2 (en) Navigation approaches for multi-dimensional input
US20080309621A1 (en) Proximity based stylus and display screen,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US9354748B2 (en) Optical stylus interaction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US20200393918A1 (en) Displaying a shadow of a stylus or of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90814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contactless gestures
KR101311506B1 (ko)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40016987A (ko) 가상 필기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3502911A (zh) 使用多个传感器的手势识别
US10386987B2 (en)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85798A (ja) 座標検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142726A (ja) 電子黒板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93298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djacent partial images out of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that constitute one image on display units of a plurality of adjacen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US20080122790A1 (en) Optical handwriting input device
WO2017107813A1 (zh) 智能设备的操控装置、智能设备、操作控制方法及装置
CN104423838A (zh) 文档划分和合并方法、设备和程序
KR101533603B1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US10739866B2 (en)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en
CN212254354U (zh) 一种指纹解锁和测温的移动终端
KR20070042858A (ko) 펜 형태의 디지털 입력 장치
US9639180B2 (en) Comput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RU2463553C2 (ru) Дальномер
KR101911676B1 (ko) 지시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프리젠테이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9192142A (ja)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EP27386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Contactless Ges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