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602A -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 Google Patents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602A
KR20150083602A KR1020140003337A KR20140003337A KR20150083602A KR 20150083602 A KR20150083602 A KR 20150083602A KR 1020140003337 A KR1020140003337 A KR 1020140003337A KR 20140003337 A KR20140003337 A KR 20140003337A KR 20150083602 A KR20150083602 A KR 2015008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nput
input means
handwriting
data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812B1 (ko
Inventor
김명찬
정유식
이광희
박민호
정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0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에 있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 생성부; 디지털 입력 수단의 입력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하는 광 센서; 자기장 및 광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 감지부;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스타일 설정부; 및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DIGITA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CESSING/MANAGING WRITING DATA}
본 발명은 무선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과 서버에 대한 기술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펜과 종이를 이용하여 글자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는 문화는 점진적으로 모바일 기기나 태블릿 입력 방식을 이용한 기술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펜과 종이를 이용한 필기 방식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필기 방식으로서 아직까지 많은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펜과 종이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필기를 디지털화하여 소지하면 관리와 확인이 편리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식의 필기를 컴퓨터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필기를 스캔하거나 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나아가 별도의 저장 매체나 서버에 직접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의 필기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디지털화하고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19742 와 같은 선행 문헌들이 종래 기술로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입력 수단을 활용하는 사용자의 필기를 디지털화하고 실시간으로 서버에 저장하여, 차후에도 편리하게 접속과 확인이 가능하게끔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활용한 디지털 입력 수단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의 필기를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에 있으며, 나아가 원활한 통신 수행이 어려운 경우라 하더라도 필기 데이터의 내용의 손실 없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보관하고 관리함으로써 필기한 내용을 문서 파일로 손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필기한 내용을 이어서 편집과 수정할 수 있게끔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입력 수단은,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디지털 입력 수단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 생성부, 디지털 입력 수단의 입력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하는 광 센서, 자기장 및 광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 감지부,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스타일 설정부 및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입력 수단은 본체 및 본체와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자기장 발생부 및 자기 센서는 본체 및 커버 중 서로 다른 곳에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필기 감지부는 자기장의 세기 변화와 각도 변화 및 광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필기 속성은 필기 수단의 종류, 필기 두께 및 필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은 디지털 입력 수단의 필기부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필기 감지부는 압력이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은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통신부가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불가능한 경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디지털 입력 수단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는 필기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은 디지털 입력 수단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디지털 입력 수단의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클라우드 서버와 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LTE-A (LTE-Advanced)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디지털 입력 수단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광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고 디지털 입력 수단의 입력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자기장 및 광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는, 디지털 입력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디지털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기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필기 데이터가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하고,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 해석부; 및 필기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따라 식별된 계정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 결과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광학식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디지털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기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필기 데이터가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하는 단계;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필기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따라 식별된 계정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로, 사용자의 필기를 디지털 데이터로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어 필기한 내용을 별도로 디지털화하고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둘째로,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함께 활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필기 데이터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셋째로,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여러 디바이스에서 필기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디지털 입력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입력 수단의 외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광 신호를 송출하고 감지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필기 속성을 설정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입력 수단 또는 클라우드 서버의 사용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자, 수리공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디지털 입력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사용자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을 움직여 조작하는 필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필기 입력을 디지털화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할 수 있다. 필기 데이터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기 데이터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또는 디지털 펜(digital pen)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본체 및 본체와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는 필기부 및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구성, 동작 및 외형에 관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타일 설정부(110)는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한다. 필기 속성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을 이용한 필기 데이터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의한 필기 속성은 필기 수단의 종류, 필기 두께 및 필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 설정부(110)는 후술할 사용자 입력부(14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필기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42)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필기 색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스타일 설정부(1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필기 데이터의 필기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자기장 발생부(115)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스타일러스나 디지털 펜으로 구현되는 경우, 자기장 발생부(115)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한쪽 끝에 마련되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15)는 자석일 수도 있고, 강자성체(ferromagnetic), 상자성체(paramagnetic), 반자성체(diamagnetic) 등 자화된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 감지부(12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필기 감지부(12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 기울어진 각도, 입력면으로부터의 압력 등 여러 가지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의한 필기 감지부(120)는 자기 센서(122), 광 센서(124), 압력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물리적 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 감지부(120)가 여러 가지 센서를 활용하는 구체적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필기 감지부(12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과 여러 가지 물리적 수치들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을 움직이며 필기한 글씨나 그림들을 디지털 데이터인 필기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필기 감지부(120)는 스타일 설정부(110)에서 설정한 필기 속성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필기 감지부(120)는 스타일 설정부(110)에서 설정한 필기 두께, 필기 색상 등을 부가 정보로 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광신호 생성부(130)는 광 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광신호 생성부(130)가 송출한 광 신호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과 닿는 입력면에 반사되며, 반사되는 광 신호는 필기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어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활용된다. 광신호 생성부(130)는 필기 감지부(120)에 포함되는 광 센서(124)가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방향과 위치로 광 신호를 송출한다. 광신호 생성부(130)와 광 센서(124)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신호 생성부(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ASER(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 소자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 소자가 일정한 형태와 간격으로 배열된 어레이(arra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광신호 생성부(130)는 스타일 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필기 속성을 고려하여 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신호 생성부(130)는 스타일 설정부(110)에서 결정된 필기 색상에 따라 광신호의 색상을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광신호 생성부(130)는 스타일 설정부(110)에서 결정된 필기 두께에 따라 송출하는 광신호의 밝기나 세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광신호 생성부(130)는 상술한 광원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마스크(mask)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신호 생성부(130)는 마스크의 형태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입력면에 반사되게끔 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디지털 입력 수단(100)에서 처리되는 여러 가지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42), 디스플레이부(144), 음향 출력부(1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42)와 디스플레이부(144)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레이어(layer)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42)는 하나 이상의 버튼, 키 패드, 스위치 등 물리적 입력을 수신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이외에도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탭, 더블 탭, 드래그 등)을 감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42)는 필기 색상이나 두께 등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4)는 제어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이외에도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등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4)는 사용자 입력부(142)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음향 출력부(146)는 제어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며, 알람, 비프(beep) 음, 음성 데이터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재생하고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동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 알고리즘과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사용자 정보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과 통신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개인 정보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ID, 비밀 번호,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필기 감지부(120)에서 생성한 필기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 상태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임시적으로(temporarily) 또는 영구적으로(permanently)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EEPROM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필기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웹 스토리지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나 외부 서버 등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필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필기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정보나 필기 속성 정보 등 다양한 부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0)는 필기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여 필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통신부(160)는 설정된 시점 또는 통신 상태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0)는 특정 시점 또는 통신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기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반면, 통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 있어서 통신부(160)는 저장부(150)가 필기 데이터를 보관하게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60)는 통신 상태가 데이터 전송에 충분하도록 개선되면 보관하였던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통신부(160)는 3G 네트워크, 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LTE-A (LTE-Advanced)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6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타일 설정부(110)가 필기 속성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필기 감지부(120)가 스타일 설정부(110)에서 결정한 필기 속성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50)를 제어하고 필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내용과 관련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입력 수단의 외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본체(180)와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80)와 커버(190)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60) 이외에도, 상호 간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90)는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18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를 본체(180)에 전송할 수 있고 본체(180)에 포함된 필기 감지부(120)는 수신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180)는 필기부(182)와 파지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부(182)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면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이며, 도체로 구현되어 입력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부(182)의 도체 부분은 파지부(184)와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파지부(184)와 접촉하면 필기부(182)와 접촉하는 입력면의 전류가 파지부(184)의 도체 부분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 흘러 입력면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184)는 사용자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과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80)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84)는 자석이나 자화된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84)가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한다.
도시된 구성과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체(180)는 필기부(182)와 파지부(184)를 서로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통일된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커버(190)는 필기부(182)와 파지부(184)를 덮는 형태로 본체(18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190)의 한쪽 끝은 개방된 형태로, 본체(180)의 한쪽 끝부터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본체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15)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한쪽 끝인 펜촉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자기 센서(122)는 본체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본체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122)는 본체와 분리되는 커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본체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기 센서(122)는 약 50cm 이내에 위치한 자기장 발생부(155)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자기 센서(122)는 본체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자기 센서(122)는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자기 센서(122)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122)는 자기장의 세기 변화로부터 자기 센서(122)와 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도 3(a)), 자기장의 각도 변화로부터 본체의 자기장 발생부(115)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도 3(b)).
필기 감지부(120)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자기 센서(122)가 측정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를 전역 좌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필기 감지부(12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본체가 입력면과 떨어졌다가 다른 위치에서 다시 접촉하는 경우, 자기장의 세기 변화와 각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차이에 해당하는 값을 보상함으로써 변화된 접촉 위치에서도 필기 데이터를 이어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의 각도 변화는 필기 속성 중 필기 두께를 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자기 센서(122)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커버(190)에 마련되어 본체(180)로부터 이격되고 자기장 발생부(115)가 본체(180)에 위치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자기장 발생부(115)가 커버(190)에 마련되고 자기 센서(122)가 본체(18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자기장은 커버(190) 주위에 형성되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이동함에 따라 커버(190) 주위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광 신호를 송출하고 감지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광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광신호 생성부(130) 및 입력면에 반사된 광 신호를 감지하는 광 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신호 생성부(130)와 광 센서(124)는 다양한 형태 및 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는 구현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광신호 생성부(130)는 필기부(410)의 끝에 위치하여 입력면(400)으로 광신호를 송출한다. 광 센서(124)는 필기부(410)와 연결되는 파지부의 끝(415)에 위치하여 입력면(400)에서 반사된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면(400)을 이동하면 광 센서(124)는 입력면(400)의 굴곡과 패턴에 따라 반사되는 광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필기 감지부(120)는 광 센서가 감지하는 반사 광 신호로부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필기 감지부(120)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필기 감지부(12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광 센서(124)가 감지하는 광 신호의 변화를 지역 좌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광 센서(124)는 자기 센서(122)가 감지하는 자기장 변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며, 필기 감지부(120)는 두 센서가 측정한 움직임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 광신호 생성부(130)는 파지부의 끝(425)에 위치하여 입력면(400)으로 광신호를 송출한다. 광 센서(124)는 파지부(420)의 끝에 위치할 수도 있고 파지부의 끝(425)에 광신호 생성부(130)와 함께 배열될 수도 있다. 도 4(a)와 마찬가지로 광 센서(124)는 입력면(400)에서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한다.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신호 생성부(130)는 광원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면(400)에 송출되는 광 신호는 마스크의 물리적 형태에 따라 원형, 사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필기 속성을 설정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기 속성은 필기 수단의 종류, 필기 두께, 필기 색상 등 다양한 종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42)으로 구현된 사용자 입력부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표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142)은 사용자가 필기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즉, 터치 스크린(142)이 기설정된 색상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면, 스타일 설정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을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실시 예는 인터페이스의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 배열, 구조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시각적인 정보와 함께 사용자를 안내하는 음향 메시지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으나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색상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필기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일부를 회전시켜서 필기 속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본체의 일부 구성을 회전 가능한 그립(510) 형태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립(5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선택된 색상으로 필기 색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포함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입력 수단(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사용자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을 이용하여 필기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먼저, 단계 61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속성을 결정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도 5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더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이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620에서 필기를 감지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감지부(120)에 포함된 자기 센서,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이동 방향, 거리, 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센서를 통해 감지된 결과들을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자기 센서가 측정한 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광 센서가 측정한 값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여, 두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64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필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단계 610이 가장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610은 필기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630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데이터가 생성된 이후에 필기 데이터에 대한 부가 정보로써 필기 속성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도 6의 단계 6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71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기설정된 필기 속성을 사용할지 결정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현재 설정된 필기 속성을 그대로 사용할지, 새로운 필기 속성을 설정할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필기 속성을 설정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 720으로 진행하고 기설정된 필기 속성을 사용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단계 730으로 진행한다.
단계 72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속성을 결정한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을 통해서 필기 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단계 722), 본체 일부를 회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단계 724).
필기 속성이 설정되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730에서 필기 속성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속성에 따라 광 신호의 색상, 세기, 모양 등을 조절하여 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송출된 광 신호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접촉하는 입력면에 반사되며, 반사된 광 신호는 단계 620에서 필기 감지부(120)의 광 센서(124)에 의해 감지된다.
단계 74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접촉하는 입력면으로부터 필기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단계 750에서 압력이 임계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사용자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으로 필기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필기를 감지한다.
반대로, 단계 750에서 입력이 임계값 미만으로 측정되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여러 가지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들을 분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필기를 감지하고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으나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송출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압력의 세기를 표현할 수도 있다.
단계 750에 이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도 6 및 도 7의 단계 620, 단계 6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620의 필기 감지가 시작되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810에서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본체 주변이나 커버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한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자기장의 세기 변화로부터 자기장 발생부와 자기 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820에서 자기장의 각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810 및 단계 820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83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자기 센서를 활용함과 동시에 광 센서를 통해 입력면에서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한다. 이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840에서 광 신호의 변화로부터 필기 방향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830에서 감지하고 단계 840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자기 센서로 측정한 결과와 광 센서로 측정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자기 센서의 측정 결과를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필기부가 입력면에 접촉하는 전역 좌표로 활용하고, 광 센서의 측정 결과를 미세한 움직임인 지역 좌표로 활용하여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클라우드 서버(10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필기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입력 수단(100)가 수행하는 단계 910 내지 920 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93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클라우드 서버(1000)와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즉,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무선 통신 상태를 측정하고 디지털 입력 수단(100)가 클라우드 서버(1000)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통신 환경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통신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단계 935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저장부에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속하여 통신 상태를 체크한다. 통신 수행이 가능한 경우, 단계 94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필기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1000)로 전송하고, 계속하여 필기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은 단계 940에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1000)는 단계 950에서 디지털 입력 수단(100)으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960에서 클라우드 서버(1000)는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먼저, 클라우드 서버(1000)는 단계 95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활용하여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나타내는 필기 데이터인지 확인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1000)는 필기 데이터임이 확인되면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10에서 설명한다.
단계 970에서 클라우드 서버(1000)는 단계 950에서 수신한 필기 데이터와 단계 960에서 생성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클라우드 서버(1000)는 단계 950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계정에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한 클라우드 서버(1000)는, 통신부(1010), 필기 해석부(1020), 저장부(1030) 및 제어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입력 수단(1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필기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 등 여러 가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1010)는 도 1에서 설명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통신부(16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통신부(10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증된 외부 디바이스에 필기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이 아닌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1000)는 사용자 정보 DB(1100)를 조회하여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를 인증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1000)는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필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 DB(1100)는 클라우드 서버(100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000)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필기 해석부(1020)는 통신부(1010)가 수신한 데이터가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한다. 즉,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기 해석부(1020)는 수신된 데이터가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해석부(1020)는 수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필기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거나,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제어 정보로부터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추출함으로써 필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필기 해석부(1020)는 통신부(1010)가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필기 데이터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클라우드 서버(1000)는 필기 데이터에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텍스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000)는 광학식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저장부(1030)는 필기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1000)는 사용자 정보 DB(1100)를 조회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기 데이터를 전송한 디지털 입력 수단(100)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필기 데이터를 수신, 확인,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1040)는 디지털 입력 수단(100)의 제어부(170)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서버(1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0)

  1.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 생성부;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입력면에 반사되는 상기 광 신호를 감지하는 광 센서;
    상기 자기장 및 상기 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 감지부;
    상기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스타일 설정부;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 중 서로 다른 곳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감지부는 상기 자기장의 세기 변화와 각도 변화 및 상기 광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디지털 입력 수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생성부는 상기 필기 속성에 따라 상기 광 신호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속성은 필기 수단의 종류, 필기 두께 및 필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은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필기부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기 감지부는 상기 압력이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불가능한 경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은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LTE-A (LTE-Advanced)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
  13.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입력 수단의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의 필기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광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고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입력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 및 상기 광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 중 서로 다른 곳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장의 세기 변화와 각도 변화 및 상기 광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필기 속성에 따라 상기 광 신호의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속성은 필기 수단의 종류, 필기 두께 및 필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필기부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이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불가능한 경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LTE-A (LTE-Advanced)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처리 방법.
  23. 디지털 입력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기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하고,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 해석부; 및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식별된 계정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광학식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26. 디지털 입력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으로부터 필기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필기 데이터가 자기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기울기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입력 수단이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임을 확인하는 단계;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식별된 계정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광학식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데이터 관리 방법.
  29.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0.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03337A 2014-01-10 2014-01-10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KR10222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37A KR102228812B1 (ko) 2014-01-10 2014-01-10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37A KR102228812B1 (ko) 2014-01-10 2014-01-10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02A true KR20150083602A (ko) 2015-07-20
KR102228812B1 KR102228812B1 (ko) 2021-03-16

Family

ID=5387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37A KR102228812B1 (ko) 2014-01-10 2014-01-10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225A1 (ko) * 2015-09-03 2017-03-09 박준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004552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80010029A (ko) * 2016-07-20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474191B2 (en) 2014-10-15 2019-11-12 Motionvirtual, Inc. Wearable device
WO2022065792A1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31617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461A (ja) * 2002-10-22 2004-05-20 Kokuyo Co Ltd 筆記具
KR100721668B1 (ko) * 2005-12-13 2007-05-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 전송 기능을 가지는 필기 장치와 이 필기장치와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JP2010089346A (ja) * 2008-10-07 2010-04-22 Mitsubishi Pencil Co Ltd 診断機能付きボールペンおよびペンシステム
KR20130052580A (ko) * 2013-03-15 2013-05-22 조성우 색 변환과 두께 변환, 펜기능에서 지우개 기능으로의 변환이 편리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터치펜
KR101311506B1 (ko) * 2013-02-27 2013-09-25 (주)판도라테크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461A (ja) * 2002-10-22 2004-05-20 Kokuyo Co Ltd 筆記具
KR100721668B1 (ko) * 2005-12-13 2007-05-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 전송 기능을 가지는 필기 장치와 이 필기장치와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JP2010089346A (ja) * 2008-10-07 2010-04-22 Mitsubishi Pencil Co Ltd 診断機能付きボールペンおよびペンシステム
KR101311506B1 (ko) * 2013-02-27 2013-09-25 (주)판도라테크 펜 입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30052580A (ko) * 2013-03-15 2013-05-22 조성우 색 변환과 두께 변환, 펜기능에서 지우개 기능으로의 변환이 편리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터치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191B2 (en) 2014-10-15 2019-11-12 Motionvirtual, Inc. Wearable device
US10908642B2 (en) 2014-10-15 2021-02-02 Motionvirtual, Inc. Movement-based data input device
WO2017039225A1 (ko) * 2015-09-03 2017-03-09 박준호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401901B2 (en) 2015-09-03 2019-09-03 Motionvirtual, Inc. Wearable device
US10747260B2 (en) 2015-09-03 2020-08-18 Motionvirtual,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cessing blood vessel data
KR20180004552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80010029A (ko) * 2016-07-20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065792A1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26246B2 (en) 2020-09-24 2024-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131617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2002275B2 (en) 2020-12-17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812B1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360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nput
KR20150083602A (ko)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CN103677618B (zh) 用于终端的文本识别设备和方法
US10281994B2 (en) Smart wand device
US10649552B2 (e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pen input device
US10921907B2 (en) Multipurpose stylus with exchangeable modules
US1078265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stural interaction in a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US9329767B1 (en) User-specific customiz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user-interaction
US10235121B2 (en) Wirelessly communicating configuration data for interactive display devices
US9870057B1 (en) Gesture detection using an arra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s
US10936116B2 (en) Electronic conference apparatus for generating handwriting information based on sensed touch point,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digital pen
US10241627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898825A (zh) 用于输出反馈的电子设备和方法
US11983215B2 (en) Tag distribution visualization system
CN108027663B (zh) 将移动设备与人员跟踪组合以用于大型显示器交互
KR102191345B1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4395877A (zh) 执行内容自动命名的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60054799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22541A (ko)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
TW201248456A (en) Identifying contacts and contact attributes in touch sensor data using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KR20200016111A (ko) 오디오 정보 수집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98904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