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12A -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 Google Patents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12A
KR20190001612A KR1020170080251A KR20170080251A KR20190001612A KR 20190001612 A KR20190001612 A KR 20190001612A KR 1020170080251 A KR1020170080251 A KR 1020170080251A KR 20170080251 A KR20170080251 A KR 20170080251A KR 20190001612 A KR20190001612 A KR 2019000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functional
housing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577B1 (ko
Inventor
정태호
최수현
김효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7008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5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유입되는 원수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기능이 상이한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에 의하면,
하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a complex filter of water furifier having fluid two passage}
본 명세서는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입되는 원수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기능이 상이한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으로 인해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시킴에 따라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최근, 1인 가족 및 소형화 가족의 증가로 인해 정수기의 소형화, 슬림화 및 정수필터의 복합화 추세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소 2종 이상의 기능성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가 하나의 정수기에 사용되는 복합필터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양단에 니쁠형 입수구(1) 및 출수부(3)가 형성된 I타입의 정수필터를 말함)는
하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2)와, 하우징본체(2)에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밀봉되게 상호 결합되고, 기능성 용출수가 배출되는 출수구(3)가 형성되는 하우징캡(4)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5);
입수구(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고, 용출된 기능성 용출수를 출수구(3)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성필터(6)(일 예로서, 입상 활성탄을 말함);
기능성필터(6)를 수용하고, 하우징캡(4)의 보스(4a)에 기밀유지되도록 결합되는 홀더(7a)가 상단에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리테이너(8)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이너케이스(7);
리테이너(8)에 장착되고 입수구(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하부 부직포(9)와, 이너케이스(7) 상측에 배치되고 기능성필터(6)로부터 충전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부직포(10)를 구비한다.
도 1(b)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하우징캡(4)에 니쁠형 입수구(1) 및 출수구(3)가 형성된 U타입의 정수필터를 말함)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와, 기능성 용출수가 배출되는 출수구(3)가 형성되는 하우징캡(4)을 제외한 정수필터 구성은, 도 1a에 도시된 정수필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도 1(a,b)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정수필터는, 입수구(1)를 통해 유입된 후 이너케이스(7) 하단에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필터(6)로부터 충전물질이 용출되고, 용출된 기능성 용출수가 출수구(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입수구(1) 및 이너케이스(7)의 하단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기능성필터(6)로부터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가 곧바로 출수구(3)쪽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므로, 기능성필터(6)로부터 기능성 용출수의 용출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초기에 과다하게 용출되어 기능성필터(6)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사용자로부터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7132호에 정수기용 복합 필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필터하우징 내에 일렬로 배치되는 기능성필터로부터 충전물이 초기에 과다하게 용출되는 것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기능성필터의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하우징캡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필터하우징 내에 일렬로 배치되는 기능성필터로부터 충전물이 초기에 과다하게 용출되는 것을 개선시켜 지속성을 유지시키고, 필터하우징 내에 바이패스형 유로를 형성하고 공간확보로 인해 압력 상승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기능성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실용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터하우징에 내장되는 기능성필터의 충전물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b)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의 개략도,
도 2(a,b,c)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개략도,
도 3(a,b,c)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개략도,
도 4(a,b,c)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하우징본체(12)에 니쁠형 입수구(11)가 형성되고, 하우징캡(14)에 니쁠형 출수구(13)가 형성된 I타입의 정수필터를 말함)는
하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되는 원통형태의 하우징본체(12)와, 하우징본체(12) 상단에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밀봉되게 체결되고,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13)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15);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16)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17)(제1리테이너(16)에 하단부가 장착되어 카티리지형태로 이루어짐);
기능성필터(17)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원수가 기능성필터(17)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18)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출수구(13)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19)(제2리테이너(18)에 하단부가 장착되어 카티리지형태로 이루어짐);를 구비한다.
기능성필터(17)는
제1리테이너(16)에 장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고 제1리테이너(16)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하부 여과재(20)(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음)와, 기능성필터(17)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능성필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로 이동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따라 기능성물질(일 예로서, 비타민 입자 등을 말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상부 여과재(21)(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하고,
정수필터(19)는
제2리테이너(18)에 장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후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지 않고 제2리테이너(18)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또는 기능성필터(17)로부터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하부 여과재(22)(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음)와, 정수필터(19)의 상측에 배치되고 정수필터(19)로부터 출수구(13)로 이동되는 정수를 따라 정수필터(19) 소재(일 예로서, 입상 활성탄 등을 말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2상부 여과재(23)(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한다.
하우징캡(14)의 보스(14a)와 밀착되는 정수필터(19)의 홀더(19a) 외측면에 장착되고, 입수구(11)를 통해 하우징본체(12)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필터(19)로부터 출수구(13)로 배출되는 정수(정수처리된 기능성 용출수를 말함)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24);을 더 구비한다.
기능성필터(17)는 마그네슘 결정체, pH 세라믹, 비타민, 구연산, 칼슘결정체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물질이 충전된다.
기능성필터(17)는
입수구(11)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후 제1리테이너(16)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필터(17)로부터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정수필터(19)로 곧바로 배출시키지 않고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기능성필터(17)로부터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키기 위한 배출공(25)이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1리테이너(16)와 대향되는 케이스(17a)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도 2c에서와 같이, 기능성필터(17)는,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16)에 안착되는 제1하부여과재(20)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도록 충전되는 기능성물질(100)과, 기능성물질(100) 중앙에 원수 또는 기능성물질(100)과 접촉되어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출수구(13)쪽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튜브(17c)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형태의 통로(17b)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공(25)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b,c)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가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후, 원수 중 일부는 제1리테이너(16)를 통과하여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된다. 이때 제1리테이너(16)에 장착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 여과재(20)에 의해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에 유입된 원수가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됨에 따라 기능성 충전물이 용출된다. 따라서 기능성 용출수는 기능성필터(17)의 상측에 배치된 제1상부 여과재(21)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 여과재(21)에 의해 기능성필터(17)의 충전물의 입자가 기능성필터(17)로부터 정수필터(19)로 이동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따라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중 나머지는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5) 내측면을 따라 도면상, 윗쪽으로 이동되고, 정수필터(19)의 하측에 장착된 제2리테이너(18)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 내부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가 기능성필터(17)를 통과됨에 따라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가 제2리테이너(18)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되거나, 또는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한 후 제2리테이터(18)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된다.
즉, 원수가 기능성필터(17)를 통과됨에 따라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한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입상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진 정수필터(19)에 의해 여과하게 된다.
이때, 기능성필터(17)를 통과시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한 후 정수필터(19)에 유입된 원수를 정수필터(19)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수필터(19)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정수처리된 기능성 용출수를 말함)는 정수필터(19) 상측에 배치된 제2리테이너(23)를 통과한 후, 정수필터(19)의 홀더(19a) 및 하우징캡(14)의 출수구(1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고 정수필터(19) 상측에 배치된 제1상부 여과재(21)에 의해 정수필터(19)를 이루는 소재의 입자가 정수필터(19)로부터 출수구(13)로 이동되는 정수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수필터(19)의 홀더(19a) 외측면에 장착된 씰링용 오링(24)에 의해 하우징캡(14)의 보스(14a)와 이와 밀착되는 정수필터(19)의 홀더(19a)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입수구(11)를 통해 하우징본체(12)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필터(19)로부터 출수구(13)로 배출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배출공(25)이 관통형성되고 케이스(17a)의 상단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원수가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후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되어 기능성필터(17)의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됨에 따라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를 정수필터(19)측으로 곧바로 배출시키지 않게 된다.
즉, 기능성필터(17)와 원수가 접촉됨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를 배출공(25)을 통해 기능성필터(17)로부터 배출시키되,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한 원수와 합류시킨 후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내부에 기능성 용출수를 임의시간동안 적체시킬 수 있어 기능성필터(17)에 충전된 기능성 충전물이 초기에 기능성필터(17)로부터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하우징캡(14)에 니쁠형 입수구(11) 및 출수구(13)가 형성된 U타입의 정수필터를 말함)는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12)와, 하우징본체(12) 상단에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13)가 형성되는 하우징캡(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형태의 필터하우징(15);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16)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어 기능성 용출수를 생성하는 기능성물질(일 예로서, 칼슘 결정체 등을 말함)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17);
기능성필터(17)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원수가 기능성필터(17)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18)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출수구(13)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19);를 구비한다.
도 3c에서와 같이,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하단의 제1하부여과재(20)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 용출수를 생성하는 기능성물질(100)과, 기능성물질(100) 중앙에 원수 또는 기능성 용출수를 출수구(13)쪽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코어형태의 통로(17b)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공(25)을 포함하는 기능성필터(17)는, 도 2c에 도시된 기능성필터(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b,c)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하우징캡(14)에 형성된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후 필터하우징(15) 내측면을 따라 도면상, 밑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정수필터(19) 하단이 장착된 제2리테이너(18)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된다. 이때 제2리테이너(18)에 장착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제2하부 여과재(22)에 의해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한편,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중 나머지는 필터하우징(15)의 내측면을 따라 도면상, 밑으로 이동되어 기능성필터(17) 하단이 장착된 제1리테이너(16)를 통과하여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된다. 이때 제1리테이너(16)에 장착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 여과재(20)에 의해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제2리테이너(18)의 제2하부 여과재(22)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측으로 곧바로 이동된다. 이와 반면에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중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16)의 제1하부 여과재(20)를 통과하여 기능성필터(17)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원수가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되어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됨에 따라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는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상측에 배치된 제1상부 여과재(21)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능성필터(17)를 통과시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지않은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정수필터(19)에 의해 여과시키되, 여과된 정수를 정수필터(19)의 카트리지 상측에 배치된 제2상부 여과재(23)를 통과하여 하우징캡(14)에 형성된 출수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b에서와 같이,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배출공(25)이 관통형성되고, 케이스(17a) 상측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능성필터(17)에 원수가 유입되어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됨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는 정수필터(19)로 곧바로 이동하지 않고,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내부에 임의시간동안 적체된 후 배출공(25)을 통해 기능성필터(17)로부터 유출되고 필터하우징(15) 내부에 이동되는 원수와 합류되어 정수필터(19)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내부에 기능성 용출수를 임의시간동안 적체시킬 수 있어 기능성필터(17)에 충전된 기능성 충전물이 초기에 기능성필터(17)로부터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리테이너(16)의 제1하부 여과재(20)를 통과하여 유입된 원수와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 용출수를 생성시키는 기능성필터(17)와,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지않은 원수 및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여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19)의 구성은, 도 2(a,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19)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사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하우징캡(14)의 개구부 외측면에 걸림턱(a)이 형성됨에 따라, 걸림턱(a)을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로킹부가 형성되는 커넥터(미 도시됨)에 대해 정수필터를 원터치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정수필터를 말함;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PnP타입의 정수필터를 말함)는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12)와, 하우징본체(12) 상단에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형태의 필터하우징(15);
하우징캡(14)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13)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26);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입수구(11)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16)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 용출수가 용출되어 생성되는 기능성물질(일 예로서, pH 세라믹 등을 말함)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17);
기능성필터(17)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기능성필터(17)를 통과시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18)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출수구(13)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19);를 구비한다.
유로전환가이드(26)의 보스(26a)와 밀착되는 정수필터(19)의 홀더(19a) 외측면에 장착되고, 입수구(11)를 통해 하우징본체(12)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필터(19)로부터 출수구(13)로 배출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27);을 더 구비한다.
도 4c에서와 같이, 필터하우징(15) 하측에 수용되고, 하단의 제1하부여과재(20)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기능성 용출수를 생성하는 기능성물질(100)과, 기능성물질(100) 중앙에 원수 또는 기능성 용출수를 출수구(13)쪽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코어형태의 통로(17b)와,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공(25)을 포함하는 기능성필터(17)는, 도 2c에 도시된 기능성필터(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b,c)에서와 같이, 하우징캡(14)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뚜껑(도면부호 미 표기됨)을 분리시킨 후, 하우징캡(14) 개구부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a)에 의해 필터하우징(15)을 커넥터(미 도시됨)에 원터치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수돗물 등의 원수가 하우징캡(14) 개구부에 내설된 유로전환가이드(26)에 형성된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다.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후, 필터하우징(15) 내측면을 따라 도면상, 밑으로 이동되는 원수 중 일부는 제2리테이너(18)에 장착된 제2하부 여과재(22)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필터하우징(15) 내측면을 따라 밑으로 이동되는 원수 중 나머지는 정수필터(19)측으로 곧바로 이동되지 않고, 제1리테이너(16)에 장착된 제1하부 여과재(20)를 통과하여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된다.
따라서, 기능성필터(17) 하측에 유입된 후 케이스(17a)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원수가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됨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는 기능성 필터(17)의 케이스(17a) 상측에 배치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제1상부 여과재(21)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전환가이드(26)의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일부가 제2리테이너(18)의 제2하부 여과재(22)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되고,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된 원수 나머지가 정수필터(19)로 곧바로 이동되지 않고, 제1리테이너(16)의 제1하부 여과재(20)를 통과하여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됨에 따라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되어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는 제1상부 여과재(21)를 통과하여 정수필터(19)에 유입된다.
따라서, 정수필터(19)는 제2리테이너(18)의 제2하부 여과재(22)를 통해 유입된 원수와,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여 생성된 기능성 용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유로전환가이드(26)의 출수구(13)측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정수처리된 기능성 용출수를 필터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이때, 정수필터(19)의 홀더(19a) 외측면에 장착된 씰링용 오링(27)에 의해 유로전환가이드(26)의 보스(26a)와 이와 밀착되는 정수필터(19)의 홀더(19a)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유로전환가이드(26)의 입수구(11)를 통해 하우징본체(12)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정수필터(19)로부터 유로전환가이드(26)의 출수구(13)로 배출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측면에 배출공(25)이 관통형성되고 케이스(17a)의 상단이 막히도록 형성됨에 따라, 입수구(11)를 통해 필터하우징(15)에 유입되는 원수가 기능성필터(17)에 유입되어 기능성 충전물과 접촉되어 기능성 용출수를 생성하되, 기능성 용출수를 배출공(25)을 통해 배출시켜 기능성필터(17)를 우회 통과한 원수와 합류시킨 후 정수필터(19)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필터(17)의 케이스(17a) 내부에 기능성 용출수를 임의시간동안 적체시킬 수 있어 기능성필터(17)에 충전된 기능성 충전물이 초기에 기능성필터(17)로부터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입수구
12; 하우징본체
13; 출수구
14; 하우징캡
15; 필터하우징
16; 제1리테이너
17; 기능성필터
17a; 케이스
18; 제2리테이너
19; 정수필터
20; 제1하부 여과재
21; 제1상부 여과재
22; 제2하부 여과재
23; 제2상부 여과재
24; 씰링용 오링
25; 배출공
26; 유로전환가이드
27; 씰링용 오링

Claims (9)

  1. 하단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2.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3. 상단이 개구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 상단에 밀봉되게 체결되는 하우징캡으로 이루어지는 필터하우징;
    상기 하우징캡의 개구부에 내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기능성 용출수가 정수처리되어 배출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유로전환가이드;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 상측에 직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시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와,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여 하단의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되, 여과처리된 정수를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상기 제1리테이너에 장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하부 여과재와, 상기 기능성필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필터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로 이동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따라 기능성물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상부 여과재;를 구비하고,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제2리테이너에 장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하우징에 유입된 후 상기 기능성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또는 상기 기능성필터로부터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하부 여과재와, 상기 정수필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상기 출수구로 이동되는 정수를 따라 상기 정수필터 소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2상부 여과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캡의 보스와 밀착되는 상기 정수필터의 홀더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가이드의 보스와 밀착되는 상기 정수필터의 홀더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는 정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마그네슘 결정체, pH 세라믹, 비타민, 구연산, 칼슘결정체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로부터 용출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상기 정수필터로 곧바로 배출시키지않고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상기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상기 기능성필터의 케이스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리테이너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과하고 하단의 제1리테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접촉됨에 의해 용출되는 기능성물질이 충전되며, 상기 기능성물질 중앙에 원수 또는 상기 기능성물질과 접촉되어 생성되는 기능성 용출수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코어형태의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능성필터를 우회 통과하는 원수와 합류시킴에 따라 기능성 용출수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능성필터의 케이스 측면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20170080251A 2017-06-26 2017-06-26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249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51A KR102495577B1 (ko) 2017-06-26 2017-06-26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51A KR102495577B1 (ko) 2017-06-26 2017-06-26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12A true KR20190001612A (ko) 2019-01-07
KR102495577B1 KR102495577B1 (ko) 2023-02-07

Family

ID=6501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251A KR102495577B1 (ko) 2017-06-26 2017-06-26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21A (ko) 2022-09-02 2024-03-12 코웨이 주식회사 pH 조절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81Y1 (ko) * 2004-07-23 2004-10-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하우징 조립체
KR20140099681A (ko) * 2013-02-04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20160075044A (ko)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용 복합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81Y1 (ko) * 2004-07-23 2004-10-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하우징 조립체
KR20140099681A (ko) * 2013-02-04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20160075044A (ko)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용 복합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577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6B1 (ko) 정수기 세정 방법
CN106630292A (zh) 一种净水器
WO2012002004A1 (ja) 浄水器
JP4799899B2 (ja) 浄水器とこれを設置したキッチン
CN101293154B (zh) 过滤筒
KR101762422B1 (ko)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EA006411B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A2350292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WO2007145947A2 (en) High back pressure filter for removing non-water component(s) from water, and methodology
JPWO2007007624A1 (ja) 水処理機器
KR101088862B1 (ko) 정수기용 복합 필터
US590868A (en) Filter
KR20190001612A (ko)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160075044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KR200403986Y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KR20170011642A (ko)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
JP4411656B2 (ja) フィルタ装置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JPS5849285B2 (ja) 「ろ」過装置
KR20180078371A (ko)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KR200475056Y1 (ko) 더블 체크밸브방식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 하우징
KR20130002659A (ko) 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