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40U - 가상현실 교육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40U
KR20190001540U KR2020170006450U KR20170006450U KR20190001540U KR 20190001540 U KR20190001540 U KR 20190001540U KR 2020170006450 U KR2020170006450 U KR 2020170006450U KR 20170006450 U KR20170006450 U KR 20170006450U KR 20190001540 U KR20190001540 U KR 201900015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md
mount
virtual reality
base fram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192Y1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2020170006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9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나 굴삭기, 타워크레인이나 로더와 같은 건설기계의 주요 구성품을 구비하고,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장착한 학습자가 HMD 착용 시 배선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교육장치에서 가상현실 교육 시 학습자가 장착한 HMD 움직임을 센서를 통해 학습자의 움직임을 감지, 센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미리 설정된 별도의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합격, 불합격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더해 가상현실 교육 운행 중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를 토대로 최적화된 움직임을 산출하여 가장 적합한 연습과정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교육장치{Virtual Reality Simulator}
본 고안은 가상현실 교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건설기계를 가상현실(Virtual Reality)로 교육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나 굴삭기, 타워크레인이나 로더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의 특성을 살펴보면, 작업자들은 유압 밸브를 직접 제어하는 수동 레버를 조작하여 건설기계를 제어한다.
이러한 건설기계에 대한 운전은 긴 훈련 과정과 오랜 경험을 갖추어야 버켓 운동과 레버 조작 사이의 상관 관계를 체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숙련자가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도 독립적인 레버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차량 주행조작과는 차이가 있다.
보다 더 어려운 점은 버켓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는 것인데, 이는 버켓의 이동 속도, 부하에 대한 엔진의 반응, 레버에 전달되어 오는 반동 압력만이 이를 추종하기 위한 유일한 피드백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건설기계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자는 장기간 동안 건설기계의 조작을 위한 훈련을 받아야한다. 또한, 장기간의 훈련을 받은 운전자라도 건설기계에 탑승한 상태에서 건설기계를 운전하기 때문에 오조작 등의 실수로 부상을 입는 등 항상 돌출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자가 신체의 일부 움직임에 따라 건설기계를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에 대한 방안 중 하나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방식이 있다. 가상현실이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을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등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여러 교육장치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PC 플랫폼과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모니터로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3D 굴삭기 객체를 보고 운전 실습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해 3D 굴삭기 객체를 보므로 한눈에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실제 굴삭기를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D 굴삭기 객체를 보기 위한 별도의 3D 안경을 포함하는 3D 헤드셋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모니터를 통해 단순히 영상만을 3D로 보는 경우이므로 실제 현장에서와 같은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는 단순한 교육에 그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사용하는 VR 시뮬레이터의 경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한데, 현재까지의 시뮬레이터의 경우 이러한 HMD를 거치할 수 있는 장비가 제공되지 않아 VR시뮬레이터 실습에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3334호-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제작 도구 및 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45590호 - 수중 작업용 원격제어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게차나 굴삭기, 타워크레인이나 로더와 같은 건설기계의 주요 구성품을 구비하고,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장착한 학습자가 HMD 착용 시 배선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교육장치에서 가상현실 교육 시 학습자가 장착한 HMD 움직임을 센서를 통해 학습자의 움직임을 감지, 센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미리 설정된 별도의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합격, 불합격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더해 가상현실 교육 운행 중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를 토대로 최적화된 움직임을 산출하여 가장 적합한 연습과정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가상현실 교육장치는 가상현실 교육 장치 전체 구성품을 안정적으로 안치시키기 위하여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와 후방부사이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체결되어 전원 및 영상 전송용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 있는 블록인 지지부 연결 블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 전면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의 수평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교육 장치의 교육생이 착용중인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위치 정보를 받기 위한 움직임 검출센서를 거치하는 센서거치대; 관리자가 소프트웨어 환경이나 조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작동상태를 보기위한 화면으로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화면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 마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면부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HMD 마운트 서브프레임 상측에 설치되어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를 거치하는 HMD 마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사각틀 내에 위치되어 교육생이 앉도록 구성된 좌석의 네모서리끝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체결되어 복수의 건설기계 기종에 따른 높이와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종기 마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교육생의 다리 사이로 소정높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복수의 건설기계의 기종에 따른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마운트; 상기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원, 영상, 음성을 처리하여 각 부로 나눠지는 중심부로 상기 좌석의 시트를 고정시키는 마운트 역할을 수행하는 좌석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평상시 교육생이 발을 놓을수 있는 위치에 구성되고, 전원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덮개 기능도 수행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검출센서는, 상기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의 수평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 거치대의 전면에 거치하거나 상기 HMD의 대각선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거치대에 거치되되, 모니터 크기에 따라 움직임 검출 센서의 설치 폭이 상기 HMD의 위치 값을 놓치지 않고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거치대의 양측에서 조절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HMD 마운트는 상기 HMD 마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면부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HMD 마운트 서브프레임의 중앙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HMD 마운트 암과, 상기 HMD 마운트 암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HMD 붐 암과 HMD 앤드 암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HMD를 상기 HMD 붐 암과 HMD 앤드 암에 거치함으로써 HMD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HMD가 유선인 경우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을 교육생이 착용하는 HMD 뒤쪽에 형성하여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게차나 굴삭기, 타워크레인이나 로더와 같은 건설기계의 주요 구성품과, 모션센서를 구비한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공간 위치를 감지, 센싱하여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학습 시 별도의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합격, 불합격 여부를 판별하기에 최적화된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실제 지게차나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대하여 동일하게 제작된 장비와 가상현실(VR)을 제공하는 모니터나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장비를 이용하여 교육받을 수 있어 현장감 넘치는 교육이 가능하고, 평가가 가능하므로 단순히 교육에서 끝나지 않고 평가에 따라 교육생의 실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셋째, 실제 공간에서 핸들, 레버컨트롤, 리프트 레버, 틸트 레버, 페달 콘트롤러, 브레이크 페달, 가속페달, 주차레버, 작업 브레이크 등을 통해 교육이 실제 건설기계와 동일한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VR HMD를 이용하는 경우 낮은 유지관리비, 적은 설치공간, 높은 현실 몰입감의 구현이 가능하다.
넷째, 실제 지게차나 굴삭기를 이용한 교육도중 발생 될 수 있었던 건설기계의 안전사고나, 장비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교육생의 안전 및 실제 현장 투입 시 교육경험에 따라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게 되고 날씨 제약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센서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모니터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HMD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 장치에서 이용되는 가상현실(VR)을 제공하는 모니터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조종기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핸들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지지부 연결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좌석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 지지부 연결 블록(2), 가상현실(VR) 센서 거치대(3),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 모니터 마운트(5), 모니터(6), HMD 마운트(7), HMD마운트 서브프레임(8), 좌석 마운트(9), 조종기 마운트(10), 페달 마운트(11), 핸들 마운트(12) 및 좌석(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은 가상현실 교육장치가 교육장이나 설치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설치장소에서 안정적으로 안치시키도록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고, 지지부 연결 블록(2)은 후술되는 도 9a 및 도 9b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의 전방부와 후방부사이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체결되어 전원 및 영상 전송용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 있는 블록이다.
이러한 본 고안 가상현실 교육장치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센서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센서 거치대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교육을 위해 교육생이 착용중인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위치 정보를 받아 오기위해서는 교육생이 착용한 HMD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별도의 움직임 센서(예로써 가시광선 센서)를 사용하는데, 해당 센서는 베이스 프레임(1)의 전방부 전면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의 수평부분에 설치되는 센서 거치대(3)의 전면에 거치하거나 HMD의 대각선에 위치하도록 하여 HMD의 위치와 피칭 롤 값을 센싱하여 연산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 이때 움직임 검출센서(모션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는 모니터(6) 크기(예를 들면 최대허용크기 55inch)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거치대(3)는 거치대마운트(14)에 2개의 제1, 제2암(관절부)(15)(16)이 연결되어있고 1개의 센서마운트(17)가 2번암(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면부의 모니터(6) 크기에 따라 움직임 검출 센서의 센서 거치대(3)에서의 설치 폭을 양측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HMD의 위치 값을 놓치지 않고 검출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모니터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모니터 마운트(5)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모니터(6)는 관리자가 소프트웨어 환경이나 조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작동상태를 보기위한 화면으로 작은 화면에서 대형 모니터(6)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화면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의 전방부 전면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과,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의 중앙부분에서 거치되는 모니터 마운트(5)와, 모니터(6)를 체결하기 위한 모니터 브라겟(20)과, 모니터 마운트(5) 상부와 모니터 브라켓(20) 상부간을 연결하는 모니터 마운트 어퍼암(18)과 모니터 마운트(5) 하부와 모니터 브라켓(20) 하부간을 연결하는 모니터 마운트 로우암(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 마운트 로우암(19)은 모니터(6)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니터 마운트 어퍼암(18)에서 소정각도(예로서 11°)전후로 회전(스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HMD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 장치에서 이용되는 가상현실(VR)을 제공하는 모니터(6)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HMD 마운트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HMD는 유선방식과 무선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선은 영상과 음성 그리고 전원을 실시간으로 공급되어지며 무선 HMD의 경우 주기적인 충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육장의 특성 상 8시간이상 구동을 기본으로 할 경우 유선이던 무선이던 전원을 공급해야하는 과정이 있고, 이를 위해서 별도의 마운트를 설치하여 운용에 있어서 유선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운용자(교육생)의 머리높이에 맞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상현실(VR)을 제공하는 모니터(6)나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에 대한 예시도를 도 6에 나타내고 있는데, HMD 마운트(7)는 HMD 마운트(7)를 지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의 후면부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HMD 마운트 서브프레임(8)의 중앙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HMD 마운트 암(21)과 HMD 마운트 암(21)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HMD 붐 암(22)과 HMD 앤드 암(23)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HMD를 HMD 붐 암(22)과 HMD 앤드 암(23)에 거치함으로써 HMD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선 HMD의 경우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HMD 뒤쪽에 형성하는 경우 교육생은 교육시 해당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조종기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조종기 마운트(1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도 1 및 도 2의 13 참조)의 네모서리끝에 베이스프레임(1)에 체결되어 높이와 위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건설기계 모든 기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설기계 종류에 따라 레버방식, 조이스틱 방식 등을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조종기 마운트(10)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에 하부가 체결되어 교육생의 손높이에 적당한 위치까지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복수의 조종기 서브프레임(24)과 조종기 서브프레임(24) 상부면에 조정기의 높이와 위치 각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된 조종기 링크 암(25)과 콘트롤러 마운트(26)로 구성된다. 이때, 콘트롤러 마운트(26)는 서로 다른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 마운트 A(26-1)와 콘트롤러 마운트 B(26-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핸들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핸들마운트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핸들각도는 좌석의 높이가 높아 일반 핸들의 각도보다 심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각 기종에 따라 핸들 각이 많이 상이하여,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핸들마운트(12)는 베이스 프레임(1)에서 교육생의 다리 사이로 소정높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핸들 마운트 서브프레임(27)과, 베이스 프레임(1)에 대응되는 핸들 마운트 서브프레임(27)과 핸들 링크 암(29) 사이에 체결되는 핸들 링크 마운트(28)와, 핸들 링크 암(29)일 일측끝단에 체결되어 핸들을 확장시키는 핸들 확장 암(30) 및 핸들 엔드 암(31)으로 구성되어 각 기종에 따라 핸들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지지부 연결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지지부 연결 블록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지지부 연결 블록(2)의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이 지지부 연결 블록(2)과 체결되며 전원 및 영상 전송용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로 이용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좌석 마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좌석 마운트(1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 마운트는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원, 영상, 음성, 등을 처리하여 각 부로 나눠지는 중심부이다. 이와 동시에 시트를 고정시키는 마운트 역할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교육장치(시뮬레이터)의 발판(3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발판(31)은 베이스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으며, 평상시 발을 놓을수 있는 위치이다. 또한 전원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덮개 기능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스 프레임 2 : 지지부 연결 블록
3 : 가상현실(VR) 센서 거치대 4 :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
5 : 모니터 마운트 6 : 모니터
7 : HMD 마운트 8 : HMD마운트 서브프레임
9 : 좌석 마운트 10 : 조종기 마운트
11 : 페달 마운트 12 : 핸들 마운트
13 : 좌석

Claims (3)

  1. 가상현실 교육 장치 전체 구성품을 안정적으로 안치시키기 위하여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전방부와 후방부사이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체결되어 전원 및 영상 전송용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 있는 블록인 지지부 연결 블록(2);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전방부 전면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의 수평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교육 장치의 교육생이 착용중인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위치 정보를 받기 위한 움직임 검출센서를 거치하는 센서거치대(3);
    관리자가 소프트웨어 환경이나 조종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작동상태를 보기위한 화면으로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화면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 마운트(5);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후면부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HMD 마운트 서브프레임(8) 상측에 설치되어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를 거치하는 HMD 마운트(7);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사각틀 내에 위치되어 교육생이 앉도록 구성된 좌석(13)의 네모서리끝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체결되어 복수의 건설기계 기종에 따른 높이와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종기 마운트(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서 교육생의 다리 사이로 소정높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복수의 건설기계의 기종에 따른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마운트(12);
    상기 가상현실 교육장치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원, 영상, 음성을 처리하여 각 부로 나눠지는 중심부로 상기 좌석(13)의 시트를 고정시키는 마운트 역할을 수행하는 좌석 마운트(9);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으며, 평상시 교육생이 발을 놓을수 있는 위치에 구성되고, 전원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덮개 기능도 수행하발판(31);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교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검출센서는,
    상기 모니터거치대 서브프레임(4)의 수평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 거치대(3)의 전면에 거치하거나 상기 HMD의 대각선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거치대(3)에 거치되되,
    모니터(6) 크기에 따라 움직임 검출 센서의 설치 폭이 상기 HMD의 위치 값을 놓치지 않고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거치대(3)의 양측에서 조절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교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HMD 마운트(7),
    상기 HMD 마운트(7)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후면부 양측에 수직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 상부 양끝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수평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각형 틀 형상으로 세워지는 HMD 마운트 서브프레임(8)의 중앙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HMD 마운트 암(21)과, 상기 HMD 마운트 암(21)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HMD 붐 암(22)과 HMD 앤드 암(23)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HMD를 상기 HMD 붐 암(22)과 HMD 앤드 암(23)에 거치함으로써 HMD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HMD가 유선인 경우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을 교육생이 착용하는 HMD 뒤쪽에 형성하여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교육장치.
KR2020170006450U 2017-12-14 2017-12-14 가상현실 교육장치 KR20049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50U KR200491192Y1 (ko) 2017-12-14 2017-12-14 가상현실 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50U KR200491192Y1 (ko) 2017-12-14 2017-12-14 가상현실 교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40U true KR20190001540U (ko) 2019-06-24
KR200491192Y1 KR200491192Y1 (ko) 2020-05-15

Family

ID=6700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50U KR200491192Y1 (ko) 2017-12-14 2017-12-14 가상현실 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8304A (zh) * 2020-05-11 2020-08-07 江苏恩利科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改进型通用物流装备模拟训练装置
WO2021132906A1 (ko) * 2019-12-24 2021-07-01 (주)제이티시스템 차량 모의 조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405B2 (ja) * 1992-06-29 1997-03-12 株式会社エース電研 ゲーム機用椅子
KR20110123334A (ko) 2010-05-07 2011-11-15 (주)코아블루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제작 도구 및 방법
KR20150145590A (ko) 2014-06-20 2015-12-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작업용 원격제어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4855A (ko) * 2016-01-13 2017-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조종실 pvi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405B2 (ja) * 1992-06-29 1997-03-12 株式会社エース電研 ゲーム機用椅子
KR20110123334A (ko) 2010-05-07 2011-11-15 (주)코아블루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제작 도구 및 방법
KR20150145590A (ko) 2014-06-20 2015-12-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작업용 원격제어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4855A (ko) * 2016-01-13 2017-07-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조종실 pvi 평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문열 외, '가변형상 가상 조종실 시제 시스템 개발',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4, 736-739p.*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906A1 (ko) * 2019-12-24 2021-07-01 (주)제이티시스템 차량 모의 조종 장치
CN111508304A (zh) * 2020-05-11 2020-08-07 江苏恩利科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改进型通用物流装备模拟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92Y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949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 crane, a construction machine and/or for a pallet truck
KR102089374B1 (ko)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건설기계 실습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701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실습 장치 및 방법
KR101950698B1 (ko) 건설기계 가상현실 교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설기계 가상현실 교육/평가 방법
KR102097180B1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특수 차량 훈련용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93506A1 (en) Avatar-Based Virtual Collaborative Assistance
EP06676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mobility of a human
US20150228199A1 (en) Ergonomics Test Buck
EP0491912B1 (en) A helmet loader for flight simulation
JP3839782B2 (ja) 作業車両の運転操作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0491192Y1 (ko) 가상현실 교육장치
CA28913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bined simulation and control of remote-controlled vehicles using a user-friendly projection system
RU2730796C2 (ru) Моде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ана, стро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или средства напо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CA2890355C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bined simulation and control of remote-controlled vehicles
KR10203454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체험형 건설기계 안전교육 방법과 솔루션 시스템
CN101789197A (zh) 挖掘机模拟训练平台
KR20190053689A (ko) 타워 크레인 vr 운용교육 시뮬레이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EP3923569B1 (en) Remote operation system and remote operation server
CN201796514U (zh) 挖掘机模拟训练平台
JP2003150038A5 (ko)
JP2900132B2 (ja) クレーンの操作訓練用シミュレータ
WO2017155488A1 (en) A forklift training simulator system
KR20210148765A (ko) 실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터
KR100965419B1 (ko) 이동식 컨테이너형 철도차량 모의운전연습장치
CN113840008A (zh) 采煤机沉浸式远程操控装置、采煤机远程操控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