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37U -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37U
KR20190001337U KR2020190002147U KR20190002147U KR20190001337U KR 20190001337 U KR20190001337 U KR 20190001337U KR 2020190002147 U KR2020190002147 U KR 2020190002147U KR 20190002147 U KR20190002147 U KR 20190002147U KR 20190001337 U KR20190001337 U KR 20190001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oor
torque
ball screw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573Y1 (ko
Inventor
서정랑
허광범
권성익
이학민
Original Assignee
서정랑
권성익
이학민
허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랑, 권성익, 이학민, 허광범 filed Critical 서정랑
Priority to KR2020190002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는 크게 이동가이드와, 볼스크류 및 볼하우징과, 가변부하제공부와, 모터제어부와,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볼스크류 및 볼하우징의 동작에 의한 동작력을 제공받아 이동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되는 시험용 출입문의 개폐 동작시 상기 시험용 출입문이 실제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출입문 도어와 동일한 부하 조건을 이룰 수 있도록 가변부하제공부로써 추가적인 부하를 제공하고, 모터 시험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메인컨트롤러가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능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endurance test system of motor for a door of train}
본 고안은 내구성능 시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를 여닫는데 사용되는 모터에 대한 내구성능의 시험이 철도차량과 동일한 조건으로 구현하여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각 철도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각 철도차량별 출입문 도어에 적용된 상태와 동일한 조건의 내구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자동 출입문 도어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출입문 도어는 하나로만 제공되거나 혹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제공되면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출입문 도어의 구동력은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에 의해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출입문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조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517026호, 등록특허 제10-1383459호, 등록특허 제10-1268755호, 등록실용신안 제0-040237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출입문 도어의 경우는 승객의 안전에 관련한 제품이기 때문에 상기 모터의 내구성에 대한 중요도가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 상기 출입문 도어를 여닫는 용도로 사용되는 모터의 경우는 출입문용 표준규격에서 제시된 내구시험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출입문 도어에 관련한 시험은 해당 철도차량이 위치된 현장에서 각종 장비를 연결시킨 상태로 수행하였으며, 이는 등록특허 제10-1334751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출입문 도어용 모터는 철도차량의 종류가 달라질 경우 동일한 모터라 하더라도 해당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에 적용한 상태에서 새로이 내구시험을 수행하여야만 하였다.
이는, 상기 출입문 도어의 크기나 저항을 제공받는 다양한 주변 구조에 의해 상기 모터의 내구성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모터의 내구성 시험을 위해서는 또 다시 전술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위치된 현장에서 수행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모터를 개발하는 업체의 경우는 출입문 도어의 종류에 따라 매번 현장에 방문하여 시험을 실시하여야만 함에 따라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해결이 어려울 뿐 아니라 많은 시행 착오가 발생될 수밖에 없어서 새로운 모터의 개발을 위해서는 시험에 사용되는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517026호 등록특허 제10-1383459호 등록특허 제10-1268755호 등록실용신안 제0-0402374호 등록특허 제10-1334751호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를 여닫는데 사용되는 모터에 대한 내구성능의 시험이 철도차량과 동일한 조건으로 구현하여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각 철도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각 철도차량별 출입문 도어에 적용된 상태와 동일한 조건의 내구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에 따르면 시험용 출입문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와는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시험대상 모터에 일단이 축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시험용 출입문이 연결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시험용 출입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볼하우징; 상기 볼스크류의 타단에 축결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발생시켜 제공하는 가변부하제공부; 상기 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모터의 전압과 전류 및 토크에 관련한 정보와, 시험용 출입문의 동작횟수 및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의 부하토크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면서 상기 모터의 내구성을 확인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하제공부는 상기 볼스크류의 타단이 축결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대한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부하량 조절을 위한 속도 및 토크 제어를 위한 서보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와 상기 볼스크류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모터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센서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에서 발생시키는 부하토크는 상기 감속기와 가변부하제공부의 영향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모터의 요구 토크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와 상기 볼스크류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엔코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토크센서와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측정값을 받아 상기 모터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의 부하토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에는 시험용 출입문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스토퍼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에 대한 모터의 내구 시험이 철도차량에 직접 설치한 상태로 진행하지 않고 자유로운 장소에서도 정확히 실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험에 따른 일정 조정과 같은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철도차량의 종류에 따라 출입문 도어가 변경될 경우 이렇게 변경된 출입문 도어로 시험을 위한 세트를 동일하게 구현하지 않고, 기존에 모터의 시험에 사용된 출입문 도어가 적용된 세트로도 상기 변경된 출입문 도어와 동일한 조건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을 위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를 이용한 시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며, 이때 도 1은 시험용 출입문이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시험용 출입문이 열린 상태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이하, “시험장치”라 함)는 크게 이동가이드(100)와, 볼스크류(210) 및 볼하우징(220)과, 가변부하제공부(300)와, 모터제어부(400)와, 메인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볼스크류(210) 및 볼하우징(220)의 동작에 의한 동작력을 제공받아 이동가이드(1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되는 시험용 출입문의 개폐 동작시 상기 시험용 출입문(600)이 실제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출입문 도어와 동일한 부하 조건을 이룰 수 있도록 가변부하제공부(300)로써 추가적인 부하를 제공하고, 모터(10) 시험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메인컨트롤러(500)가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모터(10)의 내구성능에 대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가이드(100)는 시험용 출입문(6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이동가이드(100)는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시험용 출입문(600)은 상기 이동가이드(100)에 매달린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시험용 출입문(600)은 통상적인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만들어진 도어로써, 시험대상 모터(10)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부하로써 제공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 이동가이드(100)에는 스토퍼(11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110)는 시험용 출입문(6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며, 상기 이동가이드(100)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볼스크류(210) 및 볼하우징(220)은 시험대상 모터(10)의 구동력으로 상기 이동가이드(100)에 설치된 시험용 출입문(600)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210)는 상기 이동가이드(100)의 상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이동가이드(10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상기 볼스크류(210)의 양단은 회전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볼스크류(210)의 어느 한 끝단은 시험대상 모터(10)에 축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볼하우징(220)은 상기 볼스크류(210)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시험용 출입문(600)이 연결되면서 상기 볼스크류(21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시험용 출입문(6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만일, 시험하고자 하는 시험대상 모터(10)가 양측 슬라이딩형 출입문 도어에 적용되는 모터일 경우 상기 볼스크류(210)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선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볼스크류(2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제공되면서 각각의 시험용 출입문(600)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는 실시예로 제시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볼스크류(210)는 두 개로 분할 형성되면서 별도의 조인트를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와 상기 볼스크류(210)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센서(710)와,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볼스크류(210)를 회전시키는 감속기(72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720)는 시험용 출입문(600)의 이동속도를 실제 출입문 도어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는 상기 볼스크류(210)에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발생시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는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용 출입문(600)이 실제의 출입문 도어와는 그 크기나 무게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시험용 출입문(600)에 상관없이 실제 출입문 도어가 제공하는 크기나 무게로 인한 부하를 고려하여 보상해주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실제 출입문용 도어는 각 철도차량의 종류 혹은, 제조 회사에 따라 그 크기나 무게가 서로 다르며, 이로써 평균적인 부하를 제공하는 공용의 시험용 출입문(600) 및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동시 제공을 통해 사실상 실제 적용할 철도차량의 출입문용 도어와 동일한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상기 부하를 토대로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는 모터(10)에 대한 시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가변부하제공부(300)는 상기 볼스크류(210)의 타단이 축결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210)의 회전에 대한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발생시켜 제공하는 서보모터(310)와, 상기 서보모터(310)의 부하량 조절을 위한 속도 및 토크 제어를 위한 서보 드라이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에서 발생시키는 부하토크는 상기 감속기(720)와 가변부하제공부(300)의 영향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요구 토크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를 이루는 서보모터(310)와 상기 볼스크류(210)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엔코더(7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엔코더(730)는 상기 볼스크류(210)의 회전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제어부(400)는 시험대상 모터(10)의 정역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모터제어부(400)는 후술될 메인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시험대상 모터(10)로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시험대상 모터(10)를 설정된 토크 및 속도로 정역 회전되게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터제어부(400)는 DC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410) 및 시험대상 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유닛(DCU:Door Control Unit)(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컨트롤러(500)는 상기 모터제어부(400)와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를 동시에 제어하면서 모터(10)의 시험을 진행하도록 컨트롤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메인컨트롤러(500)는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전압과 전류 및 토크에 관련한 정보, 시험용 출입문(600)의 동작횟수 및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부하토크에 관련한 정보 등을 취득하고 분석하면서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내구성을 확인하는 분석프로그램(510)과,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20)와, 상기 모터제어부(400) 및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5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메인컨트롤러(500)는 상기 토크센서(710)와 엔코더(730)로부터 출력된 측정값을 받아 상기 모터제어부(400)를 제어하여 모터(10)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부하토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컨트롤러(500)에는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를 이용한 모터(10)의 내구성능 시험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의 상태도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이동가이드(100)와 시험용 출입문(600), 볼스크류(210) 및 볼하우징(220), 가변부하제공부(300)는 하나의 세트로 제공된다.
즉, 전술된 세트의 시험장치에 시험하고자 하는 모터(10)만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해당 모터(10) 만의 내구성 시험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세트로 제공되는 시험용 출입문(600)의 경우 비록 실제 출입문 도어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하더라도 사실상 그 크기가 달라 해당 시험용 출입문의 슬라이딩 이동시 모터(10)가 제공받게 되는 부하가 다르다.
이에 따라, 상기 시험하고자 하는 모터(10)가 결정되면 이 모터(10)에 요구되는 요구토크(Tdc)를 입력받고, 이러한 요구토크를 고려한 모터제어부(40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메인컨트롤러(500)의 제어 설정(S100)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 설정이라 함은 상기 요구토크와 동일한 토크센서(710)의 측정값에 대한 설정과, 감속기(720) 및 서보모터(310) 등의 영향에 따른 보정계수(k)를 적용한 부하요구토크(Tload)에 대한 설정 그리고, 시험용 출입문(600)의 동작 횟수(모터의 정역 회전을 반복하는 동작 횟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 설정이 완료되면 내구성 시험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내구성 시험은 메인컨트롤러(5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모터제어부 (400) 및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동작 제어(S200)에 의해 수행되며, 실질적인 내구성 시험이 진행되기 전에는 부하 설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 설정은 요구토크(Tdc)와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토크가 일치되었는지의 여부와, 보정계수(k)를 적용한 부하요구토크(Tload)가 상기 요구토크(Tdc)에 일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시험대상 모터(10)의 토크가 일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토크센서(710)를 통해 취득한 토크 측정값(Tm)과 상기 요구토크(Tdc)가 일치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되며, 만일 상기 토크 측정값(Tm)과 상기 요구토크(Tdc)가 일치되지 않았다면 이를 확인한 메인컨트롤러(500)가 모터제어부(40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상기 토크 측정값(Tm)과 상기 요구토크(Tdc)가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0)의 동작을 추가로 보상하여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보정계수(k)를 적용한 부하요구토크(Tload)가 상기 요구토크(Tdc)에 일치되었는지의 여부는 토크센서(710) 및 엔코더(730)를 의해 측정된 토크와 회전속도값을 통해 확인하며, 만일 상기 부하요구토크(Tload)가 상기 요구토크(Tdc)에 일치되지 않았다면 이를 확인한 메인컨트롤러(500)가 상기 서보모터(310)의 동작을 추가로 보상하여 제어(S300)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이 메인컨트롤러(500)는 토크센서(710)와 엔코더(730)로부터 출력된 측정값을 통해 모터(10)의 토크 및 회전속도에 대한 제어와 가변부하제공부(300)의 부하토크 제어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시험하고자 하는 모터는 적용하고자 하는 실제의 철도차량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부하 조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초기 셋팅을 통해 부하 조건이 설정된 조건과 일치되면 미리 설정한 시험용 출입문(600)의 개폐 횟수(전류모터를 반복적으로 정역 구동시킨 횟수)만큼 개폐 동작이 반복 수행되도록 제어한 다음 이러한 시험용 출입문(600)의 개폐 동작시 취득된 모터(10)의 전압과 전류 및 토크가 기록 및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정보의 분석 작업을 통해 해당 모터(10)에 대한 내구성 시험을 완료한다.
결국,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도어에 대한 모터(10)의 내구 시험이 철도차량에 직접 설치한 상태로 진행하지 않고 자유로운 장소에서도 정확히 실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험에 따른 일정 조정과 같은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철도차량의 종류에 따라 출입문 도어가 변경될 경우 이렇게 변경된 출입문 도어로 시험을 위한 세트를 동일하게 구현하지 않고, 기존에 모터의 시험에 사용된 출입문 도어가 적용된 세트로도 상기 변경된 출입문 도어와 동일한 조건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을 위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 모터 100. 이동가이드
110. 스토퍼 210. 볼스크류
220. 볼하우징 300. 가변부하제공부
310. 서보모터 320. 서보 드라이버
400. 모터제어부 410. 전원공급기
420. 도어 컨트롤유닛 500. 메인컨트롤러
510. 분석프로그램 520. 메모리
530. 제어프로그램 600. 시험용 출입문
710. 토크센서 720. 감속기
730. 엔코더

Claims (5)

  1. 시험용 출입문이 매달린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와는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일단은 시험하고자 하는 모터에 축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시험용 출입문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볼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시험용 출입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볼하우징;
    상기 볼스크류의 타단에 축결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발생시켜 제공하는 가변부하제공부;
    상기 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모터의 전압과 전류 및 토크에 관련한 정보와, 시험용 출입문의 동작횟수 및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의 부하토크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면서 상기 모터의 내구성을 확인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하제공부는
    상기 볼스크류의 타단이 축결합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대한 가변적인 부하토크를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부하량 조절을 위한 속도 및 토크 제어를 위한 서보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볼스크류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모터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센서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에서 발생시키는 부하토크는 상기 감속기와 가변부하제공부의 영향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모터의 요구 토크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와 상기 볼스크류 간의 축결합되는 부위에는 엔코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토크센서와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측정값을 받아 상기 모터의 토크 및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변부하제공부의 부하토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에는 시험용 출입문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스토퍼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KR2020190002147U 2019-05-27 2019-05-27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KR200491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47U KR200491573Y1 (ko) 2019-05-27 2019-05-27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47U KR200491573Y1 (ko) 2019-05-27 2019-05-27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43A Division KR20190052449A (ko) 2017-11-08 2017-11-08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37U true KR20190001337U (ko) 2019-06-05
KR200491573Y1 KR200491573Y1 (ko) 2020-04-29

Family

ID=6681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47U KR200491573Y1 (ko) 2019-05-27 2019-05-27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70B1 (ko) * 2019-10-10 2020-12-18 주식회사 엠 에이 티 주행 및 선회 유압모터의 선택적 계측 제어가 가능한 성능 시험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211A (ja) * 1994-07-29 1996-02-16 Toyota Motor Corp モータの試験装置
KR100402374B1 (ko) 1995-11-27 2004-03-24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임피던스수단및임피던스수단의임피던스를제어하는방법
KR100517026B1 (ko) 2003-01-07 2005-09-26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철도차량용 도어의 개폐 장치
KR200426905Y1 (ko) * 2006-07-10 2006-09-18 (주)레일테크인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JP2007139527A (ja) * 2005-11-17 2007-06-07 Meidensha Corp 電気自動車用ダイナモメータ
KR101268755B1 (ko) 2009-03-03 2013-05-2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철도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334751B1 (ko) 2012-07-30 2013-12-05 서울메트로 전동차용 출입문 현장시험 시스템
KR101383459B1 (ko)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211A (ja) * 1994-07-29 1996-02-16 Toyota Motor Corp モータの試験装置
KR100402374B1 (ko) 1995-11-27 2004-03-24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임피던스수단및임피던스수단의임피던스를제어하는방법
KR100517026B1 (ko) 2003-01-07 2005-09-26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철도차량용 도어의 개폐 장치
JP2007139527A (ja) * 2005-11-17 2007-06-07 Meidensha Corp 電気自動車用ダイナモメータ
KR200426905Y1 (ko) * 2006-07-10 2006-09-18 (주)레일테크인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KR101268755B1 (ko) 2009-03-03 2013-05-2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철도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383459B1 (ko) 2012-06-20 2014-04-08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KR101334751B1 (ko) 2012-07-30 2013-12-05 서울메트로 전동차용 출입문 현장시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70B1 (ko) * 2019-10-10 2020-12-18 주식회사 엠 에이 티 주행 및 선회 유압모터의 선택적 계측 제어가 가능한 성능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573Y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863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DE19518175A1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inbau eines Bauteils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S20140359994A1 (en) System for measuring vehicle gap and step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006332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Stellgebers mit einem bürstenlosen Elektromotor
JP5096357B2 (ja) 自動車に設けられた、電気モータによって動作される調整装置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
CN101868900A (zh) 用于对汽车的能够移动的封闭件的机械特性的随温度发生的变化进行修正的方法和装置
KR20190001337U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KR20190052449A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도어의 모터 내구성능 시험장치
ATE131450T1 (de) Betriebsstartverfahren und betriebseinrichtung für eine gesteuert und/oder geregelt betriebene schiebetür
JP2006064668A (ja) ねじり試験装置およびねじり試験方法
EP368826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s verschleisszustandes einer komponente eines türantriebssystems eines schienenfahrzeugs
DE10201100556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librieren eines Stellgebersystems mit einem elektronisch kommutierten Stellantrieb
KR102086377B1 (ko) 홈어플라이언스 힌지 부품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20100147182A1 (en) simulation method for simulating braking of a cable transport facility, a diagnosis method for diagnosing the braking of such a facility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KR10184420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의 개수 방법
CN109083750B (zh) 节气门开度自动控制系统及自动控制方法
KR20140087736A (ko) 내구시험장치
CN111380695A (zh) 一种关门速度检测装置及方法
CN208937007U (zh) 一种门锁机构解锁角度及解锁扭矩测量装置
DE102010009662A1 (de) Verfahren zur Parametrierung eines Steuergeräts für ein Fahrzeug sowie entsprechendes Steuergerät und Fahrzeug
KR20150064476A (ko) 철도차량 객차용 자동승강문 부품 수명 시험기 및 이에 따른 시험방법
JP7378904B2 (ja) 車両の設計方法
EP30765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validation of motor control firmware of an embedded system
CN208520566U (zh) 一种扭转疲劳试验台
US20180283991A1 (en) Experimental simulation process,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ive to the reliability of an automatic passenger access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