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33A - 리필용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33A
KR20190001133A KR1020170080645A KR20170080645A KR20190001133A KR 20190001133 A KR20190001133 A KR 20190001133A KR 1020170080645 A KR1020170080645 A KR 1020170080645A KR 20170080645 A KR20170080645 A KR 20170080645A KR 20190001133 A KR20190001133 A KR 2019000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fill
cosmetics
ca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7008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133A/ko
Publication of KR2019000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본체; 리필용 화장품을 수납하는 화장품 수납부와,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리필 용기; 상기 리필 용기의 상기 커버를 절개하는 커터를 가지며, 상기 리필 용기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용기 캡; 및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디핑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누름 버튼을 가지고, 상기 용기 캡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필용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FOR REFILL}
본 발명은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필용 화장품이 충진된 리필 용기를 화장품 용기 본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스마트 소비 트렌드가 유행하고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화장품 내용물의 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고가인 화장품 용기의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화장품 구매 비용을 감소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화장품 용기 자체가 고가이므로, 화장품 제조원가를 줄이며 소비를 촉진 및 장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소비자는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 화장품 용기를 재사용하지 않고 쓰레기로 배출하므로, 분리수거 배출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를 그대로 재사용하고, 리필용 화장품이 충진된 리필 용기만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화장품 용기에 대한 생산자의 제조원가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소비자도 저렴하게 원하는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0230호(고안의 명칭: 재사용이 가능한 리필식 화장품 용기, 공개일: 1999.01.0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화장품 용기에 대한 생산자의 제조원가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소비자도 저렴하게 원하는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본체; 리필용 화장품을 수납하는 화장품 수납부와,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리필 용기; 상기 리필 용기의 상기 커버를 절개하는 커터를 가지며, 상기 리필 용기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용기 캡; 및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디핑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누름 버튼을 가지고, 상기 용기 캡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 캡은, 중앙에 상기 커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로부터 상기 커터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를 그대로 재사용하고, 리필용 화장품이 충진된 리필 용기만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화장품 용기에 대한 생산자의 제조원가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소비자도 저렴하게 원하는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필 용기와 캡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11)와, 리필 용기(21)와, 용기 캡(31)과, 디스펜서(51)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1)는 일측에 개구(13)가 형성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진다. 용기 본체(11)의 내부에는 개구(13)와 연통하며, 리필 용기(21)가 수용되는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1)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용기 캡(31)이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11)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11)는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리필 용기(21)는 용기 본체(11)의 수용부(15)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용기 본체(11)의 수용부(15)에 수용된다.
리필 용기(21)는 리필용 화장품을 수납하는 화장품 수납부(23)와, 화장품 수납부(23)에 수납된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25)와, 배출구(25)를 커버하는 커버(27)와, 배출구(25)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29)를 가진다.
커버(27)는 판 형상을 가지며 배출구(25)의 둘레를 따라 접착된다. 커버(27)는 후술할 커터(37)에 의해 쉽게 절개가능한 은박지, 비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9)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부(15)의 개구(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리필 용기(21)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필 용기(21)의 상단부에 플랜지(29)가 형성되어 잇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플랜지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캡(31)은 리필 용기(21)와 용기 본체(11)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1)의 개구(13)를 폐쇄한다.
용기 캡(31)은 캡 본체(33)와, 서포트(41)를 포함한다.
캡 본체(33)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캡 본체(33)의 판면 중앙에는 후술할 디스펜서(51)의 튜브(53)가 관통하는 관통공(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1)의 개구(13)를 향하는 캡 본체(33)의 판면에는 관통공(35)의 둘레 일 영역을 따라 커터(3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커터(37)는 용기 본체(11)에 수용되는 리필 용기(21)의 커버(27)를 절개한다.
서포트(41)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리필 용기(21)를 지지한다. 한 쌍의 서포트(41)는 캡 본체(33)의 판면에 커터(37)의 둘레를 따라 대향하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서포트(41)의 자유단부에는 리필 용기(21)의 플랜지(29)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4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서포트(41)는 리필 용기(21)의 플랜지(29)와 후크 결합시 원만하게 변형하며 후크 결합되도록, 탄성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서포트(41)가 리필 용기(21)의 플랜지(29)와 후크 결합됨으로써 리필 용기(21)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필 용기의 플랜지의 구성요소 없이 한 쌍의 서포트가 리필 용기와 후크 결합하지 않으며, 한 쌍의 서포트가 리필 용기의 몸체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캡 본체(33)의 내측 둘레에는, 용기 본체(11)의 수나사부(17)와 결합되는 암나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캡 본체(33)의 암나사부(45)가 용기 본체(11)의 수나사부(17)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캡은 용기 본체(11)의 개구(13)를 폐쇄하게 된다.
누름 버튼(57)은 용기 캡(31)에 장착되어, 상하 누름작동에 의해 리필 용기(21)의 화장품 수납부(23)에 수납된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누름 버튼(57)은, 배출구(25)를 관통하여 화장품 수납부(23)에 디핑되는 튜브(53)와, 튜브(53)를 통해 배출되는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55)와, 상하 누름작동에 의해 튜브(53)를 통해 화장품 수납부(23)에 수납된 화장품을 토출구(55)로 토출시키는 누름 버튼(57)을 포함한다.
여기서, 튜브(53)는 일정 길이의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튜브(53)의 직경은 배출구(25)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화장품 용기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 캡(31)을 리필 용기(21)의 플랜지(29)와 후크 결합하여,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31)을 리필 용기(21)에 결합한다. 용기 캡(31)이 리필 용기(21)에 결합됨에 따라, 커터(37)는 배출구(25)를 관통하며 커버(27)를 절개한다.
다음, 용기 본체(11)의 개구(13)를 통해 리필용 화장품이 수납된 리필 용기(21)를 용기 본체(11)의 수용부(15)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용기 캡(31)을 용기 본체(11)에 나사 결합하여, 용기 본체(11)의 개구(13)를 폐쇄한다.
그리고, 튜브(53)가 용기 캡(31)의 관통공(35)을 거쳐 리필 용기(21)의 배출구(25)를 관통하며 화장품 수납부(23)에 수납하도록, 디스펜서(51)를 용기 캡(31)에 장착한다.
이로써, 리필 용기(21)를 기존의 화장품 용기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펜서(51)의 핌핑 버튼(57)을 상하 누름작동시킴으로써, 화장품 수납부(23)에 수납된 화장품을 튜브(53)와 토출구(55)를 거쳐 외부로 간편하게 토출시키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를 그대로 재사용하고, 리필용 화장품이 충진된 리필 용기만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화장품 용기에 대한 생산자의 제조원가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소비자도 저렴하게 원하는 화장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리필 화장품 용기
11 : 용기 본체
21 : 리필 용기
23 : 화장품 수납부
25 : 배출구
27 : 커버
31 : 용기 캡
33 : 캡 본체
37 : 커터
41 : 서포트
51 : 디스펜서
53 : 튜브
55 : 토출구
57 : 누름 버튼

Claims (2)

  1.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본체;
    리필용 화장품을 수납하는 화장품 수납부와,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리필 용기;
    상기 리필 용기의 상기 커버를 절개하는 커터를 가지며, 상기 리필 용기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용기 캡; 및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디핑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화장품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누름 버튼을 가지고, 상기 용기 캡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캡은,
    중앙에 상기 커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로부터 상기 커터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필 용기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20170080645A 2017-06-26 2017-06-26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20190001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45A KR20190001133A (ko) 2017-06-26 2017-06-26 리필용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45A KR20190001133A (ko) 2017-06-26 2017-06-26 리필용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33A true KR20190001133A (ko) 2019-01-04

Family

ID=6501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45A KR20190001133A (ko) 2017-06-26 2017-06-26 리필용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1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146B1 (ko) * 2021-07-29 2022-05-12 주식회사 유패럿 사용량이 자동 체크되며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패키징 보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146B1 (ko) * 2021-07-29 2022-05-12 주식회사 유패럿 사용량이 자동 체크되며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패키징 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4283A (zh) 适用于容纳单独重新填充容器的壳体容器
US9573151B1 (en) Liquid dispenser with replacement insert
MXPA03010358A (es) Recipiente de bolsa en caja para bebidas.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JP2014208542A (ja) 二重容器
KR101798133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US20170253412A1 (en) Metering Device Made of Plastics Material
CN113493063A (zh) 可再填充的泵式分配器
US20120006858A1 (en) Operating and dispensing cap connectable to an aerosol can
US10492648B1 (en) Bar soap liquefier and dispenser
JP3159981U (ja) 液状物容器
KR20190001133A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JP2013249084A (ja) 二重容器
JP7316633B2 (ja) 吐出ポンプ付き液体充填容器
KR101467736B1 (ko) 무잔량 튜브 용기
JP2005313990A (ja) ポンプ付液体供給容器及びそれに供する液体詰め替え用容器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KR200282764Y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CN111788008B (zh) 用于双液体组分包装的装置
KR20160037027A (ko) 진공 배출펌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H024679A (ja) 流動体注出用パッケージ容器
KR0120282Y1 (ko) 리필 전용 용기
US20230103213A1 (en) Cosmetic product dispenser pot with a stacked base, refill and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