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67U - 다기능 모듈형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모듈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67U
KR20190001067U KR2020170005521U KR20170005521U KR20190001067U KR 20190001067 U KR20190001067 U KR 20190001067U KR 2020170005521 U KR2020170005521 U KR 2020170005521U KR 20170005521 U KR20170005521 U KR 20170005521U KR 20190001067 U KR20190001067 U KR 20190001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panel member
coupling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정
여원철
박민균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7000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067U/ko
Publication of KR20190001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3Non-upholstered chairs, e.g. metal, plastic or woode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6Seats made of wooden, plastics, or metal sheet material; Panel sea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모듈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패널모듈 및 측면모듈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기존의 기성제품과 달리 개성을 살려서 공간을 디자인 하거나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고, 그외의 모듈로 이루어진 제품과도 결합이 가능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사 또는 내부공사 등으로 인하여 공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도 효율적으로 운반, 변형, 확장 및 재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모듈형 의자{Module-type chair having Multifuntion}
본 고안은, 다기능 모듈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 내지는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삶의 방식이 변화하면서, 이와 관련한 시장의 형태와 모습도 많이 변화되고 있으며, '싱글슈머(Single+Consumer), '싱글이코노미(single-economy)’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낼 만큼 관련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로 주거 형태 또한 맞춤형 소형 주택의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세대주택이 앞으로 주택ㆍ건축시장의 패러다임을 주도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는, 낡은 집을 깨끗하게 허물고 새 건물을 올리는 구도는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는 이유이다.
이와 같이, 1인 가구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건물에 주거하는 사람들 중의 대부분은 비교적 젊은 층에 속하며, 트렌드에 민감한 20~30대인데, 이러한 젊은 층에서는, 홈인테리어, 셀프 인테리어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한 1인 가구의 증가와, 소득 증대와 함께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꾸미고, 직접 자신의 공간에 맞게 선택하고 조립할 수 있는 가구 등의 인테리어 아이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특허문헌 1에는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의자가 개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립식 의자는 단순히 여러 부품을 끼워 맞추어 조립하는 형태로서, 의자 형태의 변형이나, 확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JP 1993-048727 U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반, 조립 및 분리는 물론, 필요에 따라 변형 및 확장이 용이한 다기능 모듈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패널모듈 및 측면모듈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로서, 상기 패널모듈은, 패널부,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모듈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 및 상기 공동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측면부재 및 제2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측면모듈은, 상기 제1패널부재 및 상기 제2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되,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공에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에 의하면, 기존의 기성제품과 달리 개성을 살려서 공간을 디자인 하거나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고, 그외의 모듈로 이루어진 제품과도 결합이 가능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사 또는 내부공사 등으로 인하여 공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도 효율적으로 운반, 변형, 확장 및 재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각 패널부재의 양면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각 측면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각 패널부재의 양면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지지부재의 일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각 패널부재의 양면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구성인 연장부재의 일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모듈(100)과 측면모듈(200)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이다.
패널모듈(100)은 제1패널부재(110) 및 제2패널부재(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패널부재(110) 및 제2패널부재(12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패널부재(110)는, 패널부(101), 제1연결부(102), 제2연결부(103), 제3연결부(106), 제1연결공(107) 및 제2연결공(108)을 포함한다.
패널부(10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패널부(101)의 일측면에는 제1연결부(102)가 돌출되어 위치하고, 타측면에는 제2연결부(103)가 돌출되어 위치한다. 즉,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는 패널부(101)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한다.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에는 각각 결합구(104)가 형성되며, 결합구(104)는 연결부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의 일면이 파인 홈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의 양측에 결합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부(106)는, 패널부(101)의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위치한다. 패널부(101)가 장방형인 경우,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위치한 면과 직교하는 일측면에 돌출되어 위치한다.
제1연결공(107)은 제3연결부(106)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1연결공의 타측에는 제2연결공(108)이 형성된다. 즉, 제1연결공(107)과 제2연결공(108)은 패널부(101)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제1연결공(107)은 제3연결부(106)가 위치한 측에 형성되고, 제2연결공(108)은 그 타측에 형성된다.
제2패널부재(120)는 상기 제1패널부재(1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패널부재(110) 및 제2패널부재(120)는 공히 제1연결부(102), 제2연결부(103), 제3연결부(106), 제1연결공(107) 및 제2연결공(108)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모듈(100)은 상기 제1패널부재(110) 및 상기 제2패널부재(12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제3패널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측면모듈(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모듈(200)은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측면부재(210)는, 몸체부(201), 공동부(202) 및 연결공(203)을 포함한다.
몸체부(201)는 소정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서, 그 면의 형상은 일반적인 의자의 측면형상과 같이 구성된다.
공동부(202)는 몸체부(201) 내측에 형성되며, 공동부(202) 일측에는 결합돌기(204)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공(203)은 공동부(202)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동부(202)는 의자형태인 몸체부(201)의 좌석부분에, 연결공은 등받이 부분에 형성된다.
제2측면부재(220)는 상기 제1측면부재(2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는 공히 몸체부(201), 공동부(202) 및 연결공(203)을 각각 포함한다.
다음,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패널모듈(100)과 측면모듈(200)의 조립형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모듈(100)과 측면모듈(200)은, 제1패널부재(110) 및 제2패널부재(120)가 제1측면부재(210)와 제2측면부재(2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제1패널부재(110)의 제1연결공(107)에 제2패널부재(120)의 제3연결부(106)가 삽입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10)의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상기 제1측면부재(210) 및 상기 제2측면부재(220)의 공동부(202)에 각각 삽입되면서,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의 각 결합구(104)에,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의 결합돌기(204)가 각각 삽입된다.
한편, 제2패널부재(120)의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상기 제1측면부재(210) 및 상기 제2측면부재(220)의 연결공(203)에 각각 삽입되면서,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의 각 연결공(203)의 일측이 제2패널부재(120)의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패널모듈(100)과 측면모듈(200)이 의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되며, 제1패널부재(110)는 의자의 좌석부분이 되고, 제2패널부재(120)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이 되어,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 사이에 조립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패널모듈(100)이 제3패널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3패널부재(130)는 제2패널부재(120)의 일측에서, 제3패널부재(130)의 제3연결부(106)가 제2패널부재(120)의 제2연결공(108)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3패널부재(130)는 필요한 물품 또는 인테리어 아이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의 기능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패널모듈(100a)이 포함하는 제1패널부재(110a), 제2패널부재(120b) 및 제3패널부재(130b)(이하, 단순히 '각 패널부재'라 함)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는, 2개의 패널부로서, 일체로 형성된 제1패널부(101a)와 제2패널부(101b)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는, 제1패널부(101a) 및 제2패널부(101b)의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3연결부(106)는 제1패널부(101a) 및 제2패널부(101b)의 상기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2개의 제3연결부(106)가 제1패널부(101a) 및 제2패널부(102b)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공(107)은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2개가 형성되며, 제2연결공(108)은 제1연결공(107)의 타측에 각각 2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패널부(101a)와 제2패널부(101b)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를 구성하므로,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의 형태가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더 긴 장방형을 이루게 되므로, 조립된 상태에서 제3패널부재(130a)가 테이블로서 기능할 시에 더 많은 물품을 제3패널부재(130a) 상에 놓을 수 있으나, 이에 의한 하중 증가에 따라 추가적인 지지력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패널부재(120a)와 제3패널부재(130a)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지지부(301), 및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지지부(301)는 제2패널부재(120a)와 제3패널부재(130a)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일측과 타측이 소정 각도를 이루는 "ㄱ"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는 지지부(3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01)를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의 제1패널부(101a) 및 제2패널부(101b) 사이에는 결합구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돌기는, 지지부(30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302a, 303a) 및 제2결합돌기(303a, 303b)를 포함하며,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2결합돌기(303b)에는 걸림돌기(304)가 돌출 형성된다.
즉, 지지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제1결합돌기(302a, 303a)와 제2결합돌기(303a, 303b)가 한 쌍씩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303b)에 걸림돌기(30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의 제1패널부(101a) 및 제2패널부(101b)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도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각 패널부재의 제3연결부 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구(109a)와, 이 제1결합구 타측에 형성되는 제2결합구(109b)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패널모듈(100a)과 측면모듈(200)의 조립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모듈(100a)과 측면모듈(200)은, 각 패널부재(110a, 120a, 130a)가 제1측면부재(201)와 제2측면부재(20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유사하게, 제1패널부재(110a)의 제1연결공(107)에 제2패널부재(120a)의 제3연결부(106)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10a)의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상기 제1측면부재(210) 및 상기 제2측면부재(220)의 공동부(202)에 각각 삽입되면서,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의 각 결합구(104)에,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의 결합돌기(204)가 각각 삽입된다.
한편, 제2패널부재(120a)의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상기 제1측면부재(210) 및 상기 제2측면부재(220)의 연결공(203)에 각각 삽입되면서,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의 각 연결공(203)의 일측이 제2패널부재(120a)의 제1연결부(102) 및 제2연결부(103)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널모듈(100a)과 측면모듈(200)이 의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되며, 제1패널부재(110a)는 의자의 좌석부분이 되고, 제2패널부재는(120a) 의자의 등받이 부분이 되어, 제1측면부재(210) 및 제2측면부재(220) 사이에 조립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패널모듈이 제3패널부재(130a)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3패널부재(130a)는 제2패널부재(120a)의 일측에서, 제3패널부재(130a)의 제3연결부(106)가 제2패널부재(120a)의 제2연결공(108)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된다.
또한, 지지부재(300)의 제1결합돌기(302a, 303a) 및 제2결합돌기(303b, 303b)가 제2패널부재(120a) 및 제3패널부재(130a)의 제1결합구(109a) 및 제2결합구(109b)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어, 지지부재(300)가 제2패널부재(120a)와 제3패널부재(130a)를 사이에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301) 타측의 제2결합돌기(303b)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04)가 제2패널부재(120a)의 제2결합구(109b)에 걸리도록 위치함으로써, 지지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인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패널모듈(100b)을 구성하는 각 패널부재(110b, 120b, 130b)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패널부재(110b, 120b, 130b)는, 3개의 패널부로서, 일체로 형성된 제1패널부(101a), 제2패널부(101b) 및 제3패널부(101c)(이하, '각 패널부'라 함)를 포함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패널부를 3이상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일단에 위치한 패널부를 제1패널부(101a)로 하고, 타단에 위치한 패널부를 제3패널부(101c)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는, 제1패널부(101a) 및 제3패널부(101c)의 측면, 즉 각 패널부(101a, 101b, 101c) 중 양단에 위치한 패널부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한다.
제3연결부(106)는 각 패널부(101a, 101b, 101c)의 상기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3개의 제3연결부(106)가 각 패널부(101a, 101b, 101c)에 각각 형성된다, 즉, 패널부의 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공(107)은 제3연결부(106)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3개가 형성되며, 제2연결공(108)은 제1연결공(107)의 타측에 각각 3개가 형성되되, 이 역시, 패널부의 수에 대응하여, 즉, 패널부 개수의 2배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이상의 패널부로 연장된 패널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각 패널부재(110b, 120b, 130b)의 형태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긴 장방형을 이루게 되고, 2 이상의 지지부재(300)가 설치되므로, 각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력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장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재(400)는, 연장부(401) 및 결합홈(402)을 포함한다.
연장부(401)는 복수의 지지부재(3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세장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402)은 연장부(401)에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되며, 설치되는 지지부재(300)의 갯수와 대응하는 갯수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는 지지부(301)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302a)기와 제2결합돌기(302b), 즉, 제3패널부재(130c) 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302a)와 제2결합돌기(302b) 사이에는 결합홈(305)이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패널모듈(100b)과 측면모듈(200)의 조립형태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부재(110b, 120b, 130b) 및 각 측면부재(210, 220)의 조립형태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부재(300)가 조립되고, 추가로, 각 지지부재(300)의 지지부(301)에 형성된 결합홈(305)에, 연장부재(400)에 형성된 결합홈(402)이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는 예를 들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 각 실시예의 패널모듈(100, 100a, 100b)을 구성하는 각 패널부재(110, 120, 130, 110a, 120a, 130a, 110b, 120b, 130b)들의 개수를 변경하여 측면모듈(200)을 구성하는 각 측면부재(210, 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의자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의자에 의하면, 기존의 기성제품과 달리 개성을 살려서 공간을 디자인 하거나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할 수 있어, 그외의 모듈로 이루어진 제품과도 결합이 가능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사를 가거나, 공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도 효율적으로 운반, 변형 및 재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패널모듈
200: 측면모듈
300: 지지부재
400: 연장부재

Claims (22)

  1. 패널모듈 및 측면모듈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로서,
    상기 패널모듈은,
    패널부,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모듈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 및 상기 공동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측면부재 및 제2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측면모듈은, 상기 제1패널부재 및 상기 제2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되,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공에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결합구에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서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제3연결공의 일측에 끼워지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모듈은,
    패널부,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2연결공이 타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포함하는 제3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패널부재는 상기 제2패널부재의 일측에 조립되되,
    상기 제3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2연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5. 패널모듈 및 측면모듈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로서,
    상기 패널모듈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상기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의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제1패널부 및 상기 제2패널부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모듈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 및 상기 공동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측면부재 및 제2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측면모듈은, 상기 제1패널부재 및 상기 제2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되,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공에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에 각각 걸쳐짐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결합구에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서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제3연결공의 일측에 끼워지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모듈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상기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의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제1패널부 및 상기 제2패널부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포함하는 제3패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패널부재는 상기 제2패널부재의 일측에 조립되되,
    상기 제3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2연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부재와 상기 제3패널부재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재, 상기 제2패널부재 및 상기 제3패널부재의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각 결합돌기가, 상기 제2패널부재와 상기 제3패널부재의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는, 상기 제3연결부 측의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 타측에 위치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구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제2결합구에 삽입되는 상기 제2결합돌기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3. 패널모듈 및 측면모듈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모듈형 의자로서,
    상기 패널모듈은,
    3 이상의 패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부 중 양단부에 위치한 패널부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각 패널부에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패널부재 및 제2패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모듈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 및 상기 공동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연결공을 각각 포함하는 제1측면부재 및 제2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모듈과 상기 측면모듈은, 상기 제1패널부재 및 상기 제2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되,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공에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에 각각 걸쳐짐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공동부 일측에 각각 위치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결합구에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패널부재가 상기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2측면부재의 사이에서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재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제3연결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제3연결공의 일측에 끼워지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모듈은,
    3 이상의 패널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부 중 양단부에 위치한 패널부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기 각 패널부에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타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가 위치한 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연결공을 포함하는 제3패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패널부재는 상기 제2패널부재의 일측에 조립되되,
    상기 제3패널부재의 제3연결부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제2연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부재와 상기 제3패널부재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2 이상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재, 상기 제2패널부재 및 상기 제3패널부재의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각 결합돌기가, 상기 제2패널부재와 상기 제3패널부재의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는, 상기 제3연결부 측의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 타측에 위치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구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제2결합구에 삽입되는 상기 제2결합돌기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세장형태의 연장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갯수와 대응하는 갯수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 사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의 각 결합홈이 상기 각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KR2020170005521U 2017-10-26 2017-10-26 다기능 모듈형 의자 KR20190001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21U KR20190001067U (ko) 2017-10-26 2017-10-26 다기능 모듈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21U KR20190001067U (ko) 2017-10-26 2017-10-26 다기능 모듈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67U true KR20190001067U (ko) 2019-05-07

Family

ID=6653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21U KR20190001067U (ko) 2017-10-26 2017-10-26 다기능 모듈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06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27A (ja) 1991-08-19 1993-02-26 Toshiba Corp 電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27A (ja) 1991-08-19 1993-02-26 Toshiba Corp 電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049A1 (en) Modular furniture with shelf support assembly
EP1353019B1 (en) Modular structure for sectional partition walls formed of juxtaposed panels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KR102165497B1 (ko) 슬라이드식 연결조인트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KR20190001067U (ko) 다기능 모듈형 의자
CN110537030A (zh) 用于组合产品的镶板
US5664877A (en) Decorative lamp string assembly
KR20030090759A (ko) 나사에 의해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 조합 강철프레임
WO2008088129A1 (e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easily arranged well
JP2003325258A (ja) アッパースクリーン付き什器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連結具
KR101411357B1 (ko) 칸막이 설치장치 및 그를 구비한 테이블
EP2547234B1 (en) Modularly assemblable furniture system
JP6654816B2 (ja) 什器
JP3218908U (ja) 篏合構造を備えた照明器具
KR101495638B1 (ko) 가구 조립 셋트
KR101392000B1 (ko) 조립식 가구용 부품 셋
GB2381010A (en) Floor assembly
KR102389876B1 (ko) 가구용 다리 조립구조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WO2006132498A1 (en) Structure of knocked down furniture
KR101418544B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JP4119168B2 (ja) 簡易組み立て式キャビネット
KR200374430Y1 (ko) 조립식 서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