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46U -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46U
KR20190001046U KR2020170005482U KR20170005482U KR20190001046U KR 20190001046 U KR20190001046 U KR 20190001046U KR 2020170005482 U KR2020170005482 U KR 2020170005482U KR 20170005482 U KR20170005482 U KR 20170005482U KR 20190001046 U KR20190001046 U KR 20190001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plate member
sea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633Y1 (ko
Inventor
손예지
Original Assignee
손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예지 filed Critical 손예지
Priority to KR202017000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3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둔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좌판부재; 상기 좌판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등받이가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좌판부재를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재는 등받이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이 고정설치되며 중심부 영역에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시트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양측면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유동시트와, 상기 고정시트와 유동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유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동시트의 좌우방향 직선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 및 근육을 동시에 이완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의자{Function chair}
본 고안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의자처럼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등 지압과 허리운동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일정한 공간에서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인체의 앉은 모습을 최대한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신체의 하체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신체의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다리부로 구성하여 사무업이나 운수업에 종사하거나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나 학생들에게 업무의 효율, 학습효과 및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의자는 휴대가 가능한 단순한 의자에서부터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고급 의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의자가 제작이 되고 있는데, 특히 대부분의 의자 등받이는 인체가 기댈 수 있는 기능만 제공하여 어느정도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뿐, 인체의 건강은 특별히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이 되고 있어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과중한 업무로 인한 피로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없어 인체의 활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척추에 무리를 가중하게 되고, 일상생활에 무기력함과 만성 피로 등을 동반하는 현대병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현대인들의 만성 피로, 무기력 등의 현대병에 시달림으로 인해 자신들의 건강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되면서 특히, 경락의 기혈이 신체 표면에 수주 또는 통과하는 중점부위인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지압용 기구를 적용한 기능성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의자는 단순히 지압용 돌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 부위 자극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정도의 수준일 뿐 사용자의 척추 및 근육을 동시에 이완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의자는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12727호(2017.02.0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안의 목적은 일반 의자처럼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등 지압과 허리운동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기능성 의자는, 둔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좌판부재; 상기 좌판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등받이가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좌판부재를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재는 등받이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이 고정설치되며 중심부 영역에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시트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양측면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유동시트와, 상기 고정시트와 유동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유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의 한쪽면은 편평하거나 쿠션부재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면은 다수의 지압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유동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시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동시트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유동부재는 다수의 볼 베어링이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등받이의 일측과 타측에는 쿠션부재와 지압돌기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일반의자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의자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판부재는 고정시트와 유동시트로 구성함에 따라 유동시트의 좌우방향 직선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 및 근육을 동시에 이완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둔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좌판부재(1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등받이(210)가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200)과, 상기 좌판부재(100)를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300)과,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 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좌판부재(100)는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판상형 부재로서,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좌판부재(100)는 사용자의 둔부 형상에 맞추어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다양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판부재(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후술할 등받이 프레임(200)과 다리 프레임(300)이 고정설치되며, 상면의 중심부 영역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된 고정시트(110)와, 상기 결합홈(111)에 결합되어 양측면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유동시트(120)와, 상기 고정시트(110)와 유동시트(120)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유동부재(1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동시트(120)는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척추 및 근육을 동시에 이완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유동부재(130)는 상기 유동시트(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한층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고정시트(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동시트(120)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동부재(130)는 다수의 볼 베어링(미도시)이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시트(110)와 유동시트(120)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유동시트(120)의 슬라이드 이동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동시트(120)의 표면에는 쿠션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착석자의 둔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200)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등받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등받이(210)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11)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10)의 한쪽면은 편평하거나 쿠션부재(미도시)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면은 다수의 지압돌기(212)가 돌출형성된다.
즉, 일반적인 의자로서 사용할 때는 상기 등받이(210)를 쿠션부재가 있는 쪽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사용자의 등 부위 근육을 자극시켜 긴장을 풀어주고자 할때는 상기 등받이를 180도 회전시켜 지압돌기(212)가 앞쪽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상적인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수시로 등 지압이나 앞서 설명한 좌판부재(100)를 이용하여 허리운동용 의자로 손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다.
아울러, 상기 등받이 프레임(2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방지부재(2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다리 프레임(300)은 상기 좌판부재(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 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킹(310)을 설치하거나, 지면에 대하여 구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 프레임(300)에는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식 슬라이딩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300)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석자가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용이하며 착석시에는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프레임(300)은 착석자가 손잡 프레임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시트(12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층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허리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스트레칭 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좌판부재 110 : 고정시트
120 : 유동시트 130 : 가이드유동부재
200 : 등받이 프레임 210 : 등받이
211 : 회전축 212 : 지압돌기
220 : 회전방지부재 300 : 다리 프레임
400 : 손잡이 프레임

Claims (5)

  1. 둔부를 지지하는 판상형 좌판부재;
    상기 좌판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등받이가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좌판부재를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재는 등받이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이 고정설치되며 중심부 영역에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시트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양측면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유동시트와, 상기 고정시트와 유동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유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의 한쪽면은 편평하거나 쿠션부재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면은 다수의 지압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동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시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동시트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동부재는 다수의 볼 베어링이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KR2020170005482U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의자 KR200489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82U KR200489633Y1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82U KR200489633Y1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46U true KR20190001046U (ko) 2019-05-03
KR200489633Y1 KR200489633Y1 (ko) 2019-10-01

Family

ID=6653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82U KR200489633Y1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3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428Y1 (ko) * 2002-08-22 2002-11-18 유지희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KR20120007213A (ko) * 2010-07-14 2012-01-20 오상효 좌판 슬라이딩 구조
KR20170012727A (ko) 2015-07-23 2017-02-03 성아영 등받이 가변형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428Y1 (ko) * 2002-08-22 2002-11-18 유지희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KR20120007213A (ko) * 2010-07-14 2012-01-20 오상효 좌판 슬라이딩 구조
KR20170012727A (ko) 2015-07-23 2017-02-03 성아영 등받이 가변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33Y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KR20070116303A (ko) 작동부를 갖는 의자 시트
US20200121547A1 (en) Functional chair with massage ball
KR20100020607A (ko) 운동용 의자
KR101281675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110075605A (ko) 의자용 등받이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JP3220425U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シート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KR20190001046U (ko) 기능성 의자
US9955788B1 (en) Rope rocking chair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210015184A (ko) 목부위 마사지가 가능한 사무용 의자
KR20110123294A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101106197B1 (ko)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US20130165826A1 (en) Massage Chair for a Foot Massager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2799405B2 (ja) 腰掛用家具
CN211459522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沙发
KR20130017472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GB2502827A (en) A chair that pivots along a continuous floor rail between a vertical, forward leaning and reclined position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