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428Y1 -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428Y1
KR200295428Y1 KR2020020025053U KR20020025053U KR200295428Y1 KR 200295428 Y1 KR200295428 Y1 KR 200295428Y1 KR 2020020025053 U KR2020020025053 U KR 2020020025053U KR 20020025053 U KR20020025053 U KR 20020025053U KR 200295428 Y1 KR200295428 Y1 KR 200295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waist
abdomen
fixe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희
Original Assignee
유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희 filed Critical 유지희
Priority to KR2020020025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428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체를 등받이에 고정한 상태로 엉덩이와 다리를 한꺼번에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허리 및 복부에 집중적인 운동효과를 도모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는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집중적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리부와,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다단의 벨트를 설치하고, 좌판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베이스판 위에 얹혀지는 좌판으로 구성하되, 좌판의 전면 중앙에는 다리사이에 끼워져 다리의 허벅지 부위를 고정하는 다리고정대를 설치하며, 좌판과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좌판이 베이스판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을 개재하여서 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의 상체를 등받이에 고정하고 다리는 이동가능한 좌판에 고정하여 허리 및 복부의 근육만을 사용하여 좌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엉덩이와 다리가 상체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허리 및 복부의 근육이 최대한 압축 신장을 반복할 수 있어 조그마한 운동에도 허리와 복부에 집중적인 운동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어트에 있어 가장 고민거리인 허리 및 복부의 살빼기에 유리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Chair for abdomen and waist movement}
본 고안은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를 등받이에 고정한 상태로 엉덩이와 다리를 한꺼번에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허리 및 복부에 집중적인 운동효과를 도모함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는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집중적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식생활이 변화되면서 섭취되는 칼로리에 비해 운동량이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과체중이나 비만에 시달리고 있는데, 비만이 심할 경우 다양한 성인병이 발병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감이 결여되어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고 사회활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여성층을 중심으로 식생활 조절을 통한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또한 식생활 조절을 통한 다이어트의 경우 인간의 가장 큰 욕구인 식욕을 억제해야 하는 것이어서 굉장한 인내력이 필요하며 심하게는 생명과도 직결되는 것이므로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체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운동에 의해 몸매를 관리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허리 및 복부이 살은 신체 구조적으로 아무리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는 부위이며, 운동을 조금만 중단하여도 곧바로 원래의 체형으로 돌아가버려 다이어트에 있어 가장 고민이 되는 부위라 할 것인바,이러한 허리 및 복부의 살을 뺄 수 있는 운동으로는 윗몸일으키기가 가장 보편화된 운동방법이나 이는 운동 자체가 어느 정도의 근력이 요구되어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 아니며, 굉장한 인내력과 지구력이 필요하게 되어 대부분 실패로 돌아가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훌라후프와 같은 기구를 통한 운동으로서, 훌라후프를 허리 및 복부에 걸고 엉덩이 부분을 돌려주면서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안 허리 및 복부에 힘이 가해지고 외부에서는 훌라후프와 접촉되면서 허리 및 복부의 살을 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를 돌리는 반경이 매우 작고, 엉덩이를 돌리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체부위가 자연스럽게 엉덩이를 따라 움직이며, 다리와 엉덩이는 반대방향이 되므로 이러한 자세는 인체구조학적으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자세에 해당되어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안 허리 및 복부에 가해지는 힘은 굉장히 미약하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리 오랫동안 훌라후프를 하여도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뺄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의자형태의 운동기구도 등장하였는데, 이는 전동기구를 통해 의자의 좌판이 일정궤도로 공전되도록 한 것으로, 이 역시 엉덩이가 돌아가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상체부위가 자연스럽게 엉덩이를 따라 움직이며, 다리와 엉덩이는 반대방향이 되므로 전술한 훌라후프를 돌리는 동작과 유사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의자형태의 운동기구로도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빼내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다단의 벨트를 마련하고, 의자의 좌판부는 넓은 면적으로 구성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그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베이스판 위에 좌우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등받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엉덩이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며, 좌판의 전면 중앙에는 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다리고정대와 다리의 허벅지 부위를 다리고정대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를 구비하여 엉덩이와 다리부위가 상체와는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허리 및 복부에 강한 힘이 작용되어 허리 및 복부에 집중적인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쉽게 빼낼 수 있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슬라이딩 수단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가이드레일 형상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벨트체결부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좌판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리부 101 : 앞다리 200 : 좌판부
201 : 베이스판 202 : 좌판 203 : 쿠션재
204 : 커버 205 : 지지판 206 : 히터
207 : 원적외선 방사체 208 : 다리고정대 209,301 : 벨트
300 : 등받이부 302 : 벨크로 매직 테이프 303 : 잠금장치
304 : 버클 305 : 벨트케이스 400 : 프레임
500 : 슬라이딩수단 501 : 가이드홈 502 : 가이드레일
503 : 가이드부재 504 : 가이드롤러 505 : 볼
506 :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00)와, 좌판부(200)와, 등받이부(300)가 프레임(400)에 고정되어서 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300)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다단의 벨트(301)가 설치되고, 좌판부(200)는 프레임(400)에 고정된 베이스판(201)과, 베이스판(201)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베이스판(201) 위에 얹혀지는 좌판(202)으로 구성되며, 좌판(202)과 베이스판(201)의 사이에는 좌판(202)이 베이스판(201)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500)이 개재되어 등받이부(300)에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한 상태로 좌판(202)을 베이스판(201)위에서 좌우 이동시켜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슬라이딩수단(500)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501)을 가지고 베이스판(201)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502)과, 가이드레일(502)의 가이드홈(501)에 얹혀져 가이드레일(502)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좌판(202)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503)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502)과 가이드부재(503)의 사이에는 각 부재(502)(503)가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이 개재되고, 가이드레일(502)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재(50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506)가 각각 구비된 것이다.
또한, 좌판(202)의 전면 중앙에는 다리 사이에 끼워져 다리의 허벅지 부위를 고정하는 다리고정대(208)가 설치되며, 다리고정대(208)에는 다리고정을 위한 벨트(209)가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레일(502), 가이드부재(503),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 스토퍼(506)의 구성은 좌판(202)이 베이스판(201)위에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이탈되지 않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가능한데,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가이드레일(502)을 단면상 "I"자형으로 구성하여 양측면에 가이드홈(501)이 각각 형성되게 하고, 가이드부재(503)는 가이드레일(502)의 상면을 감싸게 단면상 하방향으로 개방된 "??"자형으로 구성하며, 가이드부재(503)의 하부 내측으로 각각 가이드롤러(504)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가이드레일(502)의 가이드홈(501)에 얹어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가이드레일(502)을 단면상 "I"자형으로 구성하여 양측면에 가이드홈(501)이 각각 형성되게 하고, 가이드레일(502)의 상면에 다수의 볼(505)을회전은 가능하면서 이탈은 방지되게 구성하며, 가이드부재(503)는 그 하단부가 가이드레일(502)의 가이드홈(501)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하여 가이드레일(502) 상부에 위치한 볼(505) 위에 얹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고, 단면상 "??"자형의 가이드레일(502)을 2줄로 구성하여 개방부위가 바깥을 향하게 위치시키고, 가이드부재(503) 역시 가이드레일(502)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하되, 가이드부재(503)를 "??"자형으로 구성하여 내측방으로 개방되게 위치시키고, 가이드부재(503)의 내측에 가이드롤러(504)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가이드레일(502)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단면상 "??"자형의 가이드레일(502)을 각각 외측방으로 개방되게 위치시키고, 양측의 가이드부재(504)에 내측으로 각각 가이드롤러(504)를 설치하여 이 가이드롤러(504)가 가이드레일(502)의 가이드홈(501)에 얹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502)은 도 3과 같이 직선형 또는 중간부가 후면측으로 불룩한 만곡형으로 구성하게 되며, 다리부(100) 중 앞다리(101)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대각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등받이부(300)에 설치되는 다단의 벨트(301)는 양측으로 분할 구성하고, 벨트(301)의 각 단부에는 벨크로 매직 테이프(302), 잠금장치(303), 버클(304) 등을 구성하여 서로 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벨트(30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를 수납할 수 있도록 벨트케이스(305)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벨트케이스(305)는 벨트(301)를 자동으로 감아줄 수 있고 또 인출된 벨트(301)를 고정하여 길이를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관상 미려함 및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좌판(202)은 도 5와 같이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203)를 커버(204)에 내장하여 하드타입의 지지판(205)위에 고정하여서 되며, 동절기 보온을 위해 히터(206)를 내장하거나, 황토, 참숯, 맥반석,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체(207)를 내장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사용자가 좌판(202)에 착석한 후 사용자의 다리 허벅지부위를 벨트(209)를 통해 다리고정대(208)에 고정하고, 등받이부(300) 양쪽에 각각 위치된 벨트케이스(305)로부터 벨트(301)를 적정한 길이로 빼낸 후 벨트(30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고정된 양측의 벨트(301)를 그 단부의 벨크로 매직 테이프(302), 잠금장치(303), 버클(304) 등을 통해 서로 체결한 후 체결관계가 느슨하지 않게 벨트케이스(305)의 내부로 여분의 벨트(301)를 수납하고, 다시 벨트(30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면 벨트(301)와 사용자의 상체가 밀착되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체를 일지점에서만 고정할 경우 완벽한 상체고정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적어도 2군데 이상에서 고정하게 된다.
사용자의 다리와 상체가 완벽하게 고정되면 이때부터 허리 및 복부운동이 시작되는데, 사용자가 착석한 좌판(202)은 베이스판(201)에 얹혀져 있고, 베이스판(201)과 좌판(202)의 사이에는 좌판(202)이 좌우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수단(500)이 개재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체가 고정된 상태로 좌판(202)을 허리와 복부만을 사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수단(500)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501)을 가지고 베이스판(201)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502)과, 가이드레일(502)의 가이드홈(501)에 얹혀져 가이드레일(502)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좌판(202)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503)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502)과 가이드부재(503)의 사이에는 각 부재(502)(503)가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이 개재되고, 가이드레일(502)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재(50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506)가 각각 구비된 것이므로, 좌판(202)은 베이스판(201)에 고정된 가이드레일(502)에 얹혀져 좌우방향으로 원활히 가이드될 수 있으며,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에 의해 가이드부재(503)와 가이드레일(502)이 구름접촉하므로 좌판(202)의 좌우이동이 원활해지게 된다. 물론, 좌판(202)의 좌우이동시 허리 및 복부에 보다 많은 힘이 들어가도록 하려면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을 빼버리면 되지만 이럴 경우 금속대 금속간 마찰에 의해 좌판(202)의 좌우이동 자체가 어려워지게 되고 허리 및 복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될 것이므로 가이드부재(503)와 가이드레일(502)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504) 또는 볼(505)을 개재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 및 복부만을 사용하여 좌판(202)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사용자의 엉덩이와 다리가 상체와는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게 되므로 허리 및 복부의 근육이 압축 신장을 반복하면서 강한 힘으로 작용되고, 이러한 운동을 조금만 하여도 허리 및 복부에 굉장한 운동효과를 집중시킬수 있어 초기에는 운동을 조금만 하여도 허리 및 복부 근육이 뭉치고 뻐근해지며, 이를 반복할 경우 쉽게 빠지지 않는 허리 및 복부의 살을 어떠한 운동보다도 쉽게 뺄 수 있는 것으로, 가이드레일(502)이 직선형으로 구성될 경우 좌판(202)이 좌우로 직선운동하게 되어 정확하게 허리의 잘록한 부위를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502)이 만곡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좌판(202)이 좌우로 이동하면서도 전후로도 작용하여 허리 및 복부 전체를 운동할 수 있는 각각의 장점이 있어 사용자가 자신에 맞는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는 일상적인 업무나 공부를 할 때 의자로 활용하다가 수시로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할 수 있어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운동과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자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장소에 구애됨없이 별도의 운동기구없이도 지속적인 허리 및 복부 운동이 가능하여 다이어트에 있어 가장 고민거리인 허리 및 복부의 살을 빼기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의 좌판(202)에 히터(206)나 원적외선 방사체(207)를 구비할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원적외선 방사체(207)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운동에 의한 효과와 함께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상체를 등받이에 고정하고 다리는 이동가능한 좌판에 고정하여 허리 및 복부의 근육만을 사용하여 좌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인체 구조학적으로 상체를 곧추 세운 상태에서 엉덩이와 다리를 상체와 반대반향으로 동시에 움직였을 때 허리 및 복부의 근육에 가장 강한 힘이 작용되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서, 좌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엉덩이와 다리가 상체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허리 및 복부의 근육이 최대한 압축 신장을 반복할 수 있어 조그마한 운동에도 허리와 복부에 집중적인 운동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어트에 있어 가장 고민거리인 허리 및 복부의 살빼기에 유리하고, 이러한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를 일상에서 의자로 활용하다가 수시로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할 수 있어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좌판에 히터 또는 원적외선 방사체가 내장되어 있어 허리 및 복부운동효과와 함께 원적외선 방사를 통한 신체기능 활성화와 같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다리부와,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는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다단의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좌판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상기 베이스판 위에 얹혀지는 좌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판의 전면 중앙에는 다리사이에 끼워져 다리의 허벅지 부위를 고정하는 다리고정대를 설치하며;
    상기 좌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상기 좌판이 상기 베이스판위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에 얹혀져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상기 좌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각 부재가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롤러 또는 볼이 개재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직선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중간부가 후면 또는 전면측으로 불룩한 만곡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 중 앞다리는 대각방향으로 벌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KR2020020025053U 2002-08-22 2002-08-22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KR200295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053U KR200295428Y1 (ko) 2002-08-22 2002-08-22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053U KR200295428Y1 (ko) 2002-08-22 2002-08-22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804A Division KR20040017882A (ko) 2002-08-22 2002-08-22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428Y1 true KR200295428Y1 (ko) 2002-11-18

Family

ID=7308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053U KR200295428Y1 (ko) 2002-08-22 2002-08-22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46U (ko) * 2017-10-24 2019-05-03 손예지 기능성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46U (ko) * 2017-10-24 2019-05-03 손예지 기능성 의자
KR200489633Y1 (ko) * 2017-10-24 2019-10-01 손예지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70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US5100131A (en) Back muscle exercising and stretching apparatus
US7309305B2 (en) Apparatus for stretching hamstrings
CN208838984U (zh) 一种中风偏瘫康复护理器
KR101099047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CN103977533B (zh) 多功能水平电动滑行健身器
US20080294077A1 (en) Treatment Device for the Human Body
US9155674B2 (en) Chair utilizing self-weight traction
KR200295428Y1 (ko)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KR20040017882A (ko)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CN203852794U (zh) 多功能水平电动滑行健身器
KR20100000660U (ko)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US20200078656A1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KR200313524Y1 (ko) 허리 및 복부운동용 의자
CN218900721U (zh) 一种还阳卧辅助健身器材
KR102352271B1 (ko) 로잉머신
JP3205949U (ja) 姿勢矯正台及び姿勢矯正台とマットの組合せ
KR101982873B1 (ko) 엎드린 자세 운동 장치
KR200382970Y1 (ko) 옆구리 운동 기구
JP3220730U (ja) 腰痛改善用ストレッチベンチ
KR101099053B1 (ko) 재활운동기구용 시트
KR200275189Y1 (ko)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CN208958719U (zh) 一种体育运动用背部护理式按摩器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US20060142130A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hamst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