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84U -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 - Google Patents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84U
KR20190000784U KR2020190001051U KR20190001051U KR20190000784U KR 20190000784 U KR20190000784 U KR 20190000784U KR 2020190001051 U KR2020190001051 U KR 2020190001051U KR 20190001051 U KR20190001051 U KR 20190001051U KR 20190000784 U KR20190000784 U KR 20190000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lid
sample
sample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721Y1 (ko
Inventor
김재헌
Original Assignee
(주)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 filed Critical (주)한성
Priority to KR2020190001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2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02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or storing samples to be investigated and possibly directly transporting the samples to the measu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investigating radioactive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005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calibration techniques

Abstract

본 고안은 방사능을 측정하는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폐를 위한 속뚜껑의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완벽한 밀폐가 되도록 결합하여 측정을 위한 시료가 부패되거나 이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료가 보관되과 저면에서 검출기가 안착되는 안착돌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상단에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고 결합된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폐쇄되는 십자형상의 절개라인으로 개폐가 되는 개폐구가 형성된 속뚜껑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입되게 끼임결합되고, 하우징의 상단테두리에 겉뚜껑이 결합되어 이중구조로 밀폐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Sample container for gamma ray measurement}
본 고안은 하우징의 측정공간에 보관된 시료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속뚜껑과 겉뚜껑이 이중구조로 결합하여 방사능을 측정하는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폐를 위해 속뚜껑이 결합될 때 내부공기를 배출시켜 속뚜껑이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는 측정공간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보관된 시료의 외부공기 접촉을 방지하여 시료의 부패 및 발생되는 가스로 인한 주변오염을 방지토록 하여 정확한 방사능 측정이 가능토록 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시료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 핵종분석이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장비는 상당히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충격에 약하여 측정시료를 올려놓을 때 충격을 받거나 측정시료에 의해 오염되면 기저방사선이 증가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방사능 측정을 위하여 시료용기에 측정시료를 넣은 후에 랩을 싸서 밀봉시킨 후 검출기에 올려놓고 방사능 측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랩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완전한 밀봉이 불확실하여 시료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부패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내부의 측정공간 바닥면 중앙으로 검출기가 안착되도록 돌출된 안착돌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이중구조의 속뚜껑과 겉뚜껑을 사용하여 시료가 보관된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켜 완전히 차단하는 마리넬리 비이커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마리넬리 비이커는 하우징의 내벽으로 속뚜껑의 외벽이 밀착되어 내부로 속뚜껑이 삽입되도록 끼임결합되고, 하우징의 상단으로는 겉뚜껑이 가압에 의해걸림에 의해 단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우징의 내부에 속뚜껑을 끼임 결합할 경우에 측정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로 인하여 속뚜껑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속뚜껑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방사능을 측정하는 시료가 유체시료나 생체시료일 경우에는 속뚜껑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속뚜껑과 겉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고, 겉뚜껑이 완전히 밀폐로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보관된 시료가 미세공기에 노출되면서 부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부패된 시료로 인하여 방사능과 악취 등으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방사능의 성능시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방사능 측정시험의 신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시료가 보관되는 용기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덮개를 시밍(seaming) 결합으로 외부와 완전히 밀폐하여 시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선한 시료용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시료용기는 하우징과 덮개를 서로 시밍(seaming)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방사능 측정을 위한 과정으로 인해 측정이 상당히 불편하였고, 사용되는 도구가 시밍하는 과정에서 방사능에 오염됨에 따라서 시료용기와 같이 폐기시키거나 별도의 소독과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료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시료용기와 시료를 분리하여 각각 폐기처분해야 하지만, 시밍 결합된 시료용기의 하우징과 뚜껑의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롭고, 이러한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측정시료에 따라서 시료용기를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번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전혀 불가능한 것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120 (2017.02.15)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과 속뚜껑의 결합이 공기저항 없도록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면서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결합된 후에는 공기배출구멍이 자동으로 막혀져 측정공간을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도록 차단시켜 시료의 변질과 이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토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측정시료에 따라서 시료용기를 소독과정만을 통해서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부의 측정공간 바닥면 중앙으로 검출기가 안착되도록 내부로 돌출된 안착돌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결합되는 속뚜껑과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겉뚜껑으로 이루어진 시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에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끼임결합시에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고 결합된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폐쇄되는 십자형상의 절개라인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며, 하우징과 속뚜껑이 쉽게 결합되면서도 결합된 후에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시료측정을 위한 용기의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이에 따른 정확한 방사능 측정이 가능하여 측정의 신뢰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측정이 완료된 후에 폐기처분을 위한 용기와 시료의 분리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측정시료에 따라서 시료용기를 소독과정만으로 재사용을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속뚜껑이 결합되는 시료용기의 분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가 형성된 속뚜껑의 사시도.
도4는 도3에 대한 개폐구의 개폐작동도.
도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가 형성된 속뚜껑의 사시도.
도6은 도5에 대한 개폐구의 개폐작동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료용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서 내입되게 속뚜껑(20)과 겉뚜껑(30)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시료가 담아지는 측정공간(11)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된 안착돌부(12)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돌부(12)에 시료의 방사능을 측정하는 검출기가 내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속뚜껑(20)은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상향으로 직립된 측벽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속뚜껑(20)의 외경과 하우징(10)의 내경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속뚜껑(20)이 하우징(10)의 개구된 상단 방향에서 내측으로 내입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속뚜껑(20)의 측벽 외벽면과 하우징(10)의 내벽면이 밀착되어 밀착되어지면서 기밀성을 갖도록 끼임결합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하우징(10)의 상단테두리에 겉뚜껑(30)이 결합되어 이중구조로 밀폐가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겉뚜껑(30)은 상면과 상면의 테두리에 하단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겉뚜껑(30)의 내경과 하우징(10)의 외경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기밀유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단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테(10a)가 형성되고, 겉뚜껑(30)의 측벽 테두리에는 하우징(10)의 절곡테(10a)가 끼임결합되는 결합홈테(3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1과 도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21)가 형성된 속뚜껑(20)을 나타낸 것으로써, 하우징(10)의 내측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끼임결합 될 경우에 하우징(10) 내측의 측정공간(11)에 위치된 공기를 속뚜껑(20)이 끼임결합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여 속뚜껑(20)의 결합이 용이토록 하고 결합된 후에는 외부공기가 시료가 보관된 측정공간(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는 개폐구(21)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 개폐구(21)는 공기배출을 위한 개방과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밀폐시키도록 폐쇄하는 구조를 갖기 위하여 십자형상의 절개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속뚜껑(20)이 하우징(10)에 끼임결합시 기밀에 의해 내부압력이 발생되면서 절개라인으로 형성된 개폐구(21)가 벌어져 개방되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속뚜껑(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개폐구(21)가 원상태로 닫혀지면서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구(21)의 개폐작동을 위하여 속뚜껑(20)은 가능하면 유연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3과 도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21)가 형성된 속뚜껑(20)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개폐구(21)의 살두께를 속뚜껑(20)의 전체적인 살두께보다 얇은 살두께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개폐구(21)의 살두께가 얇게 형성됨에 따라서 탄성력이 향상되면서 속뚜껑(20)이 하우징(10)에 끼임결합에 의한 공기저항이 발생될 때 개폐구(21)의 더욱 쉽게 개방이 되고,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5와 도6은 개폐구(21)가 형성된 속뚜껑(30)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개폐구(21)를 유연하고 밀착력과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시에 이중사출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구(21)는 플라스틱 재질의 속뚜껑(20)과 서로 다른 재질이기 때문에 이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점착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내벽에는 끼임결합되는 속뚜껑(20)이 측정공간(11)으로 더 이상 내입되지 않도록 안착되는 단턱테(13)를 형성하여 상기 속뚜껑(20)의 결합이나 결합된 속뚜껑(20)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하우징 11: 측정공간
12: 안착돌부
20: 속뚜껑 21: 개폐구
30: 겉뚜껑

Claims (1)

  1. 내부의 측정공간(11) 바닥면 중앙으로 검출기가 안착되도록 내부로 돌출된 안착돌부(12)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결합되는 속뚜껑(20)과 하우징(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겉뚜껑(30)의 이루어진 시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20)는 유연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끼임 결합시에 내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결합된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폐쇄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완전하게 밀폐토록 하는 십자형상의 절개라인으로 형성된 개폐구(21)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구(21)는 속뚜껑(20)의 전체적인 살두께보다 얇은 살두께로 형성하여 공기저항에 의하여 자동의 개폐작동을 위한 탄성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내벽에는 속뚜껑(20)을 결합시에 더이상 내입되지 않도록 안착되는 단턱테(13)를 형성하여 속뚜껑(20)의 결합이나 분리가 용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
KR2020190001051U 2019-03-14 2019-03-14 감마선 측정용 시료용기 KR200491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1U KR200491721Y1 (ko) 2019-03-14 2019-03-14 감마선 측정용 시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1U KR200491721Y1 (ko) 2019-03-14 2019-03-14 감마선 측정용 시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664 Division 201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84U true KR20190000784U (ko) 2019-03-27
KR200491721Y1 KR200491721Y1 (ko) 2020-05-25

Family

ID=6589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51U KR200491721Y1 (ko) 2019-03-14 2019-03-14 감마선 측정용 시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60B1 (ko) * 2022-07-18 2022-09-15 대한민국 방사성 동위원소 분석용 시료 보관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료 보관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931Y1 (ko) * 1999-08-16 2000-02-15 한국전력공사 감마선측정용 게르마늄반도체 검출기 보호대
JP2013088408A (ja) * 2011-10-23 2013-05-13 Hisashi Aoyanagi 放射能測定用検体容器
KR200480487Y1 (ko) * 2014-12-05 2016-05-31 신예현 보관 용기
KR20170017120A (ko) 2015-08-05 2017-02-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931Y1 (ko) * 1999-08-16 2000-02-15 한국전력공사 감마선측정용 게르마늄반도체 검출기 보호대
JP2013088408A (ja) * 2011-10-23 2013-05-13 Hisashi Aoyanagi 放射能測定用検体容器
KR200480487Y1 (ko) * 2014-12-05 2016-05-31 신예현 보관 용기
KR20170017120A (ko) 2015-08-05 2017-02-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60B1 (ko) * 2022-07-18 2022-09-15 대한민국 방사성 동위원소 분석용 시료 보관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료 보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21Y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39081A (ja) 操作および表示器
US4248246A (en) Sampling needle protector
CN110446481B (zh) 用于对容纳在容器中的液体进行取样的装置、相关联的容器及该容器的用途
JP6294735B2 (ja) 試薬ボトル用キャップおよび試薬容器
US20130121878A1 (en) Reagent bottles, valves therefor, washing modul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reagents
JP6463383B2 (ja) 容器
US20050012281A1 (en) Inflatable seal
US7488453B2 (en) Reagent vessel cap and method for collecting reagent
KR20190000784U (ko) 감마선측정용 시료용기
US20200217817A1 (en) Sensing element for use with media-preserving storage and calibration chamber
US20220187239A1 (en) Sensor with rotatable sensor element and pressure equalization mechanism
US7371355B2 (en) Reagent vessel cap and method for shielding reagent from the air
WO2012100464A1 (zh) 一种快速检测装置
KR101738888B1 (ko)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US4094429A (en) Stopper for test tube, and the like
US8328042B2 (en) Vessel port configured for use with a glove bag
JP2008531995A (ja) 作動アクセスを有する生物学的試料容器キャップ
JP2005324832A (ja) 試薬容器のキャップ及び試薬の蒸発等の防止法
KR100750187B1 (ko) 액체통용 뚜껑의 가스배출장치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JP2004269038A (ja) 試料搬送用ジャグ
US4546897A (en) Inert atmosphere transfer vessel
KR101987714B1 (ko) 나사식 밀폐형 뚜껑을 적용한 감마선분광분석용 마리넬리 비이커
JP2007196306A (ja) アイソレータへの物品搬入方法
JP2022086498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