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21U - 보드 거치대 - Google Patents

보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21U
KR20190000721U KR2020170004827U KR20170004827U KR20190000721U KR 20190000721 U KR20190000721 U KR 20190000721U KR 2020170004827 U KR2020170004827 U KR 2020170004827U KR 20170004827 U KR20170004827 U KR 20170004827U KR 20190000721 U KR20190000721 U KR 20190000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vertical support
bolt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97Y1 (ko
Inventor
이선종
Original Assignee
선영화이트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영화이트보드(주) filed Critical 선영화이트보드(주)
Priority to KR2020170004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9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드(화이트보드, 블랙보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현한 보드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는,
일정 간격 이격 되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 되며, 하부에 캐스터가 구비된 받침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대;
보드가 안착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보드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보드고정편;
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는,
단면이 '
Figure utm00011
' 형상으로 일측면에는 보드받침부가 장착되도록 개구부 및 걸림단턱을 갖는 받침부삽입홀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높이조절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삽입홀의 내측면에는 보강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부가 위치한 수직지지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드받침부는,
상기 보드가 상면에 안착 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보드가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이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몸체;
상기 수직지지대의 걸림단턱에 걸리도록 받침부삽입홀에 내재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조임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대는,
단면이
Figure utm00012
형상으로 중앙에 일측 개구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보드고정핀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드 거치대{BOARD STAND}
본 고안은 보드(화이트보드, 블랙보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현한 보드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보드 거치대는, 주로 강의실,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큰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지지대, 수직지지대에 설치되어 보드를 지지하는 보드받침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보드 거치대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를 거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복잡하여 사용 상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현한 보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는,
일정 간격 이격 되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 되며, 하부에 캐스터가 구비된 받침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대;
보드가 안착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보드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보드고정편;
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는,
단면이 '
Figure utm00001
' 형상으로 일측면에는 보드받침부가 장착되도록 개구부 및 걸림단턱을 갖는 받침부삽입홀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높이조절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삽입홀의 내측면에는 보강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부가 위치한 수직지지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드받침부는,
상기 보드가 상면에 안착 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보드가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이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몸체;
상기 수직지지대의 걸림단턱에 걸리도록 받침부삽입홀에 내재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조임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대는,
단면이
Figure utm00002
형상으로 중앙에 일측 개구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보드고정핀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드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각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 지지대의 개념도.
도 5는 수직지지대, 높이조절대 및 보드받침부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수평지지대의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대 및 보드고정편의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보드받침부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도 4를 기준으로 스토퍼(511)의 방향을 전방, 고정볼트(15)의 방향을 후방, 조임볼트(514)의 방향을 좌방, 수직지지대(1)의 방향을 우방이라 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수직지지대(1), 수평지지대(2), 받침대(3), 높이조절대(4), 보드받침부(5), 보드고정편(6), 커버(7)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수직지지대(1)는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단면이
Figure utm00003
형상으로 일측면에는 보드받침부(5)가 장착되도록 개구부(111) 및 걸림단턱(112)을 갖는 받침부삽입홀(11)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높이조절대(4)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대삽입홀(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조절대삽입홀(12)의 내측면에는 보강살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부(13)가 위치한 수직지지대(1)에는 고정볼트(15)가 체결되는 체결홀(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4)은 수직지지대(1)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부연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지지대(1)가 상호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받침부삽입홀(11)의 개구부가 상호 대향 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수평지지대(2)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의 양측면 중앙에는 수직지지대(1)의 외측과 상기 받침부삽입홀(11)을 연결하도록 볼트공(16)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공(16)은 두 개가 상기 수직지지대(1)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두 볼트공(16) 중, 하부에 형성된 볼트공(16)의 하부 수직지지대(1)의 주변에는 상기 볼트공(16)과 마찬가지로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17)이 형성된다.
수평지지대(2)는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내부에 가이드홀(211)(도 6 참조)을 갖는 가로대(21)와 상기 가로대(21)의 가이드홀(2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되는 길이조절대(22)로 이루어져, 조임볼트(23) 및 너트(24)에 의해 고정되거나 해지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21)는,
단면이
Figure utm00004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23)의 나사부(231)가 지나는 개구부(212) 및 상기 조임볼트(23)의 머리부(232)가 걸리는 걸림단턱(21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대(22)는,
단면이
Figure utm00005
형상으로 중앙에 전사볼트(221)가 끼워져 고정 결합 되는 볼트고정공(222)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23)의 나사부(231)가 지나는 개구부(223) 및 상기 너트(2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단턱(224)을 갖는 너트삽입홀(22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대(22)는, 상기 가로대(21)의 가이드홀(211)의 양단부에 각각 한 개씩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23) 및 너트(24)도 상기 가로대(21)의 하부 양측단에 각각 한 개씩 끼워지는데, 상기 너트(24)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너트(24)가 상기 너트삽입홀(225)에서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대(22)의 전사볼트(23)가 상기 수직지지대(1)의 볼트공(16)에 결합되고 수직지지대(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사볼트(23)에 마감너트(2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1)가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사볼트(23)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두 개의 볼트공(16)에 각각 결합 되므로, 상기 수평지지대(2)는 자연스럽게 상하 방향으로 볼트공(16)의 상하 간격만큼 일정하게 이격 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대(1)에 결합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두 개의 길이조절대(22)를 각각 좌방 및 우방으로 필요한 만큼 가로대(21)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후, 상기 조임볼트(23)를 조이면, 조임볼트(23)가 상방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길이조절대(22)와 상기 가로대(21)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받침대(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 전단과 후단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결합요홈(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요홈(32)의 양측에 위치한 받침대(3) 부위에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결합공(17)과 대응하게 되는 좌우관통된 끼움공(3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볼트(34)가 상기 수직지지대(1)의 결합공(17) 및 상기 받침대(3)의 끼움공(33)에 체결됨으로써, 수직지지대(1)가 받침대(3)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3)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본 고안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높이조절대(4)는 ,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는데,
단면이
Figure utm00006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나사(42)가 체결되는 일측 개구된 체결홈(4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보드고정편(6)이 상기 체결홈(41)에 체결되는 나사(4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 되어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대(4)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조절대삽입홀(12)에 삽입되어 결합 되는데,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상기 높이조절대(4)를 조절대삽입홀(12)으로 부터 상방으로 노출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15)를 조임으로써, 높이조절대(4)가 상기 수직지지대(1)의 조절대삽입홀(12)에 고정 결합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대(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직지지대(1)의 전방에 형성된 조절대삽입홀(12) 또는 수직지지대(1)의 후방에 형성된 조절대삽입홀(12) 중 어느 한 곳에 설치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설치되는 보드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보드의 필기면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보드받침부(5)는 ,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가 안착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드받침부(5)는,
전단부에는 보드가 걸리는 스토퍼(5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조임볼트(514)가 삽입되는 연결공(512)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512)이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개구부(111)에 삽입되어 걸리는 끼움부(513)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몸체(51);
상기 수직지지대(1)의 걸림단턱(112)에 걸리도록 받침부삽입홀(11)에 내재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514)가 체결되는 조임공(52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2);
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513)의 폭은 상기 수직지지대(1)의 개구부(111)의 폭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513)가 상기 개구부(11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동시에, 상기 끼움부(513)가 상기 개구부(111)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몸체(51)를 필요한 부분에 위치시킨 후, 상기 조임볼트(514)를 조이면, 상기 조임볼트(514)가 상기 수직지지대(1)에 밀착하면서 보드받침부(5)가 수직지지대(1)에 견고하게 결합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것이다.
보드고정편(6)은 ,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대(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단부 중앙에서 중단부 중앙까지 절개된 나사걸림홈(611)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높이조절대(4)의 상단부에 높이조절대(4)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61);
상기 지지부(61)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62);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대(4)의 나사(42)가 상기 보드고정편(6)의 나사걸림홈(611)과 상기 높이조절대(4)의 체결홈(41)에 결합 됨으로써, 보드고정편(6)이 높이조절대(4)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보드의 상단면은 상기 보드고정편(6)의 지지부(61)의 하부면과 접하게 되고, 보드의 전단면 상부는 보드고정편(6)의 걸림부(62) 내측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커버(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의 상단부를 덮으면서 고정 결합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높이조절대(4)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공(7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커버(7)는,
상기 높이조절대(4)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1)의 두 조절대삽입홀(12)과 대응하는 대응공(71)이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의 각 모서리부에 상기 조절대삽입홀(12)의 내측에 접하며 끼워지는 고정핀(7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상기 수직지지대(1)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보드 거치대는 다양한 크기의 보드를 거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복잡하여 사용 상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보드가 거치 가능하며, 보드가 설치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보드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직지지대
11 ; 받침부삽입홀
111 ; 개구부
112 ; 걸림단턱
12 ; 조절대삽입홀
13 ; 보강살부
14 ; 체결홀
15 ; 고정볼트
16 ; 볼트공
17 ; 결합공
2 ; 수평지지대
21 ; 가로대
211 ; 가이드홀
212 ; 개구부
213 ; 걸림단턱
22 ; 길이조절대
221 ; 전사볼트
222 ; 볼트고정공
223 ; 개구부
224 ; 걸림단턱
225 ; 너트삽입홀
23 ; 조임볼트
24 ; 너트
25 ; 마감너트
3 ; 받침대
31 ; 캐스터
32 ; 결합요홈
33 ; 끼움공
34 ; 결합볼트
4 ; 높이조절대
41 ; 체결홈
42 ; 나사
5 ; 보드받침부
51 ; 받침부몸체
511 ; 스토퍼
512 ; 연결공
513 ; 끼움부
514 ; 조임볼트
52 ; 지지플레이트
521 ; 조임공
6 ; 보드고정편
61 ; 지지부
611 ; 나사걸림홈
62 ; 걸림부
7 ; 커버
71 ; 대응공
72 ; 고정핀

Claims (6)

  1. 일정 간격 이격 되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1);
    상기 수직지지대(1)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수평지지대(2);
    상기 수직지지대(1)의 하단부에 결합 되며, 하부에 캐스터(31)가 구비된 받침대(3);
    상기 수직지지대(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대(4);
    보드(8)가 안착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에 설치되는 보드받침부(5);
    상기 높이조절대(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보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보드고정편(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는,
    단면이 '
    Figure utm00007
    ' 형상으로 일측면에는 보드받침부(5)가 장착되도록 개구부(111) 및 걸림단턱(112)을 갖는 받침부삽입홀(11)이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높이조절대(4)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대삽입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삽입홀(12)의 내측면에는 보강살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부(13)가 위치한 수직지지대(1)에는 고정볼트(15)가 체결되는 체결홀(14)이 형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받침부(5)는,
    상기 보드(8)가 상면에 안착 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보드(8)가 걸리는 스토퍼(5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조임볼트(514)가 삽입되는 연결공(512)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512)이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지대(1)의 개구부(111)에 삽입되어 걸리는 끼움부(513)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몸체(51);
    상기 수직지지대(1)의 걸림단턱(112)에 걸리도록 받침부삽입홀(11)에 내재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514)가 체결되는 조임공(52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대(4)는,
    단면이 '
    Figure utm00008
    ' 형상으로 중앙에 나사(42)가 체결되는 일측 개구된 체결홈(4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보드고정편(6)이 상기 체결홈(41)에 체결되는 나사(4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2)는,
    내부에 가이드홀(211)을 갖는 가로대(21)와 상기 가로대(21)의 가이드홀(2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되는 길이조절대(22)로 이루어져, 조임볼트(23) 및 너트(24)에 의해 고정되거나 해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로대(21)는,
    단면이 '
    Figure utm00009
    '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23)의 나사부(231)가 지나는 개구부(212) 및 상기 조임볼트(23)의 머리부(232)가 걸리는 걸림단턱(21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대(22)는,
    단면이 '
    Figure utm00010
    '형상으로 중앙에 전사볼트(221)가 끼워져 고정 결합 되는 볼트고정공(222)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23)의 나사부(231)가 지나는 개구부(223) 및 상기 너트(2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단턱(224)을 갖는 너트삽입홀(225)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의 상단부를 덮으면서 고정 결합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높이조절대(4)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공(71)이 형성된 커버(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거치대.






KR2020170004827U 2017-09-12 2017-09-12 보드 거치대 KR200489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27U KR200489497Y1 (ko) 2017-09-12 2017-09-12 보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27U KR200489497Y1 (ko) 2017-09-12 2017-09-12 보드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21U true KR20190000721U (ko) 2019-03-20
KR200489497Y1 KR200489497Y1 (ko) 2019-06-26

Family

ID=6589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27U KR200489497Y1 (ko) 2017-09-12 2017-09-12 보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802A (ja) * 2020-08-27 2022-03-10 龍雄 邉 パーティション用パネルの支持装置及びパーティショ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5942U (ja) * 1984-01-30 1985-08-24 株式会社 昭文社 パネルスタンド
KR20100018151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00006318U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0473592Y1 (ko) * 2014-03-21 2014-07-11 오준석 화이트보드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5942U (ja) * 1984-01-30 1985-08-24 株式会社 昭文社 パネルスタンド
KR20100018151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00006318U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0473592Y1 (ko) * 2014-03-21 2014-07-11 오준석 화이트보드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802A (ja) * 2020-08-27 2022-03-10 龍雄 邉 パーティション用パネルの支持装置及びパーティ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97Y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US20070101908A1 (en) Bar counter attachable to balcony rails
KR200489497Y1 (ko) 보드 거치대
KR101809401B1 (ko) 시스템가구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200408294Y1 (ko) 독서대
JP3406048B2 (ja) テーブル、机等の組立構造
JP2006020921A (ja) 支持部材の取付装置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JP5720120B2 (ja) 木質系の組立式机
KR100903966B1 (ko) 선반 설치대
JP4558993B2 (ja) 机上への支杆の取付構造
WO2012063737A1 (ja) 間仕切構成体
JP2017055914A (ja) 脚構造体及び什器
KR101817891B1 (ko)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KR20170010952A (ko) 낚시대 받침장치
CN217039427U (zh) 一种可拆卸靠背组件及座椅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KR101000586B1 (ko) 낚시대 받침대용 고정구
CN218571698U (zh) 多功能组合户外桌
CN210979264U (zh) 一种挂墙式升降电视架
KR102491821B1 (ko)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JP3752840B2 (ja) 照明器具の支持構造
KR960009839Y1 (ko) 조립식 선반
JP3169044U (ja) カーテンレールの取付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