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18U - 화이트보드 스탠드 - Google Patents

화이트보드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318U
KR20100006318U KR2020080016529U KR20080016529U KR20100006318U KR 20100006318 U KR20100006318 U KR 20100006318U KR 2020080016529 U KR2020080016529 U KR 2020080016529U KR 20080016529 U KR20080016529 U KR 20080016529U KR 20100006318 U KR20100006318 U KR 20100006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iteboard
sliding plate
stan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371Y1 (ko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8001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7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WHITE BOARD)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보드를 별도의 도구나 공구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거치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는,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와,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화이트보드, 스탠드, 높이,

Description

화이트보드 스탠드 {STAND FOR WHITE BOARD}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WHITE BOARD)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보드를 별도의 도구나 공구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거치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이트보드(WHITE BOARD)는 그 표면에 합성수지판을 피복한 필기면이 형성되면서 유성마카펜과 같은 특수용 필기구를 사용하여 전달사항 등을 필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화이트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한 벽면에 못을 고정시키고 보드의 상단에 설치된 걸고리부를 못에 삽입시켜 걸게 됨으로써 일정한 장소의 벽면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벽면의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되면 화이트보드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사람은 화이트보드의 필기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흔히 별도의 받침대(의자 또는 책상)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게 된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이트보드의 높이를 낮게 설치하면 화이트보드의 필기면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는 있으나 뒷자리에 앉는 사람은 앞자리에 앉은 사람에 의해 시야가 가려 화이트보드의 하부측 내용을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화이트보드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화이트보드를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필기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 필기된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 등의 문제를 수반하기도 한다. 더불어 필기면의 하부측 내용을 바라볼 때 그 시야각이 하향으로 형성되면 필기 내용이 흐리게 전달되는 문제 또한 안고 있다.
상술한 종래 화이트보드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화이트보드의 거치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또한 용이한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이트보드가 경사지게 거치되는 받침 구조로 이루어지되 화이트보드의 하측은 단순 지지되고 상측은 스탠드에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손쉽고 견고하게 화이트보드를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화이트보드의 다양한 크기에 대처하여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는,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 및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 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에 형성되는 나사홀을 통해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을 전, 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회손잡이로 이루어진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다른 예는,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 내측면과 상기 종프레임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미끄럼판을 후방으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수평으로 놓여지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결합체;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 내측면과 면접하는 제2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화이트보드 스탠드에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가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 성되며, 전단부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종프레임의 전후방향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종프레임이 관통하는 경사지지부; 및상기 경사지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단에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된 경사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전단 중앙에는 상기 파지부에 대한 상기 경사지지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되도록 상, 하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프레임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 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종프레임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행프레임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단 사이,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 및 상기 평행프레임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의 좌, 우 각 일 측에는 받침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탠드의 편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화이트보드를 훨씬 수월하면서 신속하게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이트보드는 받침부에 걸쳐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하단부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안착되고 이후 화이트보드의 상단 일측을 고정부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후방으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손쉽고 신속한 화이트보드의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부의 직립상태가 종프레임, 종프레임의 지지부 및 횡프레임의 연결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받침부의 상, 하 위치조정, 종프레임의 길이 신축의 효과에 의해 화이트보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시킬 수 있는, 그리고 화이트보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또는 동일한 형상적 특징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1)는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와,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종프레임(110)은 지면에 직립하도록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즉 화이트보드(10)의 가로폭을 고려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종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직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 우 방향으로 경사지게(한 쌍의 종프레임(110)이 서로 상향으로 갈수록 좌, 우로 벌어지거나 혹은 모여지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종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종프레임(110)이 전, 후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게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지지부(120)의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횡프레임(130)은 한 쌍의 종프레임(110) 서로를 연결하도록 양 단이 좌, 우 종프레임(110)의 각 내측면에 고정된다. 횡프레임(130)은 하나가 구비되거나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가 구비되는 구체적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횡프레임(130)은 종프레임(110)에서 형성된 지지부(120)와 더불어 프레임부(100)가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지면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종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받침부(200)가 구비되면서, 거치되는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받침부(200)는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받쳐지게 한다. 받침부(200)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종프레임(110)의 상단에는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을 후방으로 당겨 종프레임(110)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전술한 받침부(200)에서 화이트보드(10)의 하단이 종프레임(110)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됨과 더불어 화이트보드(10)가 본 실시예의 스탠드(1)에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의 구체적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고정부(300)가 가이드판(310)과 미끄럼판(320) 및 회전체(330)를 포함 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가이드판(310)은 평판 형상이면서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되게 절곡된 가이드돌기(312)가 형성되며, 하면이 종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312)는 가로폭이 가이드판 몸체(311)의 가로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미끄럼판(320)은 가로폭이 대략 가이드판 몸체(311)의 가로폭에 대응되며, 미끄럼판 몸체(321)의 중앙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홈(321a)이 형성되어 여기에 가이드돌기(31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판(320)은 가이드돌기(312)가 절개홈(3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판 몸체(311)의 상면에 면접하여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판 몸체(321)의 전, 후 양단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322, 323)가 형성된다. 미끄럼판(320)의 전단 걸림부(322)는 그 내측면과 종프레임(110) 상단의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수용되며, 이 상태에서 미끄럼판(320)이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면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 밀착된다.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이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럼판(320)의 후방 이동이 좀 더 진행되면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보다 가압되어 화이트보드(10)가 유동없는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방 미끄럼 이동을 위한 수단에 의해 이동력이 작용하는 부위이다.
미끄럼 이동을 위한 수단의 구체적 일예로 볼트몸체(331)와 회전손잡이(332)로 이루어진 회전체(330)가 제시될 수 있다.
우선,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홀(3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몸체(331)는 이 나사홀(323a)을 통해 나사 결합되면서 그 끝단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나사홀(323a)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몸체(331)의 후방 쪽 단부에는 볼트몸체(33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332)가 결합된다.
회전손잡이(332)의 회전에 따라 볼트몸체(331)가 함께 회전하며, 볼트몸체(331)는 끝단이 종프레임(110) 후면에 닿아 지지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볼트몸체(331)가 나사결합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는 볼트몸체(331) 외주면의 나사산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미끄럼판(320)은 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회전체(330)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판(3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판(320)의 전단 걸림부(322)에 의해 화이트보드(10)의 상단 일측이 후방으로 당겨져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체(3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미끄럼판(3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화이트보드(10)의 밀착 고정이 해제된다.
이때, 미끄럼판(320)의 후방 이동에 의해 화이트보드(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가압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미끄럼판(320)의 상면을 가압하 면서 가이드판(310)에 결합되어 미끄럼판(320)의 희망하는 고정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350)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10)에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홈을 통해 볼트결합되는 볼트(351)와, 이 볼트(351)에 의해 미끄럼판(320)의 상면이 가압되게 하는 와셔(352)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0)의 다른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3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고정부(300)는 전술한 가이드판(310)과 미끄럼판(320)을 포함하면서 회전체(330)가 아닌 탄성수단(340)을 포함한다.
탄성수단(340)은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 내측면을 후방으로 밀어 미끄럼판(320)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며, 탄성수단(340)의 구체적 일 예로 코일스프링(341)과, 제1 및 제2 결합체(342, 343)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41)은 화이트보드(10) 상단의 가압 고정이 가능하도록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밀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한 탄성력을 보유한다.
코일스프링(341)은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며, 일단은 제1 결합체(342)에, 그리고 타단은 제2 결합체(343)에 결합된다.
제1 결합체(342)는 전면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후면 에는 코일스프링(341)의 일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돌기(342a)가 형성된다.
제2 결합체(343) 또한 전면에 코일스프링(341)의 타단부가 끼워질 수 있게 돌기(343a)가 형성되며, 후면은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의 내측면과 면접하도록 형성된다.
이 예에 의하면, 코일스프링(341)은 제1 결합체(342)를 통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결합체(343)를 통해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후방으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써 미끄럼판(320)은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이트보드(10)의 거치시 먼저 코일스프링(34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미끄럼판(320)의 후단 걸림부(323)를 전방으로 밀어 전단 걸림부(322)와 종프레임(110) 전면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으로 화이트보드(10)의 상단을 수용시킨 후 후단 걸림부(323)를 미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미끄럼판(320)의 후방 미끄럼 이동에 의한 화이트보드(10) 상단의 밀착 고정을 이뤄낼 수 있다.
화이트보드(10) 상단이 후방으로 밀착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미끄럼판(320)의 전, 후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경우에도 전술한 가압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0)의 또 다른 예로는 도 5에 도시된 고정부(3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고정부(300)는, 캡(360)과, 미끄럼판(320)과, 가이드 끼움 부(370)와, 탄성수단(340)이 포함된다.
캡(360)은 종프레임(110)의 상단에 씌워져 결합된다.
미끄럼판은 전술한 미끄럼판(320)과 동일한 부재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미끄럼판(320)은 캡(360)의 상면에서 전,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미끄럼판(3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끼움부(370)가 포함된다.
가이드 끼움부(370)는 캡(360)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361)을 통해 단부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끼움부(370)의 몸체(371)의 단부가 관통홀(361)에 결합되는 것이며, 결합방식의 일 예로 도 5에서는 가이드 끼움부 몸체(371)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360)의 관통홀(361)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 끼움부(370)의 몸체(371)의 외경은 미끄럼판(320)이 가이드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홈(321a)의 폭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몸체(371)의 상단에는 미끄럼판(3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압판(372)가 형성된다.
가압판(372)는 몸체(371)를 관통홀(361)에 결합시킬 때 파지하는 부분이 되기도 하며, 또한 미끄럼판(320)이 희망하는 위치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몸체(371)을 보다 더 회전시켜 결합하게 되면, 가압판(372)이 미끄럼판(320)의 상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캡(360)의 측부에는 전술한 탄성수단(340)이 구비된다.
탄성수단(340)의 구체적 예로, 전술한 코일스프링(341)과, 제2 결합체(343)를 포함하되, 코일스프링(341)의 일단부는 종프레임(110)의 후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캡(360)의 측부에 형성된 스프링홈(362)을 통해 이 스프링홈(362) 내측에서 돌출된 돌기(363a)에 끼워져 결합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도 6에서는 받침부(200)의 구체적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
화이트보드(10)는 스탠드(1)에 거치시 다소 경사지게, 구체적으로는 상단보다 하단이 전방으로 위치하여 뒤로 젖혀져 거치되는 것이 화이트보드(10)의 필기면 하부에 쓰여진 글씨까지 뚜렷이 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자의 필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아주 큰 강의실에서처럼 화이트보드(10)로부터 한참 떨어진 곳까지 수강생이 있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회의실, 상담실, 소형 강의실 등에서는 화이트보드(10)를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가 화이트보드(10)로부터 멀지 않으며, 이 경우 화이트보드(10)가 다소 경사지게 거치됨으로써 화이트보드(10)로부터 가까운 영역에서는 천장의 전등빛 등의 반사 경로가 바라보는 사람의 시야 범위를 벗어날 수 있게 되어, 화이트보드(10) 필기면에 기재된 내용의 가시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1)에 화이트보드(10)가 다소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되, 거치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하는 거치상태를 형성하도 록 받침부(200)가 제시된다.
받침부(200)는 종프레임(11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방 돌출 부위는 하방으로 다소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 부위에 화이트보드(10)의 하단부가 받쳐질 때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화이트보드(10)가 종프레임(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200)의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01)가 형성됨으로써 화이트보드(10)가 받침부(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받침부(20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10)와, 경사지지부(220)와, 경사받침부(230)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파지부(210)는 후술할 끼움돌기(211)의 끼움이나 끼움해제가 용이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경사지지부(220)는 파지부(21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서, 경사지지부(220)에는 종프레임(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221)의 좌우 폭은 종프레임(110)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는 적당한 폭으로 형성되며, 관통홀(221)의 전후 길이는 종프레임(110)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지지부(220)가 종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즉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면 관통홀(221)이 종프레임(110)의 전후 폭을 수용하고도 남는 여유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경사지지부(220)는 이 상태에서 전, 후로 유동공간을 갖게 된 다.
이때, 파지부(210)의 전단부 중앙에는 끼움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종프레임(110)의 후면에는 이 끼움돌기(211)에 대응하는 끼움홀(111)이 형성된다. 끼움돌기(211)는 파지부(210)에 대한 경사지지부(22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돌출되어 경사지지부(220)를 종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방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끼움홀(111)에 끼울 수 있으며, 끼운 상태에서 경사지지부(220)를 놓게 되면 경사지지부(220)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경사지지부(220)의 관통홀(221) 전방 부위가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걸쳐져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끼움돌기(211)를 끼움홀(111)에서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사지지부(22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한 여유공간을 확보한 후 후방 이동에 의해 끼움돌기(211)가 끼움홀(11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끼움홀(111)이 종프레임(110)의 후면에서 상, 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되면, 전술한 방식으로 원하는 상, 하 높이를 선택하여 받침부(2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화이트보드(10)의 다양한 크기에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프레임(110)이 하기에서 설명될 상부프레임(115) 및 하부프레임(116)으로 이루어져 서로 신축 자재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화이트보드(10)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용이해진다.
경사지지부(220)의 전단부에는 경사받침부(230)가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경사받침부(230)는 경사지지부(220)의 전단에서 전방으 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의 의미는,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경사받침부(230)의 하향 경사보다 더 하향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며, 종프레임(110)의 전면에 근접하는 경사지지부(220)의 전단 위치에서 종프레임(11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경사받침부(230)는 그 경사 범위가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범위 내에서 경사지지부(220)의 경사보다 더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음도 물론이고,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경사받침부(230)처럼 경사지지부(220)보다는 상향으로 경사지되 종프레임(110)의 전방으로는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 또한 포함한다.
그리고, 경사받침부(230)의 전단부에는 전술한 지지돌기(201)가 형성된다.
한편, 종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의 스탠드(1)에 화이트보드(10) 거치시 화이트보드(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프레임(115)과 하부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115)은 하부프레임(116)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부프레임(115)의 내측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길이방향에서의 희망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117)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17)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 임(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도시 생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 나사부재는 고정홀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끝단이 상부프레임(115)의 대응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스토퍼(117)의 또 다른 예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통해 끼워지는 끼움부재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끼움부재는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후, 상부프레임(115)의 대응 일측면에서 상, 하로 이격되는 다수의 대응홀에 끼워짐으로써 상부프레임(115)의 상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전술한 고정부(300)는 상부프레임(115)의 상단에 구비되며, 받침부(200)는 스토퍼(117)에 간섭하지 않는 하부프레임(116)의 일측에서 형성된다.
한편, 종프레임(110)은 지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게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지지부(120)의 구체적 일 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121)과 평행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121)은 종프레임(110)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형성되며, 평행프레임(122)은 경사프레임(121)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절곡 형성된다.
지면에 평행하면서 전, 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평행프레임(122)과, 이 평행프레임(122)의 전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경사프레임(121)에 의해 종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쓰러짐이 방지되면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평행프레임(122)의 하측에는 본 실시예의 스탠드(1)를 지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횡프레임(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가 구비될 수 도 있으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121)의 상단 사이,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 및 평행프레임(122)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세 개의 횡프레임(130)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스탠드(1)가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보다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프레임(121)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130)에는 그 좌, 우 각 일측에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다리(131)가 구비될 수 있다.
받침다리(131)의 구체적 일 예로는 일단이 횡프레임(130)에 고정되는 받침축(131a)과, 받침축(131a)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지면과 닿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원판 형상의 받침판(131b)으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컨대, 상술한 바에서는 본 고안이 화이트보드의 거치용도로 사용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칠판이나 광고판 등의 다양한 거치물의 거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이트보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화이트보드의 스탠드 10; 화이트보드
100; 프레임부 110; 종프레임
111; 끼움홀 115; 상부프레임
116; 하부프레임 117; 스토퍼
120; 지지부 121; 경사프레임
122; 평행프레임 123; 캐스터
130; 횡프레임 131; 받침다리
131a; 받침축 131b; 받침판
200; 받침부 201; 지지돌기
210; 파지부 211; 끼움돌기
220; 경사지지부 221; 관통홀
230; 경사받침부 300; 고정부
310; 가이드판 311; 가이드판 몸체
312; 가이드돌기 320; 미끄럼판
321; 미끄럼판 몸체 321a; 절개홈
322, 323; 걸림부 322; 전단 걸림부
323; 후단 걸림부 323a;나사홀
330; 회전체 331; 볼트몸체
332; 회전손잡이 350; 가압부재
351; 볼트 352; 와셔

Claims (6)

  1. 전, 후 방향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하단이 상기 종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쳐지게 하는 받침부; 및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화이트보드의 상단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 전면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전, 후 양단에 상향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전,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전, 후 양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후단 걸림부에 형성되는 나사홀을 통해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 회전 자재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을 전, 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회손잡이로 이루어진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가이드판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종프레임의 전후방향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종프레임이 관통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단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경사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의 전단 중앙에는 상기 파지부에 대한 상기 경사지지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종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되도록 상, 하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종프레임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상, 하로 미끄럼이동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종프레임의 하부 일측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횡프레임은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단 사이,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 및 상기 평행프레임의 후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평행프레임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구비되며,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횡프레임의 좌, 우 각 일측에는 받침다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20080016529U 2008-12-12 2008-12-12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0455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ko) 2008-12-12 2008-12-12 화이트보드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ko) 2008-12-12 2008-12-12 화이트보드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18U true KR20100006318U (ko) 2010-06-22
KR200455371Y1 KR200455371Y1 (ko) 2011-09-02

Family

ID=4445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29U KR200455371Y1 (ko) 2008-12-12 2008-12-12 화이트보드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26A1 (ko) * 2014-03-21 2015-09-24 오준석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190000721U (ko) * 2017-09-12 2019-03-20 선영화이트보드(주) 보드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77Y1 (ko) * 2003-10-01 2004-01-03 선영화이트보드(주) 칠판 고정용 거치대
KR100735839B1 (ko) 2006-06-23 2007-07-04 주식회사 퍼시스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이트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26A1 (ko) * 2014-03-21 2015-09-24 오준석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190000721U (ko) * 2017-09-12 2019-03-20 선영화이트보드(주) 보드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371Y1 (ko) 201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732B1 (en) Chair mountable desk apparatus
US6830292B1 (en) Table for a motor vehicle seat
US6454369B1 (en) Pull-out keyboard tray
KR101725394B1 (ko)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KR200455371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596010B1 (ko) 책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독서실책상
KR101539201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KR100832777B1 (ko) 휴대용 화이트 보드기능을 갖는 스크린
KR200397757Y1 (ko) 독서대를 가진 책상
JP6527387B2 (ja) メモ台付き椅子
KR102198928B1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KR200337577Y1 (ko) 칠판 고정용 거치대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KR200415288Y1 (ko) 키보드 수납 트레이
KR20220103419A (ko) 액자 받침대
KR200425779Y1 (ko) 간이 책 받침대
US20210393033A1 (en) Table shelf and easel system
KR200336922Y1 (ko)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JP6451952B2 (ja) 書見台
KR101642585B1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CN219940025U (zh) 一种学习课桌的桌面倾斜调整机构
KR102404800B1 (ko)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본체를 수납할 수 있는 받침대
JP6768028B2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CN210783390U (zh) 一种可调节高度和角度的电脑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