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98U -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 Google Patents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98U
KR20190000698U KR2020170004773U KR20170004773U KR20190000698U KR 20190000698 U KR20190000698 U KR 20190000698U KR 2020170004773 U KR2020170004773 U KR 2020170004773U KR 20170004773 U KR20170004773 U KR 20170004773U KR 20190000698 U KR20190000698 U KR 201900006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pper body
pin
lower body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64Y1 (ko
Inventor
한종환
Original Assignee
한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환 filed Critical 한종환
Priority to KR2020170004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6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금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이나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핀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핀이 결합되는 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부몸체의 단부와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헤드부가 이격되면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부재를 구비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TONGS WITH LOCKING STRUCTURE}
본 고안은 음식 등을 다룰 때 사용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이나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집거나 물건을 쥐어 일시적으로 운반하는 기구로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집게에 장착된 스프링은 즉시 반복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집게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는 방치된 상태에서 많은 부피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집게의 사용 상태에서는 벌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관하는 경우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다. 주방의 서랍 등의 수납 상태에서 이렇게 집게가 벌어지는 경우 서랍 내부에 걸려 서랍의 작동을 못하게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렇게 집게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보관 공간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801호는 종래기술의 조리용 집게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집게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테인레스로 가공된 집게본체(1)의 일측에 축(2)과 판스프링으로 설치하여 타단의 협지부(4)(4a)로 조리재료 또는 음식물 등을 집을수 있도록 된조리용 집게에서, 집게본체(1)의 축(2)에 인접한 양측면부(6)(6a)에 통공(3)을 천공하고, 이통공(3)에 상향절곡부(5)를 형성한 괘지봉(7)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삽입시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집게본체(1)를 손으로 잡고 협지부(4)(4a) 측면을 눌러 조리재료나 음식물등을 집어 사용할수 있고, 이때 협지부(4)(4a)는 그 타단의 축(2)과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항상 벌어져 있게 된다.
보관할 때에는 집게본체(1)의 양측면부(6)(6a)의 통공(3)에 회동자재하게 괘지봉(7)을 앞으로 제끼면 괘지봉(7)의 선단 상향절곡부(5)가 집게본체(1)의 상면에 닿으면서 측면을 괘지하므로 집게본체(1)의 협지부(4)(4a)가 벌어지지 못하고 도시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적은 부피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보관시 물품들과의 간섭 등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잠금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판스프링 등의 탄성복원력에 저항하여 회동측 측에서 그 벌어짐을 지지하여야 하는데 부하가 크기 때문에 내구성에서도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간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되 잠금상태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여 본 고안은, 커버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100), 상기 상부몸체와 핀(4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커버부 내측에 배치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몸체(200), 상기 핀에 결합되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장착홈부에 지지되는 스프링(420), 전방이 개방되어 핀이 삽입되는 개방부에 의하여 상하로 배치되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슬릿부에 의하여 좌우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각각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가 형성된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로 이루어지는 바디부(320)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헤드부(310)를 구비하는 록킹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헤드부가 커버부와 인접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고, 후방돌기가 커버부와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걸림되어 인출된 상태에서는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동상 신뢰성과 편리성이 보장된다.
상기 개방부는 핀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하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대해 변형하여 대응하고, 상기 슬릿부는 스프링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좌우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대해 변형하여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헤드부를 연결하고 바디부와 헤드부보다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작은 연장부(3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는, 연장부와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높이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사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돌기는 전방돌기보다 전후방향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는, 커버부와 밀착되는 접촉면부의 전방에서 바라본 외곽이 커버부의 외곽에 대응되는 것이 미관 및 작동의 확실한 확인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라, 록킹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의 결합을 통하여 쉽게 회동 잠금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이는 보관시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편리성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가 개방부와 슬릿부를 구비하여 스프링과 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하 및 좌우로 분리되는 바디부에서 상하 및 좌우로 편심되는 힘에 대응할 수 있어 내구성과 사용상 편리성에도 기여하게 되며, 전방돌기와 후방돌기는 마찰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정확한 수평방향의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고 정확한 록킹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조리용 집게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하부몸체와 록킹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록킹부재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록킹부재를 상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핀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핀이 결합되는 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부몸체의 단부와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헤드부가 이격되면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록킹부재를 구비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를 제공한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는 후방측에서 상호 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반대방향에서 음식물 등을 잡을 수 있도록 그립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록킹부재가 적용되는 집게가 잡을 수 있는 대상은 음식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용도의 집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 핀이 결합되는 부위를 후방으로, 그립부가 배치되는 부위를 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는 일반적인 집게와 같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그립부를 구비하여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집을 수 있도록 서로 회동된다. 이러한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후방측에는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핀(410)이 배치되며, 상기 핀(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핀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핀(410)은 일측에서 삽입시 압입된 상태에서 커버부(110)의 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른 부위보다 일측 단부의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410)의 배치되는 위치에서는 록킹부재(300)가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후방측으로 인입출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록킹부재(300)는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회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록킹부재(300)가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 측으로 삽입되면 회동을 허용하여 대상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후방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선느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 회동을 제한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상부몸체(100)의 후방측에는 커버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10)는 하부몸체(200)의 후방측을 양측으로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와 커버부(110)에 의하여 덮이는 하부몸체(200)의 부위에는 록킹부재(300)가 작동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300)의 노출된 부위인 헤드부위는 커버부(110)의 후방 단부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됨으로써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회동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하부몸체와 록킹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는 상부몸체(100)를 제거하고 하부몸체(200)와 록킹부재(300)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몸체(200)의 후방측에는 수용부(210)가 형성되어 핀(410)과 스프링(420) 및 록킹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상부몸체(100)의 커버부(110) 내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커버부(110) 내부 구조는 하부몸체(200)의 수용부(210)의 설명으로서 대체하도록 한다.
하부몸체(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에 그립부(201)를 구비하며 상기 그립부(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을 향상할 수 있는 돌기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거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부(210)는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방 및 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부몸체(100)의 커버부(110)는 이러한 수용부(21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수용부(210)에는 핀(410)이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소정의 삽입홀(참조번호 미표시)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0)에는 스프링(420)이 배치되어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20)의 경우 핀(410)에 일부가 권취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측이 수용부(2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부(2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핀(410)과 스프링(420)을 사이에 두고 록킹부재(300)가 배치되며, 록킹부재(300)는 핀을 상하방향의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동되면서 회동의 허용 및 제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록킹부재(300)는 후방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헤드부(310)와, 수용부(210)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는 바디부(3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용부(210)와 바디부(320)의 연결부위에서는 잠금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상호 힘을 받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얇은 연장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되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록킹부재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록킹부재(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부(310)와 바디부(320)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연장부(33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장부(330)는 헤드부(310) 및 바디부(320)보다 상하방향으로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디부(320)에서 연장부(330)로 연결되는 부위도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320)는 후방측이 상하방향에서 각각 연장부(330)로 이어지는 사면부(325)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헤드부(310)를 당김에 따라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로부터 인출되면 회동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가 벌어지게 되면 무리한 힘에 의하여 각 단부 또는 록킹부재(300)의 부위에 부하가 발생하고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320)의 후방 단부측의 경사 구조인 사면부(325)와 연장부(330)의 두께는 완전히 록킹부재(30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을 허용하면서 경사진 모양으로 인하여 다시 록킹부재(300)가 수용부(210) 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면부(325)는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후 후단측이 상호 인접되는 공간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31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른 부위보다 정면상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부(110)의 단부측에 접촉되는 접촉면부(312)와, 와이어 등이 삽입되어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관통홀(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부(312)는 대략 커버부(110)의 후방 외곽과 대응되는 외곽을 가지는 것이 집게의 사용 상태에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디부(320)는 후방측으로부터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로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바디(320a)의 하측바디(320b)의 사이에는 개방부(324)가 형성되어 핀(410)이 삽입되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방부(324)의 전방이 완전하게 개방되는데 이에 따라 집게의 구조 결합시 핀(410) 및 스프링(420)의 삽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는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구조는 전방의 전방돌기(321)와 후방의 후방돌기(322)로 구분해볼 수 있다. 상기 돌출구조가 단일의 돌기로서 형성되는 경우 록킹부재(300)의 슬라이딩 이동시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가 있는 힘을 받게 되면 인출 동작에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파손의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마찰력을 저감하되 수평방향으로의 인입출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된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의 상호 이격된 구조는 상하방향의 편심된 힘을 받을 때 소정의 탄성력 및 변형에 의하여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돌기(322)는 수용부(210) 및 커버부(110)의 내측에서 인출되는 한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는 각각 양측으로 분리되어 폭방향 중심측에 슬릿부(32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바디부(32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및 좌우로 분리된 네 개의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지는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슬릿부(323)는 스프링(42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편심된 하중을 받았을 때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개방부(324)의 구조 및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로 인하여 안정적인 슬라이딩 가이드는 물론 탄성 변형이 일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작동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의 사이의 공간은 마찰력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록킹부재(300) 인출시 커버부(110)와 수용부(210)에 구비되는 돌출부(미도시)가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상기 후방돌기(322)의 전후방향 두께는 전방돌기(32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림과 해제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개념에 따라 후방돌기(322)의 후단측은 스토퍼부에 걸림되고 전단측은 돌출부에 걸림될 수 있어 확실한 잠금상태의 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부(324)의 후방측에서는 그 일부가 채워진 형태로서 걸림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6)는 스프링(420)과 핀(410)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걸림부(326)는 스프링(420)과 핀(410)의 결합시에도 안정적으로 후방을 지지하여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6)는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되며, 후방돌기(322)가 수용부(210) 및 커버부(110)의 스토퍼부에 걸림되는 위치를 고려하면 걸림부(326)의 전단이 후방돌기(322)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에서 록킹부재를 상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320)는 슬릿부(323)에 의하여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스프링(42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헤드부(310)의 접촉면부(312)는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버부(110)의 후방 단부측과 밀착되어 잠금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개방부(324)는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를 이격하여 핀(410) 및/또는 스프링이 삽입되고 상대적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슬릿부(323)는 좌우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대략 폭방향 중심측을 기준으로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며, 핀(410)에 스프링(420)이 연결되어 상하 단부측에 장착홈부(220)에 지지되어 있다.
헤드부(310)는 수용부(210)와 커버부(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서 후방으로 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면부(312)가 커버부(110) 및 수용부(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연장부(330)가 노출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는 수용부(210)와 커버부(110)의 내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록킹부재(300)가 완전히 잠금위치로 인출되면 더이상의 인출 및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커버부(110)와 수용부(210)의 후방측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12)는 후방돌기(322)가 걸림되어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0)의 커버부(110)는 하부몸체(200)의 수용부(210)를 덮도록 배치되어 장착홈부와 스토퍼부(112)를 구비하게 되는데, 록킹부재(300) 커버부(110)에 인접 또는 밀착되어 잠금 해제상태로 위치되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110)는 수용부(210)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고 록킹부재(300)의 연장부(330)는 상하방향으로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단부측이 인접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이와 같이 집게가 벌어지는 상태에서 커버부(110)와 수용부(210) 및 록킹부재(30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수용부(210)는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대략 핀(410)이 배치되는 후방측에서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는 록킹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의 결합을 통하여 쉽게 회동 잠금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이는 보관시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키고 편리성으로 이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록킹부재가 개방부와 슬릿부를 구비하여 스프링과 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하 및 좌우로 분리되는 바디부에서 상하 및 좌우로 편심되는 힘에 대응할 수 있어 내구성과 사용상 편리성에도 기여하게 되며, 전방돌기와 후방돌기는 마찰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정확한 수평방향의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고 정확한 록킹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상부몸체 110...커버부
111, 211...가이드면부 112, 212...스토퍼부
200...하부몸체 201...그립부
210...수용부 300...록킹부재
310...헤드부 311...관통홀
312...접촉면부 320...바디부
320a...상측바디 320b...하측바디
321...전방돌기 322...후방돌기
323...슬릿부 324...개방부
325...사면부 326...걸림부
330...연장부 410...핀
420...스프링

Claims (5)

  1. 커버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100);
    상기 상부몸체와 핀(4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커버부 내측에 배치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몸체(200);
    상기 핀에 결합되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 형성되는 장착홈부에 지지되는 스프링(420);
    전방이 개방되어 핀이 삽입되는 개방부에 의하여 상하로 배치되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슬릿부에 의하여 좌우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각각 전방돌기(321)와 후방돌기(322)가 형성된 상측바디(320a)와 하측바디(320b)로 이루어지는 바디부(320)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헤드부(310)를 구비하는 록킹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헤드부가 커버부와 인접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고, 후방돌기가 커버부와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걸림되어 인출된 상태에서는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핀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하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대해 변형하여 대응하고,
    상기 슬릿부는,
    스프링이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좌우방향으로의 편심하중에 대해 변형하여 대응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헤드부를 연결하고 바디부와 헤드부보다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작은 연장부(3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는,
    연장부와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높이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사면부가 형성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돌기는,
    전방돌기보다 전후방향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커버부와 밀착되는 접촉면부의 전방에서 바라본 외곽이 커버부의 외곽에 대응되는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KR2020170004773U 2017-09-08 2017-09-08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KR200488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73U KR200488864Y1 (ko) 2017-09-08 2017-09-08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73U KR200488864Y1 (ko) 2017-09-08 2017-09-08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98U true KR20190000698U (ko) 2019-03-19
KR200488864Y1 KR200488864Y1 (ko) 2019-03-29

Family

ID=6589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73U KR200488864Y1 (ko) 2017-09-08 2017-09-08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34Y1 (ko) * 2019-10-08 2020-07-23 한종환 낚시용 집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756A (en) 1992-02-27 1993-04-06 Edlund Company, Inc. Locking tongs
KR200183395Y1 (ko) 1999-11-29 2000-07-01 최춘영 집게의 시건 장치
KR200180146Y1 (ko) 1999-12-01 2000-04-15 김안식 집게
CN100522030C (zh) 2002-10-31 2009-08-05 布朗公司 可以锁定的夹具
US7261348B1 (en) 2006-03-21 2007-08-28 Brian Fried Tongs with adjustable jaw spacing
WO2011100231A2 (en) 2010-02-09 2011-08-18 Chef'n Corporation Locking tongs
KR101450725B1 (ko) * 2013-11-29 2014-10-16 서우석 주방용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64Y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682B2 (en) Storage case having cover of two slidably-related portions
CN102616452B (zh) 具有锁扣的容器
US20080030946A1 (en) Drawable tray assembly
CN210712276U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熨烫设备
KR200488864Y1 (ko)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TWM560502U (zh) 具鎖制功能的搭扣結構
JP5653989B2 (ja) テーブル
TWI656275B (zh) Buckle structure with lock function
JP5788741B2 (ja) フック装置
KR101596210B1 (ko)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US6923126B2 (en) Drop leaf support apparatus
KR200492034Y1 (ko) 낚시용 집게
JP3759477B2 (ja) 綴じ具
JP3157928U (ja) 連結具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US7815080B2 (en) Releasably lockable pinch grip hanger
WO2023193617A1 (zh) 一种可堆叠的储物箱组合
JP2019208588A (ja) スライドハンガー
KR200487976Y1 (ko) 포켓 슬라이딩도어용 손잡이
JP5890625B2 (ja) 掛止装置
JP5145572B2 (ja) 収納ケース
WO2023193306A1 (zh) 用于容器的锁扣机构及其储物箱、储物箱组合
JP6886709B2 (ja) 収納容器のロック構造
KR101303960B1 (ko) 착탈식 손잡이
JPH0610887Y2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