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28A -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28A
KR20190000228A KR1020170079305A KR20170079305A KR20190000228A KR 20190000228 A KR20190000228 A KR 20190000228A KR 1020170079305 A KR1020170079305 A KR 1020170079305A KR 20170079305 A KR20170079305 A KR 20170079305A KR 20190000228 A KR20190000228 A KR 2019000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ser beam
unit
communicati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848B1 (ko
Inventor
성용하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8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06K9/00798
    • G06K9/008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주변으로의 도움 요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DRIVER ASSISTANCE APPARATUS USING LASER LAMP}
본 발명은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주변으로의 도움 요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램프가 구비된다.
예컨대 차량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헤드램프가 구비된다.
최근 차량용 램프 장치에서 에너지 효율이 좋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특히 직진성이 우수하여 조사 가능한 거리가 길고, 마주 오는 차량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광은 그 강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차량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정해진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조사가 되는 경우 주변 보행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의 차량에는 사용자(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차량용 헤드램프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용 헤드램프 구현 기술 중 ADB(Adaptive Driving Beam) 기능은, 운전 중 필요한 하이 빔(High Beam)을 출력할 때, 대항 차에 눈부심 문제없이 작동하여 운전자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77722호(2016.07.04. 공개, 차량용 램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주변으로의 도움 요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을 검출하는 차선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및 외부의 조도를 각기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멈춰 있는 방향, 방위, 및 자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의 크기 및 사운드 수신 방향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근처에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신호의 파워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휴대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기 지정된 날씨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기 지정된 지도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지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램프를 각기 구동하고 레이저 램프의 출력을 각기 조정하는 레이저 램프 구동부; 차량의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적어도 한 가지 색상 이상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램프; 상기 레이저 램프가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방향이나 각도를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패턴으로 상기 레이저 램프의 자세를 조정하여 지정된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가 레이저 빔으로 출력되게 하는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 상기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를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패턴을 저장하는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제공 서버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조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날씨 및 시간대를 체크하고,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느리게 주행하면서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 주차하는지 체크하고, 상기 자세 검출부, 상기 차속 검출부, 및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로부터 차량 사고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차량 사고를 판단하고,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을 경우 운전자의 접근을 체크하며, 상기 체크되거나 판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램프를 제어하여 지정된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제공 서버를 통하거나 상기 조도 검출부를 통해 직접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실시간 조도 및 날씨를 체크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에 대한 선명도를 미리 실험을 통해 데이터화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상기 체크한 실시간 조도 및 날씨에 따른,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의 선명도를 미리 저장해 둔 선명도 기준과 비교하여 기준 이상이 아니면,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차선을 출력함과 아울러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방향 표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검출부를 통해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를 검출하며,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 또는 상기 차선 검출부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장애물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장애물에 대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며,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보다 느리게 주행하는지 체크하여 상기 차량이 느리게 주행할 경우, 해당 주행 방향의 차량 끝에서 기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해 지정된 색상과 모양의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를 차량의 폭보다 기 지정된 길이만큼 좌/우 양측 방향으로 더 길게 출력하며, 상기 차량 주행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출력하는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의 길이를 조절하되,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의 길이를 점차 줄여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 상기 차속 검출부, 및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에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였는지 체크하고, 아무런 충격이 발생하지 않더라고 주행 중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지 체크하고, 차량에 충격이 발생된 후 차량의 자세가 바뀌거나 전복되었는지 체크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체크하고, 상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이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이용해 구호요청 이미지를 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향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검출부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사운드가 있을 경우, 사운드 수신 방향을 검출하여 사고 현장으로 누군가가 접근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운드가 수신된 방향을 향하여 기 지정된 각도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사운드 수신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사운드 수신 크기가 증가할수록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조정하되,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사운드 수신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크게 하여 차량에서 먼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고,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사운드 수신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작게 하여 차량에서 가까운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을 경우에 차량 주변에 대한 통신 스캔을 수행하고, 기 지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기 지정된 ID의 휴대 단말기를 검출하며, 상기 통신 스캔을 통해 기 지정된 ID의 휴대 단말기가 검출되면, 기 지정된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휴대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통신 거리에 따라 레이저 빔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의 출력을 조정하며, 상기 통신 스캔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와 기 지정된 적어도 한 가지 종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연결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주차 상태는, 차량을 주차시킨 후 사용자가 차량에서 멀어져 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주변으로의 도움 요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주차 시 보조정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차량 사고 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주차 시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는, 차선 검출부(110), 전후방 영상 촬영부(120), 조도 검출부(130), 자세 검출부(140), 차속 검출부(150), 사운드 검출부(160), 제어부(170), 통신부(180), 레이저 램프 구동부(190), 레이저 램프(200),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 및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차선 검출부(110)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또는 차로)을 검출하는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선 검출 센서(예 : 카메라,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를 이용하여 차선(또는 차로)을 검출한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를 통한 차선 검출 방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방식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한 차선 검출 방식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선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상기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한 방식을 조합할 경우 차선을 더욱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을 포함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어부(170)는 주시방향(또는 차량 주행방향)을 촬영하여 사물(또는 장애물)(예 : 보행자, 장애물, 차량, 차선, 유모차, 자전거 등)의 영상을 획득한다. 아울러 상기 사물(또는 장애물)이 차량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의 유리창(윈드실드)을 통해 운전자 및 보조 탑승자의 위치와 탑승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는 FIR(Far Infra Red) 카메라, 레이저 투사 방식의 카메라, 및/또는 CMOS 카메라(또는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MOS 카메라(또는 CCD 카메라)는 가시광 영역의 빛을 감지하여 투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FIR 카메라는 사람이 보지 못하는 적외선 대역의 빛을 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특히 FIR 대역은 온도에 따라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온도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반사체의 위치좌표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센서로서, 주시방향(또는 차량 주행방향)에 있는 사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사물(또는 장애물)(예 : 보행자, 장애물, 차량, 차선, 유모차, 자전거 등)과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으며, 차선 검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도 검출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및 외부의 조도를 각기 검출한다.
상기 조도 검출부(140)를 통해 검출된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 주변의 날씨(예 : 흐림, 맑음 등) 및 시간대(예 : 낮, 저녁 등)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검출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세 검출 센서(예 :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멈춰 있는 방향, 방위, 및 자세(예 : 기울어짐, 뒤집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한다.
상기 차속 검출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속 센서(예 ; 리드 스위치식 차속 센서, 광전식 차속 센서, 전자식 차속 센서 등)로부터 직접 차속을 검출하거나, 차량에 설치된 전자 제어 유니트(ECU :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속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검출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검출 센서(예 : 마이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의 크기 및 사운드 수신 방향을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사운드 검출부(160)는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경적,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사운드, 외치는 소리, 및 동물의 울음소리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지정된 레벨 이상의 사운드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사운드 검출부(160)는 차량의 6방향(예 : 전, 후, 좌, 우, 상, 하)에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수신되는 사운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검출부(160)가 판단하는 사운드 수신 방향은, 차량이 정상적인 자세(예 : 4바퀴가 지면상에 부착된 자세)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자세(예 : 사고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어 4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자세)인지에 따라 해당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자세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정보(예 : 방향, 방위, 및 자세(예 : 기울어짐, 뒤집힘 등) 등)에 기초하여 사운드 수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자차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근처에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3G, 4G, 5G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이동통신기지국(미도시)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기지국(미도시)을 통해 제공하는 운전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개별적으로 처리된 신호(예 : WiFi 신호)의 파워(Power)(예 : RSSI)를 이용하여 운전자(또는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예 :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로부터 차량(자차)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80)는 기 지정된 서버(예 : 날씨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기 지정된 서버(예 : 지도정보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지도 정보(또는 도로 정보, 지역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램프 구동부(190)는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램프를 각기 구동한다. 상기 레이저 램프 구동부(1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램프의 출력을 각기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램프(200)는 상기 레이저 램프 구동부(190)에 의해 구동되어 레이저 빔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 램프(200)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한 가지 색상(예 : 빨, 노, 파) 이상의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램프(20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헤드램프(또는 후방램프)에 통합하여 장착되거나, 별도의 수단(예 : 차량의 후방 카메라, 전후방 블랙박스와 같이 차량에 내장되지 않고 장착되는 수단)으로서 독립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는 상기 레이저 램프(200)가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방향을 조정한다. 예컨대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는 액추에이터(예 :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각도(상,하,좌,우 각도)나 방향을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는 상기 액추에이터(예 : 모터)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기어(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기구적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패턴(예 : 자세 조정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패턴)으로 상기 레이저 램프(200)의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램프(200)에서 출력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지정된 특정 이미지(예 : 방향 표시 이미지, 차선, 라인, 구호요청 이미지 등)나 텍스트가 출력되게 한다.
상기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220)는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를 통해 상기 레이저 램프(200)의 자세 조정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하여 레이저 빔에 의해 지정된 특정 이미지(예 : 방향 표시 이미지, 차선, 라인, 구호요청 이미지 등)나 텍스트가 출력되게 하기 위한 패턴(예 : 모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패턴)을 저장한다.
즉, 상기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220)에는 레이저 빔으로 출력할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 그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를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210)를 제어하기 위한 패턴(예 :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등)을 저장하는 것임에 유의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구성 수단(110 ~ 220)을 제어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 주변의 실시간 조도 및 날씨를 체크한다(S101).
상기 실시간 조도 및 날씨는,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기 설정된 서버(예 : 날씨 제공 서버)를 통해 수신하거나, 상기 조도 검출부(130)를 통해 직접 검출하여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도는 야간(저녁)인 경우에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고 장애물 감지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체크하는 것이며, 상기 날씨는 흐린(예 : 눈, 비, 구름 등) 날씨인 경우에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고 장애물 감지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조도 및 날씨에 따라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의 선명도에 차이가 있다. 물론 운전자의 시력에 따라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를 인식하는 정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에 대한 선명도를 정량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의 선명도를 미리 실험을 통해 데이터화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S101 단계에서 체크한 실시간 조도 및 날씨에 따른,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의 선명도를 미리 저장해 둔 기준(즉, 선명도 기준)과 비교하여 기준 이상이 아니면(즉, 어둡거나 흐린 날씨에 의해 선명도가 기준 보다 떨어지면)(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70)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차선을 출력한다(S103)(도 3 참조).
이때 상기 전후방 차선은 상기 차선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차선을 출력하던 중 방향 표시 이미지(또는 차량 방지턱 이미지, 횡단보도 이미지 등)가 있을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방향 표시 이미지를 출력한다(S104)(도 3 참조).
이때 상기 방향 표시 이미지(또는 차량 방지턱 이미지, 횡단보도 이미지 등)가 있는 위치는,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지도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또는 차량 방지턱 이미지, 횡단보도 이미지 등)는 가능한 한 차로에 그려진 실제 차선과 실제 방향 표시 이미지와 동일한 위치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차피 선명도가 기준 보다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위치에 오차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한 더 선명한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또는 차량 방지턱 이미지, 횡단보도 이미지 등)는 차량(자차)의 전방에만 출력할 수도 있고, 차량(자차)의 후방에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는 후방에 차선 이미지와 방향 표시 이미지를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출력할 경우, 오히려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는 선택적으로(예 : 전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서로 알고 있는 경우)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주차 시 보조정보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예 : 10km/h) 보다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하는지 체크한다(S201).
상기와 같이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하는 것은 해당 주행 방향(예 : 전방, 후방)에 장애물이 있어서 주의해서 운전해야 할 경우이다. 통상적으로는 장애물(예 : 벽, 이미 주차되어 있는 상대 차량 등)이 있는 장소에 주차를 할 때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차속 검출부(150)를 통해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120)를 통해 장애물을 검출하거나, 상기 차선 검출부(11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센서(예 : 초음파 센서 등)를 이용해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120)나 상기 센서(예 : 초음파 센서 등)를 이용해 검출된 상기 장애물에 대하여 차량(자차)과의 거리를 검출(또는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할 경우 해당 주행 방향의 지면(예 : 해당 주행 방향의 차량 끝에서 기 지정된 거리(예 : 20cm)만큼 떨어진 지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해 지정된 색상(예 : 빨, 노, 파)과 모양의 보조 정보(예 : 라인)을 출력한다(S202)(도 5 참조).
이때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지정된 색상(예 : 빨, 노, 파)과 모양의 보조 정보(예 : 라인)는 차량의 폭보다 기 지정된 길이(예 : 30cm) 만큼 좌/우 양측 방향으로 더 길게 출력된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 하던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S203의 예), 상기 제어부(170)는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를 검출하고(S204),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출력하는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를 조절한다(S205).
즉, 상기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하면서 장애물에 가까지 다가갈수록,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출력하는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를 점차 줄여서 출력한다.
따라서 후방 주차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방에 보이는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를 주시하다가 상기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가 점차 줄어 들어 보이지 않게 되면, 차량 후방이 장애물에 기 지정된 거리까지 가까이 간 것을 의미하므로 주행을 멈출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전방 주차를 하는 경우에도 전방에 표시된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가 점차 줄어 들어 보이지 않게 되면, 차량 전방이 장애물에 기 지정된 거리까지 가까이 간 것을 의미하므로 주행을 멈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하면서 장애물에 가까지 다가가는 경우에 보조 정보(예 : 라인)를 출력하고,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도 줄어드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장애물이 먼저 검출된 후 차량이 느리게 주행(또는 서행)하는 경우에도 보조 정보(예 : 라인)를 출력하고,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보조 정보(예 : 라인)의 길이가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차량 사고 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체크한다(S301).
예컨대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에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충격(충돌)이 발생하였거나, 아무런 충격(충돌)이 발생하지 않더라고 주행 중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것(예 : 엔진 정지)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충격(충돌)이 발생된 후 차량의 자세가 바뀌거나 전복된 경우에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자세 검출부(140), 차속 검출부(150), 및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미도시)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 사고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예 : 충격, 엔진 정지, 차량 자세 변경, 차량 전복 등)을 수집한 후, 상기 정보들(예 : 충격, 엔진 정지, 차량 자세 변경, 차량 전복 등)의 조합을 통해 차량 사고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 사고가 판단될 경우(S301의 예), 상기 제어부(170)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구호요청 이미지(예 : SOS, Help 등)를 기 지정된 다수 방향(예 : 전, 후, 좌, 우, 상부)을 향하여 출력한다(S302)(도 7 (a),(b) 참조).
이때 만약 차량이 전복된 상태라면, 차량 바닥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20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상부를 향하게 되고, 만약 차량이 측면으로 전복된 상태라면, 차량 측면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20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상부를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사운드 검출부(160)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사운드가 있을 경우 사운드 수신 방향이 검출되는지 체크한다(S303).
이에 따라 사운드 수신 방향이 검출될 경우(S303의 예), 상기 제어부(170)는 사고 현장으로 누군가(또는 무엇인가)가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운드가 수신된 방향을 향하여 기 지정된 각도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한다(S304).
즉, 차량 사고가 발생된 직후에는 누군가(도움을 줄 사람)가 어느 방향에서 사고 현장으로 접근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기 지정된 다수 방향(예 : 전, 후, 좌, 우, 상부)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지만, 사고 현장으로 누군가(또는 무엇인가)가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그 방향(접근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사운드 수신 크기를 검출한다(S305).
예컨대 사고 처리를 위한 사람들이 사고 현장에 접근할수록(또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수록) 사운드 수신 크기는 점차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사운드 수신 크기가 증가할수록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조정한다(S306).
예컨대 사고 처리를 위한 사람들이 사고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크게 하여 차량에서 먼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고, 사고 처리를 위한 사람들이 사고 현장에 가까이 있을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작게 하여 차량에서 가까운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한다. 이에 더하여 사고 처리를 위한 사람들이 사고 차량에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 가까이 접근할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운전자를 지원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 주차 시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차량이 주차 상태(예 : 변속기 P단, 주행 정지 상태)에 있을 경우(S401), 차량 주변에 대한 통신 스캔을 수행한다(S402).
여기서 통신 스캔이란,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예 :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와 기 지정된 적어도 한 가지 종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3G, 4G, 5G 등)으로 통신이 연결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운전자)가 차량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예 :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와 상기 통신부(180) 간의 통신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차 상태(S401)란, 단지 차량을 주차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을 주차시킨 후 사용자(운전자)가 차량에서 멀어져 통신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주차 상태에서 통신이 끊어진 사용자(운전자)의 휴대 장치(예 :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와 통신을 재연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주변을 통신 스캔하고(S402), 기 지정된 통신 종류(즉, 기 지정된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의 기 지정된 ID(예 : 기기번호, 설정ID 등)를 검출한다(S403).
상기와 같이 통신 스캔을 통해 기 지정된 ID가 검출되면(즉, 기 지정된 휴대 단말과 통신이 연결되면)(S403의 예), 상기 제어부(170)는 기 지정된 방향(예 : 공중, 상부)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가이드(즉,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S404)(도 9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기 지정된 휴대 장치(예 :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까지의 거리를 검출한다(S405).
예컨대 상기 제어부(170)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검출하여 거리를 검출하거나, 통신 거리에 차이가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을 변경하여 거리를 검출한다. 가령, 통신거리는 이동 통신 방식(예 : 3G, 4G, 5G)이 가장 길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이 가장 짧다(즉, 4G > WiFi > 블루투스 > NFC). 따라서 WiFi 방식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면 그 만큼 거리가 가까워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통신 거리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거리에 따라 레이저 빔을 이용한 가이드(즉,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의 출력(예 : 강도, 크기 등)을 조정한다(S406)(도 9 참조).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된 레이저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고 발생 시 주변으로의 도움 요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차선 검출부 120 : 전후방 영상 촬영부
130 : 조도 검출부 140 : 자세 검출부
150 : 차속 검출부 160 : 사운드 검출부
170 : 제어부 180 : 통신부
190 : 레이저 램프 구동부 200 : 레이저 램프
210 :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 220 :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

Claims (5)

  1.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을 검출하는 차선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및 외부의 조도를 각기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멈춰 있는 방향, 방위, 및 자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된 사운드의 크기 및 사운드 수신 방향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근처에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신호의 파워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휴대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기 지정된 날씨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기 지정된 지도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지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램프를 각기 구동하고 레이저 램프의 출력을 각기 조정하는 레이저 램프 구동부;
    차량의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적어도 한 가지 색상 이상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램프;
    상기 레이저 램프가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방향이나 각도를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패턴으로 상기 레이저 램프의 자세를 조정하여 지정된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가 레이저 빔으로 출력되게 하는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
    상기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를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램프 자세 조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패턴을 저장하는 레이저 빔 패턴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제공 서버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조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날씨 및 시간대를 체크하고,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보다 느리게 주행하면서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 주차하는지 체크하고, 상기 자세 검출부, 상기 차속 검출부, 및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로부터 차량 사고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차량 사고를 판단하고,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을 경우 운전자의 접근을 체크하며, 상기 체크되거나 판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램프를 제어하여 지정된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날씨 제공 서버를 통하거나 상기 조도 검출부를 통해 직접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실시간 조도 및 날씨를 체크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에 대한 선명도를 미리 실험을 통해 데이터화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상기 체크한 실시간 조도 및 날씨에 따른, 차선 및 방향 표시 이미지의 선명도를 미리 저장해 둔 선명도 기준과 비교하여 기준 이상이 아니면,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차선을 출력함과 아울러 레이저 빔을 이용해 전후방 방향 표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검출부를 통해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를 검출하며, 상기 전후방 영상 촬영부 또는 상기 차선 검출부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장애물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장애물에 대하여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며,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보다 느리게 주행하는지 체크하여 상기 차량이 느리게 주행할 경우, 해당 주행 방향의 차량 끝에서 기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해 지정된 색상과 모양의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를 차량의 폭보다 기 지정된 길이만큼 좌/우 양측 방향으로 더 길게 출력하며,
    상기 차량 주행 중 장애물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을 이용해 출력하는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의 길이를 조절하되, 상기 차량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라인 형태의 보조 정보의 길이를 점차 줄여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 상기 차속 검출부, 및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에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였는지 체크하고, 아무런 충격이 발생하지 않더라고 주행 중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지 체크하고, 차량에 충격이 발생된 후 차량의 자세가 바뀌거나 전복되었는지 체크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체크하고,
    상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이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이용해 구호요청 이미지를 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향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검출부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사운드가 있을 경우, 사운드 수신 방향을 검출하여 사고 현장으로 누군가가 접근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운드가 수신된 방향을 향하여 기 지정된 각도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사운드 수신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사운드 수신 크기가 증가할수록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조정하되,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사운드 수신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크게 하여 차량에서 먼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고,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사운드 수신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구호요청 이미지의 출력 각도를 작게 하여 차량에서 가까운 곳에 구호요청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을 경우에 차량 주변에 대한 통신 스캔을 수행하고,
    기 지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기 지정된 ID의 휴대 단말기를 검출하며,
    상기 통신 스캔을 통해 기 지정된 ID의 휴대 단말기가 검출되면, 기 지정된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휴대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통신 거리에 따라 레이저 빔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가이드 정보의 출력을 조정하며,
    상기 통신 스캔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와 기 지정된 적어도 한 가지 종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연결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주차 상태는, 차량을 주차시킨 후 사용자가 차량에서 멀어져 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KR1020170079305A 2017-06-22 2017-06-22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KR10202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05A KR102020848B1 (ko) 2017-06-22 2017-06-22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05A KR102020848B1 (ko) 2017-06-22 2017-06-22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28A true KR20190000228A (ko) 2019-01-02
KR102020848B1 KR102020848B1 (ko) 2019-09-11

Family

ID=6502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05A KR102020848B1 (ko) 2017-06-22 2017-06-22 레이저 램프를 이용한 운전자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8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185B1 (ko) * 2015-08-05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185B1 (ko) * 2015-08-05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48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4767B2 (ja) 複数の受信機を有する光検出測距(lidar)装置
CN109693665B (zh) 自动驻车装置及其控制方法
US9944317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34351B1 (ko) 차량용 운전 보조 장치
KR101942527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US11327485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EP3248838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427690B2 (en) Control system
KR10163788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20180290583A1 (en) Vehicle control method
US1042139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80217255A1 (en) Radar for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10191823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JP2000285394A (ja) 車両の表示装置
US10896338B2 (en) Control system
KR10237256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KR20220056169A (ko)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KR102227371B1 (ko) 차량용 영상투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714876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JP2009116394A (ja) 車両の警報装置
KR102188269B1 (ko) 카메라 줌 배율의 조정 방법
KR20160146280A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7079747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41510B1 (ko) 자율 주행 제어 시스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203739756U (zh) 一种带视线指引的车前障碍物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