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99A -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99A
KR20190000199A KR1020170079241A KR20170079241A KR20190000199A KR 20190000199 A KR20190000199 A KR 20190000199A KR 1020170079241 A KR1020170079241 A KR 1020170079241A KR 20170079241 A KR20170079241 A KR 20170079241A KR 20190000199 A KR20190000199 A KR 20190000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acc p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호
조현철
성종권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7007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99A/ko
Publication of KR2019000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 및 비 활성화의 진행 상태를 감지하고,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었을 때, 본 발명의 장치와 연결된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의 ACC전원을 차량의 ACC전원보다 먼저 공급해 주는 방식이며,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연결부,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감지부 및 차량 내부 통신 네트워크 활성화 시, 장치와 연결된 ACC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oor opening of a vehicle using CAN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정으로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문 열림 또는 해제 시, 사전 부팅을 진행하여 운전자가 시동 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동작과는 달리, 신차 출고 후 장착하는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단말기기는 문 열림 해제 후, 운전자가 탑승하여 시동을 걸었을 때, 기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이 진행되는 방식이므로, 운전자는 단말기기의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문 열림 또는 해제를 사전에 감지하여 내비게이션과 같은 단말기기의 전원을 공급해 주어서, 순정 시스템과 동일한 시간에 단말기기의 부팅이 완료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기기의 사용을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없애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통신 방식의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는,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 및 비 활성화의 진행 상태를 감지하고,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었을 때, 본 발명의 장치와 연결된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의 ACC전원을 차량의 ACC전원보다 먼저 공급해 주는 방식이며,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연결부; 및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감지부; 및 차량 내부 통신 네트워크 활성화 시, 장치와 연결된 ACC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캔 통신 방식의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에 따르면, 순정으로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문 열림 또는 해제 시, 사전 부팅을 진행하여 운전자가 시동 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신차 출고 후 장착되는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의 부팅 시간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여 줄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 내부의 캔 통신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제어기 연결 및 내비게이션 연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제어신호 흐름도.
(1) 기능 및 작용
본 발명에서 캔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를 감시하는 기능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문이 잠기게 되면, 차량에 장착된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장치들은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모드 또는 SLEEP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차량의 문 잠금이 해제 되면, 차량은 내부 캔 통신 네트워크 버스를 활성화하여 차량에 연결된 장치들을 깨우게(WAKE UP)되고, 장치들은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 위하여 시스템 부팅을 시작한다.
하지만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기기는 캔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상태를 엔진 시동이 걸리기 전에는 감지되지 않으며, 차량의 ACC전원에 12V가 공급이 되었을 때를 기점으로 부팅을 시작하게 된다.
차량의 ACC전원은 차량의 도어락이 원격으로 해제된 후,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엔진 스타트/스톱’버튼을 누를 때 ACC전원에 12V가 공급되기 때문에, 이때부터 내비게이션 기기는 부팅을 시작하게 되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는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기기의 부팅이 진행되는 동안 운전자가 기다리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동차의 문 열림 및 잠금을 인식하고 캔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지하여 장착된 단말기기에 ACC전원을 미리 공급해 주어 부팅을 먼저 진행하도록 해주는 방식의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기 측에 입력되는 ACC입력선을 차량의 ACC 전원선과 연결하지 않고, 본 발명의 장치에서 공급하는 ACC출력선과 연결을 한 후,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차량내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었을 때, ACC출력선에 12V를 공급하면, 본 발명의 장치와 연결된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는 시스템 부팅을 진행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한 전체 신호 흐름체계를 다시 한번 고찰해 보면, 주차된 차량의 운행을 위해서, 원격으로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할 경우, 차량 내부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화 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장치는 ACC출력선에 12볼트의 전압을 공급해 주어서, 실제 차량이 운전자에 의한 ‘엔진 START/STOP’버튼을 눌러서 차량내 ACC전원이 공급되기 전보다 먼저 내비게이션에 ACC전원을 입력하게 사전에 부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캔통신 방식의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의 구현 방법은, (a) 감시장치를 자동차 내부 캔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 연결 단계; 및 (b) 장치에서 캔 통신 네트워크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감시부; 및 (c) 네트워크 활성화 시 ACC 전원을 출력해 주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 (a-1) OBD2 단자의 다이아그노스틱 CAN통신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단계는, (b-1)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위한 조건으로서, 차량의 문 열림이 해제되는 단계; (b-2) 문 열림 해제 시,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네트워크 활성화 시, 활성화 시간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제어부는 ACC전원선에 0V 또는 12V를 공급하여, 이것과 연결된 기기의 ACC에 12V가 인가 되었을 때, 기기의 부팅이 시작되고, 0V가 되었을 때는 기기의 전원이 꺼져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3)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캔통신 방식의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내비게이션과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사용자 편의 및 안전을 위한 기기들은 신차 출고 후, 장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순정으로 장착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보다 더 많은 편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용을 감수하면서 신규 장착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하지만 출고 후 장착된 기기들은 순정으로 장착된 시스템과 동일한 시점에서 전원 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엔진 스타트/스톱’버튼에 의해 ACC전원이 컨트롤 되고 이것에 의해서 동작을 하므로 항상 시스템 부팅은 순정으로 장착된 시스템보다 늦게 시작이 된다.
이러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이 고안되었다.
도 1은 자동차 내부의 캔 통신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차량 내부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CAN, 즉 CAN(1), CAN(2),…, CAN(n)과 노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200)는 OBD2 노드(210)과 연결되어 있으며, OBD2노드의 활성화를 감시하게 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캔통신 네트워크에서, OBD2(200)의 노드(210)와 연결되어 있는 감시장치(400)는 상기 OBD2(200)의 노드(210)에서 나타나는 캔 메시지를 감지하고 있으며, 캔 통신 메시지가 통신 노드(210)상에 나타나지 않을 때는 내부 통신네트워크가 버스 오프 상태이며 차량은 주차모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상태에 있고, 운전자가 운행을 하기 위해서 원격리모콘으로 차량 문의 잠금 장치를 원격으로 해제하면, 도어락이 해제 되면서,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시작되고, 순정의 장치는 이것과 동기되어 부팅을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캔통신 메시지가 통신 노드(210)상에 출현되는 시점에서 감시장치(400)는 내부 순정 장치가 부팅을 시작하는 시점으로 판단을 하여, 감시 장치(400)의 ACC컨트롤 전원선(320)을 12V로 전압을 공급하여 이것과 연결된 장착기기(500)는 부팅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격으로 운전자가 차량문을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시점에서 감시장치(400)의 부팅을 시작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까지는 수 초에서 수 십 초 경과한다고 가정하면,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시점에서는 부팅이 완료되고 운전자는 기기를 기다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량의 운행이 끝나고 운전자가 주차 후 원격으로 도어락을 하게 되면 차량 내부 캔 통신 네트워크는 주차 시,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막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수 십 초에서 수 분까지 대기 후, 캔 통신네트워크는 비활성화 되며, 순정 시스템은 SLEEP모드로 진입한다.
마찬가지로 OBD2(300)의 노드(310)와 연결된 감시 장치(400)에서도 캔 통신 네트워크의 비활성화가 감지되면, 감시 장치(400)의 ACC컨트롤 전원선(320)을 0V로 만들어 주어서 이것과 연결된 장착기기(500)는 시스템을 종료하여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캔 통신 방식의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신차 출고 후 장착된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와 같은 기기를 순정 시스템과 동일하게 전원 공급을 통하여 부팅 시점을 앞당김으로써 운전자가 기다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는,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 및 비 활성화의 진행 상태를 감지하고, 캔 통신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었을 때, 본 발명의 장치와 연결된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의 ACC전원을 차량의 ACC전원보다 먼저 공급해 주는 방식이며, 차량의 캔 통신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연결부;
    캔 통신 네트워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감지부; 및
    차량 내부 통신 네트워크 활성화 시, 장치와 연결된 ACC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
KR1020170079241A 2017-06-22 2017-06-22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KR20190000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41A KR20190000199A (ko) 2017-06-22 2017-06-22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41A KR20190000199A (ko) 2017-06-22 2017-06-22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9A true KR20190000199A (ko) 2019-01-02

Family

ID=6502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41A KR20190000199A (ko) 2017-06-22 2017-06-22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74A (ko) 2019-09-24 2021-04-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20220014079A (ko) 2020-07-28 2022-02-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630912B1 (ko) * 2023-06-20 2024-01-30 주식회사 보가 복수의 사용자 컨트롤러들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74A (ko) 2019-09-24 2021-04-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방법
KR20220014079A (ko) 2020-07-28 2022-02-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슬라이딩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630912B1 (ko) * 2023-06-20 2024-01-30 주식회사 보가 복수의 사용자 컨트롤러들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541B (zh) 基于唤醒源的电动汽车上电方法
KR101393539B1 (ko)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EP1717664B1 (en) Computer circuit
KR20190000199A (ko) 캔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문 열림 감지 장치와 그 방법
US106084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depleted battery in a parked vehicle
JP2009184423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US20100244560A1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CN105313719B (zh) 一种整车控制器及其唤醒过程监控方法
KR20190130937A (ko)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021126A1 (ja) 車載用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US8713343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RU2684814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неплотно закрытой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60117214A1 (en) Controller
KR102119766B1 (ko) 차량용 제어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6888265B2 (en) Motor vehicle immobilizer with key-in warning responsive to ignition state
US20210226813A1 (en) Vehicular drawing device
JP2010064722A (ja) 車両用動作監視システム
JP2004161263A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車載装置
US20150377204A1 (en)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unit
CN109398307B (zh) 无钥匙进入和启动系统及提高该系统安全性的方法
KR101618118B1 (ko) 외부장치를 이용한 차체제어모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6595B1 (ko)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KR20200102145A (ko) 차량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05348A (ko)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60074199A (ko) 긴급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