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348A -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348A
KR20170105348A KR1020160028454A KR20160028454A KR20170105348A KR 20170105348 A KR20170105348 A KR 20170105348A KR 1020160028454 A KR1020160028454 A KR 1020160028454A KR 20160028454 A KR20160028454 A KR 20160028454A KR 20170105348 A KR20170105348 A KR 2017010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module
body control
control command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해구
Original Assignee
강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해구 filed Critical 강해구
Priority to KR102016002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348A/ko
Publication of KR2017010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해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차량의 OBD 연결 단자를 통해 차량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ODY CONTROL MODULE OF VEHICLE, AND VEHICLE CONTROLL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BCM, Body Control Module)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OBD(On Board Diagnostic)의 약자로서, 기관제어시스템(ECU , Engine Control Unit) 에 집적되어 있는, 법적으로 규정된 하위 진단/감시 시스템이다. OBD는 전 운전영역에 걸쳐 배기가스 및 증발가스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감시한다. 이때, OBD가 감시하고 있는 시스템들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내역은 MCU에 저장되며, 표준화된 인터페이스(interface J1962), 예를 들어, 16핀 진단 컨넥터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자동차 제조회사는 OBD는 16 핀으로부터 자동차의 기관제어시스템(ECU)이외의 하위 시스템들 (Body Control Module BCM, Transmisson Control Module, TCM,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SRS 등)에 대해서, 센서의 값 및 제어를 수행하여, 자동차의 고장진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ECU는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표준화 요구사항(J2012,J2178-1 J2178-2)에 맞게 기관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하위 시스템들 또한 표준화이외의 자동차 수리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원리는 ECU와 동일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처리회로와, 상기 입력처리회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해당 부품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값의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여러 액추에이터의 구동 또는 램프의 점등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출력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자동차의 차제제어 관련 모듈들(Body Control Module, BCM) 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문/열기, 히터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ECU와 하위 시스템은 자동차 전원이 인가된 다음 작동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이 후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차의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차제제어 관련 모듈들(Body Control Module, BCM)을 통해서 자동차의 제어를 할 수 있는 기술들은 널리 발표 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차체제어모듈의 전원이 차단되게 되면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차제제어 관련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전자적으로 활성화 시킨 다음에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험 목적의 포트를 이용하여 미리 약속된 전자적 명령어를 보내면, 이 모듈은 깨어나게 되고 이 모듈은 전기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차체제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차체제어시스템 전체를 활성화 시켜서 자동차의 암전류를 상당히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차제제어를 위해서 상당히 많은 전류를 사용하게 되어 자동차 관리의 어려움이 가중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로 공급되는 암전류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38450호 "차량의 암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있다.
종래 기술은 차량의 암전류 차단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무선송신부와, 차량의 암전류 복귀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무선송신부와, 제1 및 제2무선송신부로부터 차량의 암전류 차단신호 및 암전류 복구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차체제어모듈(BCM)과,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장치와, 배터리와 부하장치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부하장치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래칭릴레이소자와, 제1무선송신부로부터 암전류 차단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에서 부하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암전류를 차단하도록 래칭릴레이소자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무선송신부로부터 암전류 복귀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로부터 부하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암전류가 다시 흐르도록 래칭릴레이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차량을 장시간 운행하지 않을 경우 암전류를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무선모듈을 통한 차량 전체의 암전류를 차단하는 기술로 차의 대기상태의 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순간적으로 차체제어시스템만 활성화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기구적으로 유사하더라도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더라도 실질적으로 차체제어모듈(BCM)의 활성화에 따른 전력 관리에 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8450호 (공개일 2012.12.26)
본 발명은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해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sleep)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wake up)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 되도록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는 OBD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 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차량의 OBD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의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을 웨이크업 시켜 OBD 연결 단자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 개폐 등 다양한 차체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제어를 위해 차체 제어 모듈이 일시적으로 웨이크업 된 후 일정시간 내에 다시 슬립 상태로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운행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차량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차량(100), 제어 장치(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차량(100)에 구비된 차체 제어 모듈(BCM)의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100)에는 ECU, BCM, IPDM, PCM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모듈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그들 중 차체 제어 모듈(BCM)은 수신되는 명령어에 따라 차량의 특정 부분들, 예를 들어 차량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방향지시등, 비상등, 경적음, 백미러, 백미러 폴링, 헤드라이트, 레인센서 공조장치, 썬루프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체 제어 모듈(BCM)은 K-Line, PWM, VPW, CAN 등을 통해 OBD 연결 단자인 OBD 포트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OBD 포트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BCM)에 명령어를 보내면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차체 제어 모듈(BCM)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이 운행중이지 않을 경우, 차체 제어 모듈(BCM)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차체 제어 모듈(BCM)이 슬립(sleep) 상태로 들어가며, 그에 따라 상기 OBD 포트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BCM)에 제어 명령을 전달해 도어 개폐 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에 연결된 제어 장치(200)가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100)의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BCM)을 웨이크업(Wake up) 시켜 OBD 연결 단자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OBD 포트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BCM)에 제어 명령을 전달해 도어 개폐 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 개폐 등과 같은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차량(100)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 통신 또는 LTE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차체 제어 모듈(BCM)을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을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BCM)이 웨이크업 되도록 차량(100)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한 후, 차량(100)의 OBD 포트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BCM)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어 장치(200)는 무선통신부(210), 제어부(220), 전원공급부(230) 및 송수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OBD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퓨즈 박스 및 OBD 연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인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그를 위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 통신 또는 LTE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3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인 차량(100)의 차체 제어 모듈(130)이 웨이크업 되도록 퓨즈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의 전원공급부(230)가 차량(100)의 퓨즈 박스(110)에 12V의 전압을 인가하면, 패널 모듈(140)로 전원이 공급되고, 패널 모듈(140)은 차체 제어 모듈(130)을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신호를 차체 제어 모듈(130)로 입력시킬 수 있다.
그를 위해, 전원공급부(230)는 차량(100)에 구비된 퓨즈 박스(110)와 연결되어 12V의 전압을 일시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핀(pin)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240)는 차량(100)의 OBD 포트(120)를 통해, 차량(100)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송수신부(240)는 차량(100)에 구비된 OBD 포트(120)와 연결되어 제어 명력을 전송하고, 차량 상태 또는 진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의 송수신부(240)는 OBD 포트(120)의 16 핀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는 16개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의 송수신부(240)로부터 전송되어 OBD 포트(120)를 통해 차체 제어 모듈(BCM)로 전달되는 제2 제어 명령은, 차량(100)의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방향지시등, 비상등, 경적음, 백미러, 백미러 폴링, 헤드라이트, 레인센서 공조장치 또는 썬루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제어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100)의 동작은 상기한 동작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추가되거나 또는 일부 제외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송수신부(240)를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등에 따라 전원공급부(230)를 통해 차량(100)의 퓨즈 박스(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0 단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인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에 응답해 차량(100)에 장착된 퓨즈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130)을 웨이크업 시킨다(S310 단계).
제어 장치(200)는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핀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핀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100) 내의 특정 퓨즈 박스 커넥터(111)와 연결되어 퓨즈 박스(110)에 12V 전압을 일시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복수의 핀들 중 나머지 16개의 핀들은, 차량(100) 내의 OBD 16핀 커넥터(121)와 연결되어,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달될 제어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200)는 OBD 16핀 커넥터(121)와 연결되는 OBD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장치(200)의 전원공급부(230)와 상기 퓨즈 박스 커넥터(111)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30)이 웨이크업 된 후, 송수신부(240)는 차량의 OBD 포트(120)를 통해, 차량(100)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송한다(S320 단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500)에 차량(100)을 제어 또는 진단하기 위한 메뉴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소지하고 5 내지 10미터(meter) 내로 차량(100)에 근접하여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로 차량(100)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100)의 도어를 열기 위한 제어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차량(100)에 근접하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 통신 또는 LTE 통신 등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100)에 연결된 제어 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300) 간의 무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차량(100)의 도어를 열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퓨즈 박스(110)에 전원을 공급해 차량(100)의 차체 제어 모듈(130)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130)이 웨이크업 된 후, 제어 장치(200)는 OBD 포트(120)를 통해 차량(100)의 도어를 열기 위한 제어 명령을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웨이크업 된 차체 제어 모듈(130)은 OBD 포트(12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100)의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100)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100)에 연결된 제어 장치(200)를 통해 차량(100)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기 하는 제어 동작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100)의 도어 개폐 뿐 아니라, 트렁크 개폐 또는 경적음 등과 같은 차량(100)의 다양한 부분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는 차량(100)의 OBD 연결 단자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슬립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송하여 해당 제어 동작이 차량(100)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320 단계에서 제2 제어 명령이 차체 제어 모듈(130)로 전송된 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전원공급부(230)를 통한 차량(100) 내 퓨즈 박스(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차체 제어 모듈(130)을 다시 슬립 상태로 복귀시킨다(S33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에 근접함에 따라 차체 제어 모듈(130)이 웨이크업 되어 자동으로 도어가 열린 후에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차량 내 퓨즈 박스(110)로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차체 제어 모듈(130)이 다시 슬립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제어 모듈(130)이 차량(100)의 제어를 위해 일시적으로 웨이크업 된 후 일정시간 내에 다시 슬립 상태로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차량(100)의 배터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량(100)이 운행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차량에 구비된 차체 제어 모듈(BCM, Body Control Module)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해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립(sleep)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wake up)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한 후, 상기 퓨즈 박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이 슬립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명령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 통신 및 LT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llication)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명령은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방향지시등, 비상등, 경적음, 백미러, 백미러 폴링, 헤드라이트, 레인센서 공조장치 및 썬루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에 12V의 전압이 일시적으로 인가되면, 패널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을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패널 모듈로부터 상기 차체 제어 모듈로 입력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OBD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핀; 및
    상기 차량의 OBD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핀들을 구비하는 OBD 장치.
  9. 차량에 구비된 차체 제어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 되도록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명령이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된 후, 상기 퓨즈 박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이 슬립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3G 통신 및 LT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llication)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명령은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방향지시등, 비상등, 경적음, 백미러, 백미러 폴링, 헤드라이트, 레인센서 공조장치 및 썬루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퓨즈 박스와 연결되어 12V의 전압을 일시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1 핀을 구비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OBD 연결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제2 핀들을 구비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제어 장치.
  15.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슬립 상태인 차체 제어 모듈이 웨이크업 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된 퓨즈 박스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차량의 OBD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상기 웨이크업된 차체 제어 모듈로 전송한 후, 상기 퓨즈 박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이 슬립 상태가 되도록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방향지시등, 비상등, 경적음, 백미러, 백미러 폴링, 헤드라이트, 레인센서 공조장치 및 썬루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는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60028454A 2016-03-09 2016-03-09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70105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54A KR20170105348A (ko) 2016-03-09 2016-03-09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54A KR20170105348A (ko) 2016-03-09 2016-03-09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48A true KR20170105348A (ko) 2017-09-19

Family

ID=6003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454A KR20170105348A (ko) 2016-03-09 2016-03-09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3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535A (ko) * 2019-06-12 2020-12-24 김동은 차량의 캔신호와 휴즈를 연동한 차량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137756A (ko) * 2020-05-11 2021-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454719A (zh) * 2020-10-21 2022-05-1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装置、介质、设备、车辆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535A (ko) * 2019-06-12 2020-12-24 김동은 차량의 캔신호와 휴즈를 연동한 차량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137756A (ko) * 2020-05-11 2021-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454719A (zh) * 2020-10-21 2022-05-1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装置、介质、设备、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227B2 (en) Dark current cutoff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junction box
JP4518150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101393539B1 (ko)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JP2006316638A (ja) メインリレー故障診断方法及び電子制御装置
CN113965431A (zh) 检测异常can总线唤醒模式
CN110928271A (zh) 汽车自助诊断方法及系统
CN109842676B (zh) 空中下载控制方法、电子设备、汽车及可读存储介质
KR102090061B1 (ko) Can과 통합된 bcm을 테스트하는 장치
CN111324104A (zh) 网关处理器、网关处理器的控制逻辑、程序和记录介质
CN103395389B (zh) 一种车辆灯光控制方法
JP2010064722A (ja) 車両用動作監視システム
KR20170105348A (ko) 차량의 차체 제어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US20170010896A1 (en) Shared Memory Architecture Autoupdater
US1001382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opening/closing body
JP2012158272A (ja) 車両用電子制御システム
KR101618118B1 (ko) 외부장치를 이용한 차체제어모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3885B1 (ko) 캔통신을 이용한 암전류 발생 유닛 진단 장치 및 방법
US11954500B2 (en)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 pre-booting for improved man machine interface performance
US20160039369A1 (en) Motor vehicle st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039926B1 (ko) 차량용 자기진단 제어 시스템
EP4310616A1 (en) Vehicle remot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JP2007001420A (ja) 自動車用制御ユニット
CN115447502A (zh) 用于机动车辆的能量管理系统和用于管理机动车辆中的能量的方法
CN114253171A (zh) 用于车辆的电子控制单元
JP3864837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