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484A -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484A
KR20180138484A KR1020170078758A KR20170078758A KR20180138484A KR 20180138484 A KR20180138484 A KR 20180138484A KR 1020170078758 A KR1020170078758 A KR 1020170078758A KR 20170078758 A KR20170078758 A KR 20170078758A KR 20180138484 A KR20180138484 A KR 20180138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afety check
fighting equipment
fire fight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주
Original Assignee
(주)디엘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엘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디엘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7007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484A/ko
Publication of KR2018013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은, 소방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식별자를 유지하는 소방설비 태그(tag); 및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및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고, 리더(reader)를 통해 상기 소방설비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접속되면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는 안전점검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SAFETY OF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설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태그를 부착하고 관리자가 단말기를 태그에 태깅하면 단말기가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게 되고 관리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안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 내에 설비되는 소방설비라 함은 각층 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화재 경보기, 스프링클러, 소방펌프 및 옥내 소화전 등을 통틀어 말한다. 상기 소방설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감지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대처하게끔 함으로써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설비이다. 종래에는 대형화재 예방을 위해 설비된 소방설비의 작동이 정상인지 혹은 비정상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소방점검요원들이 재래시장은 물론, 다중이용업소가 밀접해 있는 건물 등의 수신기 표시등을 직접 체크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설비 안전점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소방설비에 안전점검을 위하여 필요한 항목이 기재된 체크 카드가 부착되어 있고, 관리자가 이러한 체크 카드에 안전점검 내역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관제실에서 각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내역을 통합 관리가 불가능하고, 이를 위해서는 관리자가 소방설비에 부착된 체크 카드에 안전점검 내역을 기재하면서 별도의 서면에 상기 안전점검 내역을 기재한 후 관제실의 서버에 업로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지적되어 있다.
또한, 계절이나 장소에 따라 안전점검 항목에 대한 체크리스트 내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종래와 같이 소방설비에 체크 카드를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가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의 변화를 유연하게 수용하면서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소방설비의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930980호 (2009.1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설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태그를 부착하고 관리자가 단말기를 태그에 태깅하면 단말기가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게 되고 관리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안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은, 소방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식별자를 유지하는 소방설비 태그(tag); 및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및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고, 리더(reader)를 통해 상기 소방설비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접속되면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는 안전점검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 단말기는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입력 받으면, 현재 GPS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위치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소방설비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와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단말기와 접속되고, 각 안전점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기록하며, 업데이트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를 해당 소방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점검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방설비 관리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설비는 소화기, 소화전, 소방펌프, 에어라인 마스크함, PKG 소화설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설비 태그는 NFC 모듈, QR코드 모듈, 바코드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따르면, 관리자가 단말기를 소방설비 태그에 태깅하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안전점검에 대한 항목이 가이드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소방설비의 안전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에 따르면, 관리자가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정보를 관제센터의 소방설비 관리서버가 통합하여 관리하고, 소방설비 각각에 대하여 요구되는 안전점검 내역을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반영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도 보다 강력한 소방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설비 안전점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가 소방설비 태그와의 접속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가 소방설비 태그와의 접속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태그(tag)(211, 221, 231)와 안전점검 단말기(240)로 구성된다. 또한,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은 소방설비 관리서버(250)와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소방설비 태그(211, 221, 231)는 소방설비(210, 220, 230)에 각각 부착된다. 소방설비(210, 220, 230)는 소화기, 소화전, 소방펌프, 에어라인 마스크함, PKG 소화설비 등 안전점검을 요하는 다양한 종류의 소방안전관련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소방설비 태그(211, 221, 231)는 NFC 모듈, QR코드 모듈, 바코드 모듈 등 리더(reader)와의 태깅 동작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방설비 태그(211, 221, 231)는 각각의 고유 식별자를 유지하고, 태깅되는 리더(reader)로 자신의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소방설비 태그(211, 221, 231)는 식별자 이외에도 다양한 소방안전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하고, 태깅되는 리더(reader)로 자신의 식별자와 함께 지정된 소방안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소방설비 태그(211, 221, 231)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태깅동작으로 수행하는 리더(read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소방설비 관리서버(250)나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260)와 유선통신모듈이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터치스크린 모듈과 이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및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한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리더(reader)를 통해 상기 소방설비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접속되면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에는 소방설비에 대한 정보와 다양한 안전점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소방설비가 소화기인 경우, 소방설비 정보로 관리번호, 설치장소, 약제명, 약제중량, 총중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소방설비 정보는 소방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방설비가 소화기인 경우, 안전점검 항목으로는 소화기 외과상태, 압력상태, 정상위치 여부, 받침대 파손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역시 안전점검 항목 또한 소방설비의 종류에 따라 각각 고유의 항목이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점검 데이터베이스는 지도 화면을 포함하고 지도 화면에는 단말기의 현재 GPS 정보를 통해 해당 소방설비의 설치위치가 그래픽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유지한다. 또한,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입력 받으면, 현재 GPS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위치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소방설비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안전점검 단말기(240)는 상기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들을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소방설비 관리서버(250)로 전송할 수 있다.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260)에는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와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다. 소방설비 관리서버(250)는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단말기와 접속되고, 각 안전점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기록하며, 업데이트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를 해당 소방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점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통해 관리자는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각종 소방설비에 특화된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고, 중앙서버에서 이러한 모든 관리자의 소방설비 안전점검 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소방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220, 230: 소방설비
211, 221, 231: 소방설비 태그
240: 안전점검 단말기
250: 소방설비 관리서버
260: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소방설비에 부착되고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식별자를 유지하는 소방설비 태그(tag); 및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및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고, 리더(reader)를 통해 상기 소방설비 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접속되면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는 안전점검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 단말기는 상기 안전점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정보를 입력 받으면, 현재 GPS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에 대한 위치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고, 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소방설비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방설비 식별자 및 상기 소방설비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와 안전점검 정보가 기록된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안전점검 단말기와 접속되고, 각 안전점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안전점검 정보를 상기 소방설비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기록하며, 업데이트되는 안전점검 인터페이스 컨텐츠를 해당 소방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전점검 단말기로 전송하는 소방설비 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설비는 소화기, 소화전, 소방펌프, 에어라인 마스크함, PKG 소화설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설비 태그는 NFC 모듈, QR코드 모듈, 바코드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KR1020170078758A 2017-06-21 2017-06-21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KR20180138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58A KR20180138484A (ko) 2017-06-21 2017-06-21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58A KR20180138484A (ko) 2017-06-21 2017-06-21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4A true KR20180138484A (ko) 2018-12-31

Family

ID=6495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58A KR20180138484A (ko) 2017-06-21 2017-06-21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4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90B1 (ko) * 2021-04-22 2021-10-27 주식회사 마인드올 전기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220025377A (ko) * 2020-08-24 2022-03-0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긴급재난시 마스크 착용자 위치 추적시스템
KR20220038873A (ko) * 2020-09-21 2022-03-29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IoT를 이용한 실시간 측정자료 입력 및 굴뚝관리 시스템
KR102387637B1 (ko) * 2021-04-19 2022-04-18 주식회사 휴먼인텍 소방활동지원 시스템 및 소방활동지원 방법
KR20230037907A (ko) 2021-09-10 2023-03-17 나기성 실시간 원격 크로스 설비관리·시설점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77A (ko) * 2020-08-24 2022-03-0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긴급재난시 마스크 착용자 위치 추적시스템
WO2022045460A1 (ko) * 2020-08-24 2022-03-03 와이지에프 주식회사 긴급재난시 마스크 착용자 위치 추적시스템
KR20220038873A (ko) * 2020-09-21 2022-03-29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IoT를 이용한 실시간 측정자료 입력 및 굴뚝관리 시스템
KR102387637B1 (ko) * 2021-04-19 2022-04-18 주식회사 휴먼인텍 소방활동지원 시스템 및 소방활동지원 방법
KR102318290B1 (ko) * 2021-04-22 2021-10-27 주식회사 마인드올 전기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230037907A (ko) 2021-09-10 2023-03-17 나기성 실시간 원격 크로스 설비관리·시설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484A (ko)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US9990841B2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alarm system
US11188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US10297129B2 (en) Fire/security service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CN101160610B (zh) 集合设备
US11657250B2 (en) Wireless sensor networks installation, deploym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US10916110B2 (en) Emergency lighting, evacuation, and rescue routing with power over-ethernet
KR20130133478A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87310A1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US11508232B2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installed devices
CN110114794A (zh) 事故指挥系统中的针对第一响应者的智能调试
CN106469286B (zh) 使用近场通信标签更新气体检测器配置
CN104040289A (zh) 利用区域或建筑物的占用率来进行人员流仿真
KR101709157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KR20170072722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소방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7174252A (ja) 防災支援システム
WO20160463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maintenance activities
US20200011696A1 (en) Indoor wayfinding to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JP7158940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20200022756A (ko) 기능성 소방안전관리 알림표지판
JP2021174369A (ja) 消防設備の管理システム
KR102512861B1 (ko)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KR102543102B1 (ko)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초한 안전 사고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TWM603603U (zh) 人員定位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