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43A -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43A
KR20180138343A KR1020170078446A KR20170078446A KR20180138343A KR 20180138343 A KR20180138343 A KR 20180138343A KR 1020170078446 A KR1020170078446 A KR 1020170078446A KR 20170078446 A KR20170078446 A KR 20170078446A KR 20180138343 A KR20180138343 A KR 20180138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vehicle
control un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938B1 (ko
Inventor
최인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25Regulating or controlling density or shape of the ba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베일(bale)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수집 및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베일작업기 등에 의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작업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모듈(140); 차량상태정보로부터 판단한 작업기 운전 중에 상기 작업 부하와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 부하가 상기 기준 부하의 경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을 카운트하는 제어부(110); 및 카운트된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베일(bale)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수집 및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베일작업기 등에 의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는 엔진 등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 연소시켜 농작업차량(1)의 운행을 구동시키거나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취출하게 된다. 최근 들어 하이브리드 트랙터는 이와 같은 내연기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농작업차량(1)에서 종래에는 볏짚 등에 대한 베일 작업시 수기 작업으로 수량과 위치 정보를 관리해 왔다. 따라서, 농작업차량(1)의 베일 작업에 대한 정보가 수기 작업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베일작업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문서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고 기록의 오류 발생으로 인해 베일작업이나 베일작업정보의 관리가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베일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자동으로 수집 및 관리하여 작업기에 의한 작업정보의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저장 장치에 수집되어 관리되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서버 등으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또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차량 단말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제공하여, 작업 당시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작업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모듈(140); 차량상태정보로부터 판단한 작업기 작동 중에 상기 작업 부하와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 부하가 상기 기준 부하의 경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을 카운트하는 제어부(110); 및 카운트된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기는 베일 작업기이고, 상기 작업정보는 상기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을 포함한다.
작업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모듈(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20)에 작업 위치별로 상기 작업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상태정보 중 운행관련 운전정보로부터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행 중인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차량상태정보 중 PTO 구동정보로부터 상기 작업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작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베일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자동으로 수집 및 관리하여 작업기에 의한 작업정보의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서버 등으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또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차량 단말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제공하여, 작업 당시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작업차량(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베일작업 시의 작업 부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농작업차량(1)은 트랙터, 콤바인 하베스터나 이양기 등 다양한 종류의 농작업을 위한 차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농작업차량(1)은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 차량일 수도 있고,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는 전기 모터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차량일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엔진이나 전기 모터를 필요 시에 구동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일 수도 있다. 농작업차량(1)은 엔진이나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운행되며 장착된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부하측정모듈(140), 위치측정모듈(150) 및 전자제어장치(16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각부 구성 요소들은, 반도체 프로세서, 다양한 수동소자나 능동소자 등과 같은 하드웨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10)는 다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의 일부 기능이 다른 유닛이나 모듈로서 별도 구성 요소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전자제어장치(160)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0)는 전자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130)는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송수신장치(예, 모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차량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서, 내비게이션 단말,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시스템 등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서버는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수퍼 컴퓨터 등 외부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할 수 있는 서버로 기능하는 다양한 유무선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스마트폰, 음성/영상 전화 통화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 등 전자기기와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13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직접 통신, 유선 인터넷 통신이나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등을 지원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 등 전자기기와 연동할 수 있다.
위치측정모듈(150)은 작업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측정모듈(150)은 농작업차량(1)에 장착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해 현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위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측정모듈(150)은 현재 작업 위치를 측정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 다양한 측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측정모듈(140)은 농작업차량(1)의 작업 부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부하측정모듈(140)은 농작업차량(1)에 장착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연관되어 발생되는 엔진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며, 특히 농작업차량(1)에 장착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해 생산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 등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위치측정모듈(150)에 의해 측정된 작업 위치를 기초로 작업 위치별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 등 작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제어부(110)는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 작동 중에 부하측정모듈(140)에 의해 측정된 작업 부하와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도 4 참조)를 비교하여 소정의 마진(margin) 이내에서 작업 부하가 상기 기준 부하의 경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해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을 카운트한다.
전자제어장치(16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의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정보 중 운행관련 운전정보(예, 전후진레버 조작위치정보, 클러치페달 조작위치정보 등)로부터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 중인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차량상태정보 중 PTO(Power Take Off) 구동정보로부터 상기 작업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PTO 구동정보는 PTO 구동감지센서 또는 PTO 온/오프(On/Off) 스위치 또는 PTO 변속레버 또는 PTO 변속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카운트된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치측정모듈(150)에 의해 측정된 작업 위치를 기초로 작업 위치별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 등 작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위와 같은 작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 이루어지는 베일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자동으로 수집 및 관리하여 작업기에 의한 작업정보의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위와 같이 서버 등으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또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차량 단말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제공하여, 작업 당시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하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의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한다(S110). 제어부(110)가 수신하는 차량상태정보는, 운행관련 운전정보, 작업기의 작업관련운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행관련 운전정보는 차량의 주행, 좌회전, 우회전, 엔진 회전수(예, RPM(Revolutions per Minute)), 차속 정보, 기어 위치 정보, 특히, 전후진레버 조작위치정보, 클러치페달 조작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기의 작업관련운전정보는, 쟁기, 로터기, 베일 작업기 등의 동작상태 정보, 특히, PTO(Power Take Off) 구동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농작업차량(1)의 전자제어장치(16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차량상태정보 중 전후진레버 조작위치정보, 클러치페달 조작위치정보 등의 운행관련 운전정보, PTO 구동정보 등 작업관련운전정보를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미리 설계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전후진레버 조작위치정보, 클러치페달 조작위치정보 등의 운행관련 운전정보, PTO 구동정보 등 작업관련운전정보 등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먼저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어, 기어 위치 정보로부터 변속 기어는 중립 위치에 있는지, 전후진레버 조작위치정보로부터 전후진 운행 중인지, 클러치페달 조작위치정보로부터 변속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처음 과정(S110)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조건을 판단한다. 위와 같이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이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를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예를 들어, PTO 구동정보 등으로부터 작업 운전 중인지 등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제어부(110)는 농작업차량(1)이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를 통한 해당 작업을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를 작동 중이 아니라면, 처음 과정(S110)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조건을 판단한다. 위와 같은 판단 결과, 농작업차량(1)이 운행 중이고(S120)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를 작동 중이면, 부하측정모듈(140)에 의해 측정된 작업 부하와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도 4 참조) 간의 매핑 과정을 수행한다(S140). 예를 들어, 작업기가 집초과정, 베일제작과정, 베일토출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도 4와 같은 부하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에 이를 기준 부하로서 미리 설정해 놓고, 제어부(110)는 부하측정모듈(140)에 의해 측정된 각 과정에서의 작업 부하에 대하여, 도 4와 같은 기준 부하와 서로 비교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소정의 마진(margin) 이내에서 작업 부하가 기준 부하의 경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예를 들어, 소정의 측정된 작업 부하와 기준 부하 간에 평균적으로 소정의 차이(예, 10% 등) 이하인 경우 측정된 부하와 기준 부하의 경향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작업 부하에 대한 판단 결과, 측정된 작업 부하와 기준 부하 간에 소정의 마진(margin) 이내에서 일치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처음 과정(S110)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조건을 판단한다.
다만, 위와 같은 작업 부하에 대한 판단 결과, 측정된 작업 부하와 기준 부하 간에 소정의 마진(margin) 이내에서 일치된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을 1 증가시키는 카운트를 수행한다(S160). 제어부(110)는 업데이트되어 카운트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위치측정모듈(150)에 의해 측정된 작업 위치를 기초로 작업 위치별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 등 작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10)에서의 판단 과정들(S110~S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가 동작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위와 같은 작업정보, 즉, 작업 위치별로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직접 통신, 유선 인터넷 통신이나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등을 지원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 등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단말,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시스템 등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양한 차량 단말기나, 스마트폰, 음성/영상 전화 통화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작업 위치별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를 전달해, 사용자가 작업 당시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수퍼 컴퓨터 등 외부의 서버에 작업 위치별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예, 베일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 등)를 전달해, 서버에서 수집되는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게 할 수 있다. 서버 운영자는 수집되는 해당 정보에 대한 분석, 통계 등 다시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해 다시 인터넷 통신이나 이동통신 등으로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작업 위치별 작업기(예, 베일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나 그 분석 또는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관심있거나 관련된 사용자들이 작업 당시의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 이루어지는 베일 생산량 및 위치정보 등을 자동으로 수집 및 관리하여 작업기에 의한 작업정보의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위와 같이 서버 등으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또는 베일작업정보 등을 차량 단말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제공하여, 작업 당시 위치별 생산량 파악으로 매매 거래 등 영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30: 통신부
140: 부하측정모듈
150: 위치측정모듈
160: 전자제어장치

Claims (5)

  1. 작업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모듈(140);
    차량상태정보로부터 판단한 작업기 작동 중에 상기 작업 부하와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 부하가 상기 기준 부하의 경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을 카운트하는 제어부(110); 및
    카운트된 상기 작업기에 의한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베일 작업기이고,
    상기 작업정보는 상기 작업기의 베일 생산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모듈(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20)에 작업 위치별로 상기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제어장치(160)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상태정보 중 운행관련 운전정보로부터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행 중인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차량상태정보 중 PTO 구동정보로부터 상기 작업기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
  5. 제1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작업정보 제공장치(100).
KR1020170078446A 2017-06-21 2017-06-21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KR10233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46A KR102336938B1 (ko) 2017-06-21 2017-06-21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46A KR102336938B1 (ko) 2017-06-21 2017-06-21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43A true KR20180138343A (ko) 2018-12-31
KR102336938B1 KR102336938B1 (ko) 2021-12-09

Family

ID=6495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46A KR102336938B1 (ko) 2017-06-21 2017-06-21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52A (ja) * 2001-12-17 2003-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精密農法
US20170118918A1 (en) * 2015-10-29 2017-05-04 Deere & Company Agricultural baler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52A (ja) * 2001-12-17 2003-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精密農法
US20170118918A1 (en) * 2015-10-29 2017-05-04 Deere & Company Agricultural baler contro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785874B2 (en) 2021-06-01 2023-10-1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877526B2 (en) 2021-06-01 2024-01-23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910737B2 (en) 2021-06-01 2024-02-2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938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654B2 (en) Ground work vehicle, ground work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work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5944805B2 (ja) コンバイン及びコンバインの管理システム
JP6059027B2 (ja) 農作業機と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
US10846948B2 (en) Driving behavior monitoring system
JP6302645B2 (ja) 作業機械の稼働データ収集装置
KR102161605B1 (ko) 작업기 및 통신 감시 방법
US20060185434A1 (en) Physical agents directive dosimeter system
EP2798744A1 (en) Lawn care vehicle with modular ride information system
JP6403820B2 (ja) 作業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80138343A (ko) 농작업차량의 작업정보 제공장치
JP6037911B2 (ja) 携帯通信端末と連携する対地作業車両及び携帯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
CN104169936A (zh) 农业机械的数据通信系统
JP6320498B2 (ja) 農作業機と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10287069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US20130218370A1 (en) Method for sampling monitoring data of construction equipment
JP6053302B2 (ja) 農業機械及び農業機械の圃場データ収集システム
CN212573566U (zh) 一种联合收割机远程监测系统
JP2009074486A (ja) エンジン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法
WO2022176601A1 (ja) 作業管理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CN214335529U (zh) 一种多滚筒收获机远程监测系统
JP2011007063A (ja) エンジンオイル消費率表示装置
JP2016167309A (ja) 作業機
JP6897744B2 (ja) 作業車連携システム
CN114889538A (zh) 用于控制作业车辆的运行的系统和方法
JP2021196982A (ja) 収穫量管理システム、収穫量管理方法、及び収穫量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