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03A - 수액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액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03A
KR20180138303A KR1020170078334A KR20170078334A KR20180138303A KR 20180138303 A KR20180138303 A KR 20180138303A KR 1020170078334 A KR1020170078334 A KR 1020170078334A KR 20170078334 A KR20170078334 A KR 20170078334A KR 20180138303 A KR20180138303 A KR 20180138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d
filter
air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빈
이지은
이건형
Original Assignee
이상빈
이건형
이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빈, 이건형, 이지은 filed Critical 이상빈
Priority to KR102017007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303A/ko
Priority to PCT/KR2018/007020 priority patent/WO2018236160A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61M2005/1657Filter with membrane, e.g. membrane, flat sheet type infusion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iquophilic, hydrophilic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약 또는 액)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수액(주사액) 중의 공기를 포함한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수액 주입 시에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해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주사액을 공기유입이 방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환자의 안정성과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필터링의 면적을 늘리되, 공기의 유입을 차단가능하고, 초기 수액진입 시 필터 어셈블리를 거꾸로 들어서 필터를 인위적으로 적셔주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며,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로 쉽게 유출시켜 중력의 영향을 저감 시킴으로써 헬기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수액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액 필터 어셈블리. {Sap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수액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수액(약 또는 액) 중의 공기를 포함한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수액 주입 시에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해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주사액을 공기유입이 방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 장치로써, 환자의 안전성과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필터링의 면적을 늘리되, 초기 수액진입 시 필터 어셈블리를 거꾸로 들어서 필터를 인위적으로 적셔주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고,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필터 내로 유입된 공기가 쉽게 공기 유출구로 유출될 수 있고, 중력의 영향을 저감 시킴으로써 헬기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수액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존재하는 수액필터는 단순 수용부 및 멤브레인 필터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액필터는 상기 수액필터의 상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수액(약)이 필터링(filtering) 수행 후, 하부 유출구로 직접 유출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며, 프라이밍(priming)시 거꾸로 들어 필터(filter) 면적 전체를 수액(약)으로 적시지 않으면, 필터의 하부 일정 부분만 수액(약)이 닿고(적시고) 중력에 의해 수액(약)이 필터 하부의 일부분으로 필터링(filtering)하고 유출구로 유출되어, 필터 하우징(filter housing)내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전 면적을 통해 필터링(filtering) 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없어 필터링(filtering)효과가 미미하며, 이물질이나 공기방울이 필터 내부에 누적되면 필터링(filtering)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체 하우징(수액 필터 어셈블리)을 거꾸로 들지 않고도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전면을 충분히 적신 후 유출되는 특징을 가진 필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주사기와 별도로 구비되는 종래의 수액필터는 에어배출구 또는 에어홈 등이 수액필터의 상부에 마련되지 않고 전면 또는 후면 등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사용자세 및 수액의 높이와 유입량, 유출량의 차이 등 변수에 따라 사이포닝현상에 의해 공기가 역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유입구에서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를 통과하여 유출구로 바로 유출되는 구조는 특유의 문제점인 중력과 사이포닝(siphoning, 중력과 대기압력에 의해 관으로 흐르는 액체가 빨리는 현상)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프라이밍 시 거꾸로 들어 필터(filter) 전 면적을 적시게 한 후 필터링(filtering)해야 하나, 본 발명은 거꾸로 들지 않고도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전 면적을 자연스럽게 적셔, 프라이밍 과정과 무관하게 필터링(filtering)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수액 주입 시에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해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주사액을 공기유입이 방지된 상태로 수액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조개선이 진행된 필터 어셈블리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427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안전성과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필터링의 면적을 늘리되, 중력 또는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가능하고, 초기 수액진입 시 필터 어셈블리를 거꾸로 들어서 필터를 인위적으로 적셔주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며, 중력의 영향을 저감시킴으로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약 또는 액이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층부까지 채워지는 어셈블리구조로써, 유입된 약 또는 액보다 가벼운 비중의 공기가 상층부 공기유출구로 쉽게 유출되는 특징을 가지고 헬기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주사기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중심에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에 수액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전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후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 상기 몸체부로부터 유출되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에어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에어필터부재가 삽입 및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에어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 및 제1, 2덮개의 돌출구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돌출턱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 이상의 다단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 및 제1, 2덮개의 돌출구성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융착산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부터 다수개의 필터부재를 거쳐 필터링된 수액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는,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수액을 유입하는 유입홈 및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수액을 유출하는 유출홈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수액필터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1수액필터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2수액필터부재로 마련되되, 상기 제1수액필터부재 및 제2수액필터부재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필터링하는 친수성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필터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중앙에 마련된 유입구를 기준으로 넓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에어필터부재 및 제2에어필터부재로 마련되되, 상기 제1에어필터부재 및 제2에어필터부재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액체는 거르고 기체를 필터링하는 소수성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있어서, 상기 융착산은 결합되는 부재간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홈(15)의 개폐가 가능한 에어벤트(53)구성이 부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액(주사액)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공기를 포함한 이물질이 제거된 주사액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필터링의 횟수를 늘리되,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가능하고, 초기 수액진입 시 필터 어셈블리를 거꾸로 들어서 필터를 인위적으로 적셔주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며,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로 쉽게 유출시키는 구조로 중력의 영향을 저감시킴으로써 헬기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a), 측면도(b), 후면도(c)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a), 횡단면도(b)(c), 상면도(d)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몸체부(a) 및 제1,2덮개(b)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에어벤트를 나타낸 정면도(a) 및 상면도(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a), 측면도(b), 후면도(c)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상인 수액 필터 어셈블리는, 수액팩 또는 수액유리병과 환자의 신체를 연결하는 수액라인 상에 마련되는 필터 구성체로서, 상기 수액팩 또는 수액유리병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 및 약 등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 및 공기 등을 제거하고 환자의 몸에 주입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목적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필터를 거치면서 필터링이 진행되되, 상부에 마련된 에어홈 및 에어필터부재로 수액 및 약 내부에 포함된 기체를 필터링하여 환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중심에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에 수액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0)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개방된 전면부(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20),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12)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0)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개방된 후면부(1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30),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유출되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상기 몸체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에어필터부재(50)를 포함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상부로 수액 또는 약액 등이 주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 주입 또는 인입된 수액/약액 등은 몸체부 내부에 마련된 중공부로 자연스럽게 인입되게 되며, 상기 중공부는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면부 및 후면부의 개방상태는 각각에 위치한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구성으로써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로 인입된 액체는 중공부에 잠시 저장되었다가, 개방된 전면부 및 후면부를 통해 각기 제1 및 제2덮개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덮개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수액/약액은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에 양측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를 통과하여 이물질 및 액체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 등이 필터링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3)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1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입구 및 유출구는 각각 수액팩/병 및 환자의 신체를 연결하는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에어필터부재(50)가 삽입 및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에어홈(15)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어홈의 구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몸체부 내부 중공부에 저장중인 액체 내부에 포함된 기체가 에어필터부재를 거쳐 필터링되어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 및 후면부(12)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제1, 2덮개(20, 30)의 돌출구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돌출턱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 이상의 다단구조(16)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단구조를 갖춘 몸체부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수액필터부재 및 제1, 2덮개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의 크기에 들어맞는 구획을 구분함으로써 제작공정에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a), 횡단면도(b)(c), 상면도(d)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 단면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본 발명 수액 필터 어셈블리 내부에서 유동하는 액체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 및 후면부(12)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제1, 2덮개(20, 30)의 돌출구성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융착산(17)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융착산은 매우 작은 크기의 삼각산형태로 길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결합되는 상대구성에는 동일한 크기의 삼각골이 길게 배열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융착산의 구성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내구성 있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액필터부재(4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1수액필터부재(41)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2수액필터부재(42)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수액필터부재(41) 및 제2수액필터부재(42)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필터링하는 친수성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로 인입된 액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양 방향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흐름구조를 가지며, 상기 각 방향으로 진행하는 유로에는 각각 수액필터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유로를 경과하여 진행하는 액체의 빠짐없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액필터부재는 친수성필터로 구성되어, 액체류만을 통과시키고, 기타 이물질 및 기체는 통과시키지 못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에어필터부재(5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중앙에 마련된 유입구(13)를 기준으로 넓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에어필터부재(51) 및 제2에어필터부재(52)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수개의 에어필터부재를 통해, 상기 중공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내부에 포함된 공기 또는 수액이 인입되기 전에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 내부(중공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외부로 재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에어필터부재(51) 및 제2에어필터부재(52)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액체는 거르고 기체를 필터링하는 소수성필터로 구성되어, 액체 및 기타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며, 오직 기체만이 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융착산(17)은 결합되는 부재간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은 플라스틱-플라스틱 접합이나 금속-금속접합 또는 플라스틱-금속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술로서, 순간적으로 강한 초음파에너지를 물질에 가함으로써 접합하고자 하는 부위의 표면을 녹여 용접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합방식에 의해 융착산으로 결합되는 몸체부,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특징이 존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몸체부(a) 및 제1,2덮개(b)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거쳐 수액필터부재를 통과하는 수액이 유동하는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부터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를 거쳐 필터링된 수액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21, 31)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거쳐 수액필터부재를 통과하는 수액은,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수용부에 저장되고 이를 따라 차오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22, 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덮개 및 제2덮개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수용부에 저장되고 이를 따라 차오르는 수액은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22, 32)를 따라 일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 31)에 저장된 수액을 유입하는 유입홈(23, 33)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22, 32)를 따라 일정방향으로 함께 이동한 수액 및 액체 등은 전술한 유입홈(23, 33)을 따라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 내측에 마련된 이동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하방이동).
추가적으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 31)에 저장된 수액을 유출하는 유출홈(24, 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22, 32)를 따라 일정방향으로 함께 이동한 수액 및 액체 등은 전술한 유입홈(23, 33)을 따라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 내측에 마련된 이동유로를 따라 이동한 수액 및 액체는 종국적으로 상기 수용부(21, 31)에 저장된 수액을 유출하는 유출홈(24, 34)으로 유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유출부를 통해 수액라인으로 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에어벤트를 나타낸 정면도(a) 및 상면도(b)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마련되는 에어홈(15)을 덮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는 에어벤트(53)가 마련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벤트(53)는, 기존제품의 약, 액세트(IV set) 내 장착되어 이물질과 공기를 제거하는 마이크로필터 하우징을 IV set에 장착하여 약, 액을 환자 등에게 주입할 경우, 대부분 중력과 siphoning(빨림)현상에 의해 주입되게 되며, 이 경우 필터 상층부가 차단되거나 필터 아래 부분의 약, 액이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해 빨리 유출(흐르면)되어 오히려 공기 유출구(에어홈)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유출 홈(에어홈)에 에어벤트(53)를 씌워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특징을 가지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53)는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홈(15)을 개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공기가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등에 상기 에어홈을 차폐함으로써, 수액 주입 시에 사이포닝(siphoning)현상에 의해 공기가 필터 및 수액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주사액을 공기유입이 방지된 상태로 공급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11 : 전면부
12 : 후면부
13 : 유입구
14 : 유출구
15 : 에어홈
16 : 다단구조
17 : 융착산
20 : 제1덮개
21 : 수용부
22 : 가이드
23 : 유입홈
24 : 유출홈
30 : 제2덮개
31 : 수용부
32 : 가이드
33 : 유입홈
34 : 유출홈
40 : 수액필터부재
41 : 제1수액필터부재
42 : 제2수액필터부재
50 : 에어필터부재
51 : 제1에어필터부재
52 : 제2에어필터부재
53 : 에어벤트
100 : 수액 필터 어셈블리

Claims (15)

  1. 수액 필터 어셈블리의 중심에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에 수액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0)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개방된 전면부(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20);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12)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0)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개방된 후면부(1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30);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유출되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상기 몸체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에어필터부재(50);
    를 포함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3);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마련되되, 수액라인과 결합하여 수액을 상기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의 외측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에어필터부재(50)가 삽입 및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에어홈(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 및 후면부(12)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제1, 2덮개(20, 30)의 돌출구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돌출턱을 포함하여 적어도 2단 이상의 다단구조(16)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1) 및 후면부(12)로 각각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 및 제1, 2덮개(20, 30)의 돌출구성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융착산(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부터 다수개의 수액필터부재(40)를 거쳐 필터링된 수액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21, 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에 일정방향으로 수액의 유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22, 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 31)에 저장된 수액을 유입하는 유입홈(23, 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는,
    상기 제1덮개(20) 및 제2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부(21, 31)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1, 31)에 저장된 수액을 유출하는 유출홈(24, 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필터부재(4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1수액필터부재(41);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수액을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 방향으로 필터링하는 제2수액필터부재(42);
    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액필터부재(41) 및 제2수액필터부재(42)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필터링하는 친수성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부재(5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중앙에 마련된 유입구(13)를 기준으로 넓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에어필터부재(51) 및 제2에어필터부재(52);
    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필터부재(51) 및 제2에어필터부재(52)는,
    수액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액체는 거르고 기체를 필터링하는 소수성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산(17)은,
    결합되는 부재간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홈(15)의 개폐가 가능한 에어벤트(5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필터 어셈블리
KR1020170078334A 2017-06-21 2017-06-21 수액 필터 어셈블리. KR20180138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34A KR20180138303A (ko) 2017-06-21 2017-06-21 수액 필터 어셈블리.
PCT/KR2018/007020 WO2018236160A1 (ko) 2017-06-21 2018-06-21 수액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34A KR20180138303A (ko) 2017-06-21 2017-06-21 수액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03A true KR20180138303A (ko) 2018-12-31

Family

ID=6473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34A KR20180138303A (ko) 2017-06-21 2017-06-21 수액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38303A (ko)
WO (1) WO20182361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09B1 (ko) * 2020-04-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 듀얼 필터 어셈블리
KR20210157538A (ko) 2020-06-22 2021-12-29 박범수 개선된 필터링 구조를 갖는 수액 필터
KR102435762B1 (ko) 2021-12-27 2022-08-23 신현순 연골분리용 필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2020B2 (ja) * 2007-12-19 2013-02-13 味の素株式会社 輸液容器
KR101050489B1 (ko) * 2011-01-11 2011-07-22 박시명 의료용 에어 제거 장치
US8337701B2 (en) * 2011-03-14 2012-12-25 Pall Corporation Intravenous filter
ITMI20111621A1 (it) * 2011-09-08 2013-03-09 Gvs Spa Filtro per infusioni medicali a riempimento ottimizzato
KR20170055102A (ko) * 2015-11-11 2017-05-19 김영환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09B1 (ko) * 2020-04-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 듀얼 필터 어셈블리
KR20210157538A (ko) 2020-06-22 2021-12-29 박범수 개선된 필터링 구조를 갖는 수액 필터
KR102435762B1 (ko) 2021-12-27 2022-08-23 신현순 연골분리용 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160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1188A1 (en) Cartridge for use in a system for delivery of a payload into a cell
TWI453043B (zh) 靜脈過濾器
KR20180138303A (ko) 수액 필터 어셈블리.
US20140230657A1 (en) Air separator for extracorporeal fluid treatment sets
CN102512723B (zh) 自排气防气泡输液器
KR102168021B1 (ko)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US20140221873A1 (en) Blood sample container and blood collecting instrument
US7270757B1 (en) High capacity gravity feed filter for filtering blood and blood products
US20160317748A1 (en) Continuous use syringe filter
US20190175815A1 (en) Venous air capture chamber
KR102240665B1 (ko) 의료용 드립챔버
JP5996128B2 (ja) 流体の流れを遮断するための手段を備えた医療用加温装置
US20150231031A1 (en) Blood Bag and Blood Bag System Provided Therewith
US8439858B2 (en) Arterial blood filter
KR102171709B1 (ko) 수액 듀얼 필터 어셈블리
CN106714868B (zh) 具有袋状容器的装置以及使用该装置不形成气泡地对泵操作的、中空管线支撑的液体回路进行填充的方法
KR101050489B1 (ko) 의료용 에어 제거 장치
JP7358463B2 (ja) 生体成分分離デバイス
JP4492228B2 (ja) 輸液用フィルター
US20200188915A1 (en) Fluid Processing Cassettes Incorporating Micro- And Macrofluidic Channels
JP7036126B2 (ja) 流体デバイスおよび流路供給システム
KR20230018718A (ko) 수액 라인용 필터
WO2018174197A1 (ja) 血液分離フィルタ及び血液成分の分離方法
CN117320770A (zh) 输液过滤器及具有输液过滤器的输液组件
KR20200044632A (ko) 공기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