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65B1 - 의료용 드립챔버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립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665B1
KR102240665B1 KR1020190060373A KR20190060373A KR102240665B1 KR 102240665 B1 KR102240665 B1 KR 102240665B1 KR 1020190060373 A KR1020190060373 A KR 1020190060373A KR 20190060373 A KR20190060373 A KR 20190060373A KR 102240665 B1 KR102240665 B1 KR 10224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pe
filter
coupled
drip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647A (ko
Inventor
김연주
Original Assignee
위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79Filtering means
    • A61J1/2086Filtering means for fluid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2005/1623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액백과 연결되면 자동으로 일정수위까지 수액이 유입되고 수액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드립챔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챔버는 내부에 유입관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되는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벤트부 및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는 상기 챔버의 내외부의 공기는 연결하고 액체의 이동은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립챔버{MEDICAL DRIP CHAMB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드립챔버에 관한 것으로, 수액백에 연결되어 수액을 인출하는 드립챔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수액백(링거액)은 드립챔버와 연결되어 수액백의 수액을 외부로 인출하고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수액백에서 인출되는 수액의 인출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수액백의 수액을 드립챔버의 내부공간으로 일정한 수위만큼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드립챔버를 펌핑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고, 수액백에 드립챔버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드립챔버를 거쳐 신체 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090호는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707호는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드립챔버들은 수액백과 연결되면 자동으로 수액이 유입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수액백과 연결되면 자동으로 일정수위까지 수액이 유입되고 수액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드립챔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드립챔버는 내부에 유입관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되는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벤트부 및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는 상기 챔버의 내외부의 공기는 연결하고 액체의 이동은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트부는 일단은 상기 챔버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벤트필터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립챔버는 전방부는 일부가 상기 배출관과 밀착된 필터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후방부는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출관을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과 분리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전방부는 직사각환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은 상기 배출관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와 결합되고, 후방부는 양측면이 계단 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어 상기 벤트부와 결합되는 거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부는 상기 배출관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벤트필터와 결합되는 관, 상기 관을 둘러싸고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필터 및 관을 밀봉하고 원통형의 가이드를 통해 상기 커버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밀봉부재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챔버는 스파이크를 수액백에 삽입시키는 과정만으로 자동으로 수액이 드립챔버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만큼 유입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립챔버는 내부에 수액이 일정 수위까지 유입되면 자동으로 수액의 유입을 차단하여 일정한 양 이상에 해당하는 수액이 드립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드립챔버는 하부에 돌출된 관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을 통해 내부의 밀봉부재가 파손되도록 형성되어 재사용이 방지되고, 밀봉부재의 파손없이 드립챔버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내부의 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을 위해서는 밀봉부재의 파손을 강제하도록 설계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드립챔버를 다른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 및 4들은 도 1의 드립챔버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
도 5는 도 1의 드립챔버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드립챔버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드립챔버를 다른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챔버(100)는 스파이크(200), 연결관(220), 연결포트(240), 챔버(300), 벤트부(400), 배출관(450), 필터부(500) 및 커버부(600)들을 포함한다.
드립챔버(100)의 상단 일부분은 수액백(링거액)으로 삽입되면 중앙 내부에 수액이 일정 수위까지 자동으로 유입되고, 수액이 소정의 수위까지 유입되면 자동으로 수액의 수위 상승이 제한된다.
드립챔버(100) 내부의 수액의 수위 상승이 제한되고 수액의 유입이 중단된 상태에서 드립챔버(100)의 하부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수액이 하부를 향해 배출되면 수액이 배출된 만큼 수액백에서 드립챔버(100) 내부로 수액이 유입된다.
또한, 드립챔버(100) 내부에는 상기 튜브로 배출되는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가 배치되어 상기 튜브를 통해 수액 내부의 이물질이 신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스파이크(200)는 일단은 상부를 향해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 가장자리에서 원통형태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측면에는 스파이크(200) 내부의 유입관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파이크(200)의 일단이 상기 수액백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액백의 내부로 삽입되면, 수액은 상기 통공들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스파이크(200)의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연결관(220)의 일단은 스파이크(20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파이크(20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형을 유지하면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연결관(220)의 내부공간은 스파이크(200)의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통공들을 통해 상기 유입관에 유입되는 수액은 연결관(220)의 내부 및 연결포트(240)의 내부를 거쳐 챔버(300)의 내부로 이동한다.
연결포트(240)는 플랜지(242)를 포함한다.
연결포트(240)의 일단은 연결관(22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관(2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챔버(3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스파이크(200)의 상기 통공들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수액은 연결관(220)의 내부 및 연결포트(240)의 내부를 지나 챔버(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플랜지(242)는 연결포트(240)의 일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타원형의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스파이크(200)를 상기 수액백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수액백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해 손잡이로 활용된다.
챔버(300)의 일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결포트(240)의 타단에 삽입되어 연결포트(240)와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형을 유지하면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공간은 하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챔버(300)는 투명한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어 내부공간의 주시가 가능하고, 연결관(220) 및 연결포트(240)들을 통해 스파이크(200) 내부의 상기 유입관과 연결된다.
커버부(600)의 상단부는 챔버(300)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은 챔버(300)의 타단 외측면과 면결합되고, 하단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600) 상단부의 하부와 결합되면서 서로 연결된 커버부(600) 및 챔버(300) 내부의 공간을 밀봉한다.
벤트부(400)의 일단은 챔버(300)의 내부에 해당하는 제1 공간(10)에서 관 형태로 커버부(6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공기만 통과시키는 벤트필터와 결합된다.
따라서, 스파이크(200)를 통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수액은, 벤트부(400)의 타단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수위가 차면, 벤트부(4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챔버(300)의 외부로 배출이 제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액백에서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수액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배출관(450)의 일단은 커버부(6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커버부(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형태로 벤트부(40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필터부(500)의 전방부는 챔버(300) 내부의 제1 공간(10)에 위치한 필터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후방부는 배출관(450)과 이격된 상태로 배출관(450)을 둘러싸며 배출관(450)을 제1 공간(10)과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필터부(500)는 제1 공간(10)에서 챔버(300)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벤트부(400)는 제1 공간(10)의 필터부(5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챔버(300)의 내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벤트부(400)의 전방부는 필터부(500)의 후방부와 결합된다.
필터부(500)의 전방부 및 챔버(3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수액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수액은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필터부(500) 내부공간, 배출관(450)의 입구 및 커버부(600)를 지나 상기 튜브를 통해 신체의 내부로 주입된다.
스파이크(200)가 수액백으로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를 통해 제1 공간(10)에서 필터부(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신체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4들은 도 1의 드립챔버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드립챔버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드립챔버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부(400)는 관(420), 커버(440) 및 벤트필터(460)들을 포함한다.
관(420)의 일단은 커버부(600)를 관통하여 커버부(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 형태로 제1 공간(10)에서 필터부(500)의 타단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챔버(300)의 중앙쪽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440)의 일단은 커버부(600)의 하부쪽 내측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관(420)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관(420)의 외측면과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관(420)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필터부(50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커버(440)의 타단은 관(42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커버(440)의 전면은 필터부(500)의 후방부와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필터부(500)를 제1 공간(10)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벤트필터(460)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액체의 이동은 차단하는 필터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관(42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상기 수액이 관(420)의 내부에 해당하는 제2 공간(20)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제1 공간(10) 내부의 공기는 관(42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필터링한다.
스파이크(200) 내부의 유입관(5)으로 유입되는 상기 수액은 벤트필터(460) 및 관(420)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공기만큼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므로, 스파이크(200)를 상기 수액백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수액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된다.
상기 수액이 벤트필터(46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제1 공간(10)에 유입되면, 상기 수액이 벤트필터(460)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여 유입관(5)에 유입된 상기 수액이 제1 공간(1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드립챔버(100)는 기존과 달리 스파이크(200)를 상기 수액백에 삽입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수액이 제1 공간(10)으로 일정량 유입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드립챔버(100)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배출관(450)의 일단은 커버부(60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커버부(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형태로 커버(44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벤트필터(460)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배출관(450)의 타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1 공간(10)에 유입되는 수액은 배출관(450)의 타단 및 벤트필터(460)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유입되면 배출관(450) 타단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벤트필터(460)를 통해 제1 공간(10)의 공기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수액이 벤트필터(46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차오르면, 제1 공간(10) 내부의 공기 배출이 중단되고 수액의 제1 공간(10)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필터부(500)는 필터(540) 및 거치유닛(560)들을 포함한다.
필터(540)는 제1 공간(10)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배출관(45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관(450)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작된다.
필터(540)는 중량이 현저히 낮고, 연소시에 연기배출양이 낮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 재활용 소재로 효과적인 폴리에테르술폰(PES:Polyethersulfone)소재로 제작되며, 유입관(5)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그물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거치유닛(560)의 전방부는 사각 프레임(직사각 환)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54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필터(540)와 결합되고, 후방부는 전방부에서 후방부 및 배출관(450)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커버(440)가 위치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커버(440)와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유닛(560)의 상단 내측면 일부분은 배출관(450)의 타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커버(440)와 결합되고, 거치유닛(560)의 상단 내측면 전방 일부분은 고리 형태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배출관(450)의 타단 전방쪽 가장자리 일부분과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거치유닛(560)의 후방부 양측은 거치유닛(560)의 전방부와 높이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거치유닛(560)의 후방을 향해 양측면이 계단 형태로 절곡되면서 축소 연장되고, 커버(440)의 전방부에 결합되어 제1 공간(10)과 분리된 제4 공간(40)을 형성한다.
필터(540)를 통해 제1 공간(10)에서 제4 공간(40)으로 유입되는 필터링된 수액은 제4 공간(40)에서 배출관(450)의 타단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차오르도록 제4 공간(40)에 유입되고, 배출관(450)의 타단 상부로 상기 수액의 수위가 올라가면, 상기 수액은 배출관(450)의 타단에 위치한 입구와 거치유닛(56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지나 배출관(450)의 입구 내부에 해당하는 제3 공간(30)을 따라 커버부(600)의 외부로 이동한다.
거치유닛(560)의 양측에 해당하는 내측면들은 커버(440)를 향해 계단 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필터(540)를 통과한 수액은 거치유닛(560)의 양측 내측면에 의해 배출관(450)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거치유닛(560)에 의해 배출관(450)의 타단 입구(개구부)로 가이드되는 수액은 원활하게 제3 공간(30)으로 이동하고, 제3 공간(30)으로 상기 수액이 이동한 양만큼 제1 공간(10) 내부의 상기 수액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수위는 관(420)의 타단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수액의 수위가 관(420)의 타단 하부에 위치하면서, 공기가 벤트필터(460) 및 관(420)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고, 외부로 배출된 공기만큼 다시 스파이크(200)의 유입관(5)에 유입된 상기 수액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액이 관(420)의 타단 상부까지 차오른다.
따라서, 필터(540)를 통해 여과된 수액이 배출관(450)을 통해 외부로 이동한만큼 상기 수액백에서 배출되는 수액이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고, 이러한 흐름이 반복되면서 주기적으로 수액이 상기 튜브를 통해 신체의 내부로 주입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립챔버(120)는 벤트부(700)의 관(425), 가이드(470), 밀봉부재(480), 바(490) 및 차단판(495)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드립챔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드립챔버(120)는 벤트부(700)를 포함하고, 벤트부(700)는 도 1 내지 6들의 관(420)을 대신해서 관(425)을 포함하고, 가이드(470), 밀봉부재(480), 바(490) 및 차단판(495)들을 포함한다.
관(425)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커버부(600)를 관통하여 커버부(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커버(440)를 관통하면서 상부를 향해 원통형태를 유지하며 필터부(50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관(425)은 커버부(600) 및 커버(440)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는 커버부(600)의 하부에 위치한 관(425)의 일단을 잡고 관(425)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470)의 일단은 커버(440)의 타단 상부면에서 관(425)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4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형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타단 내측면은 관(425)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밀봉부재(48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는 가이드(470)의 타단 가장자리와 결합되면서 가이드(470)의 타단을 밀봉하여 가이드(470)의 내부에 위치한 관(425)의 타단과 제1 공간(10)을 서로 차단시킨다.
바(490)의 일단은, 배출관(450)의 타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거치유닛(560)부터 커버(440)를 지나 관(425)이 삽입된 위치까지 함몰된 홈(90)의 안쪽에 위치한 관(425)의 외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배출관(450)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어 배출관(450)의 타단을 밀봉하는 원판 형태의 차단판(495)과 결합된다.
홈(90)은 제4 공간(40)쪽의 거치유닛(560)의 내측면에서 관(425)의 외측면이 위치하는 커버(440)의 안쪽까지 함몰되어 제4 공간(40)과 관(425)의 외측면을 연결하고, 커버(440)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바(490)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드립챔버(120)를 사용하기 위해 관(425)의 일단을 잡고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관(425)을 밀면, 관(425)의 타단이 밀봉부재(480)를 파손시키고, 바(490) 및 차단판(495)은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배출관(450)의 타단 개구부를 제4 공간(40)에 개방시킨다.
관(425)은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밀봉부재(480)를 파손하고, 바(490)는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홈(90) 안쪽에 해당하는 거치유닛(560) 또는 커버(44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관(425)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드립챔버(120)는 사용하기 위해 밀봉부재(480)를 파손시켜야 하므로 재사용이 제한되고, 밀봉부재(480)가 파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필터(460) 및 관(425)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차단판(495)이 배출관(450)의 타단 개구부를 밀봉하므로 밀봉부재(480)의 파손하면서 차단판(495)을 배출관(450)과 분리시켜야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드립챔버 200: 스파이크
220: 연결관 240: 연결포트
400: 벤트부 500: 필터부
600: 커버부

Claims (5)

  1. 내부에 유입관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되는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
    상기 챔버의 내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벤트부; 및
    전방부는 직사각환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와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며 후방부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벤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출관을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과 분리시키는 거치유닛을 구비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는,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커버, 일단은 상기 챔버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공간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관보다 높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와 상하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 상기 관의 타단 개구부에 결합되어 공기만 통과시키는 벤트필터, 상기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의 타단 외측을 둘러싸는 가이드 및 상기 관의 타단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밀봉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챔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0373A 2019-05-23 2019-05-23 의료용 드립챔버 KR10224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73A KR102240665B1 (ko) 2019-05-23 2019-05-23 의료용 드립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73A KR102240665B1 (ko) 2019-05-23 2019-05-23 의료용 드립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47A KR20200134647A (ko) 2020-12-02
KR102240665B1 true KR102240665B1 (ko) 2021-04-15

Family

ID=7379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73A KR102240665B1 (ko) 2019-05-23 2019-05-23 의료용 드립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595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밴드골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 드립챔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875B1 (ko) * 2021-04-05 2021-08-02 주식회사 켄루 오토 드립 챔버
KR102625084B1 (ko) * 2021-09-10 2024-01-16 김성기 수액투입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546A (ja) 1996-05-06 2007-02-22 Mallinckrodt Inc 液体よりガスを除去するための滴下チェンバ
JP2009219798A (ja) 2008-03-18 2009-10-01 Jms Co Ltd 点滴筒及び輸液セット
US7892204B2 (en) 1999-12-13 2011-02-22 Menahem Kraus Membrane support for drip chamber
CN104758998A (zh) * 2015-04-21 2015-07-08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排气止液输液器
WO2015188576A1 (zh) 2014-06-14 2015-12-17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自排气防气泡自动止液精密过滤输液器
CN105194768A (zh) * 2015-11-02 2015-12-30 天津哈娜好兴达医用制品有限公司 带有自动止液、自动排气的过滤滴斗
KR101742090B1 (ko) 2016-05-03 2017-06-01 이상운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07U (ko) * 2016-01-20 2017-07-28 이상운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546A (ja) 1996-05-06 2007-02-22 Mallinckrodt Inc 液体よりガスを除去するための滴下チェンバ
US7892204B2 (en) 1999-12-13 2011-02-22 Menahem Kraus Membrane support for drip chamber
JP2009219798A (ja) 2008-03-18 2009-10-01 Jms Co Ltd 点滴筒及び輸液セット
WO2015188576A1 (zh) 2014-06-14 2015-12-17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自排气防气泡自动止液精密过滤输液器
CN104758998A (zh) * 2015-04-21 2015-07-08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排气止液输液器
CN105194768A (zh) * 2015-11-02 2015-12-30 天津哈娜好兴达医用制品有限公司 带有自动止液、自动排气的过滤滴斗
KR101742090B1 (ko) 2016-05-03 2017-06-01 이상운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595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밴드골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 드립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47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665B1 (ko) 의료용 드립챔버
KR101335979B1 (ko)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US10047708B2 (en) Fuel water separator filter
CN104204496B (zh) 带自动排气的过滤元件
US5472605A (en) Filtration device useable for removal of leukocytes and other blood components
US5938940A (en) In-line liquid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useable for blood and blood products
US8361320B2 (en) Biological fluid filtration apparatus
US6841065B2 (en) Fluid filt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6010633A (en) Method of preventing air from becoming entrapped within a filtration device
US5961700A (en) Filter system for removal of gas and particulates from cellular fluids
CN104220100B (zh) 外科消毒容器和外科流体抽取装置
US20060191832A1 (en) Dual media fuel filter and fuel/water separator cartridge filter system
US20130248436A1 (en) Liquid filter assembly
CN101940807A (zh) 一种自动排气的医用静脉输液器
CN103977473A (zh) 一种装有排气储液管和微流量输液管的自动止液输液器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CN102526844A (zh) 一种自动排气和防回血输液器
CN203943957U (zh) 一种装有排气储液管和微流量输液管的自动止液输液器
KR101742090B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CN204890787U (zh) 一种带过滤网的自动排气止液精密过滤输液器
CN104189969A (zh) 一种装有新型排气储液管的自动止液输液器
CN208397314U (zh) 吸液手柄控制阀门
JP5136848B2 (ja) 点滴筒、及び輸液セット
CN208274794U (zh) 一种自排气滴斗
BR102016006221B1 (pt) Dispositivo de fornecimento de combustí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