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707U -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 Google Patents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707U
KR20170002707U KR2020160000344U KR20160000344U KR20170002707U KR 20170002707 U KR20170002707 U KR 20170002707U KR 2020160000344 U KR2020160000344 U KR 2020160000344U KR 20160000344 U KR20160000344 U KR 20160000344U KR 20170002707 U KR20170002707 U KR 20170002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chamber
liquid
filter
filter hou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202016000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707U/ko
Publication of KR20170002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61M2005/1657Filter with membrane, e.g. membrane, flat sheet type infusion 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수액(輸液)을 체내로 이송시켜 주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수액 저장용기의 포트(port)에 삽입되는 스파이크(spike)와, 상기 스파이크를 통해 유출되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키는 적하관(滴下管)과, 그리고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터링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혹시 상기 수액 중에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를 이물질이 체내로 유입되는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드립챔버 유닛(drip chamber unit)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Drip chamber unit with filtering function for medical injection set}
본 고안은 의료용 수액(輸液)을 체내로 이송시켜 주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수액 저장용기의 포트(port)에 삽입되는 스파이크(spike)와, 상기 스파이크를 통해 유출되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키는 적하관(滴下管)과, 그리고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터링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혹시 상기 수액 중에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를 이물질이 체내로 유입되는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드립챔버 유닛(drip chamber unit)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 1은 의료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수액세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수액(輸液)을 저장하는 수액용기(100)와, 상기 수액용기(100)에 설치된 포트(110)와, 상기 수액용기(100)로부터 수액을 인출하는 드립챔버(120)와, 상기 드립챔버(1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액튜브(140)와, 상기 수액튜브(140)의 단부에 설치되는 주사기(150)와 니들컨넥터(16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액튜브(140)에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130)와 다른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분기관(1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드립챔버(120)는 수액용기(100)의 포트(110)에 삽입되는 '스파이크(spike)'와, 상기 스파이크를 통해 배출되는 수액을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수액튜브(140)로 배출하는 '적하관(滴下管)'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하관은 투명한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수액의 배출 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배액을 촉진하기 위하여 수액을 펌핑(pumping)할 수도 있다.
종래에도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88631호(2000.04.28.)에는 상기 적하관 속에 야광볼이 내장된 드립챔버가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58702호(2012.02.09.) 및 제20-0470517호(2013.12.16.)에는 스파이크와 적하관이 요철 결합에 의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 드립챔버가 소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2-0035260호(2012.04.16.)에는 제조 과정이나 포트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하여 상기 분기관(170)에 필터부재를 설치한 수액세트가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액세트는 상기 필터부재가 분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막의 넓이, 즉 여과 면적이 상기 분기관의 단면적을 초과할 수 없고, 따라서 상기 분기관을 통과하는 수액의 유량에 비해 상기 필터막의 여과 속도가 너무 늦어서 상기 필터막이 수액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88631호(등록일자; 2000년 04월 28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58702호(등록일자; 2012년 02월 09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70517호(등록일자; 2013년 12월 16일) 공개특허 제10-2012-0035260호(공개일자; 2012년 04월 16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수액세트의 제조 과정이나, 수액용기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고무 파편 등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링 부재가 설치되어 부작용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필터링 부재가 수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우수한 여과 효율을 나타내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은, 수액용기의 포트(port)에 삽입되는 스파이크(spike)와, 상기 스파이크를 통해 배출되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하단으로 배출하는 적하관, 그리고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필터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부재는, 뒤집어진 접시 형상으로서 상면에는 상기 적하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있는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1 필터하우징에 대응하는 접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원반 형상의 내부공간을 구성하며, 저면에는 수액 배출관이 구비되어 있는 제2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테두리 부위가 양쪽 필터하우징의 테두리 부위에 의해서 지지되는 여과막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여과막을 받쳐주는 받침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세트용 드립챔버는, 상기 적하관 하단에 설치된 필터링 부재가 상기 적하관을 통과하는 수액을 모두 걸러주기 때문에 혹시 상기 수액 중에 고무 파편이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인체 내로 유입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액세트용 드립챔버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 사이의 내부공간 및 여기에 설치되는 여과막의 직경이 상기 적하관의 직경보다 크고 여과 면적이 넓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우수하고 상기 필터링 부재가 수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수액세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챔버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드립챔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상기 드립챔버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상기 드립챔버의 분리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수액용기에 드립챔버 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액이 흘러내리는 방향을 기준으로 스파이크(10) 쪽을 ‘상단’이라 하고, 필터링 부재(30) 쪽을 ‘하단’으로 상정하여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세트의 드립챔버는, 수액용기의 포트에 삽입되는 스파이크(10)와, 상기 스파이크(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하단으로 배출하는 적하관(20), 그리고 상기 적하관(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터링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상 상기 스파이크(10)가 위로 향하고 상기 적하관(20)과 필터링 부재(30)가 아래로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사용된다.
먼저 상기 스파이크(10)는 통상적인 스파이크와 마찬가지로, 상단에는 고무마개나 포트를 뚫고 들어가도록 뽀족한 첨예부가 구비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수액이 흘러나오는 배액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10)는 통상 단단한 ABS 수지 또는 경질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적하관(20)은 상기 배액공(11)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류시키고 있다가 하단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 투명한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배액공(11)의 하단으로 수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배액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적하관(20)의 양쪽을 눌러서 수액을 펌핑(pumping)할 수도 있다.
상기 적하관(20)은 탄성을 가지면서 투명한 폴리올레핀 수지,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적하관(20)은 쇼아 A 경도가 40~1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필터링 부재(30)는 상기 적하관(20)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액공(11)을 통해 배출되는 수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 필터하우징(31) 및 제2 필터하우징(32)과 여과막(33), 그리고 받침살(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필터하우징(31)은 뒤집어진 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상기 적하관(20)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관(31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필터하우징(32)은 상기 제1 필터하우징(31)과 대응하는 접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31)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원반 형상의 내부공간을 구성하며, 저면에는 수액 배출관(3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액 배출관(32a)에는 통상적인 수액튜브가 연결된다.
상기 여과막(33)은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31,3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테두리 부위가 양쪽 필터하우징(31,32)의 테두리 부위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여과막(33)은 PES(poly ether sulfone), PTFE(poly tetra-fluoro ethylene),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필터공의 크기가 0.2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31,32) 사이의 내부 공간 및 여기에 설치되는 여과막(33)은 각각의 직경이 상기 적하관(20)의 직경보다 크고 여과 면적이 넓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우수하며, 특히 상기 여과막(33)이 수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받침살(34)은 상기 제2 필터하우징(32)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막(33)이 수액의 유압에 의해 밑으로 쳐져 내리지 않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살(34)은 수액을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32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터링 부재(30)의 수액 배출관(32a)에는 첨부 도 1과 같이, 자유 단부에 주사기(150)와 니들컨넥터(160)이 설치된 수액튜브(140)가 연결될 수도 있으나, 첨부 도 6과 같이, 자유 단부에 튜브 컨넥터(41)가 설치된 수액튜브(4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튜브 컨넥터(41)는 도 7과 같이, 통상적인 수액세트용 접속포트(P)에 접속된다.
참고로 상기 접속포트(P)는 포트하우징(P1) 내부에 고무전(P2)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전(P2)에는 상기 튜브 컨넥터(41)가 삽입되는 슬릿부와 중앙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튜브 컨넥터(41)와 상기 접속포트(P)는 통상 나사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수액튜브(40)에는 도 1의 유량조절기(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서 본 고안에서 전혀 예기치 못한 새로운 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스파이크(spike) 11; 배액공
20; 적하관(滴下管) 30; 필터링 부재
31; 제1 필터하우징 31a; 연결관
32; 제2 필터하우징 32a; 배출관
33; 여과막 34; 받침살
40; 수액튜브 41; 튜브 컨넥터
P; 접속포트

Claims (4)

  1. 수액용기의 포트에 삽입되는 스파이크(10)와, 상기 스파이크(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하단으로 배출하는 적하관(20), 그리고 상기 적하관(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필터링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부재(30)는:
    뒤집어진 접시 형상으로서, 상면에는 상기 적하관(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관(31a)이 구비되어 있는 제1 필터하우징(31)과;
    상기 제1 필터하우징(31)에 대응하는 접시 형상으로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51)과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원반 형상의 내부공간을 구성하며, 저면에는 수액 배출관(32a)이 구비되어 있는 제2 필터하우징(32)과;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31,3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테두리 부위가 양쪽 필터하우징(31,32)의 테두리 부위에 의해서 지지되는 여과막(33)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32)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여과막(33)을 받쳐주는 받침살(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부재(30)의 배출관(32a)에는 수액튜브(4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수액튜브(40)의 자유 단부에는 수액세트용 접속포트(P)에 접속되는 튜브 컨넥터(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하우징(31,32) 사이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여과막(33)은 직경이 상기 적하관(20)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살(34)은 상기 배출관(32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KR2020160000344U 2016-01-20 2016-01-20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KR201700027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44U KR20170002707U (ko) 2016-01-20 2016-01-20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44U KR20170002707U (ko) 2016-01-20 2016-01-20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07U true KR20170002707U (ko) 2017-07-28

Family

ID=5939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44U KR20170002707U (ko) 2016-01-20 2016-01-20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707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67B1 (ko)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KR20200134647A (ko) * 2019-05-23 2020-12-02 위더스 주식회사 의료용 드립챔버
KR102322521B1 (ko) 2021-05-04 2021-11-04 김민성 수액 주입 호스용 필터링 커넥터
KR102500000B1 (ko) 2022-03-18 2023-02-16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수액세트
KR20240003595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밴드골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 드립챔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31Y1 (ko) 2000-02-17 2000-07-15 박성빈 정맥주사용 점적통
KR20040058702A (ko) 2002-12-27 2004-07-05 삼보과학 주식회사 플록 검출용 입자계수시스템
KR20040070517A (ko) 2003-02-03 2004-08-11 이경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녹취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단말기
KR20120035260A (ko) 2010-10-05 2012-04-16 김정재 수액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31Y1 (ko) 2000-02-17 2000-07-15 박성빈 정맥주사용 점적통
KR20040058702A (ko) 2002-12-27 2004-07-05 삼보과학 주식회사 플록 검출용 입자계수시스템
KR20040070517A (ko) 2003-02-03 2004-08-11 이경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녹취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단말기
KR20120035260A (ko) 2010-10-05 2012-04-16 김정재 수액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67B1 (ko)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KR20200134647A (ko) * 2019-05-23 2020-12-02 위더스 주식회사 의료용 드립챔버
KR102322521B1 (ko) 2021-05-04 2021-11-04 김민성 수액 주입 호스용 필터링 커넥터
KR102500000B1 (ko) 2022-03-18 2023-02-16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수액세트
KR20230136519A (ko) 2022-03-18 2023-09-26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수액세트
KR20240003595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밴드골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 드립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707U (ko) 필터링 기능을 갖는 수액세트용 드립챔버 유닛
US9675755B2 (en) Syringe filter
CA2940164C (en) Connector with filter
KR101535350B1 (ko)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US9052025B2 (en) Bidirectional duckbill valve apparatus and a method for its use
DE102013007190A1 (de) Kassettenmodul mit integrierter Zentrifugalpumpeneinheit
JP2017520321A (ja) 受動的再始動yサイト
KR20170040062A (ko) 수액세트의 배액유니트
KR101749534B1 (ko) 연장 가능한 수액세트용 멀티웨이 조립체
KR101833871B1 (ko) 의료용 수액세트의 접속구
CN104001231B (zh) 安全泵留置针
EA024876B1 (ru) Кассет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жидкости
KR101993918B1 (ko) 이물질 여과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KR200471678Y1 (ko) 필터내장형 인젝션 포트
KR101742090B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CN210844572U (zh) 血液灌流器及血液净化设备
CN102908696A (zh) 逆流防回血药液过滤器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WO2016150319A2 (zh) 防回血装置及医用输液器
KR101735500B1 (ko) 의료용 연결기
CN204466472U (zh) 混合型灌溉装置
JP6387253B2 (ja) 接続具及びその接続具が取り付けられた血液浄化装置
US20220016327A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blood purifying device
CN204543147U (zh) 一种新型防气泡输液器
KR200487212Y1 (ko) 수액용기의 배액 연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