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173A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173A
KR20180137173A KR1020170076487A KR20170076487A KR20180137173A KR 20180137173 A KR20180137173 A KR 20180137173A KR 1020170076487 A KR1020170076487 A KR 1020170076487A KR 20170076487 A KR20170076487 A KR 20170076487A KR 20180137173 A KR20180137173 A KR 2018013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stem
couple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868B1 (ko
Inventor
홍성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7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86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스토퍼가 구비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용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이 수용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단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스템의 하단과 결합되며 스토퍼를 구비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용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2용기 하단에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지가 붙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가압프레임에 구비된 스토퍼를 제거한 후 상기 가압프레임을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압프레임과 결합된 스템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스템 상부의 절개부재가 제2용기 하단의 실링지를 절개(切開)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용기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제1용기 내부로 쏟아지게 되어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따로 분리 보관함으로써 상기 제1,2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없으며, 스토퍼에 의해 유통도 중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그 종류에 따라 분말, 액체, 겔 상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되고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하나의 화장품용기에 수납하였다가 사용 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용기도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중에서도 액상의 베이스 성분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품이나 파우더 상태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두 종류의 화장품을 미리 혼합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되면, 유통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변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화학적 변화나 비중 차이로 인한 침전 등으로 인하여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종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각각의 화장품을 별도로 구입하여야만 하는데 이에 따른 비용부담이 야기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정확한 혼합비로 혼합하기도 어려운점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376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제1내용물이 수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 상부에 결합되는 캡(2)으로 구성되되, 상기 캡(2)은 상기 본체(1)와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3)와, 상기 내용물용기(3) 상단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버튼(4)과, 상기 버튼(4)과 결합되며 내용물용기(3)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부재(5)로 구성되되, 상기 내용물용기(3) 하단에는 제2내용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차단막(6)이 부착되며, 상기 작동부재(5) 하단은 경사진 형태의 날부(7)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버튼(4)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4)과 결합된 작동부재(5)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부재(5) 하단에 형성된 날부(7)는 차닥막(6)을 절개하여 상기 내용물용기(3)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본체(1)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써, 이종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버튼(4)을 가압함으로써 이종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것으로 유통중에 의도치 않게 버튼(4)이 눌려 내용물이 섞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버튼(4)을 가압하여 이종 내용물을 혼합한 뒤 내용물을 사용할 때 본체(1)와 캡(2)을 분리하여 본체(1)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해야 하는데, 상기 캡(2)을 본체(1)로부터 분리했을 경우 상기 캡(2) 하단에 작동부재(5)의 날부(7)가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날부(7)에 다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내용물이 수용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단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스템의 하단과 결합되며 스토퍼를 구비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용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2용기 하단에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지가 붙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가압프레임에 구비된 스토퍼를 제거한 후 상기 가압프레임을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압프레임과 결합된 스템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스템 상부의 절개부재가 제2용기 하단의 실링지를 절개(切開)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용기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제1용기 내부로 쏟아지게 되어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따로 분리 보관함으로써 상기 제1,2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없으며, 스토퍼에 의해 유통도 중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스토퍼가 구비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용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용기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스템이 관통되며,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는 밀폐링이 구비되어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의 절개부재 사이에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의 상부 외주면에는 지지돌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는 혼합된 제1,2내용물을 펌프 또는 스포이드부재로 이동시키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에는 혼합된 제1,2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에는 스포이드관과 누름주머니로 이루어진 스포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스포이드관은 스템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제1내용물이 수용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단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스템의 하단과 결합되며 스토퍼를 구비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용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2용기 하단에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지가 붙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가압프레임에 구비된 스토퍼를 제거한 후 상기 가압프레임을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압프레임과 결합된 스템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스템 상부의 절개부재가 제2용기 하단의 실링지를 절개(切開)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용기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제1용기 내부로 쏟아지게 되어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따로 분리 보관함으로써 상기 제1,2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없으며, 스토퍼에 의해 유통도 중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2내용물용을 실링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2용기를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스토퍼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도포가 편리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2내용물용을 실링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2용기를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스토퍼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제1,2내용물을 혼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내부에 제1내용물(10a)이 수용되는 제1용기(10)와, 상기 제1용기(1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절개부재(21)가 구비된 스템(20)과, 상기 제1용기(10)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템(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스토퍼(31)가 구비된 가압프레임(30)과, 상기 제1용기(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40a)이 수용되는 제2용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바닥면에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용기(10)에는 제1내용물(10a)이 수용되되, 제1용기(1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홀(11)은 스템(20)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제1내용물(10a)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용기(10)의 하부에는 하부연장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부(12)에는 가압프레임(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용기(10)의 내측에는 스템(20)이 결합되되, 상기 스템(20)의 하부는 제1용기(10)의 관통홀(11)을 관통한다.
상기 스템(20)은 제1용기(10) 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용기(40)에 수용된 제2내용물(40a)을 제1용기(1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템(20)은 상부에 절개부재(21)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재(21) 사이에는 이동통로(2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재(2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용기(40) 하단의 실링지(45)를 절개(切開)한다.
상기 이동통로(22)는 제2용기(40) 내측에 수용된 제2내용물(40a)이 제1용기(10)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스템(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돌륜(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륜(23)은 스템(20)이 제1용기(10) 내측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2용기(40)의 실링지(45)를 절개할 때, 상기 스템(20)이 제1용기(10) 내측에서 안정감있게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템(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밀폐링(24)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링(24)은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템(20)이 제2용기(40)의 실링지(45)를 제거하기 전에는 상부 밀폐링(24)이 제1용기(10)의 관통홀(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용기(10)의 제1내용물(10a)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템(20)이 제2용기(40)의 실링지(45)를 제거하기 위해 위쪽으로 이동하면 하부 밀폐링(24)이 제1용기(10)의 관통홀(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용기(10)의 제1내용물(10a)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템(20)은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외주면에 흡입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5)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서 처럼 혼합된 제1,2내용물(10a,40a)을 펌프(60) 또는 스포이드부재(70)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60) 또는 스포이드부재(70)는 제2용기(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60)는 혼합된 제1,2내용물(10a,40a)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스포이드부재(70)는 스포이드관(71)과 상기 스포이드관(71)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버튼(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포이드관(21)은 도 12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템(20)의 내부로 삽입되어 흡입구(25)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된 제1,2내용물(10a,40a)을 취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1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연장부(12)에는 가압프레임(30)이 결합된다.
상기 가압프레임(30)에는 스템(20)의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가압프레임(30)은 스토퍼(31)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31)의 일측에는 손잡이(32)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2)를 잡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31)를 제거한 후, 가압프레임(30)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상기 가압프레임(30)에 결합된 스템(20)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상기 스템(20)의 절개부재(21)가 제2용기(4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실링지(45)를 절개(切開)하게 된다.
상기 제2용기(40)는 상부에 개구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에는 토출패킹(42)이 결합된다.
상기 토출패킹(42)은 혼합된 제1,2내용물(10a,40a)이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로서, 개구부(41)보다 배출구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2내용물(10a,40a)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용기(40)의 내측에는 제2내용물(40a)이 수용되되, 상기 제2내용물(40a)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링지(45)가 접착된다.
상기 제2용기(40)의 상부에는 뚜껑(50)이 결합되어 토출패킹(4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하부 바닥면에 관통홀(11)이 형성된 제1용기(10)의 내측으로 스템(20)을 결합하되, 상기 스템(20)의 하부에 형성된 밀폐링(24)이 관통홀(1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후, 상기 관통홀(11)을 관통한 스템(20)의 하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프레임(30)과 결합된다.
상기 가압프레임(30)은 스템(20)의 하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제1용기(10)의 하부연장부(12)에도 결합된다.
이후, 상기 제1용기(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제1내용물(10a)을 내측으로 주입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용기(40)를 뒤집어서 제2내용물(40a)을 상기 제2용기(40)에 주입한 다음, 상기 제2내용물(40a)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지(45)를 제2용기(40)의 하부에 접합한다.
이후,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내용물(40a)이 수용된 제2용기(40)를 제1용기(10) 상부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인 도 10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용기(40)의 상부에는 펌프(60) 또는 스포이드부재(7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프레임(30)의 손잡이(32)를 잡고 스토퍼(31)를 제거한다.
이후, 상기 스토퍼(31)를 제거한 후, 도 8 또는 도 11 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프레임(30)을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압프레임(30)에 결합된 스템(20)이 상승하면서 상기 스템(20)의 절개부재(21)가 제2용기(4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실링지(45)를 절개(切開)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용기(40)에 수용된 제2내용물(40a)이 제1용기(10) 내부로 쏟아지게 되어 제1용기(10)에 수용된 제1내용물(10a)과 혼합된다.
본 발명의 제1,2내용물(10a,40a)은 사용하기 전에는 분리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스토퍼(31)를 제거하여 제1,2내용물(10a,40a)을 혼합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31)에 의해 유통 중에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용기 20:스템
30:가압프레임 40:제2용기
50:뚜껑 60:펌프
70:스포이드부재

Claims (8)

  1.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절개부재가 구비된 스템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스토퍼가 구비된 가압프레임과;
    상기 제1용기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용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스템이 관통되며,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는 밀폐링이 구비되어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절개부재 사이에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부 외주면에는 지지돌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는 혼합된 제1,2내용물을 펌프 또는 스포이드부재로 이동시키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에는 혼합된 제1,2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에는 스포이드관과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스포이드관은 스템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0170076487A 2017-06-16 2017-06-16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978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87A KR101978868B1 (ko) 2017-06-16 2017-06-16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87A KR101978868B1 (ko) 2017-06-16 2017-06-16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173A true KR20180137173A (ko) 2018-12-27
KR101978868B1 KR101978868B1 (ko) 2019-05-15

Family

ID=6495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487A KR101978868B1 (ko) 2017-06-16 2017-06-16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36U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스타쇼핑 교반 기능을 갖는 텀블러
WO202115380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이종 화장품 믹싱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29A (ja) * 1998-05-21 1999-11-24 Shinko Chemical Co Ltd 薬液容器
JP2007153405A (ja) * 2005-12-06 2007-06-21 Key Tranding Co Ltd 二成分混合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29A (ja) * 1998-05-21 1999-11-24 Shinko Chemical Co Ltd 薬液容器
JP2007153405A (ja) * 2005-12-06 2007-06-21 Key Tranding Co Ltd 二成分混合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36U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스타쇼핑 교반 기능을 갖는 텀블러
WO2021153804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이종 화장품 믹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868B1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EP0572645B1 (fr) Ensemble destine au melange de deux produits differents stockes separement
EP2740688B1 (en) Dispensing container
KR20170136686A (ko)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10197886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8205568A1 (zh) 保鲜瓶
KR20110001233A (ko)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JP2006213332A (ja) 2成分混合容器
US8215505B2 (en)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JPH0872921A (ja) 二剤混合容器
KR102092203B1 (ko) 에어리스펌프를 구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983063B1 (ko)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101973289B1 (ko)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KR20150037802A (ko) 병뚜껑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20170122938A (ko)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761482B1 (ko) 브러쉬가 내장된 리버스 퓨전 콤팩트 용기
JP2000313484A (ja) 開封時2液混合容器
KR102116430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