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289B1 -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289B1
KR101973289B1 KR1020170155852A KR20170155852A KR101973289B1 KR 101973289 B1 KR101973289 B1 KR 101973289B1 KR 1020170155852 A KR1020170155852 A KR 1020170155852A KR 20170155852 A KR20170155852 A KR 20170155852A KR 101973289 B1 KR101973289 B1 KR 10197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shoulder
key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102017015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3002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의 분리 수용이 가능하면서, 분리수용된 이종물질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내의 내용물을 잔량 없이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분이 비슷하여 혼합 사용하였을때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이종의 내용물 중 하나의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상부로 장착되어지는 숄더와; 상기 숄더의 내부로 위치함과 동시에 메인용기의 결합부에 얹혀짐 장착되어지는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의 분리막을 절취하는 절취부재와; 숄더 회전에 의해 연동하면서 절취부재를 하강시켜 보조용기의 분리막이 절취되도록 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airless type container for separate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kinds of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물질의 분리 수용이 가능하면서, 분리수용된 이종물질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피스톤으로 밀어올려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에어리스펌프에 메인용기에 수용된 내용물과 다른 성분의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보조용기를 부가한 구조로써, 기능성 물질이어서 고가(高價)일 수 밖에 없는 내용물을 잔량 없이 배출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화장품중 같은 계열이면서 그 성분이 서로 다른물질인데, 두개의 물질(이하 "이종물질"이라 함)을 혼합 사용하였을때 보다 새로운 특성의 화장품과, 새로운 약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약품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특성을 얻게되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혼합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용방법은 각각의 용기를 이용하여 보관하게 되고, 사용을 할 때마다 별도의 용기에 이종물질을 적정한 비율이 되게 넣은 다음 혼합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이종물질을 각각의 용기에 보관 하였다가 덜어 쓰도록 된 종래 방식은 사용에 번거러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종물질을 혼합한 상태로 보관하지 않고 각각 보관 사용하는 이유는 같은 계열의 물질이긴 하나, 혼합한 상태가 7일 이상 경과하면 화학변화가 발생하여 효과가 떨어지기거나 변질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각각의 용기에 이종물질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액 및 분말을 따로 보관한 상태에서 혼합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각각의 용기에 분리보관한 상태에서 이종물질을 혼합 사용할 경우,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고, 혼합할 때마다 혼합용기에 잔량이 남게 되어 내용물의 낭비가 많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이종물질의 의약품이나 화장품 용액 또는 분말을 보다 편리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고, 7일 이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종물질의 분리 수용이 가능한 용기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종물질 분리 수용이 가능한 용기의 대표적인 구조는 크게 양분된다. 그 구조로는 상,하분리형과 좌,우 수평 분리형이 있다.
상기의 이종물질 분리 수용이 가능한 용기는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종물질을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대중화된 상태이다.
이종물질 분리 수용이 가능한 용기중 상,하 분리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그중에서도 내용물 정량 배출 사용이 가능한 배출펌프를 가지고 있는 용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정량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출펌프를 구비한 이종물질 분리 수용이 가능한 용기는 상기에서 기술한 장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배출펌프에 연결되어지는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펌프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전량 배출한 후 고가(高價)의 내용물이 배출 사용되어지지 않고 배출노즐에 남아 있게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노즐에 잔존하여 못쓰고 버려지는 내용물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을 피스톤으로 밀어 올려 전량 사용 가능하도록 된 에어리스 타입 용기에 이종물질을 분리 보관 및 혼합 사용하도록 된 용기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배출펌프를 통해 이종의 물질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용기의 상부로 장착되어지고, 그 상부에는 에어리스펌프가 장착되어지는 숄더부재 내측에 메인용기에 수용된 내용물과 다른 성분의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보조용기가 장착 구성되어진 에어리스 타입 이중용기로써, 숄더 회전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하는 절취부재가 보조용기의 바닥 분리막을 절취하여 보조용기에 수용되었던 내용물을 메인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혼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펌프 펌핑작동으로 메인용기내에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피스톤이 내용물을 배출펌프로 밀어올려 내용물을 정량 배출사용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이중용기의 문제점인 배출노즐에 잔존하는 고가의 내용물을 못 쓰고 버리게되는 종래 이중용기의 단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가(高價)의 내용물을 잔량 없이 배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들로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분이 비슷하여 혼합 사용하였을때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이종의 내용물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리는 피스톤이 내저면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피스톤이 상승 이동할 때 후방에 진공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숄더가 걸림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환테를 외주면으로 구비하고 있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용기와;
삭제
상기 메인용기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테를 넘어서 걸림되어지는 걸림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 상부쪽에는 보조용기로 위치하는 회동부재의 키돌기가 키 체결되는 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배출펌프가 나사식 체결되는 펌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숄더와;
상기 숄더 내부로 위치함과 동시에 메인용기의 상부 결합부가 삽입 위치하는 요입환홈이 형성되어 있고, 숄더 회전에 의해 회동되어지는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수직 하강하는 절취부재에 의해서 절취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분리막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부재는 관형으로 상,하단이 경사각을 이루되, 보조용기의 분리막 가장자리에 대하여 점접촉되어지는 칼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키홀이 보조용기 내면의 수직키돌기에 위치되어 회전 없이 수직이동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숄더의 내주면으로 띠테에 의해 형성되어진 키홈에 위치하여지는 키돌기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가 중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절취부재의 상부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는 가동환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숄더의 펌프결합부에 위치하여지는 삽입관이 형성되어 있는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는, 메인용기(10)의 상부로 장착되어지고, 그 상부에는 배출펌프(60)가 장착되어지는 숄더(20) 내측에 메인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과 다른 성분의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보조용기(30)가 장착 구성되어진 에어리스 타입 용기로써,
첫째, 숄더(20) 회전운동에 의해 수직 이동하는 절취부재(50)가 보조용기(30)의 바닥 분리막(32)을 절취하여 보조용기(30)에 수용되었던 내용물을 메인용기(10)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혼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펌프(60) 펌핑작동으로 메인용기(10)내에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피스톤(11)이 내용물을 배출펌프(60)로 밀어올려 내용물을 정량 배출사용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종래 이중용기의 문제점인 배출노즐에 고가의 내용물이 잔존하여 못 쓰고 버리게 되는 단점을 해결하였고;
둘째, 고가(高價)의 내용물을 잔량 없이 배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들로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숄더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보조용기의 분리막이 절취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전량 배출사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는, 이종의 내용물 중 하나의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상부로 장착되어지는 숄더(20)와; 상기 숄더(20)의 내부로 위치함과 동시에 메인용기(10)의 결합부(13)에 얹혀져 장착되어지는 보조용기(30)와; 상기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을 절취하는 절취부재와(50); 숄더(20) 회전에 의해 연동하면서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을 절취하는 회동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용기(10)는, 이종의 내용물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는 피스톤(11)이 내저면에 위치하여 있다.
상기 피스톤(11)이 상승 이동할 때 후방에 진공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는 숄더(20)가 걸림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환테(14)를 외주면으로 구비하고 있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용기(10)의 결합부(13)로 결합되어지는 숄더(20)는, 메인용기(10) 결합부(13)에 형성되어 있는 환테(14)를 넘어서 걸림되어지는 걸림돌기(21)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21) 상부쪽에는 보조용기(30)로 위치하는 회동부재(40)의 키돌기(42)가 키 체결되는 키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배출펌프(60)가 나사식 체결되는 펌프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보조용기(30)는, 숄더(20) 내부로 위치함과 동시에 메인용기(10)의 상부 결합부(13)가 삽입 위치하는 요입환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숄더(2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40)의 회동에 의해 수직 하강하는 절취부재(50)에 의해 절취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분리막(3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보조용기(30)의 내부로 위치하는 절취부재(50)는, 관형으로 상,하단이 경사각을 이루되,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 가장자리에 대하여 점접촉되어지는 칼날면(5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키홀(52)이 보조용기(30) 내면의 수직키돌기(33)에 위치되어 회전 없이 수직이동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40)는, 숄더(20)의 내주면으로 띠테(23)에 의해 형성되어진 키홈(22)에 위치하여지는 키돌기(4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1)가 중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는 가동환테(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숄더(20)의 펌프결합부(24)에 위치하여지는 삽입관(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는, 메인용기(10) 내부에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피스톤(11)을 조립하게되고, 조립은 상부의 결합부(13)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밀어넣게되며, 상기 메인용기(10)의 바닥면에 공기유입공(12)이 형성되어 있어 팽창공기 발생 없이 손쉽게 조립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피스톤(11)의 조립이 완료되어지면, 메인용기(10)의 내부에 이종 내용물중 하나의 내용물을 충전시킨다.
내용물의 충전이 완료되어지면, 메인용기(10) 상부에 보조용기(30)를 조립하게 되는데, 보조용기(30)의 조립은 상부의 요입환홈(31)에 메인용기(10)의 상부 결합부(13)가 삽입되어지도록 조립한다.
이후 보조용기(30)의 의 내부에 절취부재(50)를 위치시키게 되는데, 절취부재의 조립은 칼날(51)이 아래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측면으로 형성되어진 수직키홀(52)이 상기 보조용기(30)내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키돌기(33)로 위치하도록하여 조립한다.
상기 절취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회동부재(40)가 상기 절취부재(30)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회동부재(40)의 가동환테(43)가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에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조립한다.(도 3,4참조)
보조용기(30)에 절취부재(50)가 조립되고, 상기 절취부재(50)에 회동부재(40)가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메인용기(10)에 숄더(20)를 장착한다.
메인용기(10)에 숄더(20)를 장착할때 숄더(20)의 내측 상부쪽으로 띠테(23)에 의해 형성되어진 키홀(22)이 회동부재(40)의 플랜지(41)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키돌기(42)가 키 조립되도록 일치시킨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하게 된다.
상기 숄더(20)는 걸림돌기(21)가 메인용기(10)의 환테(14)를 넘어선 상태로 걸림조립되는 것으로써,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플랜지(42) 상부로 형성된 삽입관(44)은 숄더(20)의 펌프결합부(24)의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용기(30)에 절취부재(50)와 회동부재(40)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용기(30)에 메인용기(10)와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충전하게 된다.
보조용기(30)내에 내용물의 충전이 완료되어지면, 숄더(20)의 펌프결합부(24)에 배출펌프(60)를 나사식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구성되어진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메인용기(10)와 보조용기(30)에 충전되어진 이종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고 할 때에는 숄더(20)를 먼저 회전시킨다.(도5 참조)
상기 숄더(20)가 회전되어질 때 회동부재(40)의 플랜지(41)에 형성되어 있는 키돌기(42)가 상기 숄더(20)의 띠테(23)에 의해 형성되어진 키홈(22)에 키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회동부재(40)가 숄더(20)와 함께 연동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40)가 회전되어지면,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이룸과 동시에 나란한 상태에 있던 상기 회동부재(40)의 가동환테(43)가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에 대하여 뒤틀림되어지면서 상기 가동환테(43)의 하단부가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가동환테(43)의 회전운동이 절취부재(50)에 전달될 때 상기 절취부재(50)는 외주면으로 형성되어진 수직키홀(52)이 보조용기(30) 내부로 형성되어진 수직키돌기(33)에 키조립되어 있어 직선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취부재(50)가 직선 하강하여서 하부의 칼날(51)이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을 절취하게 되는데, 상기 분리막(32)은 가장자리부분이 얇은 두께를 이루고 있어 쉽게 절취되어지는 것이다.(도6 참조)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이 절취되어지면, 상기 보조용기(30)에 충전되어 있던 내용물이 메인용기(10)의 내용물을 혼합되어지게 되고, 골고루 혼합되어지도록 용기를 흔들어 준다.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되어지면, 배출펌프(60)를 펌핑시켜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 사용하게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량만큼 메인용기(10) 내부로 위치한 피스톤(11)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11)이 상승 이동되어짐에 따라 내용물의 잔여량에 관계 없이 내용물의 높이는 배출펌프(60)의 하단 유입구 부분에 접촉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내용물을 지속적으로 배출 사용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1)은 도7에서와 분리막(32)이 절취전 상태와 같이 위치하여 잔량 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 : 메인용기 11 : 피스톤
12 : 공기유입공 13 : 결합부
14 : 환테 20 : 숄더
21 : 걸림돌기 22 : 키홈
23 : 띠테 30 : 보조용기
31 : 요입환홈 32 : 분리막
33 : 수직키돌기 40 : 회동부재
41 : 플랜지 42 : 키돌기
43 : 가동환테 44 : 삽입관
50 : 절취부재 51 : 칼날
52 : 수직키홀

Claims (4)

  1. 성분이 비슷하여 혼합 사용하였을때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이종의 내용물 중 어느 하나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는 피스톤(11)이 내저면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피스톤(11)이 상승 이동할 때 후방에 진공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숄더(20)가 걸림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환테(14)를 외주면으로 구비하고 있는 결합부(13)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결합부(13)에 형성되어 있는 환테(14)를 넘어서 걸림되어지는 걸림돌기(21)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21) 상부쪽에는 보조용기(30)로 위치하는 회동부재(40)의 키돌기(42)가 키 체결되는 키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배출펌프(60)가 나사식 체결되는 펌프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숄더(20)와;
    상기 숄더(20) 내부로 위치함과 동시에 메인용기(10)의 상부 결합부(13)가 삽입 위치하는 요입환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숄더(20) 회전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40)의 회동에 의해 수직 하강하는 절취부재(50)에 의해서 절취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분리막(32)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용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재(50)는 관형으로 상,하단이 경사각을 이루되, 보조용기(30)의 분리막(32) 가장자리에 대하여 점접촉되어지는 칼날면(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키홀(52)이 보조용기(30) 내면의 수직키돌기(33)에 위치되어 회전 없이 수직이동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40)는, 숄더(20)의 내주면으로 띠테(23)에 의해 형성되어진 키홈(22)에 위치하여지는 키돌기(4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1)가 중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절취부재(50)의 상부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는 가동환테(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숄더(20)의 펌프결합부(24)에 위치하여지는 삽입관(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KR1020170155852A 2017-11-21 2017-11-21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KR10197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52A KR101973289B1 (ko) 2017-11-21 2017-11-21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52A KR101973289B1 (ko) 2017-11-21 2017-11-21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289B1 true KR101973289B1 (ko) 2019-08-19

Family

ID=6780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52A KR101973289B1 (ko) 2017-11-21 2017-11-21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8308A1 (en) * 2020-03-09 2021-09-15 Taesung Industrial Co., Ltd. Airless type mixing container for two kinds of contents capable of discharging all contents
WO2023138422A1 (zh) * 2022-01-21 2023-07-27 艾特申博(苏州)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雾化器的触发组件以及雾化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8345B2 (ja) * 2006-07-31 2011-11-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KR101381356B1 (ko) * 2013-10-28 2014-04-04 주식회사 청아람 음료용기용 캡슐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8345B2 (ja) * 2006-07-31 2011-11-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KR101381356B1 (ko) * 2013-10-28 2014-04-04 주식회사 청아람 음료용기용 캡슐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8308A1 (en) * 2020-03-09 2021-09-15 Taesung Industrial Co., Ltd. Airless type mixing container for two kinds of contents capable of discharging all contents
WO2023138422A1 (zh) * 2022-01-21 2023-07-27 艾特申博(苏州)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雾化器的触发组件以及雾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0111B (zh) 注射器组件
KR101817065B1 (ko)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973289B1 (ko) 이종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용기
US6655525B2 (e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mixing two substances together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N203767304U (zh) 用于混合两种不同类型溶液的容器
KR200475965Y1 (ko) 이액형 용액을 혼합을 위한 화장용기
KR20140005218U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29657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9919851B2 (en) Single dose bottle and relative improved measuring cap
KR101894005B1 (ko) 버튼식 디스펜서 용기
KR20210011791A (ko) 이액용기
JP2020093105A (ja) 化粧料混合用主容器、化粧料混合用補助容器およびこれらを含む化粧品
KR200467354Y1 (ko)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KR10197886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0407438Y1 (ko) 내용물 혼합 사용이 용이한 용기
KR20210114086A (ko) 내용물 전량 배출사용이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4109830A (en) Tiltable trap chamber with stack aiding feature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102017235B1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200493357Y1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200099228A (ko) 이종물질 혼합장치
KR102052406B1 (ko) 액체 및 비드형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190023668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EP0326468B1 (fr) Poussoir de vaporisateur agencé pour opérer le mélange d'une quantité prédéterminée d'un produit secondaire dans l'émission d'un produit princi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