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134A - 포터블 후드 - Google Patents
포터블 후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7134A KR20180137134A KR1020170076358A KR20170076358A KR20180137134A KR 20180137134 A KR20180137134 A KR 20180137134A KR 1020170076358 A KR1020170076358 A KR 1020170076358A KR 20170076358 A KR20170076358 A KR 20170076358A KR 20180137134 A KR20180137134 A KR 20180137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connector
- fastening protrusion
- rotatably coupled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헤드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되어 바디의 정확한 위치에 접힐 수 있는 포터블 후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바디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메인 커넥터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헤드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보조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바디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메인 커넥터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헤드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보조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 발생되는 냄새, 수증기 또는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는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스렌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후드도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식탁이나 거실에 휴대용 버너를 두고 고기를 굽는다거나, 캠핑을 가서 화로에 고기를 굽는 경우, 고정형 후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34156호에서는 휴대용 환풍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34156호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환풍 장치는, 몸체에 환풍호스를 연결하여 연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조건 및 공간 제약이 발생되고, 상기 환풍호스로 인해 휴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8640에서는 이동식 배연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8640에서 개시하는 이동식 배연장치는, 배기관을 실외와 연결해야 하며, 흡입관 및 배기관의 긴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적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배연장치의 휴대를 위해 분해, 분해 후 가방에 수납, 이동,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후드를, 바디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에서 펼쳐지는 헤드로 구성하여, 접힘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휴대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다만, 휴대용 후드를 접힘구조로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후드를 접을 때, 사용자가 상기 헤드에 가하는 힘의 방향으로 상기 헤드가 흔들리게 됨으로써, 상기 헤드를 상기 바디의 정확한 위치에 접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헤드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되어 바디의 정확한 위치에 접힐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헤드가 바디에 접혔을 때, 상기 헤드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바디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메인 커넥터와,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헤드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보조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 위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수용홈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제1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헤드가 메인 커넥터에 의해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거나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거나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때 보조 커넥터가 상기 헤드의 수평을 유지시키므로, 상기 헤드에 사용자의 힘이 어느 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상기 헤드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되어 상기 바디의 정확한 위치에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혔을 시, 메인 커넥터 및 보조 커넥터가 커넥터 수용홈에 수용되므로, 포터블 후드의 외부에서 볼 때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헤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바디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헤드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터블 후드의 접혀지는 과정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헤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바디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헤드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터블 후드의 접혀지는 과정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헤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1)는, 바디(100)와, 바디(10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토출하는 헤드(200)와, 바디(100) 및 헤드(200)를 연결하는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식탁 또는 지면과 같이 평평한 곳에 놓여질 수 있다. 바디(100)는 헤드(200) 및 커넥터(300)를 지지할 수 있다.
헤드(200)는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바디(100) 위에 안착되고,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가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디(100)는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보다 높은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가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디(100)의 바닥면에는 흡착댐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댐퍼는 하측이 개구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바디(100)가 놓여지는 대상에 공기압에 의해 흡착될 수 있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헤드(200)를 작동시키는 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11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헤드(200)로 전달하는 전기적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단의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이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하단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 및 하단 사이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의 직경이 작고 하단의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이 바디(1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인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하단은 바디(1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과 같은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 및 하단 사이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과, 헤드(2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이 동일한 제1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혔을 때 포터블 후드(1)의 외형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바디(100) 및 헤드(200)의 이물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이, 헤드(2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혔을 때 포터블 후드(1)는 쉽게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바디 손잡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손잡이부(120)는 바디(100)의 외주면 중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손잡이부(120)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에서 바디 손잡이부(120)에 손가락을 넣은 후 포터블 후드(1)를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디(100)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수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홈(130)은 바디(100)의 상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바디(100)의 상측면 중 센터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는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됨으로써, 포터블 후드(1)의 외부에서 볼 때 커넥터(300)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바디(100)에는 래치(140)가 설치될 수 있다. 래치(140)는 커넥터 수용홈(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00)에는 걸림편(330)이 결합될 수 있다. 걸림편(330)은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어 커넥터(30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되면 래치(140)에 걸림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헤드(2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헤드(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는 에어 가이드(220)와, 에어 가이드(220) 내에 배치되는 송풍기(230)와,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 및 하우징(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송풍기(230)가 송풍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디퓨져(240)와, 디퓨져(240)의 상단에 결합되는 토출그릴(250)과,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에어 가이드(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필터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200)는 송풍기(230)가 작동되면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헤드 손잡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손잡이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주면 중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손잡이부(211)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헤드 손잡이부(211)에 손가락을 넣은 후 헤드(200)를 밀어서 헤드(200)를 바디(100) 위에 안착시켜 포터블 후드(1)를 접을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송풍기(230)가 작동될 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디퓨져(240)로 안내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흡입된 공기가 디퓨져(240)로 이동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유닛(260)은 에어 가이드(22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 및 냄새를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260)은 에어 가이드(22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유증기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필터(261)와, 제1 필터(26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필터(261)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냄새를 걸러내는 제2 필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측 내부에 필터유닛(260)이 장착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의 내부에는 필터유닛(260)보다 상측에 송풍기(23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내측에 필터유닛(260)이 장착되는 필터유닛 장착부(221)와, 필터유닛 장착부(2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송풍기(230)를 둘러싸는 쉬라우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부(222)는 필터유닛(26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쉬라우드부(223)와,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쉬라우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외경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확장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의 외경은 제1 쉬라우드부(22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하로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내주면 및 에어 가이드(220)의 외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빈 공간(S)은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헤드 손잡이부(211)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은 수평판(2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수평판(225)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수평판(225)에서 연장되는 하단이 라운드부(226)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는 내경이 제1 필터(261)의 직경 및 제2 필터(2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경이 제1 필터(261)의 직경 및 제2 필터(2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를 통과하여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제1 쉬라우드부(223)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경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 쉬라우드부(223)를 통과하여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빠르게 토출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에는 일측에 제1 마그넷(263)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에는 타측에 체결후크(2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에는 제1 마그넷(263)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마그넷(227)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을 필터유닛 장착부(221)에 장착할 시 제1 마그넷(263) 및 제2 마그넷(227)의 인력(붙는 힘)에 의해, 필터유닛(26)의 일측은 필터유닛 장착부(221)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유닛 장착부(221)의 내주면에는 필터유닛(260)에 형성된 체결후크(264)가 삽입되는 후크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유닛(260) 중 제1 마그넷(263)이 배치된 일측을 아래로 당겨서 필터유닛(260)의 일측을 탈거한 후, 체결후크(264)가 후크홈(228)에서 빠지도록 필터유닛(260)을 당겨서 필터유닛(260)의 타측을 탈거할 수 있다.
필터유닛 장착부(221)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리브(229)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내주면에는 제1 결합리브(229)와 결합되는 제2 결합리브(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유닛(260)을 에어 가이드(220)에서 탈거할 시, 에어 가이드(220)에 전해지는 사용자의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인 필터유닛 장착부(221)가 제1 결합리브(229) 및 제2 결합리브(212)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필터유닛(260)을 탈거할 시 에어 가이드(220)에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에어 가이드(2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헤드(200)는 필터유닛 장착부(221) 및 하우징(210) 사이의 하측이 개구될 수 있고, 필터유닛 장착부(221) 및 하우징(210) 사이의 개구된 하측은 조명유닛(27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조명유닛(270)은 빛을 생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면 점등될 수 있다. 조명유닛(270)은 헤드(200)의 하측면에 둘레방향으로 장착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230)는 모터(231)와, 모터(23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팬(23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1)는 회전축이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231)는 제1 쉬라우드부(22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31)는 모터마운트(235)를 통해 에어 가이드(22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235)는 제1 쉬라우드부(223) 내에 배치되어 모터(231)를 지지할 있고, 양단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인 수평판(225)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235)는 양단이 수평판(225)의 하측면에 접촉되게 절곡될 수 있다.
팬(232)은 회전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축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축류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232)은 그 자신의 센터를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의 허브(233)와, 허브(233)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233)는 센터가 모터(23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231)가 구동되는 경우 모터(231)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블레이드(234)는 하단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인 수평판(225)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234)는 하부가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가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234)의 하부가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팬소음을 낮출 수 있다.
디퓨져(240)는 하단이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하단이 제2 쉬라우드부(224)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하단에는 고리형의 기밀유지부(2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기밀유지부(241)는 디퓨져(240)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은 기밀유지부(241)의 내부로 삽입되어 디퓨져(2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쉬라우드부(224)의 상단은 기밀유지부(241)의 내부로 삽입되어 디퓨져(2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송풍기(230)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될 수 있다. 디퓨져(240)가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됨으로써, 팬(232)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 내경은 제1 쉬라우드부(223)의 하단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은 하우징(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은 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디퓨져(240)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단턱(242)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디퓨져(240)의 내주면에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디퓨져(240)에 형성된 단턱(242)에 안착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복수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300)는 하단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하단이 바디(100)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13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헤드(200)의 후방부에 형성된 결합부(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홈(130)은 바디(100)의 상측면 중 센터를 전후로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214)는 헤드(200)의 하측면 중 센터를 지나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바디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헤드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300)는 2개의 링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300)는 바디(10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커넥터(310)와, 바디(10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하단이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고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하단이 제3 힌지축(630)을 통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제4 힌지축(640)을 통해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고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때, 헤드(20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힌지축(611, 612)과 제2 힌지축(621, 622)과 제3 힌지축(630)과 제4 힌지축(640)은 서로 상이한 위치의 힌지축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상이한 위치의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을 통해 바디(100)에 연결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바디(100)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헤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상이한 위치의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을 통해 헤드(200)에 연결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졌을 시 헤드(200)는 메인 커넥터(310) 보조 커넥터(320)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사용자가 헤드(200)를 바디(100) 위에 안착시키거나 바디(100)로부터 펼쳐기 위해 헤드(200)를 밀거나 당길 때, 헤드(200)에 가하는 사용자의 힘의 방향에 상관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헤드(200)는 보조 커넥터(320)로 인해 바디(100) 위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길이방향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후방측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커넥터(310)는 제1 사이드부(311)와, 제1 사이드부(311)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부(312)와,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메인 커넥터(31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사이드부(312)는 메인 커넥터(31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부(313)는 메인 커넥터(310)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가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커넥터 수용홈(130)의 좌우폭을 메인 커넥터(310)의 좌우폭에 맞춰 설계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시 보조 커넥터(32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0)에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이 마운팅될 수 있고, 헤드(200)에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이 마운팅될 수 있다.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은 커넥터 수용홈(130)의 전단부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고,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은 헤드(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14)에 상부가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214)는 하우징(210)의 후방부가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사각형상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장착공간 내에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의 상단부가 수용된 후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의 상단은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의 하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제3 힌지축(6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보조 커넥터(320)의 상단은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 제4 힌지축(64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는 좌측에 제1 체결돌기(411)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제2 체결돌기(4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커넥터 수용홈(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는 좌측에 제3 체결돌기(511)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제4 체결돌기(5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헤드(200)의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일 때,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바디(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 사이에는 메인 탄성부재(45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탄성부재(4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메인 커넥터(310)에 탄지될 수 있고, 타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탄지될 수 있다.
메인 탄성부재(450)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는 방향으로 메인 커넥터(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상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하단이 제1 체결돌기(4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3 체결돌기(5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하단이,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상단이,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하단이 제2 체결돌기(4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4 체결돌기(5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제3 힌지축(630)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힌지축(640)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하단이 제2 체결돌기(4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4 체결돌기(5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제1 축결합편(314)과 제2 축결합편(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 및 2 축결합편(315)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에서 제1 사이드부(311)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사이드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사이드부(311)와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이 제1 사이드부(311)와 별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축결합편(314)은 일부가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 부분이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된 후,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 및 연결부(313)의 하단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에서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사이드부(3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사이드부(312)와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이 제2 사이드부(312)와 별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축결합편(315)은 일부가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 부분이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된 후,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 및 연결부(313)의 하단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에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이 결합되지 않고,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메인 커넥터(310)의 무게로 인해 메인 커넥터(310)를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이 곤란해질 수 있다. 특히,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이 커넥터 수용홈(13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된 상태일 때,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을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은 더욱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에는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이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제1 축결합편(314)을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축결합편(315)을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후,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을 메인 커넥터(310)에 결합함으로써,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을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 힌지축(611, 612)은 제1-1 힌지축(611)과 제1-2 힌지축(6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1 힌지축(611) 및 제1-2 힌지축(612)은 서로 이격되고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힌지축(621, 622)은 제2-1 힌지축(621)과 제2-2 힌지축(6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1 힌지축(621) 및 제2-2 힌지축(622)은 서로 이격되고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힌지축(611, 612)이 제1-1 힌지축(611) 및 제1-2 힌지축(612)으로 구성되고, 제2 힌지축(621, 622)이 제2-1 힌지축(621) 및 제2-2 힌지축(622)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사이드부(311)는 제1-1 힌지축(611)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1 힌지축(621)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부(312)는 제1-2 힌지축(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2 힌지축(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터블 후드의 접혀지는 과정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a)도 및 도 9의 (a)도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도 및 도 9의 (b)도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c)도 및 도 9의 (c)도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헤드(200)는 바디(100)로부터 펼쳐지거나 바디(100) 위에 안착될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의 링크구조로 인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거나 바디(100) 위에 안착될 시, 바디(100)의 상측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헤드(200)의 하측면을 지나는 직선(L2)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포터블 후드(1)를 접거나 펼치지기 위해, 헤드(200)를 어느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더라도 헤드(20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힌지축(630)은 제1 힌지축(611, 612)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하고, 제4 힌지축(640)은 제2 힌지축(621, 622)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a)도 및 도 9의 (a)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각각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경사져서 배치되고,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접촉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은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보다 후방하측에 위치한다. 힌지축들(611, 612, 621, 622, 630, 640)이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고,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헤드(200)는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도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헤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의 (b)도 및 도 9의 (b)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는 도중에,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각각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경사져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은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보다 전방하측에 위치한다.
도 8의 (c)도 및 도 9의 (c)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에 완전히 접혔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은 제2 힌지축(621, 622)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2 힌지축(621, 62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3 힌지축(630)은 제4 힌지축(6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4 힌지축(64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1)는, 헤드(200)가 메인 커넥터(310)에 의해 바디(100)에 연결되어,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거나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으며,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거나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때 보조 커넥터(320)가 헤드(200)의 수평을 유지시키므로, 헤드(200)에 사용자의 힘이 어느 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헤드(20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되어 바디(100)의 정확한 위치에 접힐 수 있다.
또한,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혔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되므로, 포터블 후드(1)의 외부에서 볼 때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1 : 포터블 후드
100 : 바디
130 : 커넥터 수용홈 200 : 헤드
310 : 메인 커넥터 311 : 제1 사이드부
312 : 제2 사이드부 313 : 연결부
314 : 제1 축결합편 315 : 제2 축결합편
320 : 보조 커넥터 400 : 바디 마운팅 브래킷
411 : 제1 체결돌기 412 : 제2 체결돌기
500 : 헤드 마운팅 브래킷 511 : 제3 체결돌기
512 : 제4 체결돌기 611, 612 : 제1 힌지축
621, 622 : 제2 힌지축 630 : 제3 힌지축
640 : 제4 힌지축
130 : 커넥터 수용홈 200 : 헤드
310 : 메인 커넥터 311 : 제1 사이드부
312 : 제2 사이드부 313 : 연결부
314 : 제1 축결합편 315 : 제2 축결합편
320 : 보조 커넥터 400 : 바디 마운팅 브래킷
411 : 제1 체결돌기 412 : 제2 체결돌기
500 : 헤드 마운팅 브래킷 511 : 제3 체결돌기
512 : 제4 체결돌기 611, 612 : 제1 힌지축
621, 622 : 제2 힌지축 630 : 제3 힌지축
640 : 제4 힌지축
Claims (12)
- 바디;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헤드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보조 커넥터;를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는, 서로 상이한 위치의 힌지축들을 통해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마운팅되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헤드에 마운팅되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는 상기 바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디 마운팅 브래킷에는 일측에 제1 체결돌기와, 타측에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에는 일측에 제3 체결돌기와, 타측에 제4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는, 제1 사이드부와, 상기 제1 사이드부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부와, 상기 제1 사이드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사이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커넥터는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사이드부 중 상기 제1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축결합편과,
상기 메인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사이드부 중 상기 제2 체결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축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넥터는 상기 제1 사이드부 및 상기 제2 사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들은,
상기 메인 커넥터의 일단을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축과,
상기 메인 커넥터의 타단을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축과,
상기 보조 커넥터의 일단을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힌지축과,
상기 보조 커넥터의 타단을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 힌지축을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축은 제1-1 힌지축과, 상기 제1-1 힌지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1-1 힌지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1-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축은 제2-1 힌지축과, 상기 제2-1 힌지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2-1 힌지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2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커넥터의 일측면은, 상기 제1-1 힌지축을 통해 상기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1 힌지축을 통해 상기 헤드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의 타측면은, 상기 제1-2 힌지축을 통해 상기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2 힌지축을 통해 상기 헤드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축은 상기 제1 힌지축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힌지축은 상기 제2 힌지축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로부터 완전히 펼쳐졌을 시,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는 서로 접촉되는 포터블 후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 위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보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수용홈에 수용되는 포터블 후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358A KR101970252B1 (ko) | 2017-06-16 | 2017-06-16 | 포터블 후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358A KR101970252B1 (ko) | 2017-06-16 | 2017-06-16 | 포터블 후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134A true KR20180137134A (ko) | 2018-12-27 |
KR101970252B1 KR101970252B1 (ko) | 2019-04-18 |
Family
ID=6495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358A KR101970252B1 (ko) | 2017-06-16 | 2017-06-16 | 포터블 후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2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5062268U (zh) * | 2021-01-06 | 2021-12-07 | 港星国际有限公司 | 一种便携式抽油烟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7738B2 (en) * | 2001-01-10 | 2002-12-24 | Yu-Yuan Lin | Filter for indoor barbecue |
JP2004222886A (ja) * | 2003-01-22 | 2004-08-12 | Daidoo:Kk | 昇降吊り棚 |
KR20090000667U (ko) * | 2007-07-19 | 2009-01-22 | 이동희 | 독서등 |
CN204115044U (zh) * | 2014-09-25 | 2015-01-21 | 浙江理工大学 | 一种厨用多功能一体机 |
KR20160104514A (ko) * | 2015-02-26 | 2016-09-05 | 이창주 | 이동식 렌지 후드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358A patent/KR1019702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7738B2 (en) * | 2001-01-10 | 2002-12-24 | Yu-Yuan Lin | Filter for indoor barbecue |
JP2004222886A (ja) * | 2003-01-22 | 2004-08-12 | Daidoo:Kk | 昇降吊り棚 |
KR20090000667U (ko) * | 2007-07-19 | 2009-01-22 | 이동희 | 독서등 |
CN204115044U (zh) * | 2014-09-25 | 2015-01-21 | 浙江理工大学 | 一种厨用多功能一体机 |
KR20160104514A (ko) * | 2015-02-26 | 2016-09-05 | 이창주 | 이동식 렌지 후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0252B1 (ko) | 2019-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1253B1 (ko) | 포터블 후드 | |
KR101891256B1 (ko) | 포터블 후드 | |
CN111720908B (zh) |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 |
CN107461812B (zh) | 空气清洁器 | |
KR101647716B1 (ko) | 공기청정기 | |
US10001284B2 (en) | Modular vent hood blower kit for in-line or external application | |
US10041687B1 (en) | Vent extender method having intake air option for conveying ventilation to close proximity of a fume and odor source | |
KR101729021B1 (ko) | 공기청정기 | |
US11732901B2 (en) |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99393A (ko) | 포터블 후드 | |
US20230280045A1 (en) | Combination appliance | |
KR20180099392A (ko) | 포터블 후드 | |
EP1672285B1 (en) | Hood ventilation apparatus | |
KR101970252B1 (ko) | 포터블 후드 | |
KR101651487B1 (ko) | 공기청정기 | |
KR101970531B1 (ko) |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 |
CN212339360U (zh) | 一种集成烹饪式吸油烟机 | |
KR101891254B1 (ko) | 포터블 후드 | |
KR101891255B1 (ko) | 포터블 후드 | |
KR102325563B1 (ko) |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 |
KR101663512B1 (ko) | 공기청정기 | |
KR102152770B1 (ko) | 이동식 연기 포집기 | |
CN212618530U (zh) | 一种吸油烟机 | |
CN216557299U (zh) | 一种吸油烟机 | |
KR102301189B1 (ko) | 이동형 후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