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669A -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 Google Patents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669A
KR20180136669A KR1020170075667A KR20170075667A KR20180136669A KR 20180136669 A KR20180136669 A KR 20180136669A KR 1020170075667 A KR1020170075667 A KR 1020170075667A KR 20170075667 A KR20170075667 A KR 20170075667A KR 20180136669 A KR20180136669 A KR 2018013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heelchair
lever
backres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이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성 filed Critical 이호성
Priority to KR102017007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669A/en
Publication of KR2018013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to control the angle of a backrest for a wheelchair used by a patient and a disabled person difficult to move a bod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to control the angle of a backrest for a wheelchair, capable of using a simple structure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strongly support the backrest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to control the angle of a backrest for a wheelchai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lever coupling bracket coupled to one of wheelchair handles, a lever hinge-coupled through the lever coupling bracket to be able to rotate, and a wire connected to one end to one side of the lever to be withdrawn by interlocking with operation of the lever; a connection unit including a fixed bracket formed on one side of a wheelchair backrest frame to guid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wire, a rotating bracket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to be able to rotat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rotating operation of the backrest frame and a driving unit, and a moving bar coupled inside the rotating bracket to be able to rotate so as to be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wire; and the driving unit including a rod coupled and fixed through a second coupling hole of the rotating bracket to vertically move the wheelchair backrest frame while being be extended and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so as to adjust an angle, and a cylinder receiving the rod to be able to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fixing a bottom through one side of a wheelchair lower frame.

Description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훨씬 쉽고, 또 다양한 각도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used by a patient or a physically challeng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which can easily adjust an angle of a backrest by a simple structure, To a regulating device.

일반적으로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 자력으로 이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목욕의자나 좌대 의자 등 보행 대체용으로 제작된 다양한 휠체어가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wheelchairs that are designed to replace people who are difficult to move by their own strength, such as patients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uch as bath or chair.

이러한 휠체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등받이를 간단하게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다.Such a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backrest angle adjustment device which allows the backrest to be easily tilted backwar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그러나 종래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자나 보호자가 조작하는데 불편함은 물론 미세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s inconvenient for a user or a carer to operate, and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adjust a minute angle.

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부품이 많아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is large,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productivity.

공개특허 10-2008-0066140≪ tb >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간단한 구조로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which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a backrest of a wheelchair with a simple structur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휠체어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는 레버 결합 브래킷과, 상기 레버 결합 브래킷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 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레버의 동작에 연동하여 인출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출 동작을 안내하도록 수용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등받이 프레임과 구동부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는 회전 브래킷 및 상기 회전 브래킷의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와이어의 인출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는 유동대로 구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제2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동작하면서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신축 가능하도록 수용하며 휠체어 하부 프레임을 통해 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comprising: a lever coupling bracket coupled to one of wheelchair handles; a lever hing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lever coupling bracket; An oper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and being drawn ou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locking bracket formed on one side of the wheelchair back frame to receive the locking bracket to guide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wire, a rotating bracket coupled to the backrest frame and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rotatable, A connection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wire; A rod fixed to the rotary bracket through a second fastening hole to adjust the angle while moving the wheel chair back frame in an elongating and contracting operation by hydraulic pressure, A driving unit composed of the fixed cylinder; .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부에 와이어와 등받이 프레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떨어져) 수용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관통하는 제1 결합 구멍을 갖는 상부 브래킷과,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수평 방향을 관통하는 제2 결합 구멍을 갖는 하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racket includes an upper bracket having a first engaging hole protruding from the back frame to receive the wire from the back fram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and the back frame, And a lower bracket having a second engaging hole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eceive the fastening member for engaging the bracket rotatably.

상기 회전 브래킷은 내부로 유동대를 수용하기 위한 유동대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uid-bed coupling hole for receiving the fluidized bed is formed therein.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유동대의 상, 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가압 되거나 돌출 동작하면서 실린더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푸시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ush rod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od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while being pressed or protruded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flow base.

상기 유동대 결합구멍은 유동대의 상, 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장공(長空)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luidized bed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long hole so that the fluidized bed can be smoothly rotated upward and downwar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의 각도를 쉽게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신속한 조립작업으로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easily adjusted at various angles,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cost of the user.

또, 다양한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호자의 수고를 최소화하여 피로감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fixedly supported at various angles, it provides comfort to the wheelchair user and minimizes the trouble of the guardian, thereby relieving fatigu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요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일 측면으로서 레버를 작동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버를 작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 등받이를 각도 조절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ackrest angle regulating device for a wheelchair is disassemb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lever is operated as the assembled one side of Fig.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of FIG. 2 is operated.
4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rest of a wheelchair is angle-adjusted using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backres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in all of the following drawing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100)는 조작부(110)와 연결부(120) 및 구동부(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1 to 5,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unit 110, a connecting unit 120, and a driving unit 130.

상기 조작부(110)는 휠체어(200)의 양쪽 손잡이(2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는 레버 결합 브래킷(111)과, 상기 레버 결합 브래킷(11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 결합 되는 레버(112)와, 상기 레버(112)의 일 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레버(112)의 동작에 연동하여 인출(당겨지거나 끌려나가는)되는 와이어(113)로 구성된다.The operating unit 110 includes a lever engaging bracket 111 coupled to one of the grips 210 of the wheelchair 200 and a lever coupled to the hinge h to be rotatable through the lever engaging bracket 111 And a wire 11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ver 112 to be pulled out (drawn or pull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112.

그리고 상기 와이어(113)의 타 일단은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연결부(120)의 유동대(123) 일 측에 연결된다.The other end of the wire 11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low band 123 of the connection pa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이에 따라, 보호자나 사용자가 상기 레버(112)를 가압하도록 움켜잡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레버(112)는 힌지(h)를 기준으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손잡이(210)와 근접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rotector or the user grasps the lever 112 to press the lever 112, the lever 11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h, thereby being in proximity to the handle 210.

이때, 상기 레버(112)의 일 측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13)는 레버(112)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대(123)가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ire 11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ver 112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12, so that the flow band 123 rotates counterclockwise, for example, .

또, 보호자나 사용자가 움켜잡은 상기 레버(112)를 놓게 되면 레버(112)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otector or the user grasps the lever 112, the lever 112 is maintained in a rotated state or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110)는 종래와 같이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20) 각도 조절을 위해 허리를 굽히거나 복잡하고 힘든 조작 없이 간단하게 레버(112)를 움켜잡거나, 움켜잡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220)을 다양한 각도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perated by bending the waist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or simply grasping the lever 112 without complicated and difficult operation, By releasing the state, the backrest frame 220 can be easily adjusted at various angles.

상기 연결부(120)는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13)의 인출 동작을 안내하도록 수용하는 고정 브래킷(121)과, 상기 고정 브래킷(121)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등받이 프레임(220)과 구동부(13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는 회전 브래킷(122) 및 상기 회전 브래킷(122)의 내측에 결합 되어 와이어(113)의 인출(당김 또는 끌려나감) 동작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유동대(123)로 구성된다.The connection unit 120 includes a fixing bracket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and adapted to guide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wire 113, A rotation bracket 122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back frame 220 and the driving unit 1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on bracket 122 to move the wire 113 (drawing or pulling) And a moving base 123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or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moving base 123.

상기 고정 브래킷(121)은 상부에 와이어(113)와 등받이 프레임(22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113)를 등받이 프레임(220)으로부터 이격(떨어져) 수용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관통하는 제1 결합 구멍(미도시)을 갖는 상부 브래킷(121a)과,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 브래킷(122)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핀 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c)를 수용하도록 수평 방향을 관통하는 제2 결합 구멍(h2)을 갖는 하부 브래킷(121b)으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bracket 121 is protruded upwardly to receive the wire 113 from the backrest frame 220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113 and the backrest frame 220, A lower bracket 121a having a first engaging hole (not shown) and a lower bracket 121b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a fastener c such as a pin, a bolt, and a nut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bracket 122, And a lower bracket 121b having a second engaging hole h2 passing through the lower bracket 121a.

또, 상기 회전 브래킷(122)은 일 측 단에 상기 하부 브래킷(121b)의 제2 결합 구멍(h2)과 동일한 축을 이루는 제1 체결구멍(122a)이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 측 단면에는 상기 구동부(130)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암나사(도면부호 미도시)를 갖는 제2 체결구멍(122b)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 일 측으로는 상기 유동대(123)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기 위해 핀 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c)를 수용하는 제3 체결구멍(122c)이 형성된다.The rotation bracket 122 is provided at its one en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122a which is coaxial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of the lower bracket 121b, A second fastening hole 122b having a female screw (not shown) for receiving one end portion of the driving unit 130 is formed, and a pin or hole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iddle portion, A third fastening hole 122c for receiving a fastening hole c such as a bolt or a nut is formed.

그리고 상기 회전 브래킷(122)의 내부 중앙 예컨대, 제3 체결구멍(122c)이 형성된 중간 부분의 내부로는 상기 유동대(123)를 수용하기 위한 유동대 결합구멍(122d)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middle of the inner center of the rotation bracket 122, for example, the third fastening hole 122c, a flow-band engagement hole 122d for receiving the flow band 123 is formed.

여기서, 상기 유동대 결합구멍(122d)은 유동대(123)의 상, 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장공(長空)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ized bed fitting hole 122d is formed as a long hole so that the fluidized bed 123 can be smoothly rotated upward and downward.

또한, 상기 유동대(123)는 중간 부분에 핀 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c)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회전 브래킷(122)의 제2 체결구멍(122c)과 동일한 축을 이루는 체결구멍(123a)이 형성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와이어(113)를 수용, 고정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결합구멍(123b)이 형성된다.The fluidized bed 123 has a fastening hole 123a which is coaxial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c of the rotating bracket 122 to receive a fastening hole c such as a pin, And a wire coupling hole 123b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wire 113 is formed on one end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20)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간도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단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the assembly time is remarkably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상기 구동부(130)는 회전 브래킷(122)의 제2 체결구멍(122b)을 통해 체결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동작하면서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20)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로드(131)와, 상기 로드(131)를 신축가능 하도록 수용하며 휠체어(200)의 하부 프레임(230)의 일 측을 통해 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132)로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130 is tightly fixed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22b of the rotation bracket 122 and is extended and retrac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to move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up and down, And a cylinder 132 receiving the rod 131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and having its lower end fixed through one side of the lower frame 230 of the wheelchair 200.

또, 상기 로드(131)는 선단 외면에 제2 체결구멍(122b)과 체결을 위한 수나사(131a)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131a)에는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위한 너트(131b)가 결합 된다.The rod 131 has a second fastening hole 122b and a male screw 131a for faste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131. A nut 131b for fastening the male screw 131a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131a.

또한, 상기 로드(131)의 선단에는 상기 유동대(123)의 상, 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가압 되거나 돌출 동작하면서 실린더(132)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푸시 로드(131c)가 형성된다.A push rod 131c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od 131 to control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132 while being pressed or protruded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 downward rotation of the flow base 123.

즉, 상기 레버(112)를 움켜쥐면 와이어(113)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유동대(123)가 회전 동작하면서 푸시 로드(131c)가 가압 되며 상기 로드(131)는 신장하거나 압축동작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lever 112 is gripped, the wire 113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float 123 is rotated and the push rod 131c is pressed and the rod 131 is stretched or compressed .

이때, 보호자나 사용자는 휠체어(200)의 양쪽 손잡이(210)를 이용하여 등받이 프레임(220)을 상, 하로 유동시켜 요구되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or the user can move the backrest frame 220 upward and downward using both the grips 210 of the wheelchair 200 to adjust the angle to various required angles.

즉, 상기 레버(112)를 움켜쥔 상태에서는 와이어(113)가 당겨져 유동대(123)가 회전하여 푸시 로드(131c)를 누르고(가압) 있으므로 로드(131)를 원하는 각도로 신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한 각도로 등받이 프레임(22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ver 112 is grasped, the wire 113 is pulled and the flow base 123 is rotated to press (push) the push rod 131c, so that the rod 131 can be stretched and expanded at a desired angle, The rotation of the backrest frame 220 can be adjusted at an angle.

그리고 상기 레버(112)를 놓게 되면 와이어(113)와 유동대(123) 및 푸시 로드(131c)는 정지하게 되고 상기 로드(131)는 움직임이 고정된다.When the lever 112 is placed, the wire 113, the cradle 123 and the push rod 131c are stopped, and the movement of the rod 131 is fixed.

상기 구동부(130)는 실린더(132)의 내부에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된 통상적인 유압기로서, 상기 푸시 로드(131c)의 가압 또는 돌출 동작에 의해 압력이 제어되면서 로드(131)가 신장 또는 압축 동작 가능하거나 또는 정지 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rive unit 130 is a conventional hydraulic unit having a check valve (not shown) inside the cylinder 132. The pressure of the push rod 131c is controlled by the pushing or protruding operation of the push rod 131c, Or compression operation is enabled or stopp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100)는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30)을 통해 한쪽에만 형성될 뿐 아니라,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조립시간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단축되므로 월등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apparatus 100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not only on one side only through the wheelchair backrest frame 220 and the lower frame 230, bu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remarkab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100)가 장착된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2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보호자나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200)의 손잡이(2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레버(112)를 움켜쥔다.When the angle of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to which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s to be adjusted, the protector or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And grips the lever 112 formed in one.

이때, 상기 레버(112)는 힌지(h)를 기준으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손잡이(210)와 근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ver 11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h, for example, to be close to the handle 210.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112)의 일 측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13)는 레버(11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대(123)가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wire 11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ver 112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12, so that the flow band 123 rotates counterclockwise do.

그리고 상기 유동대(123)의 회전하면서 푸시 로드(131c)를 가압하여 상기 로드(131)를 신장 가능하게 하거나 압축 가능하게 한다.The push rod 131c is pressed while the rod 123 rotates to allow the rod 131 to be stretchable or compressible.

이때, 보호자나 사용자는 휠체어(200)의 양쪽 손잡이(210)를 이용하여 등받이 프레임(220)을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시켜 휠체어(200)를 사용하는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람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or the user rotates the backrest frame 220 upward or downward using both the grips 210 of the wheelchair 200 to rotate the backrest frame 220 at various angles required for a patient using the wheelchair 200 or a person with a physical discomfort .

이와 같이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20)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에 상기 레버(112)를 놓게 되면 와이어(113)와 유동대(123) 및 푸시 로드(131c)는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로드(131)는 움직임이 고정되어 조절된 각도에서 등받이 프레임(22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When the lever 112 is released after the angle of the backrest frame 220 of the wheelchair 200 is completed, the wire 113, the moving base 123 and the push rod 131c are stopped from moving, The backrest frame 220 firmly supports the backrest frame 220 at a fixed angle.

또한, 등받이 프레임(220)의 각도를 원위치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 보호자나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 손잡이(210)에 형성된 레버(112)를 움켜쥔다.Also, when the angle of the backrest frame 220 is adjust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otector or the user grasps the lever 112 formed on the wheelchair handle 210.

이때, 상기 레버(112)의 일 측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13)는 다시 레버(11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대(123)는 회전동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ire 11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ver 112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12,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flow band 123 is rotated.

계속해서 상기 유동대(123)가 회전하면서 푸시 로드(131c)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로드(131)가 신장 가능하게 되거나 압축 가능하게 된다.The rod 123 is rotated to press the push rod 131c so that the rod 131 can be stretched or compressed.

그리고 보호자나 사용자는 휠체어 손잡이(210)를 이용하여 등받이 프레임(220)을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Then, the protector or the user rotates the backrest frame 220 using the wheelchair handle 210 and returns the backrest frame 220 to its home position.

이후, 상기 레버(112)를 놓게 되면 와이어(113)와 유동대(123) 및 푸시 로드(131c)는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로드(131)는 움직임이 고정된다.Thereafter, when the lever 112 is placed, the movement of the wire 113, the cradle 123, and the push rod 131c is stopped and the movement of the rod 131 is fixed.

따라서, 보호자나 사용자는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를 필요한 미세한 각도로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 간단한 구조의 부품으로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tector or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frame to a necessary angl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atient using the wheelchair,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remarkably shortened by a simple structure component, Improvement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110 : 조작부
111 : 레버 결합 브래킷 112 : 레버
113 : 와이어 120 : 연결부
121 : 고정 브래킷 121a : 상부 브래킷
121b : 하부 브래킷 122 : 회전 브래킷
122a : 제1 체결구멍 122b : 제2 체결구멍
122c : 제3 체결구멍 122d : 유동대 결합구멍
123 : 유동대 123a : 체결구멍
123b : 와이어 결합구멍 130 : 구동부
131 : 로드 131a : 수나사
131b : 너트 131c : 푸시 로드
132 : 실린더 200 : 휠체어
210 : 손잡이 220 : 등받이 프레임
230 : 하부 프레임 c : 체결구
h : 힌지 h2 : 제2 결합 구멍
100: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110:
111: lever coupling bracket 112: lever
113: wire 120: connection
121: Fixing bracket 121a: Upper bracket
121b: lower bracket 122: rotation bracket
122a: first fastening hole 122b: second fastening hole
122c: third fastening hole 122d:
123: a dock 123a: fastening hole
123b: wire fitting hole 130:
131: load 131a: male thread
131b: nut 131c: push rod
132: cylinder 200: wheelchair
210: handle 220: backrest frame
230: lower frame c: fastener
h: hinge h2: second engaging hole

Claims (5)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휠체어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는 레버 결합 브래킷과, 상기 레버 결합 브래킷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 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레버의 동작에 연동하여 인출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출 동작을 안내하도록 수용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등받이 프레임과 구동부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는 회전 브래킷 및 상기 회전 브래킷의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와이어의 인출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는 유동대로 구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제2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동작하면서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신축 가능하도록 수용하며 휠체어 하부 프레임의 일 측을 통해 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comprising:
A lever engaging bracket coupled to any one of the wheel bracket, a lever hing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lever engaging bracket, and a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one side of the lever and drawn ou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n operating portion;
A locking bracket formed on one side of the wheelchair back frame to receive the locking bracket to guide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wire, a rotating bracket coupled to the backrest frame and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rotatable, A connection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wire;
A rod fixedly connected through a second fastening hole of the rotation bracket to adjust the angle while moving the wheel chair back fram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hile being expanded and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A cylinder having a lower end fixed through a cylinder; Wherein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부에 와이어와 등받이 프레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떨어져) 수용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관통하는 제1 결합 구멍을 갖는 상부 브래킷과,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수평 방향을 관통하는 제2 결합 구멍을 갖는 하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n upper bracket having a first engaging hole protruding from the back frame to receive the wire from the back fram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and the back frame, And a lower bracket having a second engaging hole penetr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receive the fastening member for engaging the bracket rotata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래킷은 내부로 유동대를 수용하기 위한 유동대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vel bracket is formed with a swivel coupling hole for receiving the swivel base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유동대의 상, 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가압 되거나 돌출 동작하면서 실린더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푸시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ush rod is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rod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while being pressed or protruded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moving b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대 결합구멍은 유동대의 상, 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장공(長空)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luid-bed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long hole so as to smoothly rotate the fluid bed vertically and downwardly.
KR1020170075667A 2017-06-15 2017-06-15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KR201801366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67A KR20180136669A (en) 2017-06-15 2017-06-15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67A KR20180136669A (en) 2017-06-15 2017-06-15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69A true KR20180136669A (en) 2018-12-26

Family

ID=6500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67A KR20180136669A (en) 2017-06-15 2017-06-15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6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3746A (en) Support device for helping a person out of bed
US7866613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wheelchair arm pad
CN101048123B (en) Walker with lifting arms
JP2021520284A (en) Multi-function wheelchair
CN107320252A (en) A kind of rehabilitation type multifunctional bed chair
JP2008062015A (en) Chair
CN104582662B (en) Patient relocates system
CN104622614A (en) Automatic cervical traction chair structure
EP3263082A1 (en) Electric wheelchair
KR200434785Y1 (en) posture conversion chair
US20060230540A1 (en) Patient hand support aid for bed
KR20180136669A (en) Back of a chair angle control apparatus for Wheelchair
CN209563815U (en) A kind of chaise longue
CN216496106U (en) Seat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horizontally and lifted independently
CN205126450U (en) Novel doctor's chair
CN108635167A (en) A kind of massage armchair frame structure
EP2471499A1 (en) Wheelchair tilting mechanism
CN209500665U (en) A kind of Patients with Neurosurgery recovery supplemental training device
CN208287201U (en) A kind of spine stretching bed
EP1583496A1 (en) System for handling a person and method therefor
US20120161484A1 (en) Wheelchair tilting mechanism
CN208974372U (en) A kind of electronic standing bed with adjustable handrail
CN109223433A (en) A kind of lower limb obstacle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for capableing of one man operation
CN205459447U (en) Adjust regulation lock of flexible length of wheelchair pull rod
JP4068143B2 (en) Aggregation of a bed and a device for assisting movement when a person enters or leaves the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