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85Y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785Y1 KR200434785Y1 KR2020060026421U KR20060026421U KR200434785Y1 KR 200434785 Y1 KR200434785 Y1 KR 200434785Y1 KR 2020060026421 U KR2020060026421 U KR 2020060026421U KR 20060026421 U KR20060026421 U KR 20060026421U KR 200434785 Y1 KR200434785 Y1 KR 2004347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plate
- backrest
- hinged
- rod
- driv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구비된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일측에 등받이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판의 타측에 다리 지지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에 팔걸이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와 좌판을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어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좌판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좌판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연결대로 등받이에 연결되어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등받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2구동수단과, 상기 좌판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대를 회전시키도록 힌지결합된 제3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that is easy to switch posture, the seat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rovided with wheels, the backres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t plate, the leg suppor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 plate is rotated And, the armrest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is installed vertically to connect the lower support and the seat plate, the first driving means for lifting the seat plate by lifting and pulling operation of the rod,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the hinge A second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backrest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joints to adjus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backrest by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peration of the rod; And a third driving means hinged to rotate the support.
치료, 의자, 실린더, 승강 Therapy, chair, cylinder, lift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easy to chang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3a and 3b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hair easy to chang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대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of a chair easy to chang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하부지지대 4 : 좌판2: lower support 4: seat plate
5 : 프레임부재 6 : 등받이5
8 : 다리 지지대 9 : 팔걸이8: leg support 9: armrest
51 ∼ 55 : 제1 내지 제5프레임 61 : 제1브라켓51 to 55: first to fifth frames 61: first bracket
62 : 제2브라켓 63 : 제3브라켓62: second bracket 63: third bracket
82 : 끼움관 84 : 고정수단82: fitting pipe 84: fixing means
85 : 보조 발판 88 : 조작핸들 85: auxiliary footrest 88: operation handle
본 고안은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이 승강될 수 있고, 등받이를 회전시켰을때도 팔걸이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지지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that is easy to switch posture, more specifically, the seat can be elevated, the armrest can be kept horizontal even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and the length of the leg support can be adjusted for ease of use It relates to a chair that is easy to change the posture to increase.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피부관리실 등에서는 피시술자가 편안하게 눕거나 앉은 상태로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자세 전환이 가능한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a hospital or a skin care room, chairs that are easy to switch positions can be used in order to allow a person to be operated in a comfortable lying or sitting state.
즉, 종래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는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거나, 다리 지지대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at is, the chair is easy to change the conventional posture to adjust the back angle in the sitting state, or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eg support.
그러나, 종래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는 좌판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등받이를 뒤로 눕혔을때 피시술자가 앞쪽으로 미끄러져 자세가 불량하게 되고, 또한 등받이 각도조절시 팔걸이도 동반하여 회전하므로 피시술자가 팔걸이에 손을 얹어놓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hair that is easy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onventional seat is fixed 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backrest is laid back, the subject slips forward, and the posture becomes poor, and also the armrest also rotates with the armrest when adjusting the backrest angl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place your hand on the armrest.
또한, 종래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는 다리 지지대의 길이조절이 불가하여, 피시술자의 신체길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 chair is easy to change the conventional posture can not adjust the length of the leg support, can not be adjusted to suit the body length of the subject has a problem inconvenient to us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등받이를 눕혔을때 좌판의 전방측을 들어올려 경사도를 줌으로써 피시술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팔걸이 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 지지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height of the seat plate can be adjusted, so that when the backrest is laid down, by lifting the front side of the seat plate to give an inclination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slipping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and armres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easy to change the postur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g suppo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바퀴가 구비된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일측에 등받이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판의 타측에 다리 지지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에 팔걸이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대와 좌판을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어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좌판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좌판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연결대로 등받이에 연결되어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등받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2구동수단과; 상기 좌판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로드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대를 회전시키도록 힌지결합된 제3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 seat plat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provided with wheels, and a backres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t plate, and a leg support is rot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an armrest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A first driving means installed vertically to connect the seat plate with the seat plate to move the seat plate up and down by drawing out and pulling out the rod; A second driving mean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by a plurality of hinged couplings to adjus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backrest by drawing out and drawing in the rod;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it can be achieved by a chair easy to change pos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drive means hinged to rotate the leg support by the withdrawal and retracting operation of the rod hav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에 대한 평면도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for easy postur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hair for easy posture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hair easy to chang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A)는, 바퀴(22)가 구비된 하부지지대(2)의 상부에 좌판(4)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4)의 일측에 등받이(6)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판(4)의 타측에 다리 지지대(8)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6)에 팔걸이(9)가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hair A is easy to change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설명에서는 다리 지지대(8)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측이라 하고, 등받이(6)가 설치된 방향을 후방측으로 통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그리고, 하부지지대(2)와 좌판(4)을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어 로드(31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좌판(4)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수단(31)과; 상기 좌판(4)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연결부재로 등받이에 연결되어 로드(32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등받이(6)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2구동수단(32)과; 상기 좌판(4)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로드(33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대(8)를 회전시키도록 힌지결합된 제3구동수단(33);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And, the first driving means 31 is installed vertically to connect the lower support (2) and the
보다 상세하게는,More specifically,
상기 하부지지대(2)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바퀴(22)가 설치되고, 좌판(4)의 하부에 힌지결합된 프레임부재(5)와, 프레임부재(5)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메인구동수단(30)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다.The
상기 프레임부재(5)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2)에 수직되게 결합된 제1프레임(51)과, 제1프레임(51)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제2프레임(52)과, 제2프레임(52)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수직되게 설치된 제3프 레임(53)과, 제3프레임(53)에 힌지결합되며 수평으로 설치된 제4프레임(54)과, 제4프레임(54)에 힌지결합되며 좌판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제5프레임(55)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A, the
상기 메인구동수단(30)은 통상의 유압액츄에이터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ain driving means 30 is a conventional hydraulic actuator is used, preferably a hydraulic cylinder is suitab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후술될 제1 내지 제3구동수단(31∼33)도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더이상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Hydraulic cylinders are also used in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31 to 3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인구동수단(30)의 일단은 프레임부재(5)에 힌지결합되고, 로드(300)의 타단은 하부지지대(2)에 힌지결합된 것으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30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프레임부재(5)가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메인구동수단(30)은 약 30 ∼ 40°경사지게 설치된다.One end of the main drive means 30 is hinged to the
보다 정확하게는, 도 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구동수단(30)은 일단이 프레임부재(5)의 제1프레임(51)의 하단에 힌지결합되고, 그 로드(300)가 하부지지대(2)에 힌지결합된 것이다.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s. A and 3b, one end of the main driving means 3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메인구동수단(30)의 로드(300)가 인장되면, 그에 힌지결합된 프레임부재(5)의 제2프레임(52)을 밀어올림으로써 프레임부재(5)가 회전점(R)을 축으로 하여 점차 수직상태에 가깝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프레임부재(5)에 힌지결합된 좌판(4)이 상승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역으로, 메인구동수단(30)의 로드(300)가 인입되면, 프레임부재(5)가 점차 수평상태에 가깝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좌판(4)이 하강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좌판(4)은 착석이 용이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좌판(4)의 후방측에는 등받이(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며, 전방측에는 다리 지지대(8)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The
좌판(4)의 하부에서 전방측, 즉 다리 지지대(8)가 설치된 부위에는 제1구동수단(31)이 수직되게 설치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즉, 제1구동수단(31)은 통상의 액츄에이터 유압실린더로써, 하부지지대(2)와 좌판(4)을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고, 그 로드(31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좌판(4)의 전면을 승강시키게 된다. That is, the first driving means 31 is a normal actuator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vertically to connect the
따라서, 제1구동수단(31)의 로드(310)가 인출되면 좌판(4)의 전방을 상승시킴으로써 착석한 피시술자의 무릎부위를 들어올릴 수 있고, 역으로 로드(310)가 인입되면 좌판(4)이 하강하게 된다(도 3b 및 도 3a 참조). Therefore, when the
좌판(4)의 하부 후방측, 즉 등받이(6)가 결합된 부위에는 제2구동수단(32)이 수평으로 설치된다.The second driving means 32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상기 등받이(6)는, 도 2 및 도 3a,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소정 길이의 제1브라켓(61)이 설치되고, 제1브라켓(61)의 일측방에 제2브라켓(62)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중간에는 외통체(65)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외통체(65) 내에 샤프트(66)가 삽입되며, 샤프트(66)에 제3브라켓(6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3A, and 4, the
따라서, 제2구동수단(32)의 로드(320)는 등받이(6)의 제1브라켓(61)과 힌지결합됨으로써 제2구동수단(32)의 로드(320)가 인출 및 인입함에 따라 등받이(6)가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된다(도 3a 및 도 3b 참조).Accordingly, the
또한, 등받이(6)의 하부에 형성된 제2브라켓(62)에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대(64)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대(64)의 타단은 제3브라켓(63)에 힌지결합되고, 제3브라켓(63)은 팔걸이(9)에 연결된 샤프트(66)에 고정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table 6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hinged to the
즉, 샤프트(66)는 등받이(6)에 수평으로 설치된 외통체(65) 내에 삽입된 것이고, 등받이(6)가 회전할때 외통체(65)는 회전하게 되나 샤프트(66)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샤프트(66)는 제3브라켓(63)과 항상 동일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팔걸이(9)가 항상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제2구동수단(32)의 로드(320)가 인장되면, 상기 제1브라켓(61)을 밀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6)가 세워지게 된다. When the
이때, 연결대(64) 및 제3브라켓(63)이 동반 회전함으로써 팔걸이(9)는 항상 수평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역으로, 제2구동수단(32)의 로드(320)가 인입되면, 상기 제1브라켓(61)을 당겨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등받이(6)가 눕혀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때도, 연결대(64) 및 제3브라켓(63)이 동반 회전함으로써 팔걸이(9)는 항상 수평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좌판(4)의 전면 하부에는 다리 지지대(8)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수단(33)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driving means 33 for rotating the
제3구동수단(33)의 일단은 좌판(4)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42)에 힌지결합되고, 로드(330)는 다리 지지대(8)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도 3a 및 도 4 참조).One end of the third driving means 33 is hinged to the
따라서, 제3구동수단(33)의 로드(330)가 인장되면, 다리 지지대(8)를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상태가 될 수 있고, 역으로 제3구동수단(33)의 로드(330)가 인입되면, 다리 지지대(8)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하향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한편, 다리 지지대(8)의 끝단에는 보조 발판(85)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다리 지지대(8)의 하부에 소정 길이의 끼움관(82)이 설치되고, 보조 발판(85)에는 상기 끼움관(82)에 삽입되는 끼움봉(85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관(82)에는 나사조임방식의 고정수단(84)이 설치된다.That is, the
따라서, 보조 발판(85)의 끼움봉(850)을 다리 지지대(8)의 끼움관(82)에 끼우고, 보조 발판(85)을 밀어넣거나 빼내서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후 고정수단(84)을 조임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또한, 다리 지지대(8)의 하부에는 회전작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조작핸들(88)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핸들(88)을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다리 지지대(8)를 적당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work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피시술자가 좌판(4)에 착석한 후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높이조절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적당한 높이로 유지한다.After the operator is seated on the seat plate (4) to operate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maintain the proper height by operat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즉, 메인구동수단(30)의 로드(300)가 인출되면 프레임부재(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프레임부재(5)가 좌판(4)을 밀어올림으로써 의자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역으로 메인구동수단(30)의 로드(300)가 인입되면, 프레임부재(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좌판(4)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또한, 제어부를 조작하여 좌판(4) 및 등받이(6), 다리 지지대(8)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당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즉, 제1구동수단(31)의 로드(310)가 인출되면 좌판(4)의 전방이 상승하게 되고, 아울러 제2구동수단(32)의 로드(320)를 인입시키면 등받이(6)가 눕혀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조작핸들(88)을 파지하여 다리 지지대(8)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제3구동수단(33)의 로드(330)가 인출되면서 다리 지지대(8)가 상방으로 회전된 채 소정 각도로 유지될 수 있고, 역으로 조작핸들(88)을 파지하여 다리 지지대(8)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제3구동수단(33)의 로드(330)가 인입되면서 다리 지지대(8)가 하방으로 회전된 채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피시술자의 신체길이에 적합하도록 다리 지지대(8)의 보조 발판(85)을 조작하여 길이를 조절한다.And, the length is adjusted by manipulating the
전술한 메인구동수단(30) 및 제1 내지 제3구동수단(31∼33)의 작동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자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ain driving means 30 and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31 to 33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hereby realizing various postures.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세전환이 용이한 의자는, 사용자가 침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척추에 대한 물리치료를 실행할 수 있고, 아울러 온열기능과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is easy to change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bed to perform physical therapy for the spine, and also help to promote health by the heat function and far infrared radiation The effect is provid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421U KR200434785Y1 (en) | 2006-09-28 | 2006-09-28 |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421U KR200434785Y1 (en) | 2006-09-28 | 2006-09-28 |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4785Y1 true KR200434785Y1 (en) | 2006-12-27 |
Family
ID=4178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421U KR200434785Y1 (en) | 2006-09-28 | 2006-09-28 |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4785Y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3367A1 (en) * | 2009-02-13 | 2010-08-19 | A-Dec, Inc. | Patient support apparatus |
CN105795755A (en) * | 2010-09-07 | 2016-07-27 | 墨床有限公司 | Apparatus for support during tattooing |
KR20190041205A (en) * | 2017-10-12 | 2019-04-22 | 주식회사소화 | Medical bed having arm rests |
KR20200046600A (en) * | 2018-10-25 | 2020-05-07 | 양근영 | move chair |
KR20210029818A (en) * | 2018-07-19 | 2021-03-16 | 퍼모빌 아크티에볼라그 | Moving device |
KR2021006737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 A wheelchair for the physically weak |
KR20220160995A (en) * | 2021-05-28 | 2022-12-06 | 한국원자력의학원 | Chair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angle posture for radiation therapy |
-
2006
- 2006-09-28 KR KR2020060026421U patent/KR20043478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3367A1 (en) * | 2009-02-13 | 2010-08-19 | A-Dec, Inc. | Patient support apparatus |
CN105795755A (en) * | 2010-09-07 | 2016-07-27 | 墨床有限公司 | Apparatus for support during tattooing |
CN105795755B (en) * | 2010-09-07 | 2019-11-08 | 墨床有限公司 | Equipment during tatooing for bearing |
KR20190041205A (en) * | 2017-10-12 | 2019-04-22 | 주식회사소화 | Medical bed having arm rests |
KR102065954B1 (en) * | 2017-10-12 | 2020-01-14 | 주식회사 소화 | Medical bed having arm rests |
KR20210029818A (en) * | 2018-07-19 | 2021-03-16 | 퍼모빌 아크티에볼라그 | Moving device |
KR102535022B1 (en) | 2018-07-19 | 2023-05-26 | 퍼모빌 아크티에볼라그 | mobile device |
KR20200046600A (en) * | 2018-10-25 | 2020-05-07 | 양근영 | move chair |
KR102250315B1 (en) * | 2018-10-25 | 2021-05-07 | 양근영 | move chair |
KR2021006737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 A wheelchair for the physically weak |
KR102401755B1 (en) * | 2019-11-29 | 2022-05-25 |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 A wheelchair for the physically weak |
KR20220160995A (en) * | 2021-05-28 | 2022-12-06 | 한국원자력의학원 | Chair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angle posture for radiation therapy |
KR102619102B1 (en) * | 2021-05-28 | 2023-12-28 | 한국원자력의학원 | Chair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angle posture for radiation therap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4785Y1 (en) | Chair | |
JP7386467B2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US9848704B1 (en) | Lift chair and recliner | |
CA2724480C (en) | Device for assisting childbirth | |
EP3838071A1 (en) | Multi-purpose, multi-utility, and reorganizable recliner chair bed | |
KR100874686B1 (en) | Traction Chair | |
JP2008540020A (en) | Multi-position support device with electric foot support | |
EP1350449A1 (en) | Adjustable profiling beds | |
US9743770B1 (en) | Multi-positioning recliner chair | |
AU2004235712A1 (en) | Patient chair with a vertically movable seat | |
US20150028643A1 (en) | Universal Chair Lift Apparatus | |
CN106420224A (en) | Nursing transition stretcher | |
CN113040551B (en) | Multifunctional chair | |
WO2020088553A1 (en) | Iron rack used for stand assist recli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JP6227398B2 (en) | wheelchair | |
KR101588698B1 (en) | Electrical shower trolley | |
CN105147176B (en) | A kind of chair type toilet frame | |
CN107594961A (en) | Electric adjusts chair used during beauty-care | |
GB2617570A (en) | Intensive care chair | |
CN111938944B (en) | Multifunctional hospital bed | |
TWM353738U (en) | Apparatus for adjusting body posture | |
CN103284852A (en) | Seat type nursing bed | |
JP3195211U (en) | Lifting wheelchair | |
CN220833346U (en) | Multifunctional chair for nursing home medical care | |
JP5390234B2 (en) |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