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595A - 부식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부식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595A
KR20180136595A KR1020170074552A KR20170074552A KR20180136595A KR 20180136595 A KR20180136595 A KR 20180136595A KR 1020170074552 A KR1020170074552 A KR 1020170074552A KR 20170074552 A KR20170074552 A KR 20170074552A KR 20180136595 A KR20180136595 A KR 2018013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sealing
corrosion test
sleev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021B1 (ko
Inventor
이우종
김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0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용액이 저장되고, 선형적 형상의 부식시험체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홀이 구비된 부식조: 및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홀을 밀봉하는 실링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체는,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관통하는 슬리브부재; 상기 슬리브부재와 상기 부식시험체의 사이에 다단으로 배치되고,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슬리브부재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는 가압밀착부재;를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식시험장치{CORROSION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부식용액의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식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콘크리트는 인장에 취약한 구조재료로 이러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강연선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고강도 강연선은 매우 큰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재로 강연선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손상이 발생하면 급격히 취성파괴가 발생한다.
강연선은 응력부식에 의한 지연파괴와 부식에 의한 파단이 고하중에서 발생이 된다. 따라서, 고강도 강연선의 응력부식 성능 및 성능평가로 제품을 인증하고 강연선의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강연선의 응력부식시험은 강연선을 부식용액이 담가진 부식조를 관통하여 부식용액에 노출을 시킨 후 2000 시간동안 강연선 하중(응력)과 동시에 부식을 가해 시행하는 시험이다.
강연선 응력부식시험은 2000시간동안 부식조에 있는 부식용액의 양이 변화없이 시험이 종료되어야 시험기준을 만족한다.
따라서, 강연선의 응력부식시험은 부식용액의 누설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래에는 강연선을 장치로 삽입 후 실리콘을 주입한 다음 압축장치로 실리콘을 밀어 넣는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종래의 방식의 경우 시험이 종료된 후 실리콘이 굳어져 재사용이 불가하여 비용이 낭비되고, 시험장치의 제작에 있어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10740호(전자기유도를 이용한 강재 케이블의 장력 및 부식에 대한모니터링 시스템, 출원인: 허광희)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반복적으로 부식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빠른 시간내에 설치할 수 있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부식시험체의 사이로 부식용액이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부식용액이 저장되고, 선형적 형상의 부식시험체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홀이 구비된 부식조: 및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홀을 밀봉하는 실링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체는,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관통하는 슬리브부재; 상기 슬리브부재와 상기 부식시험체의 사이에 다단으로 배치되고,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슬리브부재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는 가압밀착부재;를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슬리브부재는, 상기 가압밀착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턱이 형성된 슬리브본체; 및 상기 슬리브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슬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식시험체는 복수 개의 강연선이 꼬여서 형성된 긴장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인접한 강연선의 사이에 내입 형성된 나선형 홈의 수에 대응되는 나선형 돌기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링구조체는, 상기 가압밀착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 및/또는 인접한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와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와샤부재는, 링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 형태의 테이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밀착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 또는 상기 와샤부재와 접촉시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링구조체는, 상기 부식시험체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상기 실링부재 및, 3개의 상기 와샤부재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링구조체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실링구조체; 및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실링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실링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실링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식조는, 상기 부식시험체가 관통하고, 상기 실링구조체가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이 오픈 가능하며 부식용액이 저장되는 부식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는 가압밀착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어 실링부재의 교체없이 반복적으로 부식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부식시험장치를 빠른 시간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밀착부재에 의해 실링부재를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고, 실링부재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실링부재와 부식시험체의 사이로 부식용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설치된 실링구조체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설치된 실링구조체의 슬리브부재와 가압밀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실링구조체의 실링부재의 탄성변형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하측의 실링구조체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시험장치는 부식조(10), 실링구조체(20)를 포함하고, 실링구조체(20)는 슬리브부재(100), 실링부재(200) 및 가압밀착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시험장치는 선형적 형상의 부식시험체(E)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홀이 구비된 부식조(10) 및 상기 부식조(10)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E)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홀을 밀봉하는 실링구조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체(20)는, 상기 부식조(10)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E)가 관통하는 슬리브부재(100)와, 상기 슬리브부재(100)와 상기 부식시험체(E)의 사이에 다단으로 배치되고,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부식시험체(E)에 밀착되는 실링부재(200) 및 상기 슬리브부재(10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200)를 가압하여 상기 슬리브부재의 축방향으로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는 가압밀착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조(10)의 내부에는 부식용액이 수용되고, 부식시험체(E)가 부식용액에 노출되도록 부식시험체(E)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부식조(10)에는 부식용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18)과 배출라인(19)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부식용액의 유입라인(18)과 배출라인(19)은 부식조(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고, 부식조(10)의 상측에 설치된 유입라인(18)을 통해 부식용액이 유입되고, 시험이 종료시 부식조(10)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라인(19)에 배출관이 삽입되어 부식조(10) 내부의 부식용액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조(10)는, 상기 부식시험체(E)가 관통하고, 상기 실링구조체(20)가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11) 및 하판(13) 및 상기 상판(11) 및 상기 하판(13)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11)이 오픈 가능하며 부식용액이 저장되는 부식탱크(17)를 구비할 수 있다.
부식조(10)는 상기 부식시험체(E)가 관통하고, 상기 실링구조체(20)가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11) 및 하판(13)과, 상기 상판(11) 및 상기 하판(13)을 결합하도록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는 길이방향볼트(15) 및 상기 상판(11) 및 상기 하판(13)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방향볼트(15)를 매개로 상기 상판(11)이 오픈 가능하며 부식용액이 저장되는 부식탱크(17)를 구비할 수 있다.
부식탱크(17)는 하판(13)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판(11)이 길이방향볼트(15)를 매개로 오픈될 수 있다.
부식조(10)의 상판(11)에는 부식용액이 유입되는 유입라인(18)과 배출라인(19)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조체(20)는 부식시험체(E)를 따라 유출되는 부식용액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실링구조체(20)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식시험장치의 설치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조(10)의 하측에 제1 실링구조체(20-1)를 배치하고, 부식시험체(E)를 제1 실링구조체(20-1)를 관통하여 배치한다.
부식조(10)의 상측에 제2 실링구조체(20-2)를 배치하고, 부식시험체(E)를 제2 실링구조체(20-2)를 관통하여 배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시험체(E)의 양단부에 설치된 인장척(G)에 의해 부식시험체(E)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제1 실링구조체(20-1)의 가압밀착부재(30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200)를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제2 실링구조체(20-2)의 가압밀착부재(30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200)를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킨다.
실링부재(200)와 부식시험체(E)의 밀착이 완료되면 부식조(10)의 부식탱크(17)의 내부로 부식용액을 주입하고 부식응력시험을 시작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부재(100)는 부식조(10)에 설치되는 내부가 중공관 형태의 부재로 구비되고, 길이는 약 15 Cm 내외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200)는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가압되어 둘레방향의 두께가 커지면서 부식시험체(E)와 밀착될 수 있다.
변형된 실링부재(200)는 슬리브부재(10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고, 부식시험체(E) 방향으로 실링부재(200)의 둘레방향의 두께가 커지면서 부식시험체(E)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00)는 슬리브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링부재(200)가 부식시험체(E)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실링부재(200)가 부식시험체(E)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밀착부재(300)는 슬리브부재(10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200)를 가압하여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는 부재이다.
가압밀착부재(300)는 슬리브부재(100)와 나사결합되어, 슬리브부재(100) 상에 진퇴될 수 있다.
가압밀착부재(300)는 가압헤드(310)가 회전시, 슬리브부재(100)의 내면에 형성된 내부나사산(133)을 따라 가압밀착부재(300)의 외부나사산(331)이 이동하면서 실링부재(20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밀착부재(300)는 선단부에 상기 실링부재(200) 또는 상기 와샤부재(400)와 접촉시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350)는 마찰력이 적은 PC(Polycarbonat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저감부재(350)는 마찰력이 적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저감부재(350)가 마찰력이 적은 소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밀착부재(300)의 회전 및 가압에 의해 실링부재(200) 또는 와샤부재(400)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압밀착부재(300)는, 가압헤드(3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실링부재(200) 방향으로 진퇴되는 가압본체(330) 및 상기 가압본체(33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실링부재(200) 또는 상기 와샤부재(400)와 접촉시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헤드(310)는 육각볼트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패너 등의 체결부재로 회전시켜 가압밀착부재(300)를 슬리브부재(100)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슬리브부재(100), 실링부재(200), 가압밀착부재(300)에는 부식시험체(E)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밀착부재(300)는 슬리브부재(100)에 결합되고, 실링부재(200)를 가압하여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부식시험체(E)가 비정형의 굴곡을 가지는 경우에도 부식시험체(E)의 외주면과 실링부재(200)를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식시험체(E)를 따라 부식용액이 부식조(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부재(200)를 다단으로 배치함으로써, 부식용액이 부식시험체(E)를 타고 최초의 실링부재(200)를 관통하더라도, 다단으로 배치된 나머지 실링부재(200)에 의해서 부식조(10)에서 부식용액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링부재(200)가 가압밀착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어 실링부재(200)의 교체없이 반복적으로 부식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부재(200)를 슬리브부재(100)의 내부에 삽입하고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 부식시험장치를 간편하고 빠른 시간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부재(100)는, 상기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실링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단턱(111)이 형성된 슬리브본체(110) 및 상기 슬리브본체(11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20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31)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300)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슬리브(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10)의 내부로는 부식시험체(E)가 관통하고, 슬리브본체(110)의 내면은 부식시험체(E)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슬리브본체(110)의 내면과 부식시험체(E)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조(10)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실링구조체(20)의 가압밀착부재(300)를 회전시켜 슬리브부재(100)의 내부로 전전시켜 실링부재(200)를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실링부재(200)를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킬 수 있다.
지지단턱(111)은 슬리브본체(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실링부재(200)가 가압시 지지단턱(111)이 실링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단턱(111)은 실링부재(20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 형태의 테이퍼면(H)을 구비할 수 있다.
테이퍼면(H)은 지지단턱(111)의 내면에서 부식시험체(E) 방향으로 30 ~ 40도 정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200)가 가압시 변형된 상기 실링부재(200)의 일부가 지지단턱(111)의 테이퍼면(H)을 따라 이동시켜 부식시험체(E)와의 밀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면(H)을 따라 부식시험체(E)와 변형된 실링부재(200)의 길이방향 접촉면적이 연장되면서 실링부재(200)와 부식시험체(E)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슬리브(130)는 슬리브본체(11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슬리브(130)에는 가압밀착부재(300)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링부재(20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시험체(E)는 복수 개의 강연선이 꼬여서 형성된 긴장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200)는 인접한 강연선의 사이에 내입 형성된 나선형 홈(F)의 수에 대응되는 나선형 돌기라인(210)이 구비될 있다.
도 2에는 7개의 강연선이 꼬여서 형성된 긴장부재가 부식시험체(E)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부식시험체(E)인 긴장부재는 복수 개의 강연선이 꼬인 형상이어서, 비정형적 형상의 강연선의 외주면과 실링부재(200)의 사이로 부식용액이 누설될 가능성이 높아 이를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실링부재(200)를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고, 실링부재(200)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실링부재(200)와 부식시험체(E)의 사이로 부식용액이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실링부재(200)의 나선형 돌기라인(210)은 부식시험체(E)와 소정의 공차를 두고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선형 돌기라인(210)은 나선형 홈(F)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나선형 홈(F)과 나선형 도기라인은 실링부재(2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나선형 홈(F)과 나선형 돌기라인(210) 사이에는 소정의 공차가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홈(F)과 나선형 돌기라인(210) 사이에는 적어도 1.5mm 이상의 공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조체(20)는, 상기 가압밀착부재(300)와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 및/또는 인접한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실링부재(200)를 가압하는 와샤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실링부재(2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저감시켜 상기 실링부재(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어도 실링부재(200)를 가압하여 실링부재(200)가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가압밀착부재(300)와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가압밀착부재(300)와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 및,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PC(Polycarbonat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소재로 구성된 테프론 와샤(Teflon Washer)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부재(100), 실링부재(200), 가압밀착부재(300) 및 와샤부재(400)에는 부식시험체(E)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식시험체(E)와 관통부는 소정의 공차를 두고 배치되어, 부식시험체(E)가 슬리브부재(100), 실링부재(200), 가압밀착부재(300) 및 와샤부재(40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실링부재(200)와 와샤부재(400)가 구비되어, 나선형의 불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강연선의 외주면을 중첩적으로 밀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샤부재(400)는, 링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20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 형태의 테이퍼면(H)을 구비할 수 있다.
와샤부재(400)는 링상의 부재로 구비되되, 슬리브부재(100)의 결합슬리브(130) 내면과는 소정의 공차를 두고 삽입되고 부식시험체(E) 방향으로 테이퍼면(H)이 형성될 수 있다.
와샤부재(400)의 일측에는 테이퍼면(H)을 형성하여 와샤부재(400)의 일측에 접하는 실링부재(200)가 부식시험체(E)와 밀착되도록 유도하고, 타측에는 수평면을 형성하여 와샤부재(400)의 타측에 접하는 실링부재(200)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와샤부재(400)의 테이퍼면(H)은 부식시험체(E) 방향으로 30 ~ 40도 정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200)가 가압시 변형된 실링부재(200)의 일부가 테이퍼면(H)을 따라 이동시켜 부식시험체(E)와의 밀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와샤부재(400)에 테이프면을 형성하여 테이퍼면(H)과 부식시험체(E)의 사이에 변형된 실링부재(200)의 일부가 이동하는 밀착유도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와샤부재(400)에 테이퍼면(H)을 형성하여 일측의 실링부재(200)와 접촉하는 단면적을 감소시켜 와샤부재(400)와 실링부재(200)의 접촉시의 마찰력을 줄여 실링부재(200)가 와샤부재(400)와의 마찰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면(H)을 따라 부식시험체(E)와 변형된 실링부재(200)의 길이방향 접촉면적이 연장되면서 실링부재(200)와 부식시험체(E)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조체(20)는 슬리브부재(100)의 결합슬리브(130) 내부에 부식시험체(E)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실링부재(200) 및, 3개의 와샤부재(400)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200) 및, 와샤부재(400)는 수직 및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본체(110)의 지지단턱(111)에 걸리도록 결합슬리브(130)의 수용공간(131)으로 1단 실링부재(200)가 삽입되어 지지단턱(111)에 거치되고, 1단 실링부재(200)의 상측에 1단 와샤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2단 실링부재(200), 2단 와샤부재(400), 3단 실링부재(200), 3단 와샤부재(400)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조체(20)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실링구조체(20-1)와,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실링구조체(20-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실링구조체(20-1)는, 상기 슬리브부재(100)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20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가압밀착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300)가 상기 실링부재(200)를 상기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실링구조체(20-2)는, 상기 슬리브부재(100)의 상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200)가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밀착부재(300)가 상기 실링부재(200)를 상기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킬 수 있다.
결합슬리브(130)는 슬리브본체(11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슬리브(130)에는 가압밀착부재(300)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링부재(20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구조체(20-1)의 슬리브부재(100)는, 상기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실링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단턱(111)이 형성된 슬리브본체(110)와, 상기 부식조(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슬리브(130-1) 및 상기 부식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슬리브(13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슬리브(130-1)의 수용공간(131)에 실링부재(200) 및, 와셔부재를 다단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가압밀착부재(30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200)를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키고, 제2 결합슬리브(130-2)의 수용공간(131)에 실링부재(200) 및 와셔부재를 다단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가압밀착부재(30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200)를 부식시험체(E)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실링구조체(20-1)는 부식조(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결합슬리브(130-1)에 실링부재(200)가 다단으로 배치되고, 부식조(10)의 내측에 배치된 제2 결합슬리브(130-2)에 실링부재(200)가 다단으로 배치됨으로써, 부식조(10)의 내측과 외측에 중첩적으로 실링부재(200)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부식조(10)의 하측의 제1 실링구조체(20-1)와 부식시험체(E)의 사이로 부식용액이 누설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링구조체(20-2)의 슬리브부재(100)는 상기 가압밀착부재(30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실링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단턱(111)이 형성된 슬리브본체(110) 및, 상기 부식조(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결합슬리브(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실링구조체(20-2)는 부식조(1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부식용액이 누설될 가능성이 크지 않아 제2 실링구조체(20-2)의 경우는 부식조(1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슬리브(130)에만 실링부재(200)를 다단으로 배치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부식조 1: 상판
13: 하판 15: 길이방향볼트
17: 부식탱크 18: 유입라인
19: 배출라인 20: 실링구조체
20-1: 제1 실링구조체 20-2: 제2 실링구조체
100: 슬리브부재 110: 슬리브본체
111: 지지단턱 130: 결합슬리브
130-1: 제1 결합슬리브 130-2: 제2 결합슬리브
131: 수용공간 133: 내부나사산
200: 실링부재 210: 나선형 돌기라인
300: 가압밀착부재 310: 가압헤드
330: 가압본체 331: 외부나사산
350: 마찰저감부재 400: 와샤부재
E: 부식시험체 F: 나선형 홈
G: 인장척 H: 테이퍼면

Claims (9)

  1. 부식용액이 저장되고, 선형적 형상의 부식시험체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홀이 구비된 부식조: 및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홀을 밀봉하는 실링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체는,
    상기 부식조에 설치되고, 상기 부식시험체가 관통하는 슬리브부재;
    상기 슬리브부재와 상기 부식시험체의 사이에 다단으로 배치되고, 둘레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슬리브부재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는 가압밀착부재;를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가압밀착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턱이 형성된 슬리브본체; 및
    상기 슬리브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슬리브;를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시험체는 복수 개의 강연선이 꼬여서 형성된 긴장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인접한 강연선의 사이에 내입 형성된 나선형 홈의 수에 대응되는 나선형 돌기라인이 구비되는 부식시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조체는,
    상기 가압밀착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 및/또는 인접한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와샤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식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샤부재는,
    링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 형태의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착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 또는 상기 와샤부재와 접촉시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되는 부식시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조체는,
    상기 부식시험체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상기 실링부재 및, 3개의 상기 와샤부재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조체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실링구조체; 및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부식조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실링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실링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실링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을 통해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밀착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부식시험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시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조는,
    상기 부식시험체가 관통하고, 상기 실링구조체가 일체로 설치되는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오픈 가능하도록연결되며 부식용액이 저장되는 부식탱크;를 구비하는 부식시험장치.
KR1020170074552A 2017-06-14 2017-06-14 부식시험장치 KR10194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52A KR101949021B1 (ko) 2017-06-14 2017-06-14 부식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52A KR101949021B1 (ko) 2017-06-14 2017-06-14 부식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95A true KR20180136595A (ko) 2018-12-26
KR101949021B1 KR101949021B1 (ko) 2019-02-18

Family

ID=6500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52A KR101949021B1 (ko) 2017-06-14 2017-06-14 부식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14Y1 (ko) * 2020-06-01 2023-05-02 두산에너빌리티 (주) 휴대용 에칭 검사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832A (ja) * 1981-12-23 1983-06-30 Hoxan Corp 低温引張り試験装置
JPS6250639A (ja) * 1985-08-29 1987-03-05 Shimadzu Corp 高温・低温引張り試験機
JPS62186051U (ko) * 1986-05-19 1987-11-26
JPH0618384A (ja) * 1990-12-26 1994-01-25 Mitsui Constr Co Ltd 線材のポアソン比測定方法と装置
KR20020051610A (ko) * 2000-12-23 2002-06-29 신현준 고온인장시험기의 판상시험편 그립
KR20030076795A (ko) * 2002-03-21 2003-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사로를 이용한 고온 인장 및 피로시험장치
KR20110001103U (ko) * 2009-07-24 2011-0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히팅코일 파이프 수압 테스트용 지그
KR20110047026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소유기균열 시험장치
JP2013142610A (ja) * 2012-01-11 2013-07-22 Taiyo Nippon Sanso Corp 低温引張試験機
KR20160137771A (ko) *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포스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832A (ja) * 1981-12-23 1983-06-30 Hoxan Corp 低温引張り試験装置
JPS6250639A (ja) * 1985-08-29 1987-03-05 Shimadzu Corp 高温・低温引張り試験機
JPS62186051U (ko) * 1986-05-19 1987-11-26
JPH0618384A (ja) * 1990-12-26 1994-01-25 Mitsui Constr Co Ltd 線材のポアソン比測定方法と装置
KR20020051610A (ko) * 2000-12-23 2002-06-29 신현준 고온인장시험기의 판상시험편 그립
KR20030076795A (ko) * 2002-03-21 2003-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사로를 이용한 고온 인장 및 피로시험장치
KR20110001103U (ko) * 2009-07-24 2011-0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히팅코일 파이프 수압 테스트용 지그
KR20110047026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소유기균열 시험장치
JP2013142610A (ja) * 2012-01-11 2013-07-22 Taiyo Nippon Sanso Corp 低温引張試験機
KR20160137771A (ko) *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포스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철수 외, 저온하에서 레일강의 피로균열진전거동,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2003.10. pp85-9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021B1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8225B1 (en) Bolt tensioning system
US9500574B2 (en) Rock sample fixing device with three-jaw chuck for cyclic tension and compression test
US9470346B2 (en) Pipe connection joint
KR20160004399A (ko) 케이블 앵커리지를 위한 개별의 실 구성
US6634147B2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KR200481040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 및 부여장치
KR101949021B1 (ko) 부식시험장치
CN109724873B (zh) 一种适应拉压载荷的ct试样裂纹扩展试验夹具
KR20180114641A (ko)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CN106594436B (zh) 液压驱动式卡压连接器
CN102893065B (zh) 流路连接部的密封结构体
CN105431665A (zh) 4牙螺纹牙型
US10787813B2 (en) Tendon coupler
JPH0913672A (ja) Frp緊張材、その定着方法及び定着具
KR200387829Y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2003055911A (ja) 斜材ケーブルのサドル出口部における構造
RU2373396C1 (ru) Канатный анкер
KR20110111905A (ko) 사재 케이블의 새들 출구부 구조
CN113091978B (zh) 一种平行钢绞线式斜拉索预应力检测装置与方法
JP4445905B2 (ja) 止水構造ならびに止水方法
JP2006077572A (ja) Pc鋼材の固定方法
KR200354900Y1 (ko) 인장기
CN217878623U (zh) 一种用于钢材循环拉压滞回性能试验的防屈曲装置
CN110500444B (zh) Pccp管道张拉装置以及张拉方法
JP3492612B2 (ja) 橋梁用サドルの出口部における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