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29Y1 - 파이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29Y1
KR200387829Y1 KR20-2005-0008681U KR20050008681U KR200387829Y1 KR 200387829 Y1 KR200387829 Y1 KR 200387829Y1 KR 20050008681 U KR20050008681 U KR 20050008681U KR 200387829 Y1 KR200387829 Y1 KR 200387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fixing device
outer dia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5-0008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배수관 등과 같이 건물 벽체나 바닥 등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외경부(1a,1b)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경부 사이에 환상의 링홈(1d)을 축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통공 내 상기 파이프 둘레에 탄력재질의 패킹(2)을 개재하고 끼워지는 슬리브(1)와; 상기 슬리브의 링홈(1d)에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축방향으로 테이퍼(taper)진 두께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내경부 또는 외경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패킹(2)을 상기 통공의 내주면 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웨지 링(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파이프 고정장치는 파이프에 대하여 압착력을 작용하는 웨지 링이 나사식으로 압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 및 재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과정에서 파이프 등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으며, 웨지 링의 압력이 파이프 둘레에 균등하게 작용하여 시공오차 발생 가능성도 매우 낮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장치{PIPE F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급,배수관 등과 같이 건물 벽체나 바닥 등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고정장치는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예컨대 급,배수관, 가스공급관, 전기배선용 파이프 등과 같은 각종 파이프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들은 대체로 파이프 둘레에 축방향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가진 탄성재질의 원환형 웨지를 끼운 다음 그 웨지의 머리부분을 망치나 해머 등의 공구로 타격하여 파이프와 통공 사이의 틈으로 강제 압입시킴으로써 탄성 압입된 웨지가 파이프 외주면과 통공 내주면에 대하여 가하는 마찰압력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들은 웨지를 파이프와 통공 사이 틈으로 강제 압입시키기 위해 수 내지 수 십 차례 이상의 타격을 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매 타격시 마다 파이프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편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압입되는 웨지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압입되도록 상당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시공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를 배관할 때 관통공의 위치편차나 또는 파이프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편재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조립오차가 발생하여 부득이 파이프를 해체하고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는 타격에 의한 강제 끼움식 고정구조이기 때문에 재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 외에도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들은 시공과정에서 타격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이프나 웨지 등이 파손되는 경우도 빈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은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파이프 고정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를 나사 체결식으로 압입되는 웨지 링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시공 후 조립오차 발생우려가 적고, 조립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재시공을 통해 쉽게 보정할 수 있으며, 시공이나 재시공시 파이프 등이 손상될 가능성도 거의 없는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공에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내,외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경부 사이에 환상의 링홈을 축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통공 내 상기 파이프 둘레에 탄력재질의 패킹을 개재하고 끼워지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링홈에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축방향으로 테이퍼(taper)진 두께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내경부 또는 외경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패킹을 상기 통공의 내주면 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웨지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슬리브는 반경방향 탄성 변위를 위하여 내,외경부의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는 방사방향을 확장되어 상기 통공 입구 둘레에 걸쳐지는 플랜지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지 링의 상면에는 체결공구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공구홈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시공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P) 고정장치는 내,외경부(1a,1b)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경부(1a,1b) 사이에 환상의 링홈(1d)을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슬리브(Sleeve)(1)와, 상기 슬리브(1)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1)의 내,외부주면을 둘러싸는 패킹(Packing)(2), 그리고, 상기 슬리브(1)의 링홈(1d)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웨지 링(Wedge ring)(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는 합성수지제나 금속제 또는 기타 탄성 변위 가능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외경부(1b) 상단부에 방사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1c)가 성형되고,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내,외경이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내경부(1a)와 함께 축방향으로 개방된 링홈(1d)을 형성하는 외경부(1b)의 내주면에는 웨지 링(3)을 나사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패킹(2)은 예컨대 고무 등과 같이 탄성계수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성형된 마찰부재로서, 상기 슬리브(1)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1)에 대응하는 수용홈(2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웨지 링(3)은 선단부로 가면서 축방향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갖는 원통 부재로서, 외주면에는 상기 슬리브(1)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공구홈(3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파이프를 배관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먼저, 슬리브(1)에 끼워 패킹(2)을 결합한다. 이어, 패킹(2)으로 둘러싸인 슬리브(1)를 파이프(P)에 끼우고 바닥(F) 또는 벽체에 형성된 통공에 플랜지(1c)부가 통공 주위의 표면에 걸쳐지도록 파이프(P)와 함께 삽입한다. 다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웨지 링(3)을 상기 슬리브(1)의 링홈(1d)에 가조립한 다음 체결공구(도시되지 않음)를 공구홈(3a)에 끼워 웨지 링(3)을 강제 회전시키면, 슬리브(1)에 나사 결합된 웨지 링(3)이 공구로부터 받는 토오크에 의해 슬리브(1)의 링홈(1d) 선단측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웨지 링(3)은 테이퍼진 내,외주면으로 가압하여 슬리브(1)의 내,외경부(1a,1b)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킨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링(3)에 의해 확장되는 슬리브(1) 내,외경부(1a,1b)가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패킹(2)을 파이프(P) 외주면과 통공의 내주면에 강하게 압착시킴에 따라 그에 따른 패킹(2)의 마찰력이 파이프(P) 외주면과 통공 내주면에 동시에 작용하면서 통공을 통해 배관된 파이프(P)가 통공 내주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통해 파이프(P)를 고정하게 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P) 고정장치는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고 파이프(P)와 통공 사이 틈으로 압입되면서 파이프(P)에 압착되도록 패킹(2)에 압력을 가하는 웨지 링(3)이 나사식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나사식으로 이송됨에 따라 그 내,외주면의 압력을 파이프(P) 등의 둘레에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파이프에 대하여 압착력을 작용하는 웨지 링이 나사식으로 압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분리가 가능하여 조립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재시공을 통해 오차를 손쉽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시공 또는 재시공 과정에서 파이프 등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압입되는 동안 웨지 링의 압력이 파이프 둘레에 균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파이프 등이 기울거나 편재될 가능성이 매우 적어 시공오차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과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시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리브 1a,1b : 내,외경부
1c : 플랜지 1d : 링홈
2 : 패킹 2a : 수용홈
3 : 웨지 링 3a : 공구홈
P : 파이프 F : 바닥

Claims (4)

  1. 통공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파이프(P)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내,외경부(1a,1b)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경부 사이에 환상의 링홈(1d)을 축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통공 내 상기 파이프 둘레에 탄력재질의 패킹(2)을 개재하고 끼워지는 슬리브(1)와;
    상기 슬리브의 링홈(1d)에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축방향으로 테이퍼(taper)진 두께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내경부 또는 외경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패킹(2)을 상기 통공의 내주면 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웨지 링(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는 반경방향 탄성 변위를 위하여 내,외경부(1a,1b)의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는 그 상단에서 방사방향을 확장되어 상기 통공 입구 둘레에 걸쳐지는 플랜지(1c)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링(3)의 상면에는 체결공구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공구홈(3a)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KR20-2005-0008681U 2005-03-30 2005-03-30 파이프 고정장치 KR200387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81U KR200387829Y1 (ko) 2005-03-30 2005-03-30 파이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81U KR200387829Y1 (ko) 2005-03-30 2005-03-30 파이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29Y1 true KR200387829Y1 (ko) 2005-06-23

Family

ID=436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681U KR200387829Y1 (ko) 2005-03-30 2005-03-30 파이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097B1 (ko) * 2018-04-16 2018-09-20 박동일 진공배관 지지장치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CN110356337A (zh) * 2019-07-19 2019-10-22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增压驾驶室及密封装置
KR102059569B1 (ko)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CN114413073A (zh) * 2022-01-28 2022-04-29 吴飞飞 基于弹簧顶推式给排水设计管道穿板固定结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KR101951868B1 (ko) * 2017-06-12 2019-02-25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KR101901097B1 (ko) * 2018-04-16 2018-09-20 박동일 진공배관 지지장치
CN110356337A (zh) * 2019-07-19 2019-10-22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增压驾驶室及密封装置
CN110356337B (zh) * 2019-07-19 2024-03-01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增压驾驶室及密封装置
KR102059569B1 (ko) 2019-09-16 2019-12-26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CN114413073A (zh) * 2022-01-28 2022-04-29 吴飞飞 基于弹簧顶推式给排水设计管道穿板固定结构
CN114413073B (zh) * 2022-01-28 2023-09-26 吴飞飞 基于弹簧顶推式给排水设计管道穿板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829Y1 (ko) 파이프 고정장치
EP1046853A1 (en) Resin pipe joint
US9371850B2 (en) Anchor head and anchor nut for a tension anchor
US20110100595A1 (en) Fastener and heat dissip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44468A (ko) 튜브 커플링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슬리브 및 상기슬리브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커플링 하우징
US6802681B2 (en) Fastening element
US20070189850A1 (en) Pipe joint
US7699357B2 (en) Coupling for tubes
PL355307A1 (en) Union piece for connecting a helically corrugated metal tube with a pipe union
KR20190123542A (ko) 수도꼭지 연결구
CN210034090U (zh) 一种膨胀连接件
CN205533671U (zh) 外螺纹件
US10288105B2 (en) Bolt
EA012472B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на баропрочность резьбового компонента
CN114630967B (zh) 盲铆钉插入件、装有盲铆钉插入件的部件及其设置方法
EP1031493A1 (en) A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KR100757985B1 (ko)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KR100631066B1 (ko)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의 고정구조
KR200394428Y1 (ko) 앵커볼트
KR200244518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220054805A (ko) 확장 앵커
KR20170002262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세트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210026477A (ko) 고정안정성 증대를 위한 체결요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