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518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518Y1
KR200244518Y1 KR2019990005384U KR19990005384U KR200244518Y1 KR 200244518 Y1 KR200244518 Y1 KR 200244518Y1 KR 2019990005384 U KR2019990005384 U KR 2019990005384U KR 19990005384 U KR19990005384 U KR 19990005384U KR 200244518 Y1 KR200244518 Y1 KR 200244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clined surface
fastening nut
steel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096U (ko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19990005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5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51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제 1경사면(22)과 나사부(24)를 구비한 연결부재(20)와; 상기 제 1경사면(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 2경사면(32)과 제 3경사면(34)을 구비한 결속링(30)과; 상기 제 3경사면(34)에 대응되도록 일단 내경에 제 4경사면(42)이 형성되고, 타단면에는 다수개의 안내홈(4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에 끼워지는 밀착부재(40)와; 상기 각 안내홈(44)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강철구(50)와; 상기 강철구(50)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 패킹부재(60); 및 상기 패킹부재(60)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44)에 안착된 각각의 강철구(50)를 축 중심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강철구(50)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내경 끝부분에 제 5경사면(72)이 형성된 체결너트(70)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10)를 연결부재(20)에 결합할 때, 상기 체결너트(70)의 제 5경사면(72)에 의해 다수개의 강철구(50)가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연결부재(20)와 파이프(10)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파이프(10)가 연결부재(20)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NNECTOR DEVIC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파이프와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와 파이프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연결부재와 체결너트에 의해 다른 파이프 또는 배관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연결장치가 도 1에 소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연결장치는 양단 외주면에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중간부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와, 파이프(2)의 일단 외경에 억지 끼움되고, 양측에 경사면을 구비한 돌출부(3-1)가 형성된 고무재의 결속링(3)와, 상기 파이프(2)의 타단으로 끼워져 상기 결속링(3)이 상기 연결부재(1)의 내경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부(1-1)에 체결되는 체결너트(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체결너트(4)가 연결부재(1)의 나사부(1-1)에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1)로부터 파이프(2)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고무재로 형성된 결속링(3)이 단순히 상기 파이프(2)에 억지 끼움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2)가 체결너트(4)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에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파이프(2)에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2)가 결속링(3)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연결부재(1)와 파이프(2)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와 연결부재의 결합시 파이프와 연결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파이프와 연결부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경 끝단에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 2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3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억지 끼움되는 결속링과; 상기 제 3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일단 내경에 제 4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단면에는 다수개의 안내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에 끼워지는 밀착부재와; 상기 각 안내홈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강철구와; 상기 강철구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에 안착된 각각의 강철구를 축 중심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강철구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내경 끝부분에 제 5경사면이 형성된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 4a는 체결너트의 조임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4b는 체결너트의 조임후 상태로 각각의 강철구가 파이프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이프 20 : 연결부재
22 : 제 1경사면 24 : 나사부
30 : 결속링 32 : 제 2경사면
34 : 제 3경사면 40 : 밀착부재
42 : 제 4경사면 44 : 안내홈
50 : 강철구 60 : 패킹부재
70 : 체결너트 72 : 제 5경사면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내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체결장치는 내경에 제 1경사면(22)을 구비한 연결부재(20)와, 제 2경사면(32)과 제 3경사면(34)을 구비하여 파이프(10)의 일단 외경에 끼워지는 결속링(30)과, 상기 결속링(30)에 밀착되도록 제 4경사면(42)과, 안내홈(44)을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10)에 끼워지는 밀착부재(40)와, 상기 각 안내홈(44)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강철구(50)와, 상기 강철구(50)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패킹부재(6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나사부(24)에 체결되어 상기 강철구(50)를 축 중심으로 이동시키도록 제 5경사면(72)을 구비한 체결너트(7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는 양단에 나사부(24)가 형성되고, 내경 끝단에는 제 1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 중간부에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취부될 수 있도록 각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파이프(10)와 또다른 파이프를 결합하여 연결하거나, 파이프(10)를 다른 장치에 결합할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결속링(30)은 상기 파이프(10)의 일단 외경에 억지 끼움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제 2경사면(32)이 상기 제 1경사면(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경사면(32)과 제 3경사면(34)은 그 외주면중앙에서 각각 외측으로 경사진 환형의 돌기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결속링(30)은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재(40)는 상기 파이프(10)의 타단 측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결속링(30)에 밀착되는 것으로, 일단 내경에 제 4경사면(42)이 상기 제 3경사면(3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면에는 다수개의 안내홈(4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안내홈(44)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내경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부재(40)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견고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킹부재(60)는 강철구(50)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각 안내홈(44)에 안착되도록 상기 강철구(50)가 상기 안내홈(44)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고정된 것으로, 고정되는 각각의 강철구(50)가 상기 안내홈(44)에 안착되도록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끼워진다. 이러한 패킹부재(60)는 상기 강철구(50)를 고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너트(70)와 밀착부재(4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강철구(50)의 양측부는 상기 패킹부재(60)로부터 노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체결너트(70)는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나사부(24)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경 끝부분에는 제 5경사면(72)이 상기 각각의 강철구(50)를 축 중심점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취부되도록 각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 구성요소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의 일단 외경에 결속링(30)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제 2 경사면(32)이 상기 연결부재(20) 측을 향항도록 끼워 결합한다.
상기 파이프(10)의 일단 외주면에 상기 결속링(30)이 끼워지면, 상기 밀착부재(40)를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끼우되, 상기 제 4경사면(42)이 상기 제 3경사면(34)에 밀착되도록 끼워 결합하고, 상기 강철구(50)가 고정된 패킹부재(60)를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끼워 상기 각 강철구(50)가 상기 각각의 안내홈(44)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너트(70)를 끼우되, 상기 체결너트(70)의 내경 끝단부에 형성된 제 5경사면(72)이 상기 안내홈(44)에 안착된 각각의 강철구(50)의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끼워 결합한다.
상기 파이프(10)에 결속링(30)와 밀착부재(40)와 강철구(50)가 고정된 패킹부재(60) 그리고 체결너트(70)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의 일단 외주면에 끼워진 결속링(30)의 제 2경사면(32)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제 1경사면(22)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속링(30)이 결합된 파이프(10)를 상기 연결부재(20)의 일측 내경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기 파이프(10)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일측 내경에 삽입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각 구성요소의 결합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상호 결합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4a, 4b에 되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의 일단 외주면에 결속링(30)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밀착부재(40)와 패킹부재(60) 그리고 체결너트(70)가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너트(70)를 상기 연결부재(20)의 나사부(24)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70)의 제 5경사면(72)이 상기 각 강철구(50)를 밀착부재(40)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밀착부재(40)의 제 4경사면(42)은 상기 결속링(30)의 제 3경사면(34)에 밀착되고, 상기 제 2경사면(32)은 상기 연결부재(20)의 제 1경사면(22)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너트(70)를 더욱 조이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70)의 제 5경사면(72)이 상기 각 강철구(50)의 일측면을 각각 축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각 강철구(50)는 축 중심점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내홈(44)은 일방향으로(축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내홈(44)에 안착되는 강철구(5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강철구(50)는 축 중심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너트(70)가 나사부(24)에 체결될 때, 상기 제 5경사면(72)이 상기 각 강철구(50)를 축 중심 반대방향에서 가압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강철구(50)는 상기 안내홈(44)을 따라 축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강철구(50)가 축 중심점으로 이동되면, 고무재로 형성된 상기패킹부재(60)는 상기 강철구(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강철구(50)가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과정을 다시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70)를 상기 연결부재(20)의 나사부(24)에 체결하여 상기 제 1경사면(22)과 제 2경사면(32)이 밀착되고, 상기 제 3 경사면(34)과 제 4경사면(42)이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재(20)와 파이프(1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너트(70)를 더욱 조이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70)의 제 5경사면(72)이 각각의 강철구(50)를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각 강철구(50)는 상기 제 5경사면(72)에 의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파이프(10)가 연결부재(20)와 체결너트(70)의 조합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부재(20)와 파이프(10)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10)를 연결부재(20)에 결합할 경우에, 상기 결속링(30)과 체결너트(70) 사이에 강철구(50)를 안내하는 밀착부재(40)와 강철구(50)를 고정하는 패킹부재(60)를 배치시킨 후 상기 체결너트(7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강철구(50)가 체결너트(70)의 제 5경사면(72)에 의해 축 중심점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20)와 파이프(10)에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파이프(10)는 연결부재(20)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파이프를 연결부재에 결합할 때, 상기 체결너트의 제 5경사면에 의해 다수개의 강철구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강철구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연결부재와 파이프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가 연결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경 끝단에 제 1경사면(22)이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된 연결부재(20);
    일측에 상기 제 1경사면(22)에 대응되도록 제 2경사면(32)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3경사면(34)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억지 끼움되는 결속링(30);
    상기 제 3경사면(34)에 대응되도록 일단 내경에 제 4경사면(42)이 형성되고, 타단면에는 다수개의 안내홈(4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에 끼워지는 밀착부재(40);
    상기 각 안내홈(44)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강철구(50);
    상기 강철구(50)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 패킹부재(60); 및
    상기 패킹부재(60)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44)에 안착된 각각의 강철구(50)를 축 중심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강철구(50)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내경 끝부분에 제 5경사면(72)이 형성된 체결너트(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9990005384U 1999-04-02 1999-04-02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44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84U KR200244518Y1 (ko) 1999-04-02 1999-04-02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384U KR200244518Y1 (ko) 1999-04-02 1999-04-02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96U KR20000019096U (ko) 2000-11-06
KR200244518Y1 true KR200244518Y1 (ko) 2001-09-13

Family

ID=5476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384U KR200244518Y1 (ko) 1999-04-02 1999-04-02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5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23B1 (ko) * 2011-07-07 2013-08-28 고득출 파이프 연결구
KR101499415B1 (ko) * 2013-10-15 2015-03-05 고득출 거울 겸용 다용도 선반
KR200485404Y1 (ko) * 2017-03-16 2018-01-03 박춘웅 누수방지용 스텐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180065986A (ko) * 2018-04-30 2018-06-18 임채갑 파이프 연결장치
CN110296154A (zh) * 2019-08-14 2019-10-01 东莞职业技术学院 锥套联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096U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4768C (en) Pipe joint
US6896299B1 (en) Resin pipe joint
US4647083A (en) Separation preventive pipe joint
US4824281A (en) Device for connecting a wheel-like body to a shaft
KR101555964B1 (ko) 관 연결 소켓
KR880005396A (ko) 급속연결 커플링
KR100329242B1 (ko) 관조인트
KR200244518Y1 (ko) 파이프 연결장치
CA1251239A (en) Tube coupling
EP0616165A1 (en) Pipe coupling
US7699357B2 (en) Coupling for tubes
KR100765881B1 (ko) 급수관 연결구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US4909643A (en) Device for attachment of a machine member to a shaft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EP1031493A1 (en) A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JP3509776B2 (ja) ケーブルのシールコネクタ
WO2003025405A1 (en) Quick release nut
JP4254945B2 (ja) ケーブルのシールコネクタ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JP4599158B2 (ja) 管継手
JPH07127779A (ja) 蛇腹管用接続装置
KR200322158Y1 (ko) 압륜을 갖는 오수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