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223A - 조향각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조향각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223A
KR20180136223A KR1020170074884A KR20170074884A KR20180136223A KR 20180136223 A KR20180136223 A KR 20180136223A KR 1020170074884 A KR1020170074884 A KR 1020170074884A KR 20170074884 A KR20170074884 A KR 20170074884A KR 20180136223 A KR20180136223 A KR 2018013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angle
steering
input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982B1 (ko
Inventor
고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7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66Means changing the transfer ratio between steering wheel and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각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단순한 구성을 통해 능동전륜조향장치(Active Front Steering)의 조향각을 변환하여 차량주행 시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해줄 수 있는 조향각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능동전륜조향장치(Active Front Steering)에 설치된 조향각 가변장치에 있어서, 조향휠이 설치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과 동회전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각을 변환시키는 조향각가변부; 상기 조향각가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각가변부에 의해 변환된 회전각이 입력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향각 가변장치{VARIABLE APPARATUS OF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본 발명은 조향각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단순한 구성을 통해 능동전륜조향장치(Active Front Steering)의 조향각을 변환하여 차량주행 시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해줄 수 있는 조향각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능동전륜조향방식인 AFS(Active Front Steering) 장치는 2입력(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에 따른 입력과 모터에 의한 입력)에 대한 1출력 조향장치로써, 운전자에 의한 조향각 뿐만 아니라 모터를 통한 조향각의 추가 또는 감쇠가 가능함에 따라, 저속에서는 조향비를 낮추어 조향 응답성을 개선시켜주고, 고속에서는 조향비를 높여 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고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능동전륜조항장치의 구성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능동전륜조향장치는 조향휠(101), 조향휠(101)의 하단에 구비되는 입력각 센서(107), 조향휠(101)과 연결되는 조향축(103), 조향축(103)을 둘러싸는 조향컬럼(105), 조향컬럼(105)의 하단에 형성되는 조향각 가변장치(109), 조향각 가변장치(109)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모터(111), 제 1 모터(111)에 구비되는 제 1 모터 위치 센서(113), 조향각 가변장치(109)의 하측에 구비되는 출력각 센서(115),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17), 조향각 가변장치(109)의 하측에 형성되되 조향축(103)의 회전 운동을 랙바(119)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피니언 기구부(121), 랙바(119)에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모터(123), 입력각 센서(107)와 제 1 모터 위치 센서(113) 및 출력각 센서(115)로부터 각종 신호를 전달받는 ECU(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능동전륜조항장치의 조향각 가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종래 조향각 가변장치는 입력축(210), 입력축(2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선 기어(220), 제 1 선 기어(220)와 외접하는 제 1 단 유성 기어(270), 제 1 단 유성 기어(270)와 유성기어 축(275)으로 연결되는 제 2 단 유성 기어(280), 제 2 단 유성 기어(280)와 외접하는 제 2 선 기어(230), 제 2 선 기어(230)와 연결된 출력축(240), 웜휠(250), 및 웜(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차량 능동전륜조향장치와 조향각 가변장치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조향휠(101)을 조작함에 따라 입력축(210)이 회전하면 입력축(2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선 기어(220)가 입력축(21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이 경우 제 1 선 기어(220)와 외접하고 있는 제 1 단 유성 기어(270)가 회전하게 되고 제 1 단 유성 기어(270)와 유성 기어 축(275)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단 유성 기어(280)가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제 2 단 유성 기어(280)와 외접하는 제 2 선 기어(23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선 기어(2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출력축(24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101) 조작에 따라 발생한 조향력이 랙-피니언 기구부(121)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의 과정은 제 1 모터(11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이고, 제 1 모터(111)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긴다.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17),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입력각 센서(107) 및 출력각 센서(115), 그리고 제 1 모터 위치 센서(113)로부터 각각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여 ECU(125)에 전달되면 ECU(125)는 제 1 모터(111)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제 1 모터(111)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위의 과정에 의해 제 1 모터(111)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 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웜(260)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웜(260)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웜휠(250)이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웜휠(25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29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의 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능동전륜조향장치는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휠(101)을 일 방향으로 조작하여 입력축(210), 제 1 선 기어(220) 및 제 1 단 유성 기어(270)가 회전하더라도 ECU(125)가 웜휠(250), 더 나아가 캐리어(290)가 제 1 단 유성 기어(27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단 유성 기어(280)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1 모터(111)를 제어함으로써 결국에는 입력축(210)의 회전각도에 비하여 출력축(240)의 회전각도가 작도록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능동전륜조향장치는 차량이 주차 등을 위해 저속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입력축(210)의 회전각도에 비하여 출력축(240)의 회전각도가 크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 1 모터(111)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한 운전을 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향각 가변장치는 제 1,2 단으로 구성된 유성기어를 비롯한 많은 부품이 필요하여 원가적으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792호(2014.05.27.공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통해 능동전륜조향장치의 조향각을 변환하여 차량주행 시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해줄 수 있는 조향각 가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능동전륜조향장치(Active Front Steering)에 설치된 조향각 가변장치에 있어서, 조향휠이 설치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과 동회전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각을 변환시키는 조향각가변부; 상기 조향각가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각가변부에 의해 변환된 회전각이 입력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각가변부는 상기 입력축의 하부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하방 돌출된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축이 배치된 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축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내측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부는 내부에 상기 내측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상부에 설치된 외측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상기 모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기어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된 핀삽입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각 가변장치는 모터부와, 내측기어 및 외측기어로 구성된 기어부의 단순한 구조를 통해 능동전륜조향장치의 조향각을 변환하여 차량주행 시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해줄 수 있어 원가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차량 능동전륜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능동전륜조향장치의 조향각 가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각 가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향각 가변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모터부(1210)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기어부(1220)의 사시도이다.
도 6a,b는 도 3에 도시된 모터부(1210)가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a,b는 차량이 고속 주행 시, 도 3에 도시된 모터부(1210)의 구동에 의한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a,b는 차량이 저속 주행 시, 도 3에 도시된 모터부(1210)의 구동에 의한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3에 도시된 출력축(1300)을 기준하여 입력축(1100)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입력축(1100))을 기준하여 출력축(130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조향각 가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각 가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향각 가변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조향각 가변장치(1000)는 상부에 조향휠이 설치된 입력축(1100)과, 상기 입력축(1100)의 하부에 배치된 조향각가변부(1200)와, 상기 조향각가변부(1200)의 하부에 배치된 출력축(1300)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가변부(1200)는 상기 입력축(1100)과 동회전하며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을 변환시키며, 상기 출력축(1300)은 상기 조향각가변부(1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각가변부(1200)에 의해 변환된 회전각이 입력되어 회전된다.
상기 조향각가변부(1200)는 상기 입력축(1100)의 하부에 고정된 모터부(1210)와, 상기 모터부(1210)의 하부에 고정된 기어부(12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과 상기 조향가변부(1200)가 동회전하게 된다.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가 일체로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입력축(1100)과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는 복수 개의 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에 고정핀이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축(1100)의 하부는 상기 모터부(1210)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확장부(1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부(1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핀홀(1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부(121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핀홀(1111)에 대응되도록 제 2 핀홀(1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핀홀(1111)과 상기 제 2 핀홀(1212)에 제 1 고정핀(1410)이 체결되어 상기 입력축(1100)의 하부에 상기 모터부(12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1210)의 하부는 그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 3 핀홀(1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1220)의 상부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 3 핀홀(1213)에 대응되도록 제 4 핀홀(12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핀홀(1213)과 상기 제 4 핀홀(1225)에 제 2 고정핀(1420)이 체결되어 상기 모터부(1210)의 하부에 상기 기어부(1220)가 고정된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모터부(121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기어부(1220)의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부(1210)는 모터하우징(1211)과, 상기 모터하우징(1211)의 하부를 관통하여 하방 돌출된 구동축(1214)을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부(1220)는 상면이 개방된 기어하우징(1221)과,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상부에 삽입되어 거치된 덮개부(1222)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하면에는 상기 출력축(1300)이 관통되고, 상기 출력축(1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1228a) 및 상기 베어링(1228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1228a) 및 상기 출력축(1300)을 지지하는 스냅링(1228b)이 설치된 베어링설치부(12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222)는 상기 구동축(1214)이 관통되는 축삽입부(12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1214)은 상기 축삽입부(1224)를 통해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부(1210)의 구동 또는 불특정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1222)의 위치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1222) 및 상기 기어하우징(1221)은 핀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1222)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체결홈(1222a)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상부에 상기 제 1 체결홈(1222a)에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홈(1221a)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체결홈(1222a)과 상기 제 2 체결홈(1221a)에 제 3 고정핀(1430)이 체결되어 상기 덮개부(1222)가 상기 기어하우징(1221)에 고정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1214)에 설치된 내측기어(1226)와, 상기 내측기어(1226)에 외접하고 상기 출력축(1300)의 상부에 설치된 외측기어(1227)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기어(1226)는 외주면에 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기어(1227)는 내주면에 치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외측기어(1227)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기어치가 상호 치합된다.
상기 내측기어(1226)와 상기 외측기어(1227)는 헬리컬 기어이며, 상기 구동축(1214)의 외주면 및 상기 내측기어(1226)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214)의 회전 시, 상기 내측기어(1226)가 공회전되지 않고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내측기어(1226)의 회전을 구속하는 가이드핀(1215)이 상기 모터부(12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1215)은 상기 구동축(1214)과 평행하게 상기 모터부(1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기어(1226)는 상기 가이드핀(1215)이 관통된 핀삽입부(12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핀(1215)이 상기 핀삽입부(1223)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내측기어(1226)의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구동축(1214)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 및 상기 가이드핀(1215)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조향각 가변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b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내측기어(1226)는 상기 입력축(11100)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내부 중심,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1222)와 상기 기어하우징(1221)의 하부 내측면 사이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또한, 차량의 고속 또는 저속 주행 시 차속 센서, 조향각의 변화를 감지하는 입력각 센서 및 출력각 센서, 그리고 모터 위치 센서로부터 각각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여 ECU에 전달되면 상기 ECU는 상기 모터부(12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부(1210)를 구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입력축(1100)과 상기 출력축(1300) 회전각 비가 변환되어 조향각이 가변된다.
도 6a,b를 참조하면 차량이 보통 주행 시, 즉, 상기 모터부(1210)에 의한 조향보조동력이 필요없을 경우 상기 모터부(1210)는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내측기어(1226)의 상하이동 또한 구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100)의 좌우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에 고정된 상기 모터부(1210)와 상기 기어부(1220)가 상기 입력축(1100)과 동회전하게 되고, 상기 입력축(1100)과 상기 출력축(1300) 회전비는 1:1로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과 동일한 회전각만큼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된다.
도 7a,b는 차량이 고속 주행 시, 도 3에 도시된 상기 모터부(1210)의 구동에 의한 상기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 시,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방해하는 조향보조동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작게 된다.
즉,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축(11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 상기 출력축(13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축(12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상방 이동됨으로써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작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축(11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 상기 출력축(13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축(12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하방 이동됨으로써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작게 된다.
도 8a,b는 차량이 저속 주행 시, 도 3에 도시된 상기 모터부(1210)의 구동에 의한 상기 기어부(1220)의 작동상태도이다.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 시,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촉진하는 조향보조동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크게 된다.
즉,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축(11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 상기 출력축(13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축(12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하방 이동됨으로써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촉진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크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축(11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입력축(1100), 상기 모터부(1210), 상기 기어부(1220), 상기 출력축(13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부(121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축(12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기 구동축(1214)을 따라 상방 이동됨으로써 상기 출력축(1300)의 회전을 촉진하여 상기 출력축(1300)에 입력되는 회전각이 상기 입력축(1100)의 회전각에 비하여 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214)의 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내측기어(1226)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축(1214) 및 상기 내측기어(1226)에 나선이 형성될 경우, 상기 구동축(1214)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내측기어(1226)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향각 가변장치(1000)는 상기 모터부(1210)와, 상기 내측기어(1226) 및 상기 외측기어(1227)로 구성된 상기 기어부(1220)의 단순한 구조를 통해 능동전륜조향장치의 조향각을 변환하여 차량주행 시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해줄 수 있어 원가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조향각 가변장치 1100 : 입력축
1200 : 조향각가변부 1210 : 모터부
1220 : 기어부 1300 : 출력축

Claims (6)

  1. 능동전륜조향장치(Active Front Steering)에 설치된 조향각 가변장치에 있어서,
    조향휠이 설치된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과 동회전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각을 변환시키는 조향각가변부;
    상기 조향각가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각가변부에 의해 변환된 회전각이 입력되는 출력축;
    을 포함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가변부는
    상기 입력축의 하부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하방 돌출된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축이 배치된 기어부;
    를 포함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축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내측기어를 포함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내부에 상기 내측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상부에 설치된 외측기어를 포함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상기 모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기어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된 핀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각 가변장치.
KR1020170074884A 2017-06-14 2017-06-14 조향각 가변장치 KR10197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84A KR101970982B1 (ko) 2017-06-14 2017-06-14 조향각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84A KR101970982B1 (ko) 2017-06-14 2017-06-14 조향각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23A true KR20180136223A (ko) 2018-12-24
KR101970982B1 KR101970982B1 (ko) 2019-04-22

Family

ID=6500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884A KR101970982B1 (ko) 2017-06-14 2017-06-14 조향각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9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155A (ja) * 2002-04-15 2003-10-28 Toyoda Mach Works Ltd 伝達比可変操舵装置
JP3994780B2 (ja) * 2002-04-04 2007-10-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
KR101399792B1 (ko) 2013-02-25 2014-05-27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780B2 (ja) * 2002-04-04 2007-10-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2003306155A (ja) * 2002-04-15 2003-10-28 Toyoda Mach Works Ltd 伝達比可変操舵装置
KR101399792B1 (ko) 2013-02-25 2014-05-27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982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808B1 (ko) 차량용 중첩식 조향 시스템
JP5894676B2 (ja) 車両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EP3534037A1 (en) Electric actuator
FR2808759B1 (fr) Appareil de direction assistee electrique
KR101749375B1 (ko) 유성 기어 장치
EP2810851A1 (en) Steering system
US6273211B1 (en) Electric power-steering gea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JP2009132269A (ja) 舵角比可変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80186398A1 (en) Steering device
KR101399792B1 (ko) 유성 기어 장치
US9114823B2 (en) Actuating device employed in steering system for vehicle
KR20170121518A (ko) 차량의 액티브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용 감속기
US20060151235A1 (en) Steering device
KR20150012827A (ko) 능동 전륜 조향장치
KR20170121521A (ko) 차량의 액티브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용 감속기
KR101970982B1 (ko) 조향각 가변장치
KR101393132B1 (ko) 유성 기어 장치
KR20170121520A (ko) 차량의 액티브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용 감속기
JP3948078B2 (ja)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57646B1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40145340A (ko) 유성 기어 장치
WO2003070542A1 (en) Reducer using electric motor having a hollowed rotational shaft and electric motivated power stee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7006033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감속기구
JP2004001631A (ja) 無人搬送車用ステアリング車輪ユニット
KR20150019239A (ko) 유성 기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