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068A - 토크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토크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068A
KR20180136068A KR1020170074580A KR20170074580A KR20180136068A KR 20180136068 A KR20180136068 A KR 20180136068A KR 1020170074580 A KR1020170074580 A KR 1020170074580A KR 20170074580 A KR20170074580 A KR 20170074580A KR 20180136068 A KR20180136068 A KR 2018013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ockup
input shaft
output shaf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551B9 (ko
KR102261551B1 (ko
Inventor
박원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51B1/ko
Publication of KR10226155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5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토크전달장치는 토크가 전달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으로부터 토크가 전달됨으로써 입력축과 동일한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출력축과, 입력축 및 출력축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습식다판클러치와, 입력축 및 출력축을 고정시켜 일체로 회전시키는 락업클러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크전달장치{CLUTCH APPARATUS}
본 발명은 토크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 발생 기관으로부터 생성된 토크를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토크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농기계 또는 건설 장비 등의 동력전달부에는 습식다판클러치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습식다판클러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디스크와 플레이트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다판클러치 구조는 디스크와 플레이트 간의 마찰력보다 낮은 토크가 입력될 경우에는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효과적으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나, 디스크와 플레이트 간의 마찰력보다 높은 토크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디스크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디스크 및 플레이트의 크기 또는 재질을 개선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크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오랜 사용에 마찰력이 감소하는 것과, 장치의 크기 및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드래그에 의한 손실을 비롯하여 전체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마찰력을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을 보조하거나, 대체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3-0043638호(2013. 4. 30)
본 발명은 전술한 토크전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는 락업피스톤에 의해 락업핀이 락업홈에 체결됨으로써 입력축과 출력축이 일체로 고정되어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토크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전달장치는 토크가 전달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토크가 전달됨으로써 상기 입력축과 동일한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습식다판클러치; 및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고정시켜 일체로 회전시키는 락업클러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업클러치는, 상기 출력축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락업홈과, 상기 출력축을 향하여 가압되어 상기 락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는 락업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업클러치는, 왕복 운동하여 상기 락업핀을 상기 락업홈에 삽입시키거나 삽입해제시키는 락업피스톤과, 상기 락업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락업피스톤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업피스톤은, 상기 출력축을 향하여 상기 락업핀을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업피스톤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업클러치는, 상기 락업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가이드부재는, 상기 입력축의 외측 표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이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입력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락업핀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식다판클러치는, 상기 입력축에 연결된 플레이트와,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디스크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크를 서로 접촉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클러치피스톤과, 상기 클러치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클러치피스톤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락업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락업핀을 락업홈에 체결시킴으로써, 디스크와 플레이트 사이에 생성되는 마찰력보다 더 큰 토크가 입력될 경우에도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슬립 발생에 따른 동력 전달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토크전달장치 전체 크기 및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드래그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켜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클러치피스톤이 전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토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클러치피스톤이 전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토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락업피스톤이 전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토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락업피스톤이 전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토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전달장치(1)는 입력축(100)과, 출력축(200)과, 습식다판클러치(300)와, 락업클러치(400)를 포함한다.
토크전달장치(1)는 농기계 또는 건설 장비의 동력 전달 기관일 수 있다. 또한, 토크전달장치(1)는 발생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동력 전달 기관일 수도 있다.
입력축(100)에는 엔진(미도시)과 같은 동력 발생 기관으로부터 생성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엔진으로부터 입력축(100)으로 토크가 전달되는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자유롭게 채용될 수 있다.
출력축(200)은 입력축(100)과 동일한 회전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은 각각의 회전축이 동일한 직선 상에 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출력축(200)에는 축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축(100)은 출력축(20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출력축(200)의 중공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축(100)의 일부가 출력축(200)의 일부 또는 전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즉, 입력축(100)의 일부는 출력축(200)의 중공 내측에 배치되고, 입력축(100)의 나머지 일부는 출력축(200)의 중공 외측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입력축에 축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어 출력축이 입력축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습식다판클러치(300)는 입력축(100)과 출력축(200)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입력축(100)으로부터 출력축(200)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습식다판클러치(300)는 외측케이스(310)와, 플레이트(320)와, 디스크(330)와, 클러치피스톤(340)과,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350)과, 클러치피스톤유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케이스(310)는 입력축(100)은 출력축(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외측 케이스(310)의 내측 표면에는 외측 케이스(310)와 결합되어 입력축(100)과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32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310)의 내측에서 외측 케이스(31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외측 케이스(310)의 내측 표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20)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크(330)는 출력축(200)의 외측 표면에 결합되어 출력축(200)과 함께 회전된다. 디스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200)을 둘러싸도록 출력축(200)의 외측 표면 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330)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플레이트(320)와 디스크(330)는 각각의 원판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한 플레이트(320)의 원판들 사이에 디스크(330)의 원판이 개재되며, 인접한 디스크(330)의 원판들 사이에 플레이트(320)의 원판이 개재될 수 있다.
클러치피스톤(340)은 클러치피스톤유로(360)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클러치피스톤(340)의 작용면 측의 유압이 조절됨으로써 왕복 운동될 수 있다. 클러치피스톤(340)은 왕복 운동하여 플레이트(320)와 디스크(330)를 가압하여 서로 접촉시키거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350)은 클러치피스톤(3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클러치피스톤(34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유압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아 클러치피스톤(340)은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350)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20) 및 디스크(330)로부터 이격되어 후퇴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클러치피스톤유로(360)를 통해 클러치피스톤(340) 후단에 유압이 증가하면, 클러치피스톤(340)이 플레이트(320)에 밀착되며 플레이트(320)를 가압하여 플레이트(320)와 디스크(3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클러치피스톤(340)이 이동함에 따라 디스크(330)와 플레이트(320)가 서로 접근하고 접촉하게 됨으로써 디스크(330)와 플레이트(32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회전하는 입력축(100)으로부터 출력축(200)으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작동 유압이 해제되면, 클러치피스톤(340)은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더욱 개선된 동력 전달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방식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락업클러치(400)는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을 고정시켜 일체로 회전시킨다. 락업클러치(400)는 락업핀(410)과, 락업홈(420)과, 락업피스톤(430)과,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과, 피스톤가이드부재(450)와, 락업피스톤유로(460)를 포함할 수 있다.
락업핀(410)은 입력축(100)에 설치되며, 출력축(200)을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락업핀(410)은 출력축(200)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락업홈(420)에 삽입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은 왕복 운동하여 락업핀(410)을 락업홈(420)에 삽입시키거나 삽입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락업피스톤(430)은 입력축(100)과 출력축(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은 출력축(200)을 향하여 락업핀(410)을 가압하는 누름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431)는 락업피스톤(430)의 표면 상에서 출력축(20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은 락업피스톤유로(460)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락업피스톤(430)의 작용면 측의 유압이 조절됨으로써 왕복 운동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은 락업피스톤(4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락업피스톤(43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토크가 전달되는 입력축(100)에 피스톤가이드부재(45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가이드부재(450)는 입력축(1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가이드부재(450)는 락업피스톤(430)의 왕복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피스톤가이드부재(450)는 연결부(451)와 안내부(452)를 포함하는 브라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가이드부재(450)의 연결부(451)와 안내부(452) 및 입력축(100)의 외측 표면에 둘러싸인 공간에 락업피스톤(430)이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업피스톤(430)은 입력축(100)과 출력축(200) 사이에 배치되어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연결부(451)는 입력축(100)의 외측 표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451)는 대체로 락업피스톤(430)의 최대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만큼 입력축(10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452)는 연결부(451)의 끝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입력축(10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락업핀(41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안내부(452)는 입력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입력축(100)의 외측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은 입력축(100)과 안내부(45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은 안내부(452)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안내부(452)의 연장 방향, 즉, 축방향에 대해 왕복 운동될 수 있다. 한편, 락업피스톤(430)은 누름부(431)가 피스톤가이드부재(450)의 안내부(452)의 내측 표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왕복 운동될 수 있다.
피스톤가이드부재(450)에는 락업핀(410)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락업핀(410)은 피스톤가이드부재(450)의 안내부(452)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개재될 수 있다. 락업핀(410)은 안내부(45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락업핀(410)은 출력축(200) 측에서 입력축(100) 측으로 이동되거나, 입력축(100) 측에서 출력축(2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가이드부재(450)의 고정 위치, 형상, 크기,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의 배치 형태, 간격 및 축간 공간의 형상, 락업피스톤(430)의 크기 및 형상, 요구되는 유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락업피스톤(430)의 왕복운동에 의해 락업핀(410)이 락업홈(420)에 삽입됨에 따라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이 고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유압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아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이때, 누름부(431)와 락업핀(410)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락업핀(410)은 출력축(200) 쪽으로는 돌출되지 않고, 입력축(10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락업피스톤유로(460)를 통해 유압이 증가하게 되면 락업피스톤(430)이 전진할 수 있다. 락업피스톤(430)이 이동되어 누름부(431)와 락업핀(410)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락업핀(410)은 누름부(431)로부터 출력축(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락업핀(410)은 출력축(200)을 향하여 가압되어 이동됨에 따라 그 선단부가 출력축(200)의 외측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락업홈(420)에 삽입된다. 락업핀(410)이 락업홈(420)에 삽입됨으로써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락업핀(410)을 통한 동력 전달이 가능해진다.
한편, 락업핀(410)과 락업홈(420)의 체결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점에서 락업핀(410)의 삽입부의 형상과 락업홈(420)의 형상이 거의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유압이 해제되면, 락업피스톤(430)은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업피스톤(430)의 왕복 운동으로 락업핀(410)을 락업홈(420)에 체결시킴으로써, 디스크(330)와 플레이트(320) 사이에 생성되는 마찰력보다 더 큰 토크가 입력될 경우에도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락업핀(410)이 락업홈(420)에 삽입됨으로써 입력축(100)과 출력축(200)이 기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디스크(330)와 플레이트(320)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큰 토크가 입력되더라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발생에 따른 동력 전달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330) 및 플레이트(320)의 크기, 나아가 토크전달장치(1) 전체 크기를 기존보다 더 작게 설계하여도, 종래 기술에 따른 토크전달장치와 동일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전달장치(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드래그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켜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토크전달장치 100 : 입력축
200 : 출력축 300 : 습식다판클러치
310 : 외측케이스 320 : 플레이트
330 : 디스크 340 : 클러치피스톤
350 :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 360 : 클러치피스톤유로
400 : 락업클러치 410 : 락업핀
420 : 락업홈 430 : 락업피스톤
431 : 누름부 440 :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
450 : 피스톤가이드부재 451 : 연결부
452 : 안내부 460 : 락업피스톤유로

Claims (8)

  1. 토크가 전달되는 입력축(100);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토크가 전달됨으로써 상기 입력축(100)과 동일한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출력축(200);
    상기 입력축(100)과 상기 출력축(200)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상기 출력축(20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습식다판클러치(300); 및
    상기 입력축(100)과 상기 출력축(200)을 고정시켜 일체로 회전시키는 락업클러치(400)를 포함하는 토크전달장치(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클러치(400)는, 상기 출력축(200)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락업홈(420)과, 상기 출력축(200)을 향하여 가압되어 상기 락업홈(4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입력축(100)에 설치되는 락업핀(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클러치(400)는, 왕복 운동하여 상기 락업핀(410)을 상기 락업홈(420)에 삽입시키거나 삽입해제시키는 락업피스톤(430)과, 상기 락업피스톤(4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락업피스톤(43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피스톤(430)은, 상기 출력축(200)을 향하여 상기 락업핀(410)을 가압하는 누름부(4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피스톤(430)은, 상기 입력축(100)과 상기 출력축(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업클러치(400)는, 상기 락업피스톤(430)의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가이드부재(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입력축(100)의 외측 표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락업피스톤복귀스프링(440)이 고정되는 연결부(451)와, 상기 연결부(4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입력축(10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락업핀(41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부(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다판클러치(300)는, 상기 입력축(100)에 연결된 플레이트(320)와, 상기 출력축(200)에 연결된 디스크(330)와, 상기 플레이트(320)와 상기 디스크(330)를 서로 접촉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클러치피스톤(340)과, 상기 클러치피스톤(3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클러치피스톤(34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클러치피스톤복귀스프링(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장치(1).
KR1020170074580A 2017-06-14 2017-06-14 토크전달장치 KR10226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80A KR102261551B1 (ko) 2017-06-14 2017-06-14 토크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80A KR102261551B1 (ko) 2017-06-14 2017-06-14 토크전달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68A true KR20180136068A (ko) 2018-12-24
KR102261551B1 KR102261551B1 (ko) 2021-06-07
KR102261551B9 KR102261551B9 (ko) 2021-11-12

Family

ID=6501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80A KR102261551B1 (ko) 2017-06-14 2017-06-14 토크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023A (ja) * 2001-05-14 2002-11-27 Ntn Corp 動力伝達装置
JP2004011764A (ja) * 2002-06-06 2004-01-15 Kawasaki Heavy Ind Ltd 車輌用摩擦クラッチ
JP2005061629A (ja) * 2003-08-11 2005-03-10 Borgwarner Inc ソレノイド型操作部を有する電磁クラッチ組立体
KR20130043638A (ko) 2010-05-19 2013-04-30 아우디 아게 자동차 내의 더블 클러치 변속 트랜스미션용 더블 클러치
KR101288253B1 (ko) * 2011-03-22 2013-07-2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다판식 마찰 결합 기구
US20160025156A1 (en) * 2014-07-22 2016-01-28 Borgwarner Inc. Disconnect clutch with positive plate separ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023A (ja) * 2001-05-14 2002-11-27 Ntn Corp 動力伝達装置
JP2004011764A (ja) * 2002-06-06 2004-01-15 Kawasaki Heavy Ind Ltd 車輌用摩擦クラッチ
JP2005061629A (ja) * 2003-08-11 2005-03-10 Borgwarner Inc ソレノイド型操作部を有する電磁クラッチ組立体
KR20130043638A (ko) 2010-05-19 2013-04-30 아우디 아게 자동차 내의 더블 클러치 변속 트랜스미션용 더블 클러치
KR101288253B1 (ko) * 2011-03-22 2013-07-2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다판식 마찰 결합 기구
US20160025156A1 (en) * 2014-07-22 2016-01-28 Borgwarner Inc. Disconnect clutch with positive plate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551B9 (ko) 2021-11-12
KR102261551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0054B2 (ja) 多板式摩擦クラッチ
EP3337998B1 (de) Kupplungseinrichtung für hybridantrieb
EP3099952B1 (en) Composite friction and dog clutch
EP3047170B1 (en) A coupling for an awd vehicle
US10288128B2 (en) Clutch with decremental torque function
US10302148B2 (en)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20180136068A (ko) 토크전달장치
KR101816451B1 (ko) 마찰클러치의 마모보상장치
DE102016215490B3 (de) Doppelkupplung
KR100391423B1 (ko) 동력 전달용 클러치
DE102014226518A1 (de) Schalt- bzw. Anfahrelement
KR102032906B1 (ko) 록업클러치를 구비하는 농작업차 셔틀 변속기의 셔틀클러치
JP6474200B2 (ja) ダブルクラッチ装置
KR102262105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장치
KR100279978B1 (ko) 자동 변속기의 다판 클러치용 리턴 장치
KR101989183B1 (ko) 습식 유압 다판 클러치
KR101763020B1 (ko) 피스톤 연동식 윤활 기능을 갖춘 습식 다판 클러치
DE1181011B (de) Durch Druckfluessigkeit schaltbare Lamellenkupplung
KR102540878B1 (ko) 클러치-브레이크 장치
KR20160061791A (ko) 차량용 다판 클러치 장치
KR101913033B1 (ko) 클러치 어셈블리
KR100836298B1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용 클러치
CN108253034B (zh) 一种用于连接动力输入和输出的湿式离合器
CN108105278B (zh) 湿式离合器总成
KR20240062768A (ko) 클러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