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89A - 두부자세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자세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89A
KR20180134589A KR1020170072505A KR20170072505A KR20180134589A KR 20180134589 A KR20180134589 A KR 20180134589A KR 1020170072505 A KR1020170072505 A KR 1020170072505A KR 20170072505 A KR20170072505 A KR 20170072505A KR 20180134589 A KR20180134589 A KR 2018013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sture
patient
neck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81B1 (ko
Inventor
이상경
정건호
울라 이르판
배수민
이상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81B1/ko
Priority to PCT/KR2018/006447 priority patent/WO2018226031A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5Portable, foldable or collapsible tables, e.g. for surgery o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두부자세 제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는 환자의 목 자세를 유도하는 목 자세 유도부 및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자세 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Head Position}
본 발명은 두부자세 제공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강-뇌 약물전달 시 요구되는 약물흡입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두부자세 제공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약물을 뇌로 전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뇌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혈관을 통하여 뇌로 약물을 전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인 관점에서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혈관을 통해 높은 용량을 주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뇌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다른 방법론으로서, 두개골을 통한 약물 직접 주입이 시도되고 있으나, 주사 부위 주변으로만 약효가 한정되고 약물이 뇌 조직의 다른 부위로 확산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론으로서, 외과적 수술을 통한 뇌 약물주입이 고려될 수는 있으나 반복적인 투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뇌 약물 전달 방법은 약물 주입이 극히 어려웠기 때문에 최근 비강을 통하여 약물을 직접 뇌로 전달(nose-to-brain)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비강은 뇌 뉴런이 외부로 노출된 유일한 영역이므로 뇌를 대상으로 하는 약물 주입에 효과적인 스팟(spot)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비강-뇌 약물전달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약물이 혈관-뇌 장벽을 통과하여야 하지만, 혈관-뇌 장벽이 뇌 조직을 통과하는 혈류에 포함된 물질 종류 중 98% 이상을 차단하기 때문에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 전달은 극히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강-뇌 약물 전달에 용이한 자세를 유도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비강-뇌 약물전달자세를 간이하게 제공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응급 상황에서 비강-뇌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2차적 부상을 방지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성이 향상된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는 환자의 목 자세를 유도하는 목 자세 유도부 및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전달자세는 상기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목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목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과,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머리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다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목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목에 고정된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가변하는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를 환자의 가슴 쪽으로 밀어주되, 상기 환자의 머리의 반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약물전달자세 유도 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약물입자세에서 비강을 통하여 약물이 주입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를 눕혀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부와 상기 푸쉬부의 일 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는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쪽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각도를 부여하는 푸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휴대 모드의 경우,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하고, 약물 주입 모드의 경우,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는 환자의 목 자세를 유도하는 목 자세 유도부 및 상기 목 지지부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쪽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목 자세 유도부가 환자의 목을 받쳐줄 수 있으므로 약물전달자세를 취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2차적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자세 유도부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쪽으로 밀어 비강-뇌 약물 전달이 가능한 메카포지션(mecca position)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비강-뇌 약물 전달이 가능한 것은 물론, 응급 시 간이하고 정확한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목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목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과,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머리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으로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줌에 있어서 발생하는 반력에 기반하여 약물전달자세가 유도되었는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약물을 주입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머리 자세 유도부가 환자의 머리 자세를 눕혀줌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모드의 경우 머리 자세 유도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약물 주입 모드의 경우 머리 자세 유도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향상된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효과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자세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1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의 세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전달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자세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A-A'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a)는 휴대 모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자세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약물 주입 모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자세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는 비강-뇌 약물 전달이 가능한 자세인 메카포지션(mecca position)을 간이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카포지션이라 함은, 환자가 머리를 앞으로 내밀어 숙이는 자세로서,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인 자세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90도 이하이거나 145도 초과인 경우,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경로에 있어서 진입 경로인 후각상피조직에 약물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는 비강-뇌 약물전달이 가능한 자세를 유도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10), 어깨 지지부(120), 목 자세 유도부(130) 및 머리 자세 유도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110)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는 환자 예를 들어, 의식이 없는 환자가 발생한 경우, 환자의 등(back)으로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를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가 θA의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두부자세 제공장치(100)가 환자의 등으로 슬라이딩 인(sliding in)할 수 있다. 용이한 슬라이딩을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의 외주면은 마찰 계수가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깨 지지부(120)
상기 어깨 지지부(120)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의 일 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어깨 부분이 안착되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깨 지지부(120)는 중심 지지부(122)를 중심으로 왼쪽에 위치하여 환자의 왼쪽 어깨를 지지하는 왼쪽 어깨 지지부(124) 및 중심 지지부(122)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위치하여 환자의 오른쪽 어깨를 지지하는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심 지지부(122), 왼쪽 어깨 지지부(124),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는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 보다 가요성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의료인이 환자를 상기 두부자세 제공장치(100)에 정 위치 시킴에 있어서, 왼쪽 어깨 지지부(124) 및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는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왼쪽 어깨가 상기 왼쪽 어깨 지지부(124)에 안착되고, 환자의 오른쪽 어깨가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에 안착된 경우 환자가 상기 두부자세 제공장치(100)의 중심 라인에 누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환자가 두부자세 제공장치(100)의 중심 라인에서 벗어나게 누운 경우, 후술할 머리 자세 유도부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게 되어 부정확한 약물전달자세가 유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왼쪽 어깨 지지부(124) 및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는 간이한 방법으로 환자를 두부자세 제공장치(100)의 정 위치에 눕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목 자세 유도부(130)
상기 목 자세 유도부(130)는 상기 어깨 지지부(120)의 일 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목 자세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 자세 유도부(13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neck 방향으로 목을 밀어주어, ?neck 만큼 환자의 목에 고정된 경사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목 자세 유도부(130)가 환자의 목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후술할 머리 자세 유도부(140)가 환자의 머리에 급격한 각도를 부여함에 따른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머리 자세 유도부(140)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는 환자의 머리를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2(a)는 휴대 모드에서의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약물 주입 모드에서의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는 휴대 모드의 경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약물 주입 모드의 경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여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전달자세라 함은 비강-뇌 약물전달이 가능한 자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인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전달자세의 효과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는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 주는 푸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이라 함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 어깨 지지부(120), 목 자세 유도부(130)가 마련되는 골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는 상기 푸쉬부(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43), 상기 가이드 레일(143)과 푸쉬부(142) 간의 구름 운동을 계면하는 베어링(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푸쉬부(142)가 상기 가이드 레일(143)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는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푸쉬부(142)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밀어주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푸쉬부(142)의 일 측에는 머리 지지대(14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머리 지지대(147)는 환자의 머리와 직접 계면하여 상기 푸쉬부(142)로부터의 힘(Fhead)을 환자의 머리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머리 지지대(147)는 환자의 머리에 ?head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머리 지지대(147)는 중심축(148)을 중심으로 R 방향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머리 자세 유도부(140)가 하우징에 수납됨에 있어서의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와 머리 자세 유도부(140)가 하우징으로부터 나와서 머리를 밀어줄 때의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 간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상기 머리 지지대(147)의 일 측 예를 들어, 환자의 정수리 방향에는 돌출부(14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9)는 후술할 약물 주입 모드에 있어서, 머리 지지대(147)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줌에 있어서 환자의 정수리 부분을 고정시키고 지탱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머리 지지대(147)의 일 측 예를 들어, 두께 방향의 일 측에는 상기 머리 지지대(147)를 하우징 내부 인입 또는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홈(15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의료인은 편리하게 상기 머리 지지대(147)를 하우징 내부 인입시키거나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홈(150)은 상기 푸쉬부(142)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푸쉬부 구동 모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고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머리 지지대 구동 모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의 경우,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두부자세 제공장치(100) 내부로 수납시킬 수 있다(도 2(a) 참조).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를 통하여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약물 주입 모드의 경우, 상기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 수 있다(도 2(b) 참조).
상기 제어부(180)는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줌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환자가 약물전달자세를 달성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푸쉬부(142)를 통하여 머리 지지대(147)가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푸쉬부 구동 모터의 반력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환자의 머리가 최대한 가슴 방향으로 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약물전달자세가 달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가 자동적으로 약물전달자세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응급 조치 시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약물전달자세가 달성된 경우, 상기 푸쉬부(142)가 전진하거나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머리 지지대(147)도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약물전달자세를 환자가 취한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분 내지 5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내부로 소정 당김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의료인이 약물을 주입했다는 신호를 입력하면, 3분 내지 5분이 경과한 이후에 머리 지지대(147)가 제공하는 각도 ?head을 줄임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3분 보다 시간이 적으면 약물전달의 효율성이 저해될 수 있고, 5분 보다 긴 경우 환자의 2차 부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3 분 내지 5분의 경우 약물전달의 효율성 향상 및 환자의 2차 부상 발생 억지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설명하였다. 상술한 두부자세 제공장치에 따르면, 머리 자세 유도부를 통하여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주어 비강-뇌 약물전달자세를 간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 높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자세 유도부가 머리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은 Fhead 이고, 목 자세 유도부가 목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은 Fneck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이 제공된다. 이로써, 약물전달자세를 상호 보완적인 힘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머리 자세 유도부가 머리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인 Fhead는 곡선 방향이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약물전달자세 유도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1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의 세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0에 따른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이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목 자세 유도부(130)를 통하여 목 자세를 유도하는 단계(S110), 머리 자세 유도부를 통하여 비강-뇌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단계(S120) 및 약물 주입 단계(S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단계 S110에서, 목 자세 유도부(130)를 통하여 목 자세가 유도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의식을 잃은 환자(수면 상태의 환자 포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1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100)를 환자의 등으로 밀어 넣고, 환자의 왼쪽 및 오른쪽 어깨를 왼쪽 어깨 지지부(124) 및 오른쪽 어깨 지지부(126)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연스럽게 환자의 목이 목 자세 유도부(13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목 자세 유도부(130)는 환자의 목을 소정 각도 ?neck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단계 S120에서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통하여 비강-뇌 약물전달자세가 유도될 수 있다. 단계 S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자세 유도부를 통하여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미는 단계(S122) 및 약물전달자세가 유도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122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자세 유도부(140)를 통하여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푸쉬부(142)를 하우징 외측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머리가 가슴을 향하도록 밀어 줄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의 범위 내에 이르도록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 줄 수 있다.
단계 S124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약물전달자세가 유도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푸쉬부 구동 모터의 반력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다시 말해, 푸쉬부 구동 모터에 전기가 인가는 되지만 푸쉬부(142)를 더 이상 이동시킬 수 없을 때, 약물전달자세가 유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아래턱이 최대한 가슴 방향으로 밀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약물전달자세가 달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약물 주입이 시행될 수 있다. 의료인은 환자가 약물전달자세를 취한 경우, 비강-뇌 약물 전달을 시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80)는 비강-뇌 약물 전달 시행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분 내지 5분 경과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142)를 하우징 내측으로 인입시켜,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를 낮춰줄 수 있다. 이로써,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전달자세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전달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약물의 비강-뇌 주입에 따른 약물의 분포를 관찰하기 위한 인체 머리 모형을 나타낸다. 약물의 분포를 원활히 관찰하기 위해 비강 모형은 투명플라스틱으로 제작하였다. 도 8에 제시된 그림을 통해 후각상피조직의 위치 및 뇌 조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실험을 위하여, 도 8에 제시된 모형의 자세를 변경해가며 비강을 통하여 주황색 물감을 섞인 증류수를 주입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머리가 약물전달자세인 140도인 상태에서, 비강을 통하여 약물을 주입한 경우, 약물 전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을 위하여, 비강을 통하여 주황색 물감을 섞인 증류수를 분사하였다. 분사 결과, 후각상피조직으로 약물이 전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후각상피조직은 비강-뇌 약물전달이 가능한 스팟이므로, 비강-뇌 약물전달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머리가 비 약물전달자세인 180도로 누운 상태에서, 비강을 통하여 약물을 주입한 경우, 약물 전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강을 통하여 분사된 약물이 주로 비강 조직에 머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약물의 대부분이 후각상피조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도 쪽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실험결과를 통해 인체가 완전히 누워있는 자세에서의 비강-뇌 경로로의 약물주입이 효과적이지 않음을 입증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체가 앉아있을 경우를 상정하여 비강-뇌 주입을 통해 약물을 주입한 결과를 나타낸다. 인체가 앉아있을 경우 다리가 위치한 평면과 머리가 이루는 각도가 90도이며, 이 자세에서 비강-뇌 주입을 통해 약물을 주입할 경우, 후각 상피조직 전면부에 주로 약물이 분포하며, 중력으로 인해 약물이 후각 상피 조직에 제대로 위치하지 못함을 도 11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비강-뇌 약물전달을 위한 약물전달자세는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가 푸쉬부(142) 및 머리 지지대(147)를 제어할 수 있음을 상정하였으나, 상기 푸쉬부(142) 및 상기 머리 지지대(147)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의료인은 손잡이홈(150)을 당겨 상기 푸쉬부(142)가 인출되도록 하고, 이후, 머리 지지대(147)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환자의 머리를 가슴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로써, 약물전달자세가 달성될 수 있다. 의료인은 약물전달자세가 달성된 경우, 상기 푸쉬부(142)를 나사/볼트 체결을 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부자세 제공장치는 비강-뇌 약물의 전달이 필요한 상황 특히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두부의 각도를 교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두부자세 제공장치
110: 슬라이딩 가이드부
120: 어깨 지지부
130: 목 자세 유도부
140: 머리 자세 유도부
142: 푸쉬부
147: 머리 지지대

Claims (9)

  1. 환자의 목 자세를 유도하는 목 자세 유도부; 및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자세는 상기 환자의 누운 자세가 형성하는 기준선과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가 형성하는 머리 자세선의 각도가 90도 초과 145도 이하인, 두부자세 제공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목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과,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가 상기 환자의 머리에 제공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다른 두부자세 제공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목에 고정된 각도를 제공하고,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가변하는 각도를 제공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를 환자의 가슴 쪽으로 밀어주되, 상기 환자의 머리의 반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약물전달자세 유도 완료로 판단하여,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를 고정시키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약물입자세에서 비강을 통하여 약물이 주입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 상기 환자의 머리 자세를 눕혀주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부와 상기 푸쉬부의 일 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대를 포함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8. 환자의 머리를 상기 환자의 가슴 쪽으로 밀어 비강을 통한 뇌로의 약물전달자세를 유도하는 머리 자세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자세 유도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각도를 부여하는 푸쉬부를 포함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휴대 모드의 경우,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하고, 약물 주입 모드의 경우,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두부자세 제공장치.
KR1020170072505A 2017-06-09 2017-06-09 두부자세 제공장치 KR10196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505A KR101967981B1 (ko) 2017-06-09 2017-06-09 두부자세 제공장치
PCT/KR2018/006447 WO2018226031A1 (ko) 2017-06-09 2018-06-07 두부자세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505A KR101967981B1 (ko) 2017-06-09 2017-06-09 두부자세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89A true KR20180134589A (ko) 2018-12-19
KR101967981B1 KR101967981B1 (ko) 2019-08-13

Family

ID=6456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505A KR101967981B1 (ko) 2017-06-09 2017-06-09 두부자세 제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981B1 (ko)
WO (1) WO20182260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5406A (en) * 1982-09-28 1985-05-07 Takara Company, New York, Inc. Headrest for medical treatment chair
JP2918040B2 (ja) * 1988-03-04 1999-07-12 ジロナ デンタール システム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ヘツドレスト傾動装置
JP2000005012A (ja) * 1998-06-22 2000-01-11 Motoi Asonuma 空気で高さと角度を調整できる枕
US20120266383A1 (en) * 2011-04-25 2012-10-25 Kaiduan Pi Medical Support Pillow for Facilitating Tracheal Intubation on Obese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1821A (ja) * 2004-03-22 2005-09-29 Sawamura Gishi Seisakusho:Kk 頸椎屈曲位牽引枕
US9750661B2 (en) * 2014-02-19 2017-09-05 Keith G. Lurie Systems and methods for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5406A (en) * 1982-09-28 1985-05-07 Takara Company, New York, Inc. Headrest for medical treatment chair
JP2918040B2 (ja) * 1988-03-04 1999-07-12 ジロナ デンタール システム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ヘツドレスト傾動装置
JP2000005012A (ja) * 1998-06-22 2000-01-11 Motoi Asonuma 空気で高さと角度を調整できる枕
US20120266383A1 (en) * 2011-04-25 2012-10-25 Kaiduan Pi Medical Support Pillow for Facilitating Tracheal Intubation on Obese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6031A1 (ko) 2018-12-13
KR101967981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461B2 (en) Devices configured to provide treatment at an Abreu brain thermal tunnel
KR20060131888A (ko) 주사세트를 위한 주사장치
JPH10506822A (ja) 注射による治療への慣れのための装置
JP6671914B2 (ja) 支持装置
JP2016514004A (ja) 組織再活性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HK1079703A1 (zh) 通過靜脈施用鹵化揮發性麻醉藥保護心臟和保護神經的方法
US20200338287A1 (en) Nas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9172142A (zh) 一种耳鼻喉科用检查治疗装置
US5665069A (en) Pressure-directed peribulbar anesthesia delivery device
CN213252083U (zh) 一种改良型麻醉临床用注射装置
KR101288406B1 (ko) 숙면 유도 장치가 구비된 안마 의자
KR20180134589A (ko) 두부자세 제공장치
CN211023008U (zh) 一种穿刺固定装置
KR101867861B1 (ko) 근육내 자극 치료장치
Sorenson et al. A case for nitrous oxide-oxygen inhalation sedation: An aid in the elimination of the child's fear of the “needle”
KR101732302B1 (ko) 의료용 자동 약물 주입장치
CN213964682U (zh) 一种儿科输液臂套
CN218338768U (zh) 一种智能型给药微泵装置
CN221534598U (zh) 一种核医学药物注射桌
JP3248394U (ja) 医療的処置の心理的な不安低減のための目隠しガード
CN215608279U (zh) 一种高稳定性的儿科输液架
CN214286167U (zh) 一种儿科用输液椅
KR102355484B1 (ko) 목 및 어깨 부위 근육용 자극침 치료 장치
WO2024080940A1 (en) Fixed diabetes insulin arrangement
Jastrzab et al. Use of breath-activate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for acute pain management in a patient with quadripleg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