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80A - 환자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80A
KR20180134580A KR1020170072468A KR20170072468A KR20180134580A KR 20180134580 A KR20180134580 A KR 20180134580A KR 1020170072468 A KR1020170072468 A KR 1020170072468A KR 20170072468 A KR20170072468 A KR 20170072468A KR 20180134580 A KR20180134580 A KR 2018013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support bar
ba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옥
Original Assignee
이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옥 filed Critical 이선옥
Priority to KR102017007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580A/ko
Publication of KR2018013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Weig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Abstract

환자 운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운반 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 지지바;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운반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a patient}
개시된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 환자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PET 촬영, CT 촬영, X-ray 검사, 체중 검사, 혈관조영 시술 같은 다양한 검사와 시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와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검사대나 시술대로 옮겨야 하는데, 이때 거동이 불편하여 기립이나 보행이 곤란한 환자의 경우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옮기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침대 등에 누워있는 환자를 운반장치로 옮긴 상태에서 다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운반에 따른 절차가 복잡해지고 큰 노동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환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는 환자가 쓰러질 우려가 없도록 환자를 무게중심이 맞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주의가 욕구된다.
또 대부분의 체중계는 환자가 바르게 서거나 똑바로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체중을 검사 할 때는 운반은 물론 검사에 따른 어려움이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환자의 운반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환자 운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를 무게중심이 맞은 안정적이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환자 운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의 운반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환자 운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의 자세에 구애됨이 없이 환자의 체중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환자 운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 지지바;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마련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수동으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마련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기울어진 방향 및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이동유닛을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동유닛이 이동하고자 하는 힘을 측정하고, 상기 자동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이동유닛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환자의 체중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연결 부위에 인가된 장력을 측정하여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승하강 지지바 사이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와이어에 인가된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하여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지지바는, 한 쌍의 메인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및 와이어에 의해 상기 메인바 또는 연결바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메인바 각각은 시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보빈에 감거나 풀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아치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 및 그 사이에 환자용 침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부 양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저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최대로 상승한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운반 장치는 환자를 그 자리에서 바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환자의 운반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환자운반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모듈을 구비하는 상기 환자 운반 장치는 환자를 무게중심이 맞은 안정적인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운반 장치는 측정부를 구비하여 환자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바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환자의 자세에 구애됨이 없이 환자의 체중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에서 승하강 지지바의 구조를 발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에 사용되는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의 환자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를 환자의 운반을 위해 침대 주변으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누운 자세의 환자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환자 운반 장치의 측면도로, 들어올려진 환자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수평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자의 수평을 맞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운반 장치(1000)는 메인프레임(100), 승하강 지지바(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환자 운반 장치(1000)의 골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치모양의 상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20)의 저부 양측에서 저부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110)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아치형을 이룰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소재로는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나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프레임(110)은 이들 사이에 환자용 침대가 배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하부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111)가 마련될 수 있다.
아치형의 상부프레임(120)은 상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환자 운반 장치(10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20)에는 환자 운반 장치(10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손잡이(121)와, 환자 운반 장치(1000)의 이동시 승하강 지지바(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122)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환자 운반 장치(1000)는 메인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전술한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의 형상을 통해 환자용 침대 주위에 배치될 때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환자용 침대 주위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환자의 이동 또한 편리하게 되도록 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승하강 지지바(200)는 환자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지지바(200)는 최대로 승강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20)에 구비된 고정부(12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환자 운반 장치(1000)의 이동시 흔들리거나 상부프레임(120) 및 주의의 보행자와 충돌할 우려가 없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지지바(200)는 한 쌍의 메인바(210)와, 한 쌍의 메인바(2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220)와, 와이어(320) 등에 의해 메인바(210) 또는 연결바(220)와 구동부(300)를 구성하는 모터 등을 연결시키는 연결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지지바(200)는 연결부(230)의 축선 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및 전후방향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220)는 환자의 운반과정에서 손잡이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바(210) 각각에는 시트(500)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2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메인바(210)는 이동시 환자 운반 장치(1000)가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메인바(210)와 주위 보행자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메인바(210)에는 메인바(210)가 접힌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는 인덱스플런저(21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시트(500)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210)와, 연결고리(211)에 연결되도록 몸체부(210)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20)에는 연결고리(520)에 체결되도록 체결유닛이 마련되고, 체결유닛은 벨크로나, 구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가 크고 넓을 경우, 체결유닛을 직접 몸체부(510)에 마련되도록 하면서 연결부(520)는 생략이 가능하다.
시트(500)는 몸체부(510)와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시트(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은 상태의 환자를 들어올리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것은 물론, 도8 내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침대에 깔리는 시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500´)의 경우 연결부(520)가 삭제된 상태에서 체결유닛이 몸체부(510) 모서리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와이어(320) 등에 의해 구동부(300)와 연결되고, 승하강 지지바(200)는 구동부(300)에 구비된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바람직하게는 메인프레임(100)의 최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환자 운반 장치(10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예를 들어 구동부(300)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지지바(200)의 연결부(230)에 연결된 와이어(320) 등을 보빈 등에 감거나 풀어 승하강 지지바(2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에는 승하강 지지바(2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모터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1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콘크롤러(310)는 리모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환자 운반 장치(1000)를 이용하여 환자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 먼저 환자가 시트(500,50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승하강 지지바(200)를 하강시켜 시트(500,500´)를 연결한다.
이때 환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나 침대 등에 앉아 있는 상태일 수도 있고,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침대에 그대로 누워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승하강 지지바(200)를 상부로 승강시킴으로써, 시트(500,500´)에 연결된 환자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시트(500´)를 승하강 지지바(200)에 연결하여 환자를 들어올릴 경우,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를 자세의 변화나 위치이동 없이 그대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이동에 따른 환자의 불편함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환자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메인프레임(100)을 이동시켜 환자를 운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230)는 연결부(230)에 평행하게 설치된 중심축(231), 중심축(2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와이어(320) 등이 연결되는 이동유닛(232), 이동유닛(232)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조절유닛(233) 등을 포함하고, 승하강 지지바(200)에 의해 들어올려진 환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환자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수평도는 누워있는 환자와 지표면과 평행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누워있는 환자를 지지하는 시트(500´)를 메인바(210)에 구비된 연결고리(211)에 연결한 상태에서 승하강 지지바(200)를 승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무게중심에 의해 환자는 머리쪽 또는 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승하강 지지바(200)는 환자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조절유닛(233)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이동유닛(232)을 환자가 기울어진 방향쪽, 즉 환자의 무게중심 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10과 같이 환자의 수평도를 조절하여 누워있는 환자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최대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환자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운반 장치(1000)는 신경계통 등의 외과수술을 받아 진동이나 기울기에 매우 민감한 환자들에게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중심축(231)은 수나사 형상을 갖고, 이동유닛(232)의 내측면에는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됨으로써, 중심축(231)의 회전에 의해 이동유닛(232)은 중심축(231)의 양 말단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230)에는 중심축(231)의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30a)이 마련되고, 이동유닛(232)은 가이드홈(23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마련된 가이드부(232a)를 구비하여 중심축(231)의 회전동작시 중심축(2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조절유닛(233)은 중심축(231)을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 등의 수단으로 마련되어 연결부(230) 양단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모듈은 환자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방향 및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의 감지에 의해 이동유닛(232)을 환자가 기울어진 방향쪽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자동조절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환자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유닛(232)이 이동하고자 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고, 자동조절유닛은 환자가 기울어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유닛(232)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에 따라 이동유닛(232)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이동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 운반 장치(1000)는 누운 상태의 환자를 들어올릴 때, 별도의 딱딱한 들 것 위로 환자를 옮겨 들어올릴 필요 없이, 수평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자를 최대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이 상태에서 환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환자의 이동시 필요한 인력이 감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운반 장치(1000)는 환자의 체중 측정을 위한 측정부(400)를 구비하고, 측정부(400)를 저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 지지바(200)에 연결되어 승하강 지지바(200)의 승강으로 들어올려진 시트(500,500´)에 걸려진 환자의 체중에 의해 승하강 지지바(200)의 연결부(230)에 연결된 와이어(320) 등에는 장력이 인가되고, 측정부(400)는 이러한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400)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콘트롤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환자 운반 장치(1000)를 도7과 같이 침대 주위로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 지지바(200)를 하강시켜 승하강 지지바(200)에 마련된 연결고리(211)에 시트(500´)를 연결하고, 이 상태로 환자가 침대로부터 이격되도록 승하강 지지바(200)를 승강시켜 승하강 지지바(200)에 환자에 체중이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측정부(400)를 이용하여 와이어(320)에 인가되는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체중을 간단히 검사할 수 있게 되며, 이때는 수평조절모듈을 이용하여 환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환자의 수평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1000: 환자 운반 장치 100: 메인프레임
110: 하부프레임 120: 상부프레임
121: 손잡이 122: 고정부
200: 승하강 지지바 210: 메인바
220: 연결바 230: 연결부
231: 중심축 232: 이동유닛
300: 구동부 310: 콘트롤러
320: 와이어 400: 측정부
500: 시트

Claims (11)

  1.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 지지바;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마련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수동으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마련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기울어진 방향 및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이동유닛을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동유닛이 이동하고자 하는 힘을 측정하고,
    상기 자동조절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바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이동유닛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조절유닛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힘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지지바에 환자의 체중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연결 부위에 인가된 장력을 측정하여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승하강 지지바 사이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와이어에 인가된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하여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지지바는,
    한 쌍의 메인바;
    한 쌍의 상기 메인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및
    와이어에 의해 상기 메인바 또는 연결바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메인바 각각은 시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구성된 환자 운반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 지지바의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보빈에 감거나 풀어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환자 운반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아치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 및
    그 사이에 환자용 침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저부 양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저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환자 운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최대로 상승한 상기 승하강 지지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된 환자 운반 장치.
KR1020170072468A 2017-06-09 2017-06-09 환자 운반 장치 KR20180134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68A KR20180134580A (ko) 2017-06-09 2017-06-09 환자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68A KR20180134580A (ko) 2017-06-09 2017-06-09 환자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80A true KR20180134580A (ko) 2018-12-19

Family

ID=6500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68A KR20180134580A (ko) 2017-06-09 2017-06-09 환자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4137A1 (en) * 2021-07-22 2023-01-26 Infinitus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ed patient handling and surgic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mechanical lifts in the operating 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4137A1 (en) * 2021-07-22 2023-01-26 Infinitus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ed patient handling and surgic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mechanical lifts in the operating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5852B (zh) 用于步态训练的设备
US6779210B1 (en) Elevating bed
US20080189856A1 (en) Height-Adustable Bedframes
US20070234477A1 (en) Bed, in particular sickbed or nursing bed
US10624805B2 (en) Patient transfer system
US7962979B1 (en) Hospital bed assembly
JP5828738B2 (ja) 動物用免荷歩行訓練器
JPH08500022A (ja) 患者用の抱え上げおよび移動装置
GB2383263A (en) Bed with pivotable sections for lying and seated positions
EP2151222A1 (en) Bed with lateral barrier having a tilt feature
CN103025294A (zh) 多位置支撑设备
KR101878410B1 (ko)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US6825425B2 (en) Weigh scale with support arms and fold-away seat
US795524A (en) Invalid elevator and truck.
JP5086165B2 (ja) ストレッチャー型体重計
KR20180134580A (ko) 환자 운반 장치
JP2013523252A (ja) 転覆防止システムを備えた移動用リフト装置
US3032131A (en) Elevation adjustable weighing scale
ES2316905T3 (es) Cama para cuidados.
CN211409814U (zh) 一种躺椅式病床
JP3165018U (ja) 介護用移動装置
JPH0614913A (ja) 懸垂式ct装置
CN208492528U (zh) 透析轮椅称量装置
CN219662096U (zh) 一种有称重功能的担架
CN105943298B (zh) 用于手术床的侧卧位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