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670A - 도어 테스트 장비 - Google Patents

도어 테스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670A
KR20180133670A KR1020170070804A KR20170070804A KR20180133670A KR 20180133670 A KR20180133670 A KR 20180133670A KR 1020170070804 A KR1020170070804 A KR 1020170070804A KR 20170070804 A KR20170070804 A KR 20170070804A KR 20180133670 A KR20180133670 A KR 2018013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ad
frame
tes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진
강동백
Original Assignee
미래인더스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인더스트리(주) filed Critical 미래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102017007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670A/ko
Publication of KR2018013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는, 미닫이도어 및 여닫이도어가 설치되고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미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직선 왕복시키는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여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반복 회전시키는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다수 곳에 설치된 실린더가 발생시키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장치와,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 및 하중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테스트 장비{Door test equipment}
본 발명은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를 동시에 구비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닫이도어의 하중테스트 및 비틀림테스트가 가능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도어를 간단하게 조정하여 테스트 가능하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중테스트에 요구되는 하중을 하중제어장치를 통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테스트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는 여닫이도어에 대하여 링크의 결합 위치를 간단히 조절하여 맞춤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준비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세트 시험 방법은 한국산업규격 KS F2237(창호의 개폐력 시험 방법 통칙)에서 창호의 개폐를 통하여 개폐력의 시험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상기 한국산업규격에 규정된 창호의 개폐력 시험방법은 추에 의하여 창호의 개폐력 시험을 하고 있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추를 달아매는 로프와 추의 작용 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르래로 구성하며 개폐를 하려는 창 손잡이에 로프를 부착하여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손잡이에 부착된 로프는 추에 연결되어 추의 무게를 1N 씩 증가시키면서 문이 열리는 최소한의 힘을 구하여 창의 개폐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창호의 개폐력 시험을 하기 위해서 추를 이용하는 것은 정확한 수치를 판단할 수 없으며 시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국산업규격에는 창호의 개폐 반복 시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문세트 개폐 반복시험 (KS F 2632)에 명시된 사항을 적용시키므로 미닫이 창호를 문세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개폐 반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505호에는 도 1과 같이 창세트를 프레임에 설치하고 유압에 의하여 간편하게 창호의 개폐력 및 개폐 반복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한 창세트 시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창세트(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0) 일측에 유압에 의해 창호를 개폐하는 개폐부(200)가 구비되므로, 개폐구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압유의 경우 오랜 시간동안 동작시 점도가 바뀌게 되어 개폐를 위한 힘이 변화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유압유가 실린더 내부로 입/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고정부(100)를 통해 창세트(20)에 전달되므로 창세트(20)에 대한 정확한 개폐력 테스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여닫이 문은 한국산업규격 KS F 2297(창호의 성능 시험 방법 통칙)에서 비틀림 강도, 연직하중강도, 개폐력, 개폐반복성, 내충격성을 시험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이 중 개폐반복성 시험은 전술한 한국산업규격 KS F 2632에 따르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6451호에는 도 2와 같이 암(200)과 문짝(30)을 로드와 완충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기구(300a)를 통해 연결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문짝이 문틀에 완전히 닫히도록 하여 문을 실제 사용할 때의 상황을 개폐 반복성 시험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문 세트의 개폐반복성 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특정 크기의 문짝에 대하여 맞추어 제작되는 전용 테스트기로서, 테스트를 위한 세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암(200)의 회전 중심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경첩(20)이 위치한 곳이 암(200)의 회전 중심과 상이하므로 문짝(30)이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동안 암(200)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파손을 유발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특정 크기의 문짝(30)을 시험하기 위한 전용 장치이므로 다양한 크기의 문짝에 대하여 유동성 있게 실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427호에는 도 3과 같이 문세트 시험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508호에는 도 4와 같이 프로젝트 창세트 시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실린더를 적용하고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개폐시 실린더의 축이 틀어져 실링이 파손됨으로써 시험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실린더를 빈번하게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들은 미닫이도어나 여닫이도어 중 어느 한가지 종류의 도어만 시험 가능한 것으로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를 동시에 구비한 도어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닫이도어의 하중테스트 및 비틀림테스트가 가능한 도어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도어를 간단하게 조정하여 테스트 가능하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중테스트에 요구되는 하중을 하중제어장치를 통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테스트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는 여닫이도어에 대하여 링크의 결합 위치를 간단히 조절하여 맞춤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준비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는, 미닫이도어 및 여닫이도어가 설치되고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미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직선 왕복시키는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여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반복 회전시키는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다수 곳에 설치된 실린더가 발생시키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장치와,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 및 하중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설치 위치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닫이도어 및 여닫이도어의 가장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가능한 도어구속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제어장치는,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연통하여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어터에서 제공받은 압력으로 발생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는, 상기 여닫이도어 일측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부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주축과, 모터가 채택된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와 주축에 링크 결합되어 동력발생부의 일방향 회전력을 반복 회전력으로 주축에 제공하는 반복회전유닛과, 상기 프레임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에 하측 방향 힘을 제공하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과, 상기 프레임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에 측방향 힘을 제공하는 비틀림테스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직하중테스트유닛과 비틀림테스트유닛은, 상기 하중측정기가 측정한 하중과 동일한 연직하중 또는 비틀림하중을 여닫이도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여닫이도어에 연직하중과 비틀림하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중이 작용시에 여닫이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복회전유닛은,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동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변속기와, 회전속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주축와 연동하도록 축결합되고 외측 방향으로 토크전달편이 구비된 토크링크와, 상기 토크링크와 회전판 일측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의 회전력을 토크링크에 전달하는 힘전달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복회전유닛은, 상기 회전판과 토크링크 각각에 대하여 힘전달링크의 단부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여닫이도어의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힘전달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토크전달편에는 동일 내경을 갖는 다수 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힘전달링크의 일단부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이한 거리에 이격되어 링크결합홀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사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측정기는,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통하여 신축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신장시 접촉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틀림테스트유닛은,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통하여 신축하고, 상기 여닫이도어에 하중을 가하는 비틀림실린더와, 상기 비틀림실린더를 신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테스트 장비는,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를 동시에 구비하였다.
또한 여닫이도어의 연직하중 테스트 및 비틀림 강도 테스트가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도어에 대하여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중테스트에 요구되는 하중을 하중제어장치를 통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보다 정밀한 하중 제어가 가능하며 시험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는 여닫이도어에 대하여 링크의 결합 위치를 간단히 조절하여 맞춤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준비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42505호 개시된 창세트 시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7336호에 개시된 미세먼지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427호에 개시된 문세트 시험 장치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508호에 개시된 프로젝트 창세트 시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반복회전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반복회전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비틀림테스트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하중제어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상기 도어 테스트 장비는 여닫이도어(10)와 미닫이도어(20)를 동시에 반복 개폐 시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좌측부에는 여닫이도어(10)의 테스트를 위한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가 구비되고, 전면부에는 미닫이도어(20)의 테스트를 위한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와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는 프레임(300)에 설치되며, 설치위치가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닫이도어(20) 및 여닫이도어(10)의 테스트가 가능하다.
즉, 상기 프레임(300)은 뼈대를 이루면서 도어 테스트 장비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가 설치되고,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300)에은 뼈대를 이루는 메인프레임(320)과, 상기 메인프레임(320)의 다수 곳에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메인프레임(3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도어구속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구속프레임(340)은 메인프레임(320)의 상측에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되, 롤러(342)에 의해 구름 운동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메인프레임(3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구속프레임(340)은 여닫이도어(10)와 미닫이도어(20)의 폭에 따라 직립된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여닫이도어(10)와 미닫이도어(20)의 가장자리(보다 정확하게는 여닫이도어(10)와 미닫이도어(20)의 문틀)를 구속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여닫이도어(10)와 미닫이도어(20)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는 모두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반복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세부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좌측에는 하중제어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하중제어장치(400)는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다수 곳에 설치된 실린더가 발생시키는 하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과 비틀림테스트유닛(160)에 구비된 실린더에 테스트에 요구되는 압력을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하중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아래에서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320)의 우측에는 컨트롤러(50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도어 테스트 장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메인프레임(320)의 좌측 상부에는 스토퍼(3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50)는 내부에 공간을 가져 여닫이도어(10)의 수용이 가능하며, 죔볼트를 돌려 가압함으로써 상기 여닫이도어(10)가 스토퍼(35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350)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과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을 이용하여 여닫이도어(10)의 연직하중 테스트와 비틀림하중 테스트를 실시할 때 여닫이도어(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50)의 상측(도 5에서 볼 때)에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350)의 좌측(도 6에서 볼 때)에는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20)의 좌측 중앙에는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메인프레임(320)과 도어구속프레임(340)에 의해 문틀이 구속된 여닫이도어(10)에 결합되어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가 동작시에 일정 각도만큼 반복 회전함으로써 여닫이도어(10)가 반복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부(110)는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여닫이도어(10)와 결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닫이도어(10)의 손잡이가 설치되는 부위에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는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여닫이도어(10)에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10)는 좌측단에 세워진 주축(120)에 결합되어 주축(12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주축(120)에 대한 결합력을 해지하게 되면, 주축(12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는, 미닫이도어(20)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가 메인프레임(320)에 고정되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된 자리에서 상부에 위치한 모터(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6의 "A" 영역만큼 미닫이도어(20)의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200)는, 메인프레임(320)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2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220)와, 상기 모터(2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봉(230)과, 상기 회전봉(230)의 단부에서 회전봉(23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힘전달구(240)와, 상기 힘전달구(24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230)과 교차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봉(230)과 연동하는 연동링크(250)와, 상기 연동링크(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닫이도어(20)의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10)의 힘이 연동링크(250)를 통해 미닫이도어(20)에 전달되게 하는 브라켓(260)과, 상기 모터(2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20)는 미닫이도어(20)의 폭을 고려하여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20)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20)의 상측에는 모터(21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21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210)의 모터축(212)은 회전중심에 직교하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연결구(214)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214)의 구멍에는 회전봉(230)이 삽입 및 고정된다.
상기 회전봉(230)은 다수의 너트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며, 너트에 의한 구속력이 해지되는 경우 상기 연결구(214)에 대하여 직선 운동이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봉(230)의 단부에는 힘전달구(240)가 구비된다. 상기 힘전달구(240)는 회전봉(230)이 모터축(212)을 기준으로 회전시에 이러한 회전력을 연동링크(25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봉(230)과 연동링크(250)가 서로 회전 중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힘전달구(240)는 회전봉(23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돌출된 단부에는 연동링크(2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이 연결구(214), 회전봉(230), 힘전달구(240), 연동링크(250)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힘전달구(240)에는 연동링크(250)가 결합된다. 상기 연동링크(250)는 브라켓(260)에 대하여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타단부는 힘전달구(240)와 결합되어 미닫이도어(2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강제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260)은 넓은 면적이 미닫이도어(20)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략 "ㄴ"형태의 횡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였고, 절곡된 내면이 모두 미닫이도어(20)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회전봉(230)과 힘전달구(240)의 연결지점과, 연동링크(250)와 브라켓(260)의 연결지점에는 볼조인트(280)가 구비된다.
상기 볼조인트(280)는 힘전달구(240)와 연동링크(250)가 모터축(212)의 회전중심과 평행한 직선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볼 때 연동링크(250)가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흔들리게 되더라도 모터(210)의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해야만 하므로, 이러한 위상 변화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볼조인트(280)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14)와 지지대(220)에는 회전봉(2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미닫이도어(20)의 왕복 횟수를 알 수 있도록 한 회전감지구(27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감지구(270)는 도 8과 같이 제1센서(272)와 제1감지부(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센서(272)는 근접센서가 적용되되 상기 지지대(220)의 일측에서 연결구(214) 방향으로 바라보도록 고정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214) 외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감지부(274)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214)가 회전시 제1센서(272)는 제1감지부(274)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연결구(214)의 회전수를 알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반복회전유닛(18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반복회전유닛(180)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는, 여닫이도어(10)의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프레임(300)에에 결합부(11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주축(120)과, 모터가 채택된 동력발생부(170)와, 상기 동력발생부와 주축(120)에 링크 결합되어 동력발생부의 일방향 회전력을 반복 회전력으로 주축(120)에 제공하는 반복회전유닛(180)과, 상기 프레임(300)에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10)에 하측 방향 힘을 제공하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과, 상기 프레임(300)에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10)에 측방향 힘을 제공하는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반복회전유닛(18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주축(120)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반복회전유닛(18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매 테스트마다 상이한 크기의 여닫이도어(10)가 적용되더라도 반복개폐시험을 위한 준비작업을 보다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힌지의 차이에 따른 회전 중심 위치 이동시에도 세팅을 빠르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복회전유닛(180)은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동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변속기(181)와, 상기 변속기 상측에 결합되어 회전속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판(182)와, 상기 주축(120)과 연동하도록 축결합되고 외측 방향으로 토크전달편(185)이 구비된 토크링크(184)와, 상기 토크링크(184)와 회전판(182) 일측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182)의 회전력을 토크링크(184)에 전달하는 힘전달링크(1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속기는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힘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며, 내부의 기어 결합을 통해 상방향으로 직립된 회전축을 회전 속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182)은 회전 속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하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동일한 내경 크기의 방사홀(183)이 다수 천공 형성된다.
상기 방사홀(183)은 회전판(18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이한 거리에 이격되어 링크결합홀(186)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곳으로서, 회전판(18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82)이 일정한 위치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다수 방사홀(183)은 회전시 서로 다른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상기 힘전달링크(188)의 단부 위치가 상이한 경로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토크전달편(185)의 왕복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힘전달링크(188)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결합되는 방사홀(183)의 위치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크전달편(185)은 주축(120)과 연동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토크전달편(185)에는 링크결합홀(186)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링크결합홀(186)은 힘전달링크(188)의 단부와 결합되어 회전판(182)의 회전력이 토크전달편(185) 및 주축(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구멍을 다수 천공 형성하되, 서로 중첩되도록 가공함으로써 이웃한 구멍이 서로 연통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링크결합홀(186)은 내부가 울퉁불퉁하게 천공된 하나의 구멍으로 보여지나, 힘전달링크(188)와 결합시 회전은 가능하게 하면서, 이웃하는 구멍으로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좌측 하부에는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은 메인프레임(3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여닫이도어(10)에 비틀림하중을 제공하여 변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상기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100)의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비틀림테스트유닛(160)은 하중제어장치(400)와 연동하여 길이가 신축하는 비틀림실린더(162)와, 상기 비틀림실린더(162)를 신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정기(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틀림실린더(162)는 에어실린더가 채택된 것으로, 하중제어장치(400)를 경유하면서 설정 압력으로 제공되는 공기압에 의해 길이가 신축하여 상기 여닫이도어(10)에 비틀림하중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비틀림실린더(162)는 위치조정기(164)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비틀림실린더(162)는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위치조정기(16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조정기(164)는 비틀림실린더(162)를 직선 운동가능하게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와, 모터와 연동하여 정/역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너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너트는 비틀림실린더(162)와 연동하도록 별도의 패널로 일체화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320) 상부에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이 설치된다. 상기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은 여닫이도어(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여닫이도어(10)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중제어장치(400)에 의해 연직하중의 크기가 제어되며, 메인프레임(32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여닫이도어(10)의 상단부 어느 곳이든 연직 하중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여 하중제어장치(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테스트 장비에서 일 구성인 하중제어장치(4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하중제어장치(400)는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컴프레셔(420)와, 상기 컴프레셔(420)와 연통하여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440)와, 상기 레귤레이터(440)에서 제공받은 압력으로 발생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귤레이터(440)는 컴프레셔(420)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비틀림실린더(162)와,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 및 하중측정기(460)로 동시에 공기압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공기압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비틀림실린더(162)와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이 발생시키는 하중이 테스트에 요구되는 하중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귤레이터(440)와 연동하는 하중측정기(460)는 레귤레이터(440)로부터 제공받은 공기압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는 하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비틀림실린더(162)와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이 동일한 하중 및 요구되는 하중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중측정기(460)는 가압실린더(462)와 로드셀(4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462)는 레귤레이터(440)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길이가 신축하는 것으로서, 가압실린더(462)의 하측에는 로드셀(464)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셀(464)은 가압실린더(462)에 의해 발생한 연직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측정된 연직하중은 컨트롤러(500)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비틀림실린더(162)와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이 발생하는 연직하중 및 비틀림하중은 시험운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실린더(462)와 비틀림실린더(162) 및 연직하중테스트유닛(150)에 사용되는 실린더는 동일한 용량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여닫이도어 20. 미닫이도어
100.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 110. 결합부
120. 주축 150. 연직하중테스트유닛
160. 비틀림테스트유닛 162. 비틀림실린더
164. 위치조정기 180. 반복회전유닛
182. 회전판 183. 방사홀
184. 토크링크 185. 토크전달편
186. 링크결합홀 188. 힘전달링크
200.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 210. 모터
212. 모터축 214. 연결구
220. 지지대 230. 회전봉
240. 힘전달구 250. 연동링크
260. 브라켓 270. 회전감지구
272. 제1센서 274. 제1감지부
280. 볼조인트 300. 프레임
320. 메인프레임 340. 도어구속프레임
342. 롤러 350. 스토퍼
400. 하중제어장치 420. 컴프레셔
440. 레귤레이터 460. 하중측정기
462. 가압실린더 464. 로드셀
500. 컨트롤러

Claims (11)

  1. 미닫이도어 및 여닫이도어가 설치되고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미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직선 왕복시키는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여닫이도어를 모터의 일방향 회전력으로 반복 회전시키는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의 다수 곳에 설치된 실린더가 발생시키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장치와,
    상기 미닫이도어 테스트장치와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 및 하중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설치 위치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미닫이도어 및 여닫이도어의 가장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가능한 도어구속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제어장치는,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연통하여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어터에서 제공받은 압력으로 발생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도어 테스트장치는,
    상기 여닫이도어 일측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부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주축과,
    모터가 채택된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와 주축에 링크 결합되어 동력발생부의 일방향 회전력을 반복 회전력으로 주축에 제공하는 반복회전유닛과,
    상기 프레임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에 하측 방향 힘을 제공하는 연직하중테스트유닛과,
    상기 프레임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여닫이도어에 측방향 힘을 제공하는 비틀림테스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하중테스트유닛과 비틀림테스트유닛은,
    상기 하중측정기가 측정한 하중과 동일한 연직하중 또는 비틀림하중을 여닫이도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여닫이도어에 연직하중과 비틀림하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중이 작용시에 여닫이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회전유닛은,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동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변속기와,
    회전속도가 제어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주축와 연동하도록 축결합되고 외측 방향으로 토크전달편이 구비된 토크링크와,
    상기 토크링크와 회전판 일측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의 회전력을 토크링크에 전달하는 힘전달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회전유닛은,
    상기 회전판과 토크링크 각각에 대하여 힘전달링크의 단부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여닫이도어의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토크전달편에는 동일 내경을 갖는 다수 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힘전달링크의 일단부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이한 거리에 이격되어 링크결합홀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사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기는,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통하여 신축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신장시 접촉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테스트유닛은,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통하여 신축하고, 상기 여닫이도어에 하중을 가하는 비틀림실린더와,
    상기 비틀림실린더를 신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테스트 장비.
KR1020170070804A 2017-06-07 2017-06-07 도어 테스트 장비 KR20180133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04A KR20180133670A (ko) 2017-06-07 2017-06-07 도어 테스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04A KR20180133670A (ko) 2017-06-07 2017-06-07 도어 테스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670A true KR20180133670A (ko) 2018-12-17

Family

ID=6500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804A KR20180133670A (ko) 2017-06-07 2017-06-07 도어 테스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6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8118A (zh) * 2020-03-30 2020-07-28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四工位防火门可靠性试验机
CN111677235A (zh) * 2020-06-04 2020-09-18 烟台市建工检测服务中心 一种建筑外窗安装结构及其使用方法
CN114229031A (zh) * 2021-12-10 2022-03-25 昌河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检测飞机舱门滑动的装置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8118A (zh) * 2020-03-30 2020-07-28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四工位防火门可靠性试验机
CN111458118B (zh) * 2020-03-30 2022-03-22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四工位防火门可靠性试验机
CN111677235A (zh) * 2020-06-04 2020-09-18 烟台市建工检测服务中心 一种建筑外窗安装结构及其使用方法
CN111677235B (zh) * 2020-06-04 2021-10-22 烟台市建工检测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建筑外窗安装结构及其使用方法
CN114229031A (zh) * 2021-12-10 2022-03-25 昌河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检测飞机舱门滑动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670A (ko) 도어 테스트 장비
CN110702385B (zh) 车门开闭耐久试验装置
CN105705305B (zh) 检测装置和检测方法
KR101514296B1 (ko) 비틀림 스프링 토크 검사장치
KR101484141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시험장치
CN107075889A (zh) 家具铰链
KR101638104B1 (ko) 차량 차단기
KR101592961B1 (ko) 동력전달축의 성능 시험 장치
CN102729172B (zh) 夹具
RU243707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пытания компактных образцов на усталость при изгибе с кручением
CN117168794B (zh) 双万向节式弹簧寿命测试机
CN109238668B (zh) 一种汽车弹簧检测装置
KR101229924B1 (ko) 현가부재용 내구성 시험장치
CN104006958A (zh) 一种车门限位器工况模拟装置及性能检测设备
KR20170116800A (ko) 비틀림 시험장치
CN109597138A (zh) 一种物品检测装置
CN207964232U (zh) 塑料管耐冲击强度的检验设备
CN109540532A (zh) 一种发动机曲轴的检测装置
CN109668722B (zh) 一种建筑隔震伸缩管试验机
KR100654681B1 (ko) 시트 펌핑기구 시험장치
KR0180128B1 (ko) 쇽업소버 내구력 시험장치
KR101921292B1 (ko) 내구성능 평가용 시험장치
KR100957031B1 (ko) 커넥팅 로드의 좌굴실험장치
CN112747062A (zh) 一种阻尼装置及安装有该阻尼装置的洗衣机
JP4955503B2 (ja) 試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