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578A - 분리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578A
KR20180133578A KR1020170070509A KR20170070509A KR20180133578A KR 20180133578 A KR20180133578 A KR 20180133578A KR 1020170070509 A KR1020170070509 A KR 1020170070509A KR 20170070509 A KR20170070509 A KR 20170070509A KR 20180133578 A KR20180133578 A KR 2018013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lighting
light emit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두산
Original Assignee
백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두산 filed Critical 백두산
Priority to KR102017007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578A/ko
Publication of KR2018013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는, 조명 몸체부, 조명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조명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발광부에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조명등; 및 거치 몸체부, 거치 몸체부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 거치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며, 조명등은, 상하가 뒤집힌 상태에서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충전부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충전되고, 발광부가 전원 공급부 및 충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빛을 발산하며,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발광부가 충전부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having separable lamp}
본 발명은 분리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과 거치부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충전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照明, lighting)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하여 빛을 발산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인공적으로 빛을 생성하여 밤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도 인간의 시야 확보에 일조하므로 인간 생활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통상적인 조명 장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전구와, 전구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구에 적정한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조명 장치는 거치대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거치대가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 설치되면 설치된 위치에서만 빛을 조사하는 고정형 조명 장치와, 건전지, 축전지 등 휴대용 전원 장치를 구비하며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휴대형) 조명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고정형 조명 장치와 이동형 조명 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경우, 구입 비용이 증대하고 각각의 조명 장치를 모두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고정형 조명 장치와 이동형 조명 장치를 결합하여 서로의 장단점을 반영한 분리형 조명 장치를 고안한 바 있다. 이러한 분리형 조명 장치의 구조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90472호(충전용 천장등 세트, 2010년 10월 29일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1265479호(다중 분리형 조명 장치, 2013년 5월 13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분리형 조명 장치는 충전 거치대와 분리형 조명의 접점 부위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먼지가 쌓여 접점 부위의 오염되거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충전 거치대와 분리형 조명 사이의 전원 송신 효율을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조명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명등과 거치부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충전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조명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90472호 (충전용 천장등 세트) (2010년 10월 29일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1265479호 (다중 분리형 조명 장치) (2013년 5월 13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명등을 구성하는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충전 거치대를 구성하는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명등을 구성하는 충전부를 충전함으로써, 조명등과 거치부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충전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는, 조명 몸체부, 상기 조명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상기 발광부에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조명등; 및 거치 몸체부, 상기 거치 몸체부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은, 상하가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충전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충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빛을 발산하며, 상기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가 상기 충전부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의 상기 제1 자성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되고, 상기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제1 조작부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충전부는,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 따르면, 조명등을 구성하는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충전 거치대를 구성하는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명등을 구성하는 충전부를 충전함으로써, 조명등과 거치부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충전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 따르면, 충전 거치대를 구성하는 거치부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보다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거치부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 따르면,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가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돌기나 홈의 구조 없이 보다 간단한 구조로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 따르면,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조명등에 구비된 제1 조작부 또는 충전 거치대에 구비된 제2 조작부를 사용하여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명등의 사용 상태에 따라 발광부의 온/오프 및 빛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서 조명등이 충전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서 조명등이 충전 거치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충전 거치대의 거치부가 안착 홈을 포함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가 자성체를 더 포함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가 유선으로 연결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분리형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서 조명등이 충전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에서 조명등이 충전 거치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는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조명 몸체부(110), 발광부(120) 및 충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조명등(100)이 1 개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조명등(1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조명 몸체부(110)는 조명등(100)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경질의 베이스 몸체(111)와 연질의 확산구(112)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1)는 발광부(12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베이스 몸체(111)가 상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확산구(112)는 베이스 몸체(111)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 실리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발광부(120)는 조명 몸체부(1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20)는 크기 및 소비 전력 대비 휘도가 높고, 사용 수명이 길며, 제조 비용이 저렴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130)는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발광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충전부(130)는 충전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전원 공급부(23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130)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배터리 등 2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거치대(200)는 거치 몸체부(210), 거치부(220) 및 전원 공급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 몸체부(210)는 충전 거치대(200)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천장, 벽체 등에 설치되어 고정형으로 사용되거나, 원하는 장소의 바닥에 놓여지는 이동형(휴대형) 또는 스탠드형으로 사용되는 등, 사용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거치 몸체부(210)가 베이스판(211),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파이프(212), 제1 파이프(212)에서 반원 형상으로 굴곡 연장된 제2 파이프(213)으로 구성되어 스탠드형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천장, 벽체 등에 설치되는 고정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거치부(220)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 몸체부(210)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30)는 거치부(2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3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사용할 수 있으나,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배터리 등 2차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거치 몸체부(210)에 연결된 거치부(220)와 이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230)가 1 개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거치부(220) 및 전원 공급부(23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를 구성하는 조명등(100)은 충전 거치대(200)에의 결합 여부에 따라 2 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충전 거치대(200)의 거치부(220)에 결합되었을 때에, 충전부(130)가 전원 공급부(230)에 의해 충전되고, 발광부(120)가 전원 공급부(230) 및 충전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거치부(22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원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에서 발광부(120)가 충전부(130)에 의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상하가 뒤집힌 상태에서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결합되므로, 전원 공급부(230)로부터 충전부(130)로의 충전 방향(C)은 하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이 거치부(22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조명등(100)과 거치부(220)의 충전면이 모두 하부 방향을 향하므로 외부 환경에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는, 조명등(100)을 구성하는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충전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명등(100)을 구성하는 충전부(130)를 충전함으로써, 조명등(100)과 거치부(220)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명등(100)의 충전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의 충전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거치부(220)는,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안착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충전 거치대의 거치부가 안착 홈을 포함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20)는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안착 홈(221)의 바닥면은 전원 공급부(230)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는, 충전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보다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거치부(220)의 충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를 구성하는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는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가 자성체를 더 포함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140)를 더 포함하고, 거치부(220)는 하부면의 제1 자성체(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등(100)의 조명 몸체부(110)와 거치부(220)는 제1 자성체(140) 및 제2 자성체(240)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조명 몸체부(110)와 거치부(220)가 각각 한 쌍의 제1 자성체(140) 및 제2 자성체(240)를 구비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자성체(140) 및 제2 자성체(24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는,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가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돌기나 홈의 구조 없이 보다 간단한 구조로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를 구성하는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는 각각 발광부(120)의 조작을 위한 제1 조작부(150) 및 제2 조작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은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충전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조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20)는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전원 공급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조작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조명부의 제1 조작부(150)는 하부 방향을 향하므로, 조명등(100)의 발광부(120)는 거치부(220)의 제2 조작부(250)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거치부(22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조명부의 발광부(120)는 제1 조작부(150)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는, 조명등(100)과 충전 거치대(200)의 결합 여부에 따라 조명등(100)에 구비된 제1 조작부(150) 또는 충전 거치대(200)에 구비된 제2 조작부(250)를 사용하여 발광부(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명등(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발광부(120)의 온/오프 및 빛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1)를 구성하는 조명등(100)의 충전부(130)와 충전 거치대(200)의 전원 공급부(230)는 조명등(100)이 충전 거치대(200)에 결합되었을 때,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조명등과 충전 거치대가 유선으로 연결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의 충전부(130)와 충전 거치대(200)의 전원 공급부(230)는 유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조명등(100)은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 일측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충전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160)를 포함하고, 거치부(220)는 하부면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전원 공급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부가 충전 거치대(200)에 결합되어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제1 접속 단자(160)와 제2 접속 단자(26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100)을 구성하는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충전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명등(100)을 구성하는 충전부(130)를 충전하므로, 조명등(100)의 충전 상태는 물론, 조명등(100)의 사용 상태에서도 제1 접속 단자(160)와 제2 접속 단자(260)는 외부에 노출되지 현상을 최소화하여 충전면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명등(100)의 충전부(130)와 충전 거치대(200)의 전원 공급부(230)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20)의 하부면에 조명 몸체부(110)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충전부(130)는 전원 공급부(230)에 이격딘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30)에 의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무선 충전 방식은 잘 알려진 자기 공명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의 경우에도, 조명등(100)과 거치부(220)의 충전면이 모두 하부 방향을 향하므로 외부 환경에의 노출을 줄일 수 있으므로, 충전 거리가 중요한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리형 조명 장치
100: 조명등
110: 조명 몸체부 120: 발광부
130: 충전부 140: 제1 자성체
150: 제1 조작부 160: 제1 접속 단자
200: 충전 거치대
210: 거치 몸체부 220: 거치부
230: 전원 공급부 240: 제2 자성체
250: 제2 조작부 260: 제2 접속 단자

Claims (6)

  1. 조명 몸체부, 상기 조명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상기 발광부에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조명등; 및
    거치 몸체부, 상기 거치 몸체부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은,
    상하가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충전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충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빛을 발산하며,
    상기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가 상기 충전부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의 상기 제1 자성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되고,
    상기 거치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제1 조작부에 의해 빛의 발산 여부 및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하부면에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에 상기 조명 몸체부의 하단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명 장치.
KR1020170070509A 2017-06-07 2017-06-07 분리형 조명 장치 KR20180133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9A KR20180133578A (ko) 2017-06-07 2017-06-07 분리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9A KR20180133578A (ko) 2017-06-07 2017-06-07 분리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78A true KR20180133578A (ko) 2018-12-17

Family

ID=6500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09A KR20180133578A (ko) 2017-06-07 2017-06-07 분리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5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38B1 (ko) 조명광 및 환경광용 램프 및 전구
US7524089B2 (en) LED light
JP5331043B2 (ja) 照明装置
US8449169B2 (en) LED replacement bulb for use in low EM room
US8794815B2 (en) Modular lighting device
JP2002304904A (ja) Led照明装置
KR20100113894A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JP2010192224A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JP2012009398A (ja) 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101437856B1 (ko) 선박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70079407A (ko) 야외용 조명기구
JP2010171236A (ja) Ledランプ
JP3150185U (ja) ライン状照明具
JP2011216447A (ja) Led式蛍光灯型照明装置。
JP4676563B1 (ja) 照明器具一体のled照明装置。
US9523481B2 (en) LED lighting apparatus
KR20180133578A (ko) 분리형 조명 장치
KR10137009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장착장치
JP2013093283A (ja) 照明器具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JP2004185875A (ja) 照明器具
KR20130039833A (ko) 선박용 led 조명장치
KR101085197B1 (ko) 백열 전구의 소켓을 이용하는 전등 장치
KR102273737B1 (ko) 살균 및 조명 기능을 갖는 발광장치
JP2012099456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