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577A -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577A
KR20180133577A KR1020170070508A KR20170070508A KR20180133577A KR 20180133577 A KR20180133577 A KR 20180133577A KR 1020170070508 A KR1020170070508 A KR 1020170070508A KR 20170070508 A KR20170070508 A KR 20170070508A KR 20180133577 A KR20180133577 A KR 20180133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module
camera module
image
bas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후
Original Assignee
클라우드라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드라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라우드라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577A/ko
Publication of KR2018013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영상의 수득기능을 탑재한 구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에 360°의 입사각도를 갖는 VR 렌즈를 탑재하여 구강의 내부를 360°의 각도로 수득한 광화각의 구강 내부영상의 수득이 가능한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Oral camera apparatus obtainable oral image having wide angle of view}
본 발명은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에 360°의 입사각도를 갖는 VR 렌즈를 탑재하여 구강의 내부를 360°의 각도로 수득한 광화각의 구강 내부영상 수득하도록 한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환자를 치료할 경우 담당 의사만 환자의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치료를 하며, 담당 의사가 환자의 구강상태를 설명하면 환자는 청각적으로만 자신의 구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의 구강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한 치의 표면들은 인간의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의사는 광학적 보조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치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일반적인 보조기구는 치과용 거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기구는 상이 회전(거울방향)되고, 해상도가 고정되어 있으며, 시야각이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시에 2인 이상의 치과의사가 관찰하기에는 상이 너무 작은 것도 문제가 된다.
그런데,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의사 중심의 의료 서비스에서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치과의 경우, 환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며 쉽게 두려움을 갖기 때문에, 상기한 의사의 육안이나 치과용 거울만으로 환자의 치아를 진찰하는데 환자들은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다.
이에 최근의 영상기술 발전에 힘입어 구강 내의 치아를 촬영하며 진찰할 수 있는 구강 카메라 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구강 카메라 장치는 컴퓨터와 모니터 등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촬영된 구강 내의 치아를 모니터를 통해 환자가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구강 카메라 장치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개선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종래 구강 카메라 장치는 본체의 전방에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종래 구강 카메라 장치에는 화각이 좁은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관계로 구강 내부의 전반적인 영상의 촬영이 어려웠다.
따라서, 담당 의사는 화각이 협소한 구강 카메라 장치를 통해 구강 내부를 분할 촬영하여 구강 내부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게 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둘째, 종래 구강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은 본체의 전방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진 관계로 촬영 각도 조절이 어려워, 담당 의사는 직접 자세를 바꾸어 구강 내에 진입된 구강 카메라 장치의 진입각도를 변경시켜서, 요하는 구강 내부의 부위를 촬영하였고, 이는 촬영상의 불편함과 제약을 야기하게 된다.
셋째, 상기 구강 카메라 장치가 진입되는 구강 내부는 침이나 이물질 등의 다량의 이물질이 잔류하며, 구강 카메라 장치의 촬영과정에 카메라 모듈의 렌즈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을 경우 정교한 구강 영상의 수득이 어려운 문제점을 야기한다.
KR 10-2010-0052077 A KR 10-0588231 B1 KR 20-0349507 Y1 KR 10-2005-0101654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에 360°의 입사각도를 갖는 VR 렌즈를 탑재하여 구강의 내부를 360°의 각도로 촬영한 VR 영상의 수득이 가능하고,
상기 구강 내부의 촬영 과정에 VR 렌즈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는 현상을 방지하여 구강 내부의 정교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는,
전반부에 촬영 헤드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핸드 그립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촬영 헤드부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 헤드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내부에 조광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핸드 그립부에 형성된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과 조명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영상을 취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VR 렌즈를 장착하여 360°의 화각을 갖는 VR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에는 취득된 구강 영상을 외부 출력하는 출력 단자유닛과 취득된 구강영상을 기록하는 메모리 유닛이 각각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은 중공의 조명 베이스링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모듈을 구성하는 조명 베이스링은 카메라 모듈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조명 베이스링은, 촬영 헤드부의 선단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의 베이스링의 진퇴거리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조광영역이 변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 그립부에는, 복수의 치홈이 형성된 조절휠이 회동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조명 베이스링과 조절휠 사이에는 조절휠과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된 진퇴로드가 배치되어서,
상기 핸드 그립부에 형성된 조절휠의 정역 회전에 의한 진퇴로드의 진퇴에 의해, 조명 베이스링이 진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360°의 화각으로 촬영된 구강 내부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담당 의사가 구강 내 진입각도를 조절하여 구강 내부를 분할하여 촬영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환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고, 보다 면밀한 구강 상태의 관찰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촬영영역에 빛을 조광하는 조명모듈은, 진퇴구조로 배치되어 조광영역을 변경하므로, 촬영을 요하는 구동 내부에 안정적인 조도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어서, 구강 내부를 보다 명확히 촬영한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조명모듈은 핸드 그립부에 형성된 조절휠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진퇴하여 조광영역을 변경하므로, 조작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되고, 또 담당의사는 카메라 모듈과 조명유닛을 구강 내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조명유닛을 진퇴시켜 최적의 조광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작용 상태도이고,
도 4와 도 5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의 작용 상태도이고, 도 4와 도 5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영상의 수득기능을 탑재한 구강 카메라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부에 촬영 헤드부(11)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핸드 그립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촬영 헤드부(11)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0)과; 상기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내부에 조광하는 조명모듈(30); 및 상기 본체(10) 내에 수납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핸드 그립부(12)에 형성된 제어패널(41)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20)과 조명모듈(2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영상을 취득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 카메라 장치(1)의 각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70))에 의해 구동하거나, 전원선(미도시)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인가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40)에는 취득된 구강 영상을 외부 출력하는 USB나, HDMI, 블루투스, WIFI 등의 출력 단자유닛(42)과, 취득된 구강 영상을 기록하는 메모리 유닛(43)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조명모듈(30)은 중공의 조명 베이스링(31)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32)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모듈(30)을 구성하는 조명 베이스링(31)은 카메라 모듈(20)에 동심구조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중공의 조명 베이스링(31)은 촬영 헤드부(11)의 선단에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중공의 베이스링(31)은 후술되는 진퇴로드(33)에 의해 진퇴하여서 카메라 모듈(20)의 조광영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드 그립부(12)에 복수의 치홈이 형성된 조절휠(34)을 회동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진퇴로드(33)와 조절휠(34)을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시켜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핸드 그립부(12)을 파지한 담당 의사는 조절휠(34)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진퇴로드(33)를 진퇴시킴으로써, 조명 베이스링(31)을 진퇴시켜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내부의 조광영역을 변경하도록 한다.
즉, 담담의사는 본체(10)의 핸드 그립부(12)를 한 손으로 파지한 다음, 카메라 모듈(20)과 조명모듈(30)이 설치된 촬영 헤드부(11)를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시켜서, 카메라 모듈(20)을 통해 구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취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담당의사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핸드 그립부(12)에 형성된 조절휠(34)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조명 베이스링(31)을 진퇴시켜서, 구강 내부에 적합한 조광상태가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30)을 구성하는 조명 베이스링(31)에는 조도센서(35)가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20), 및 조명모듈(30)이 구강 외부에 노출되면 제어모듈(40)은 조명모듈(30)의 발광 다이오드(32)를 점멸시키고, 카메라 모듈(20), 및 조명모듈(30)이 어두운 구강 내부에 진입하면 제어모듈(40)은 조명모듈(30)의 발광 다이오드(32)를 점등시켜 구강 내부의 조광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담당 의사가 카메라 모듈(20)과 조명모듈(30)이 설치된 본체(10)의 전반부를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시키는 과정에, 점등된 조명모듈(30)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한 환자의 눈부심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40)은 취득된 구강 내부의 영상은 메모리 유닛(43)에 저장하거나, 출력 단자유닛(42)을 통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출력하여서, 담당 의사나 환자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구강 내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20)을 한 쌍의 카메라(21)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한 쌍의 카메라(21)를 압사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한 다음, 이들 각 카메라(21)의 입사구간에 적어도 180°이상의 화각을 갖는 VR 렌즈(22)를 배치하여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21)를 포함하여 구성된 카메라 모듈(20)은 VR 렌즈(22)에 의해 구강 내부를 360°의 화각으로 촬영한 VR형태의 구강 내부영상을 수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20°의 화각을 갖는 한 쌍의 VR렌즈(22)를 통해 한 쌍의 카메라(21)들은 구강 내부를 360°의 각도로 촬영한 VR형태의 구강 내부영상을 취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강 내부를 360°의 화각으로 촬영하면, 단일 영상을 통해 구강 내부를 전체적으로 관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담당 의사가 구강 카메라 장치(1)를 환자의 구강 내에 다양한 각도로 진입시키는 번거로운 행위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강 카메라 장치(1)에 카메라 모듈(20)에 덧씌워져 구강 내에 노출되는 VR 렌즈(22)와 조명모듈(30)을 세정하는 독특한 구조의 급기 세정부(60)를 형성하여, 상기 구강 내에 노출된 VR 렌즈(22) 및 조명모듈(30)이 구강 내에 잔류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카메라 모듈(20)의 촬영영역 내에 이물질이 잔류하여서, 이물질에 의한 구강을 촬영한 영상이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 세정부(60)는, 본체(10)에는 급기관(10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급기관체(61)와; 상기 본체(10)의 전반부에 덧씌워져 급기관체(61)를 따라 토출되는 세정공기를 VR 렌즈(22)과 조명모듈(30) 표면으로 토출하는 세정 노즐관(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관체(61)에 제어패널(41)의 조작에 의해 급기관(100)과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전자밸브(63)를 설치하여, 세정 노즐관(62)을 통한 세정공기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구강 내에 진입된 카메라 모듈(20)에 덧씌워진 VR 렌즈(22)와 조명모듈(30)에는 세정 노즐관(62)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결과적으로 구강 내에 노출된 VR 렌즈(22)와 조명모듈(30)의 표면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 노즐관(62)은 복수의 절첩주름(62a)이 형성된 주름관체로 구성하여 신축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세정공기의 토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다.
이대, 상기 세정 노즐관(62)의 단부는 도 4와 같이 조명모듈(30)을 구성하는 조명 베이스링(31)이나 진퇴로드(33)에 일지점이 고정되어서, 진퇴로드(33)의 진퇴작용에 의해 세정 노즐관(62)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체로 이루어진 세정 노즐관(62)의 선단은 축관형으로 이루어져, 직경의 축소에 의해 세정공기는 보다 빠른 속도로 VR 렌즈(22)의 표면과 조명모듈(30)의 표면에 토출되어서, VR 렌즈(22)와 조명모듈(30)의 오염방지와,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안정되게 제거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를 관통하는 급기관체(61)를 우수한 열전도율을 갖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상기 급기관체(61)의 외벽과 제어모듈(40)의 표면을 상호 밀착시켜서, 도 3과 같이 급기관체(61)를 따라 이동하는 세정공기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제어모듈(40)의 지속적인 냉각이 도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담당의사가 핸드 그립부(12)를 통해 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0)과 조명모듈(30)을 환자의 구강 내에 진입시켜 구강 내부를 촬영함에 있어, 상기 카메라 모듈(20)에 덧씌워진 VR렌즈(22)와 조명모듈(30)은 급기관(100)과 급기관체(61)와 세정 노즐관(62)을 통해 토출되는 세정공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세정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 없이 깨끗한 구강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20)에서 취득되는 고화질의 영상을 취득하는 제어모듈(40)은, 급기관체(61)를 통해 이동하는 세정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이 도모되므로, 제어모듈(40)의 과열에 의한 장치의 이상 발생이나, 수명의 단축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구동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구강 카메라 장치
10. 본체 11. 촬영 헤드부
12. 핸드 그립부
20. 카메라 모듈 21. 카메라
22. VR 렌즈
30. 조명모듈 31. 확산링
32. 발광 다이오드 33. 진퇴로드
34. 조절휠 35. 조도센서
40. 제어모듈 41. 제어패널
42. 출력 단자유닛 43. 메모리 유닛
50. 배터리
60. 급기 세정부 61. 급기관체
62. 세정 노즐관 62a. 절첩주름
63. 전자밸브
100. 급기관

Claims (3)

  1. 전반부에 촬영 헤드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핸드 그립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촬영 헤드부에 설치되어, 구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 헤드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내부에 조광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핸드 그립부에 형성된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과 조명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구강 영상을 취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VR 렌즈를 장착하여 360°의 화각을 갖는 VR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는 취득된 구강 영상을 외부 출력하는 출력 단자유닛과 취득된 구강영상을 기록하는 메모리 유닛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중공의 조명 베이스링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모듈을 구성하는 조명 베이스링은 카메라 모듈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조명 베이스링은, 촬영 헤드부의 선단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의 베이스링의 진퇴거리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조광영역이 변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 그립부에는, 복수의 치홈이 형성된 조절휠이 회동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조명 베이스링과 조절휠 사이에는 조절휠과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된 진퇴로드가 배치되어서,
    상기 핸드 그립부에 형성된 조절휠의 정역 회전에 의한 진퇴로드의 진퇴에 의해, 조명 베이스링이 진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KR1020170070508A 2017-06-07 2017-06-07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KR20180133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8A KR20180133577A (ko) 2017-06-07 2017-06-07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8A KR20180133577A (ko) 2017-06-07 2017-06-07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77A true KR20180133577A (ko) 2018-12-17

Family

ID=6500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08A KR20180133577A (ko) 2017-06-07 2017-06-07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0A3 (ko) * 2019-12-26 2021-08-19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0A3 (ko) * 2019-12-26 2021-08-19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898B2 (ja) 口腔内撮影用デジタルカメラ
US6908307B2 (en) Dental camera utilizing multiple lenses
US5527261A (en) Remote hand-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AU2012335072B2 (en) Digital-based medical devices
JP4240892B2 (ja) ディスプレイ一体型口腔カメラ
US6761561B2 (en) Wireless dental camera
WO2009154174A1 (ja) 電子内視鏡
AU2005284854A1 (en) Flexible video scope extension and methods
WO2013125508A1 (ja) 歯科ハンドピース用の映像取得機器、歯科ハンドピース用撮像装置、歯科ハンドピース、及び歯科ハンドピースシステム
JP2012011149A (ja) 口腔内撮影システム
JP4764612B2 (ja) 歯科用生体観察機器、口腔内観察機器、歯科用照射額帯装置及びデンタルミラー
CN103845120A (zh) 通过牙科手机采集影像并能在口内显示的方法和装置
TWI576772B (zh) 多焦段影像擷取裝置
US20140132747A1 (en) Digital intra-oral panaramic arch camera
KR20180133577A (ko) 광화각을 갖는 구강영상의 취득이 가능한 구강 카메라 장치
JPH11113841A (ja) 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耳鼻用ビデオスコープシステム
KR2013004970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검이경, 및 이에 사용되는 스페큘러 구조
KR101788039B1 (ko) 상하 버튼을 구비하는 대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통한 촬영 방법
KR20110085514A (ko) 마우스 프롭 장착용 구강촬영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우스 프롭 키트
JP7172567B2 (ja) 撮像装置、及び、口腔撮像付属体
JP5276907B2 (ja) 内視鏡
JP3781745B2 (ja) 口腔内観察用カメラ
US7577344B2 (en) Light-shielding device for oral photography
CN206214072U (zh) 一种新型牙科窥视设备
JP4491316B2 (ja) 口腔内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