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129A - 델리네이터 - Google Patents

델리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129A
KR20180133129A KR1020170069687A KR20170069687A KR20180133129A KR 20180133129 A KR20180133129 A KR 20180133129A KR 1020170069687 A KR1020170069687 A KR 1020170069687A KR 20170069687 A KR20170069687 A KR 20170069687A KR 20180133129 A KR20180133129 A KR 2018013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elastic
mounting
support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진공안전 filed Critical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to KR102017006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129A/ko
Publication of KR201801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중앙분리대, 중앙분리선 등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드레일 등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으로 접혀진 후 복원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지 커버를 적용하여 일단 결합 장착된 반사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구성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반사체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장착되는 델리네이터에 있어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 상기 반사체를 장착하여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 및 결합 부재,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는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는 탄성 장착부, 상기 탄성 장착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직교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타단이 일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타측면이 부착 결합되는 부착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델리네이터{Delineator}
본 발명은 가드레일, 중앙분리대, 중앙분리선 등에 설치되는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드레일 등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으로 접혀진 후 복원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지 커버를 적용하여 일단 결합 장착된 반사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구성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반사체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선 유도용의 델리네이터는 야간에 반사체에 비춰지는 불빛을 여러 각도로 산란 반사시켜 고휘도를 갖게 함으로써 시인성을 증대시키고 이에 의해 시야가 어두운 야간에 장애물 등을 멀리 표시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것으로, 차도의 중앙과 측방에 형성되는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 또는 중앙분리선 부분에 설치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헤드부와 지지부 및 받침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에는 차량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체가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델리네이터는 반사체를 고정시키는 원판형의 헤드부는 물론, 지지부가 스틸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주행중인 차량의 작은 충격이나 재설작업 또는 도로 보수 공사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파손 또는 훼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델리네이터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깨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델리네이터의 유기 보수에 상당한 비용과 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047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의 델리네이터는 가드레일 등에 안정적이면서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일방향으로만 접혀지고 원복될 수 있을 뿐 비틀림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여전히 파손 가능성이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사체를 체결을 위한 절차가 요청되고 있어서, 반사체의 결합 및 교체를 위하여 필요 이상의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0476호(공고일자 : 2006년 06월 26일, 고안의 명칭 :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드레일 등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으로 접혀진 후 복원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일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으로 폴딩 및 복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 방식 등으로 반사체가 장착 및 결합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완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장착으로 통하여 완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반사체가 용이하게 장탈착 가능하도록 하고, 지지 커버를 적용하여 일단 결합 장착된 반사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구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충격에 의한 반사체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파손된 반사체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체 부착 반대쪽 면인 지지 커버의 배면에도 반사지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델리네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장착되는 델리네이터에 있어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 상기 반사체를 장착하여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 및 결합 부재,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는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는 탄성 장착부, 상기 탄성 장착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직교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타단이 일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타측면이 부착 결합되는 부착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장착부, 상기 탄성 연결부 및 상기 부착 결합부는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연결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탄성 연결부와 함께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에 의하면, 가드레일 등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으로 접혀진 후 원복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일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으로 폴딩 및 복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 방식 등으로 반사체가 장착 및 결합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완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장착으로 통하여 완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반사체가 용이하게 장탈착 가능하도록 하고, 지지 커버를 적용하여 일단 결합 장착된 반사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구성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충격에 의한 반사체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파손된 반사체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체 부착 반대쪽 면인 지지 커버의 배면에도 반사지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10), 상기 반사체(10)를 장착하여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 또는 중앙분리선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 및 결합 부재(90),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체(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체(10)는 차량 등에서 비추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에 장착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즉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결합 장착된 상태로 함께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반사체(10)를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결합 장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일단 장착되면,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결합 장착된다. 상기 반사체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결합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 커버(20)를 채택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와 같이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결합 장착되되, 상기 반사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함께 결합 장착되되, 상기 지지 커버(20)에 의하여 상기 반사체(1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체(10), 상기 지지 커버(20) 및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고정 장착한 상태로 가드레일, 중앙분리대, 중앙분리선 등에 고정 결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반드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힘과 비틀림 동작이 가능하고 다시 원래 상태로 원복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차량 등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등)으로 접혀질뿐 아니라, 비틀림 동작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을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기본적으로 상기 반사체(10) 및 상기 지지 커버(20)를 장착 고정하는 탄성 장착부(30), 상기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 또는 중앙분리선에 부착 결합되는 부착 결합부(70) 및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상기 부착 결합부(70)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안정적으로 장착하되,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한다. 즉,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기본적으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전면 또는 배면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함으로서, 상기 반사체(10)가 안정적으로 장착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형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전체적으로 원판형인 경우, 상기 원판형의 반사체(30) 및 지지 커버(20)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원형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상기 부착 결합부(70) 사이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접힘과 비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탄성 연결부(5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장착된 반사체(10)가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지고 복원될 수 있도록 얇은 판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얇은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평행하게 배치 형성되고, 상측단에 해당하는 일단은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하측단에 해당하는 타단은 상기 부착 결합부(7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상기 부착 결합부(70)를 상호 연결하고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연결부(50)가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평행하도록 하여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상기 부착 결합부(7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결합 장착되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수평 방향(차량 이동 방향)으로 폴딩되고 복원될수 있고, 더 나아가 비틀림 동작이 좀 더 용이하게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하측단에서 상측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기 부착 결합부(70)에 일체 연결되는 타단에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일체 연결되는 일단으로 가면서 판의 너비가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통해,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그 상단을 통해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반사체(10)를 장착하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와 이격된 부분에 해당하는 그 하단을 통해 주로 폴딩과 복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폴딩과 복원 동작이 좀 더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부착 결합부(70)는 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면에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가드레일 등에 면 접촉되어 고정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 결합부(70)는 상기 탄성 연결부(50)에 대략 직교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타단이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 또는 중앙분리선에 타측면이 부착 결합된다.
상기 부착 결합부(70)는 상기 가드레일 등에 타측면이 면 접촉된 상태로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부착 결합부(70)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결합부(70)가 상기 가드레일 등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삽입한 후 체결함으로써, 상기 체결구가 상기 가드레일 등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부착 결합부(70)는 상기 가드레일 등에 면접촉 상태로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가드레일(1) 등에 결합되어 차량 등의 충격이 있더라도,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 등)으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고 다시 원래 상태로 원복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있는 경우 접힘 상태로 갔다가 다시 복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50)만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것에 대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채택 적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탄성 재질을 통하여 동시에 일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는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한 번에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구성하는 상기 탄성 장착부(30), 상기 탄성 연결부(50) 및 상기 부착 결합부(70)는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탄성 재질로 동시에 형성되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사출 성형 등으로 형성한 후, 작업자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하여 상기 탄성 재질의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장착된 상태로 완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 후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장착 고정함으로써 완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금형 등에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하여 상기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의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장착된 상태로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도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상기 탄성 장착부(30)로부터 이탈시키고, 새로운 반사체(10)와 지지 커버(20)로 교체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100)에 의하면, 가드레일(1) 등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 비틀림 방향을 포함한 360도 방향)으로 접혀진 후 복원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지지 커버(20)에 의하여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결합 장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델리네이터에 충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반사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델리네이터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빈번한 교체로 인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1) 등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하면서 상기 델리네이터(100)에 충격을 가하면, 상기 델리네이터(100)는 화살표 전방 방향으로 접혀진 후 다시 원래 상태(세워진 상태)로 복원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의 판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평행하도록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충격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접혀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의 화살표 방향(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도 8에서 지면을 뚫고 지나가는 방향(수직 방향, 사선 방향 등)과 비틀림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도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수평 방향, 수직 방향, 사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접힘 동작이 용이하게 발생해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차량이 상기 반사체(10)의 상측 끝단 또는 하측 끝단에 충격을 가하고 지나가는 경우, 상기 델리네이터(100)는 접힘 동작뿐만 아니라 비틀림 동작도 함께 발생하는 것이 자동차의 충격을 잘 받아내고 완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연결부(50)를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더 나아가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평행하도록 배치 형성하며, 더 나아가 일단(상측단)에서 타단(하측단)으로 가면서 판의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가 가드 레일 등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되, 너무 강한 충격을 받으면, 폴딩이 너무 많이 이루어져서 상기 반사체(10) 또는 지지 커버(20)가 상기 가드 레일 등에 부딪혀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가 너무 과도하게 접혀져서 상기 반사체(10) 또는 지지 커버(20)가 가드 레일 등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상기 판 형상을 가지는 탄성 연결부(50)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부(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토핑부(55)는 상기 탄성 연결부(50) 부분이 접혀져서 반사체 부분이 폴딩되되, 너무 과하게 폴딩되면, 상기 부착 결합부(70)에 스토핑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사체(10) 또는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스토핑부(55)에 의하여 어느 정도까지만 폴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가드 레일 등에 부딪힐 수 없기 때문에 파손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핑부(55)는 상기 판 형상의 탄성 연결부(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연결부(50)와 동일한 재질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부(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토핑부(55)는 상기 탄성 연결부(50)와 함께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핑부(55)는 판 조각 형태로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되, 반드시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탄성 연결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비틀림 동작이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핑부(55)는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비틀림 동작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판 조각 형상의 스토핑부(55)가 수평 방향(탄성 연결부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탄성 연결부의 비틀림 동작을 크게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핑부(55)는 상대적으로 비틀림 동작의 방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 연결부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 연결부(50)는 상기 판 형상의 부착 결합부(70)에 일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연결부(50) 자체만의 접힘으로 폴딩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 연결부(50)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고, 이로 인하여 탄성 연결부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폴딩 과정에서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고, 폴딩이 좀 더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방향으로의 폴딩이 더욱더 용이해질 수 있도록, 폴딩 강화부(75)를 개재시켜 상기 탄성 연결부(50)를 상기 부착 결합부(70)에 연결한다.
상기 폴딩 강화부(75)는 판 형상의 부착 결합부(70)의 중앙 부분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 올라 형성되고, 반드시 내부가 비어 있는 볼록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폴딩 강화부(7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형상의 부착 결합부(70)의 하부면(타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하측 개방부(77)를 포함하고, 이 하측 개방부(77)에서 상측 방향(탄성 연결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솟아올라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을 받게 되면, 상기 폴딩 강화부(75)의 변형과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접힘 동작이 서로 연계 및 협동됨에 따라, 용이하게 폴딩되고 복원되는 동작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폴딩 강화부(75)를 채택 적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델리네이터의 폴딩이 좀 더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연결부(50)의 부하 및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직 방향 또는 경사 방향(도 8에서 지면 방향)으로의 폴딩 동작을 더욱더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비틀림 동작 역시 강화될 수 있는 장점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델리네이터에 의하면, 차량 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폴딩 및 복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10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를 성형한 후,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완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하여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의 탄성 장착부(30)에 장착된 상태로 완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필요성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결합 장착되는데,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가 상기 탄성 장착부(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의 탄성 장착부(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야 하고, 일단 장착이 되면 작업자에 의하여 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10)와 지지 커버(20)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의 탄성 장착부(30)의 구조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대한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일단 장착 결합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10)는 실질적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부분에 해당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감싸서 고정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본체(11)의 둘레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1)의 후면(11b) 방향(도 6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13)와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외측면(13c) 방향(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1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반사체(10)는 실질적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부분에 해당하는 원판형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둘레면에서 일체로 상기 본체의 후면(11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13)와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끝 부분에서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면(13c)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연장부(13)는 그 자체로만 보면 원형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직 연장부(15) 역시 그 자체로만 보면 원형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수직 연장부(15)가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수평 연장부(13)와 상기 수직 연장부(15)는 상기 반사체(1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의하여 감싸져서 고정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6에서 상기 반사체(10)를 구성하는 본체(11)는 검정색의 이점 쇄선으로 구획하였고, 상기 수평 연장부(13)는 연두색의 점선으로 구획하였으며, 상기 수직 연장부(15)는 일점 쇄선으로 구획하였다. 다만, 서로 접하는 부분은 다른 쪽 부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연장부의 전면(13a)을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일부분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본체(11)의 일부분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반사체(10)를 고정 지지한 상태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결합 장착되는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의 배면측에 접촉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후면(11b)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내측면(13d)과 함께 밀폐 공간부(19)를 형성시키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반사체(10)를 복수의 방향으로 고정 지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베이스(21)의 둘레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21)의 외측 방향(도 6에서 수직 연장부(15)가 돌출된 방향이고 수직 연장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23)와,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의 배면측을 덮는 부분에 해당하는 원판형의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둘레면에서 일체로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23)와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 부분 근처에서 상기 반사체(10)의 본체(1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원판형 형상을 가지고, 기본적으로 상기 반사체(10)의 배면측을 커버하여 상기 밀폐 공간부(19)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1)는 그 테두리 부분의 내측면이 상기 반사체(10)의 수평 연장부(13)의 배면(13b)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베이스(21)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배면(13b)을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21)의 둘레면에는 상기 수직 연장부(15)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부(23)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부(23)는 상기 베이스(21)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수직 연장부(15)가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수직 연장부(15)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부(23)는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접촉 지지한 상태로 후술할 상기 탄성 장착부에 형성된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수직 지지부(23)를 구비하는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를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안정적으로 결합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반사체(10)를 좀 더 견고하고 안정적이면서 균형있게 지지할 필요가 있고, 더 나아가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결합 장착된 상태가 더 안정적이고 견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 부분 근처의 내측면(본체(11)에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반사체(10)의 본체(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 지지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부(25)는 상기 수평 연장부의 내측면(13d)을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후면(11b)에 접촉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 공간부(19)는 상기 본체의 후면(11b), 상기 베이스(21)의 내측면(본체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수평 지지부(25)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커버(20)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배면(15b)과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배면(13b)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 연장부의 내측면(13b)까지 접촉 지지한 상태로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결합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체(10)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의한 결합 장착 상태를 좀 더 안정적이면서 균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부(23)는 그 자체로만 보면 원형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평 지지부(25) 역시 그 자체로만 보면 원형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수직 지지부(23)는 상기 베이스(21)의 둘레 부분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25)는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 부분 근처 내측면을 따라 반사체의 본체(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수직 지지부(23)와 상기 수평 지지부(25)는 상기 반사체(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접촉 지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23)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형성된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접촉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 지지부(25)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배면(13b)을 접촉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 커버(20)가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탈부착이 용이하며, 한번 장착되면 작업자가 강한 힘으로 이탈시키지 않는 이상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90)의 탄성 장착부(30) 역시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 연장부(13)와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접촉하여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삽입 수용하여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형 띠 형상을 가지되, 반드시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를 구비한다. 즉, 상기 탄성 장착부의 내측면(30d)에는 상기 수직 연장부(15)가 삽입되어 밀착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상기 반사체(10)의 테두리 부분을 강하게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형 띠 형상을 가지되, 상기 반사체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외측면(13c)과 상기 수직 연장부(15)의 노출면, 즉 상기 수직 연장부의 전면(15a), 상기 수직 연장부의 외측면(15c)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배면(15b)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역시 상기 지지 커버(2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되, 반드시 상기 지지커버(20)의 수직 지지부(23)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즉, 상기 탄성 장착부의 내측면(30d)에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와 별도로 상기 수직 지지부(23)가 삽입되어 밀착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의 깊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커버(20)의 수직 지지부(23)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에 삽입 배치된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장착부(30)는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의 테두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원형 띠 형상을 가지며, 내측면(31d)에 상기 수직 연장부(15)를 밀착시켜 삽입 수용시킬 수 있는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수직 지지부(23)를 밀착시켜 삽입 수용시킬 수 있는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를 구비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체(10)의 수직 연장부(15)가 상기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32)에 삽입되도록 상기 반사체(10)를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커버(20)의 수직 지지부(23)가 상기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34)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 커버(20)를 상기 탄성 장착부(30)에 장착하면,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920)는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장착부(30)의 전면(31a)은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전면(13a)보다 후측(도 6에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장착부(30)의 전면(31a)이 상기 수평 연장부(13)의 전면(13a)보다 후측(도 6에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 장착부(30)가 차량 등에 의하여 직접 타격받는 것을 최소화시켜서 상기 탄성 장착부(30)가 상기 반사체(10)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델리네이터에 의하면, 상기 반사체(10)와 상기 지지 커버(2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도 있고, 일단 결합 장착된 반사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기고, 파손된 반사체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커버(20)는 전면 방향(본체(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13)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25)와 별개로, 상기 베이스(21)의 외측면 측에는 오목부(27)를 더 형성시킨다. 상기 오목부(27)는 상기 베이스(21)가 원형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자신도 역시 오목한 원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21)에 형성되는 오목부(27)는 상기 탄성 장착부(30)의 배면(31b) 근처의 상기 탄성 장착부의 내측면(31d)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베이스(21)의 외측면(본체(11)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오목부(27)에는 반사지가 부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반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커버(20)의 베이스(21) 외측면에 상기 오목부(2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사체(10) 부착 반대쪽 면에도 반사지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 : 가드레일 3 : 지주
10 : 반사체 11 : 본체
11b : 본체의 후면 13 : 수평 연장부
13a : 수평 연장부의 전면 13b : 수평 연장부의 배면
13c : 수평 연장부의 외측면 13d : 수평 연장부의 내측면
15 : 수직 연장부 15a : 수직 연장부의 전면
15b : 수직 연장부의 배면 15c : 수직 연장부의 외측면
19 : 밀폐 공간부 20 : 지지커버
21 : 베이스 23 : 수직 지지부
25 : 수평 지지부 27 : 오목부
30 : 탄성 장착부 31a : 탄성 장착부의 전면
31b : 탄성 장착부의 배면 31d : 탄성 장착부의 내측면
32 : 수직 연장부의 삽입 공간부 34 : 수직 지지부의 삽입 공간부
50 : 탄성 연결부 55 : 스토핑부
70 : 부착 결합부 75 : 폴딩 강화부
77 : 하측 개방부 90 : 장착 및 결합 부재
100 : 델리네이터

Claims (3)

  1.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장착되는 델리네이터에 있어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 상기 반사체를 장착하여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 및 결합 부재,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및 결합 부재는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반사체와 상기 지지 커버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는 탄성 장착부, 상기 탄성 장착부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상기 탄성 장착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직교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타단이 일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에 타측면이 부착 결합되는 부착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델리네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착부, 상기 탄성 연결부 및 상기 부착 결합부는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델리네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탄성 연결부와 함께 탄성 재질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델리네이터.
KR1020170069687A 2017-06-05 2017-06-05 델리네이터 KR2018013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87A KR20180133129A (ko) 2017-06-05 2017-06-05 델리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87A KR20180133129A (ko) 2017-06-05 2017-06-05 델리네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29A true KR20180133129A (ko) 2018-12-13

Family

ID=6467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687A KR20180133129A (ko) 2017-06-05 2017-06-05 델리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1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472B1 (ko) * 2023-01-25 2023-10-17 주식회사 하이큐 탄력 델리네이터
KR20230156586A (ko) * 2022-05-06 2023-11-14 이정락 가이드레일용 델리네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6586A (ko) * 2022-05-06 2023-11-14 이정락 가이드레일용 델리네이터
KR102590472B1 (ko) * 2023-01-25 2023-10-17 주식회사 하이큐 탄력 델리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928B1 (ko) 안전 가이드레일
KR20180133129A (ko) 델리네이터
KR200420476Y1 (ko)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
KR101932850B1 (ko) 델리네이터
KR10185049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충격흡수 조립식 볼라드
KR20190036939A (ko) 델리네이터
KR20180127733A (ko) 델리네이터
KR20190009491A (ko) 델리네이터
KR200391857Y1 (ko) 복원력을 갖는 도로표시용 델리네이터
US9114837B2 (en) Force-deflecting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for protecting against an impact of a curb edge against an underside of the motor vehicle
KR20190036940A (ko) 델리네이터
KR20180133130A (ko) 델리네이터
KR20190019318A (ko) 델리네이터
KR20110033700A (ko) 도로 반사경
US8162492B2 (en) Foldable delineator
KR102238512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KR101884192B1 (ko) 탄성 볼라드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KR200343200Y1 (ko) 합성수지 델리니에이터
KR101019603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101324682B1 (ko) 반사수단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100631921B1 (ko) 합성수지 델리니에이터
KR20130122992A (ko) 반사지의 훼손방지를 위한 델리네이터 제조방법
KR100530371B1 (ko) 건축용 교통 안전 조명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