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67A -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 Google Patents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67A
KR20180132367A KR1020170069202A KR20170069202A KR20180132367A KR 20180132367 A KR20180132367 A KR 20180132367A KR 1020170069202 A KR1020170069202 A KR 1020170069202A KR 20170069202 A KR20170069202 A KR 20170069202A KR 20180132367 A KR20180132367 A KR 2018013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weight
coating composition
diacrylate
urethan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만
남봉수
김진경
이장우
안인수
신동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06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367A/ko
Publication of KR2018013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9Overcoatings
    • G02F2001/13351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40 중량%,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중량% 내지 2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 광개시제 1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COATING COMPOSITION AND ANTISCATTERING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들의 요구사항도 점점 고급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부터 하드웨어에 이르기까지 그러한 요구사항에 부응하고자 나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고급화의 하나의 전략으로, 하드웨어 부분의 경우, 화면의 대형화가 되어 가고, 디자인 요소의 가미를 통해 제조사 마다 독특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고급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특히 디스플레이는 소프트웨어, 즉 컨텐츠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넓고 선명한 화면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손에서 자유롭게 취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대형화는 넓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반면에, 기존의 소형 모바일 기기에 비해 파지감(grip)이 저하되고, 커버글래스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파손의 우려가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파손 시 커버글래스의 비산을 방지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이를 위한 장치로 커버글래스 뒷면에 비산방지막(필름)을 부착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비산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접착특성 및 유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기에 특화된 모바일 기기용 비산방지막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9-0004942호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신율, 유연성 및 유리 비산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비산방지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40 중량%,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중량% 내지 2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 광개시제 1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비산방지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유리 및 소재의 층간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막의 유연성 및 신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유리 비산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40 중량%,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중량% 내지 2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 광개시제 1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유리 및 소재의 층간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막의 내열탕성, 열충격성, 유연성 및 신율 등의 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리 비산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유리 및 소재에 대한 부착성, 도막의 유연성 및 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비산방지 효과가 떨어질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유연성, 내마모성, 경화성 및 층간 접착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특히 도막의 유연성 및 신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내지 4000 g/mol, 구체적으로는 2500 내지 35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교효율 및 분자간 결합력이 낮아져 비산방지 효율이 떨어질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반응이 늦어 층간 부착력 및 점도 상승에 따른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켐톤㈜의 CHTU-2942T 등을 들 수 있다.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유리 기재와 함께 사용시, 유리 비산방지 및 표면 경도를 부여할 수 있고, 유리 및 층간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외관 및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유연성 및 층간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특히 유리 비산방지 및 표면 경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내지 4000 g/mol, 구체적으로는 2500 내지 30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교효율 및 분자간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반응이 늦어 접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CHTU-2262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 및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의 중량비는 1:0.3 내지 1:1.2의 범위, 구체적으로 1:0.4 내지 1:0.6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중량비가 상기 범위에 벗어나는 경우, 비산 성능이 저하되고 표면경도, 및 기재 및 도료의 층간 부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가교도 및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가교도 및 부착력, 도장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비산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상기 효과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관능기가 1 내지 6개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β-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포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알콜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라디칼 반응을 부여하고, 빠른 경화성과 높은 가교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흡수 및 라디칼 반응 효과가 저하되고 경화성 및 가교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광 경화 반응이 많이 되어 단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파괴되어 접착 및 마모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보통 250 - 450nm의 자외선 영역의 흡수대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벤질 디메틸케탈계 안트라퀴논계 및 티옥산톤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중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하이드록시 1,2-디퍼페닐 에타논, 2-에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이소프로필 1,2-페닐 에타논, 2-부톡시 1,2-디페닐에타논, 2-이소부톡시 1,2-디페닐에타논, 2,2-디메톡시 1,2-디페닐 에타논, 2,2-디부톡시 1-페닐 에타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 디메톡시 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 2-메틸 프로파논, 2-메틸 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 프로파논, 2-벤질 2-디메틸아미노 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 및 3,6-비스(2-메틸-2-모르폴리노-프로파노닐)-9-부틸카바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레벨링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n-헵탄, 톨루엔, 자일렌, 석유계 화합물 및 n-헥산 등의 비극성 용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의 극성 용제; 및 상기 비극성 용제와 극성 용제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을 수지의 특성이나 휘발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비극성 용제 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극성 용제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비극성 용제 : 극성 용제를 1:0.1 내지 1:1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레벨링성 부여 및 도장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표면장력을 이용한 레벨링 및 표면 슬립성 부여를 위해 실리콘계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첨가제는 점도가 25℃에서 약 90 내지 110 cSt의 범위인 유기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첨가제는 유기 치환체가 예를 들어 메틸, 비닐 또는 페닐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디메틸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첨가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레벨링 및 표면 슬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물성 특성을 저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료, 증량제, 접착 촉진제, 열안정제, 난연제, UV 안정제, 사슬연장제, 충전제 및 수분제거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비산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산방지막은 상기 도료 조성물이 기재 상에 직접 도포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기재상에 적층 또는 부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료 조성물을 기재, 예를 들어 유리 기재, 유리 기재 상에 도포된 프라이머층 또는 차폐층이나 차폐칼라층 등의 기타 수지층에 직접 도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포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스핀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포 공정 이후, 건조 또는 경화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경화나 열경화를 단독으로, 또는 광경화 이후 열경화, 열경화 이후 광경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통상의 방법으로 필름 타입으로 제조되어 유리 기재 또는 목적하는 소재에 적층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막의 두께는 30 내지 50 ㎛일 수 있다. 만일 비산방지막의 두께가 30 ㎛ 미만일 때에는 비산방지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비산방지막의 두께가 50 ㎛ 보다 클 때에는 도막 뭄침에 의해 외관 불량이 쉽게 발생될 수 없다. 부수적으로, 용어 "비산방지 효과"는 파쇄된 유리가 비산방지막을 파괴하여 비산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료 조성물이 직접 도포되거나 필름형태로 적층된 비산방지막은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의 투명기재, 및 도포층간의 우수한 부착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막의 우수한 유연성 및 신율을 구현함으로써 유리가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비롯한 전자 기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각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형분 함량이 100 중량%인 관능기가 2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g/mol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HTU-2942T) 30 중량%, 고형분 함량이 100 중량%인 관능기가 3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g/mol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HTU-2262) 1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중량%, 광개시제로서 이라큐어 651(IRACURE 651) 2.5중량%, 용제로서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20 중량% 및 톨루엔 21.5 중량%, 및 첨가제로서 고형분 함량이 100 중량%인 실리콘계 첨가제(GLIDE 410) 1 중량%를 사용하였다.
<도막 제조>
유리 기재상에 글라스 프라이머 조성물(KCC / AP1810-Safty Primer)을 4 내지 6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고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에 차폐용 칼라 조성물 (KCC/ AT5800-Safty Black)을 10 내지 15㎛의 건조도막을 갖도록 코팅하고 건조하여 차폐 칼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차폐칼라층에 상기 도료 조성물을 30 내지 50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장한 후, UV경화기를 이용하여 800 - 1200mj/㎠ 의 조사량으로 경화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 조성물에서 관능기가 2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40 중량%로 변경하고,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 조성물에서 관능기가 2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20 중량%로 변경하고,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2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실시예 4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 조성물에서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 관능기가 2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g/mol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실시예 5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 조성물에서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 관능기가 3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g/mol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이 관능기가 2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g/mol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45 중량%을 사용하고,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과 같이 관능기가 2개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g/mol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45 중량%을 사용하고,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X-커팅(cutting) : 1mm 간격으로 선을 그어 테이프 착탈
바둑눈 2/3 이상 박리여부 관찰
2) 열충격 : 85 ℃ 2시간 -> -40℃ 2시간 18사이클.
도막 박리, 변색 및 외관불량 관찰
3) 내열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도막을 80℃ 열탕기에 30분간 디핑하여 외관 및 부착성 확인 -도막 박리 및 변색 관찰
4) 비산방지 : 인장 속도는 300mm/min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결착한 후, 200g의 금속 볼을 300m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유리를 깨뜨리고 필름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1-4 : 나쁨, 5-7 : 보통, 8-10 : 우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고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A 30 40 20   30 45   2관능 Mw=3000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       30     45 2관능 Mw =5000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A 15 5 25 15       3관능 Mw =3000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         15     3관능 Mw =2000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10 10 10 10 10 10 10  
광개시제 2.5 2.5 2.5 2.5 2.5 2.5 2.5  
톨루엔 21.5 21.5 21.5 21.5 21.5 21.5 21.5  
메틸이소부틸케톤 20 20 20 20 20 20 20  
실리콘 첨가제 1 1 1 1 1 1 1  
총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건조도막(㎛) 40㎛ 40㎛ 40㎛ 40㎛ 40㎛ 40㎛ 40㎛  
X-CUTTING 10 9 10 8 9 8 9
열 충 격 10 9 6 7 10 10 4
내열탕성 10 7 10 6 8 5 8
비산방지 10 10 10 8 8 8 6
상기와 같이 본원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에 비하여, X-커팅(cutting)성, 열충격, 내열탕성, 및 비산 방지성이 모두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관능기가 2 내지 3개인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40 중량%,
    관능기가 2 내지 4개인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중량% 내지 2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
    광개시제 1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중량%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1:0.3 내지 1:1.2의 범위인 것인 도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4000 g/mol이고,
    상기 제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4000 g/mol인 것인 도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β-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포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알콜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도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료 조성물.
  6. 청구항 1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비산방지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막의 두께는 30 내지 50 ㎛인 것인 비산방지막.
KR1020170069202A 2017-06-02 2017-06-0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KR20180132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02A KR20180132367A (ko) 2017-06-02 2017-06-0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02A KR20180132367A (ko) 2017-06-02 2017-06-0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67A true KR20180132367A (ko) 2018-12-12

Family

ID=6467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02A KR20180132367A (ko) 2017-06-02 2017-06-0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434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도료, 도막, 및 필름
KR101725026B1 (ko)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JP5396028B2 (ja) 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および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を用いた光輝性樹脂製品
KR20150060562A (ko)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954B1 (ko)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KR101791232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20110104663A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040659B2 (ja) 紫外線吸収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50040260A (ko)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KR20180132367A (ko)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막
KR20160137862A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데코시트
KR101614076B1 (ko) 재박리용 아크릴계 점착제 겸 이형제 조성물
KR101556015B1 (ko) 적외선 차단 하드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470468B1 (ko) 플라스틱 필름
EP2743310B1 (en) Photochromic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28556A (ko)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KR101907237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20078457A (ko)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적층체
KR20000021804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 필름
JP2021055101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KR20180138049A (ko) 적층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70000456A (ko)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의 제조방법
KR20200038692A (ko)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uv 가변형 점착 보호필름
KR102188402B1 (ko) 접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소재
CN112852200B (zh) 一种光致变色涂料及其制得的光致变色涂层和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