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556A -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556A
KR20160028556A KR1020140116857A KR20140116857A KR20160028556A KR 20160028556 A KR20160028556 A KR 20160028556A KR 1020140116857 A KR1020140116857 A KR 1020140116857A KR 20140116857 A KR20140116857 A KR 20140116857A KR 20160028556 A KR20160028556 A KR 2016002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lf
mpa
restor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638B1 (ko
Inventor
조홍관
홍주희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1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6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기재층, 및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모듈러스가 60Mpa 내지 800Mpa이고, 경도 10Mpa 내지 100Mpa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OPITICAL SELF-HEALING FILM}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을 제공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면은, 취급시에 상처가 나지 않게, 내찰상성이 부여되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포함하는 기재에 하드코팅층 추가하거나, 반사 방지성이나 방현성을 구현하는 추가층을 적층하여, 화상 표시장치의 화상 표시면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구부러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많이 사용하는바, 유동성 있는 디스플레이에 적용가능하면서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소재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모듈러스가 약 60Mpa 내지 약 800Mpa이고, 경도 약 10Mpa 내지 약 100Mpa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자기복원층은 반응성 모노머,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 약 5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약 50중량부 내지 약 9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약 0.5중량부 내지 약 1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or 수평균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불포화 이중결합(C=C), 이소시아네이트기(?CO), 히드록시기(-OH), 에테르 결합(-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2 관능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층의 두께는 약 10um 내지 약 50um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투과율은 약 8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헤이즈 값은 약 0.1%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필름은 물리적 변형에 대해 우수한 자기복원 능력을 가지며, 광학적으로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가능 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간경과에 따른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복원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모듈러스가 60Mpa 내지 800Mpa이고, 경도 10Mpa 내지 100Mpa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을 제공한다.
최근 터치패널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wearable) 형태, 구부러질 수 있는(curved) 형태로 진화함에 따라 화상 표시면이 외부에 의한 물리적 변화, 즉 스크래치, 긁힘 등에 취약하게 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최외각 소재로 평편하며 강도있는 유리를 사용하는 형태에서 플라스틱 소재 또는 유리와 플라스틱을 함께 쓰는 형태로 바뀌게 되어 스크래치에 강한 플라스틱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경도가 향상된 필름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나,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형태의 구조에서는 필름의 높은 경도가 필름의 내부의 크랙을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화상표시면에 긁힘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긁힘이 스스로 치유되는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는바, 상기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은 화상표시면에 자기복원층을 도입함으로써 긁힘에 대해 자기치유가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100)은 기재층(10), 및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20)의 적층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100)은 모듈러스가 약 60Mpa 내지 약 800Mpa이고, 경도 약 10Mpa 내지 약 100Mpa일 수 있다.
상기 모듈러스는 자기복원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나노압입시험 방법(나노인텐터, 나노메케닉스)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스가 클수록 자기 복원 능력이 우수한 것을, 작을수록 자기복원 능력이 미약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필름의 모듈러스가 약 60MPa 미만인 경우 자기복원 기능이 지연될 우려가 있고, 약 800MPa를 초과하는 경우 자기복원 기능이 상실되어 영구히 스크래치가 남거나 또는 휘어짐에 의한 내부크랙 발생의 문제점이 있는바,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신속하게 자기 복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경도(hardness)는 필름의 딱딱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술한 나노압입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경도가 클수록 필름의 경도가 향상되는바, 높은 경도로 인해 외부에 의한 충격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상기 경도가 약 10Mpa 미만인 경우 스크래치가 너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고, 약 500Mpa를 초과하는 경우 유연성 부족으로 인해 필름 자체가 휘거나 말리는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내부 손상으로 인한 자기복원층의 갈라짐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범위의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필름화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필름(100)은 모듈러스와 경도를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빠른 자기복원 능력과 동시에 필름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물리적 변형에 대해 우수한 자기복원 능력을 가지며, 광학적으로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가능 하다.
상기 자기복원층(20)은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층으로, 긁힘, 스크래치 등 발생시 별도의 처리 없이 자가치유가 가능하다.
상기 자기복원층은 반응성 모노머,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복원층은 반응성 모노머,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을 형성한 후, 기재층 위에 상기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자외선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바, 상기 자기복원층으로 인해 광학적 특성 구현과 동시에 자기 복원이 가능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시간경과에 따른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복원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자기복원 필름이 상기 물리적 변형에 의해 복수의 홈부, 또는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였으나, 약 2초 이내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가능하며 복원된 필름은 우수한 광학적 성질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싸이크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크로펜테닐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관능 모노머이거나,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2관능 모노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모노머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0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3관능 모노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일 수 있는바, 상기 반응성 모노머를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자기복원층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는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α-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페닐에테르, α-아실옥심 에스테르, α,α-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안트라퀴논, 2-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ρ-클로로벤조페논, 벤질 벤조에이트, 벤조일 벤조에이트 및 미클러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는바, 상기 범위의 광중합 개시제 함량을 유지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시 미경화나 미반응 개시제의 잔류 없이 자기복원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통상적인 용제로 알려진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자기복원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높이고, 경화 과정에서 소요 시간이 단축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자기복원층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자기복원 조성물은 레벨링제, 촉매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 3개 내지 약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50중량부 내지 약 9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능기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기를 의미하는바, 상기 아크릴레이트기는 상기 올리고머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5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자기복원 기능이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약 9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약 3개 내지 약 6개의 제1 관능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필름(100)이 종래 광학용 필름보다 향상된 모듈러스 및 경도 값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물리적 변형에 의한 자기 복원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능기가 약 3개 미만인 경우 가교도가 낮아서 충분한 경도를 구현하지 못할 수 있고, 약 6개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높은 가교도로 인해 모듈러스가 과도하게 증가한다는 면에서 불리한바, 상기 제1 관능기 개수를 유지함으로써 모듈러스 및 경도의 특성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올리고머의 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자기 복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불포화 이중결합(C=C), 이소시아네이트기(?CO), 히드록시기(-OH), 에테르 결합(-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2 관능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능기는 상기 제1 관능기 외에 상기 올리고머가 포함하는 관능기를 의미하고, 약 1개 내지 약 6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능기를 상기 개수만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모듈러스, 경도를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자기복원층의 자기 치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틸렌 글라이콜 세그먼트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올리고머가 상기 세그먼트를 포함함으로써 유연성(softness)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층(20)의 두께는 약 10um 내지 약 50um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층(20)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외부 물체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시 상기 자기복원층 전 단면에 걸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바 스크래치에 의한 자기복원 성능 저하의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운 경우 자기복원층이 미경화될 수 있는바,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하여 자기복원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의 강화유리와 같은 유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하고, 아울러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투과율이 적어도 약 90% 이상, 예를 들어 약 90% 내지 약 100%인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10)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필름은 다수의 제1 관능기 또는 제2 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기복원 조성물로 형성된 자기복원층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상기 범위의 모듈러스 및 경도를 구현하는바, 자기복원 특성 발현과 동시에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투과율은 약 8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헤이즈 값은 약 0.1%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이 상기 범위의 투과율 및 헤이즈 값을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장치에 활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6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84중량부, 광중합 개시제(Igacure 184) 6중량부를 포함하는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고형분 50%가 되도록로 용제(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하였다. 그 후, PET 필름 상부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350mJ/cm2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가 20um인 자기복원층을 형성하여 자기복원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기의 개수, 함량,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 상기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복원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 2300 2300 2200 6000 3600
올리고머 내 아크릴레이트기(개수) 6 6 4 2 9
올리고머 중량부 84 74 84 84 80
반응성 모노머 중량부 10 20 10 10 14
< 실험예 > - 자기복원 필름의 특성
1) 모듈러스 및 경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듈러스를 나노압입시험 방법으로 나노인덴터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투과율 및 헤이즈: NDH5000(Nippon Densuku사)를 이용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3) 자기복원 속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기복원 속도 값은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하여 브래스브러쉬(brass brush) 로 스크래치를 낸 후 회복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자기 복원성
1 2 3 평균
실시예1 모듈러스(Mpa) 59.87 70.49 71.53 67.30
경도(Mpa) 13.18 20.02 21.41 18.20
실시예2 모듈러스(Mpa) 91.23 92.34 80.04 87.87
경도(Mpa) 18.53 21.34 23.56 21.14
실시예 3 모듈러스(Mpa) 68.43 70.84 60.43 66.57
경도(Mpa) 12.80 15.54 16.87 15.07
비교예1 모듈러스(Mpa) 27.14 37.37 27.44 30.65
경도(Mpa) 5.98 6.23 6.3 6.17
비교예 2 모듈러스(Mpa) 5280 5189 5385 5284
경도(Mpa) 871.2 890.2 868.3 876.5
광학적 특성 자기복원 속도
투과율(%) 헤이즈(%) 스크래치 후 회복시간(초)
실시예1 85 2 1
실시예2 90 1.5 5
실시예 3 93 1 15
비교예1 70 3 복원안됨
비교예 2 65 5 복원안됨
상기 표 2, 표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모듈러스 평균값은 60Mpa 내지 800Mpa, 경도 평균값은 10Mpa 내지 500Mpa을 유지하는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낮은 모듈러스 및 경도 값, 비교예 2는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모듈러스 및 경도 값을 유지하였다.
이에, 올리고머가 포함하는 관능기 개수에 따라 모듈러스 및 경도 값이 조절되며,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자기 복원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가 낮게 측정되었는바, 광학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00: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10: 기재층
20: 자기복원층

Claims (8)

  1. 기재층, 및 물리적 변형에 대해 복원력을 갖는 자기복원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모듈러스가 60Mpa 내지 800Mpa이고, 경도 10Mpa 내지 100Mpa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복원층은 반응성 모노머,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복원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3개 내지 6개의 제1 관능기를 가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불포화 이중결합(C=C), 이소시아네이트기(?CO), 히드록시기(-OH), 에테르 결합(-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2 관능기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복원층의 두께는 10um 내지 50um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투과율은 80% 내지 95%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복원 필름의 헤이즈 값은 0.1% 내지 5%인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KR1020140116857A 2014-09-03 2014-09-03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KR10191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57A KR101919638B1 (ko) 2014-09-03 2014-09-03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57A KR101919638B1 (ko) 2014-09-03 2014-09-03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556A true KR20160028556A (ko) 2016-03-14
KR101919638B1 KR101919638B1 (ko) 2018-11-19

Family

ID=5554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857A KR101919638B1 (ko) 2014-09-03 2014-09-03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746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WO2018190647A2 (ko) 2017-04-13 2018-10-18 주식회사 쎄코 자가치유 기능 폴리비닐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3847A (ko) * 2018-08-27 2020-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체, 윈도우 필름 및 전자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5393A (ja) * 2000-11-09 2004-08-19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弾性光学構造体
KR20070056920A (ko) * 2006-08-02 2007-06-04 주식회사 카노텍 확산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0174125A (ja) * 2009-01-29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用組成物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30042362A (ko) * 2011-10-18 2013-04-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표면 보호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5393A (ja) * 2000-11-09 2004-08-19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弾性光学構造体
KR20070056920A (ko) * 2006-08-02 2007-06-04 주식회사 카노텍 확산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0174125A (ja) * 2009-01-29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用組成物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30042362A (ko) * 2011-10-18 2013-04-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표면 보호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746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WO2018190647A2 (ko) 2017-04-13 2018-10-18 주식회사 쎄코 자가치유 기능 폴리비닐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36470B2 (en) 2017-04-13 2021-10-05 Ceko Co., Ltd. Self-healing functional polyvinvyl-based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23847A (ko) * 2018-08-27 2020-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체, 윈도우 필름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638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41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51848B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1671431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70466B1 (ko) 적층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9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578914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1443845B1 (ko)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608557B1 (ko) 하드 코트 필름
KR101890005B1 (ko) 광학용 자기 복원 필름
JP201715675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画像表示装置
KR101436616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919638B1 (ko) 광학용 자기복원 필름
KR101614076B1 (ko) 재박리용 아크릴계 점착제 겸 이형제 조성물
KR20230158116A (ko) 광학 필름
JP6348972B2 (ja) 光硬化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てなる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偏光板
WO2022202337A1 (ja) 光学フィルム
WO2022202338A1 (ja) 光学フィルム
JP2012177050A (ja) 帯電防止樹脂組成物、及び帯電防止層を有するフィルム又は成型品
JP689591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102107876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22149456A (ja) 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