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03A -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03A
KR20180132303A KR1020170069053A KR20170069053A KR20180132303A KR 20180132303 A KR20180132303 A KR 20180132303A KR 1020170069053 A KR1020170069053 A KR 1020170069053A KR 20170069053 A KR20170069053 A KR 20170069053A KR 20180132303 A KR20180132303 A KR 2018013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point
coordinate system
dimensional coordinates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017B1 (ko
Inventor
허용철
Original Assignee
(주) 불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불페스 filed Critical (주) 불페스
Priority to KR102017006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06Theoretical aspects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파를 이용하고 TOF(Time Of Flight) 기술을 적용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를 통해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측정장치를 이용한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에 있어서, 제1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위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각 3차원 좌표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좌표 획득 방법{3D COORDINATE ACQUISITION METHOD}
본 발명은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파를 이용하고 TOF(Time Of Flight) 기술을 적용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를 통해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OF(Time Of Flight) 기술은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된 빛과 같은 전자기파가 대상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Phase)의 지연 등을 이용해 상기 대상체를 탐지하는 기술로서, 지형의 측량 분야 또는 대상체의 자세 제어 분야 등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리고 현재에는 위 분야 이외에도 건설, 로봇, 군사, 의료, 스포츠, AR, VR, 스케닝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TOF 기술 또는 TOF 측정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TOF 출력회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다이오드 등의 소자에 의해 레이저, 초음파, 적외선 등의 전자기파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전자기파 신호는 대상체에 입사된 후 반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대상체에서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가 수신 감지를 위한 센서에 수신됨으로써 기준 거리에 따라 상이 맺히는 위치 및 형태가 상이한 특징을 이용해 대상체까지의 거리 및 변위를 산출하게 된다.
대상체까지의 거리는 식 'd = c * tTOF/2'로 계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d는 '물체와의 거리', c는 '빛의 속도', tTOF는 '입사된 전자기파 신호가 대상체에 반사되어 수신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에 해당한다. 다만, 빛의 속도는 매우 빨라 시간 tTOF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조된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고 2개 이상의 위상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TOF 기술은 대상체나 특정 지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파 신호가 이동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한 정밀 광학장치, 신호 보정 메커니즘 등을 이용하여 스칼라값인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종래의 TOF 기술은 정밀한 신호 측정을 위해 측정장치 자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들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TOF 기술의 사용에 있어서 측정장치의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측정한 수치의 오차 범위가 커져 이를 보완하여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대상체가 길이가 긴 물체에 해당하거나 움직임이 있는 물체인 경우에는 단일 측정장치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며, 하나의 지점에 대한 측정이 아닌 대상체의 길이나 면적 등 입체적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측정장치가 필요한 현실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상체의 길이, 면적 등의 입체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서 대상체가 움직이거나 또는 측정장치를 고정시키지 않은 상황에서도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좌표를 산출하여 원하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TOF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더불어 좌표 등 측정장치가 측정한 결과값을 연동한 다른 장치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한 기술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TOF 기술을 이용한 측정장치가 대상체,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 및/또는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해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도출한 3차원 좌표들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길이, 크기, 곡선길이, 입체정보 및 측정장치의 이동정보 등을 도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장치를 이용한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에 있어서, (a) 제1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b)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위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한 각 3차원 좌표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좌표계에서의 각 3차원 좌표들을 제1좌표계로 치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좌표계에서의 각 3차원 좌표들을 제2좌표계로 치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로테이션 매트릭스(Rotation Matrix)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1
에 해당하며, 상기 RZ(α)는 Z축으로 회전한 α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Y(β)는 Y축으로 회전한 β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X(γ)는 X축으로 회전한 γ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s는 사인(sine), 그리고 c는 코사인(cosine)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1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1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1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2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2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2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는 외부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입력은 블루투스, Wi-Fi 또는 Z-웨이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설정되되, 입력되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는 제1좌표계에서의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 또는 측정장치의 이동 후 제2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이동을 가속도계, 각속도계, 영상처리센서 또는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좌표화함으로써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한 위치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후, 상기 획득된 측정장치, 제1지점 및 제2지점의 각 3차원 좌표들을 기준으로,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3차원 좌표들에 축소, 확대 또는 비율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은 2차원 화면 또는 3차원 공간에 해당하고, 측정결과를 상기 2차원 화면에 평면적으로 표현하거나 상기 3차원 공간에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장치는 전자기파 신호의 발광과 수광을 이용하며, TOF(Time Of Flight) 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기파 신호는 레이저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TOF 기술을 이용한 측정장치가 대상체,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 및/또는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까지의 길이뿐만 아니라 대상체의 길이, 크기, 곡선길이, 입체정보 및 측정장치의 이동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TOF 기술을 이용한 측정장치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움직임 제약을 해소하여 측정 방법 및 환경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체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대상체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어 측정 대상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3의 장치 또는 외부기기와 연동하여 좌표값 획득을 지원하거나 획득한 좌표값을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얻어진 좌표를 통해 해당 대상체를 제3의 화면 또는 공간에 형상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기술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의 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점과 제2지점 및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 측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지점들을 매핑하기 위한 전위벡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테이션 매트릭스 산출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 각속도계 및 변위센서를 이용한 3차원 좌표의 획득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 각속도계 및 변위센서를 이용한 3차원 좌표 획득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장치는 빛을 매체로 하므로 매우 빠른 측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센서를 접촉시켜야만 하는 기계식 측정 장치와 달리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이 가능하므로, 이동하는 물체나 고온의 물체 등 대상체의 특성과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레이저 빔과 같은 전자기파가 갖는 단색성, 직진성 및 집속 특성으로 인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데, 길이 측정의 원리는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지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는 삼각형의 결정조건과 유사하다.
따라서, 전자기파를 이용한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변위의 첫 번째 지점과의 거리, 두 번째 지점과의 거리 및 첫 번째 지점과 두 번째 지점 사이 회전각을 측정하면 계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변위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측정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하며, 전자기파와 TOF 기술을 적용한 측정장치를 통해 특정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응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편리하게 계측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b)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위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한 각 3차원 좌표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순서도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측면도가, 도 2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사시도가, 도 2c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는 각 구성들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장치는 휴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되어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까지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부품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전자기파 발광부(111)와 전자기파 수광부(112)를 포함하는 변위센서(110),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고정된 또는 이동하는 대상체의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 센서(120), 고정된 또는 이동하는 대상체의 각가속도를 산출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130), 고정된 또는 이동하는 대상체의 절대위치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140), 측정한 값들과 오차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해 측정장치와 대상체 사이의 거리,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거리 또는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산출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0) 및 상기 본체부 외부에 상기 결과값을 현시하는 출력부(200)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정장치는 본체부(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20) 및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대상체로의 전자기파 입사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2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 및 상기 결과값을 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 측정의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전자기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는 측정장치와 상기 전자기파 신호를 반사하는 대상체간의 TOF(Time Of Flight)를 통해 최초의 거리정보를 획득하여 제1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 및 벡터를 도출한다. 이후, 측정장치의 이동 및/또는 회전 등 움직임에 따른 이동좌표 및 이동벡터를 산출하고, 후속 전자기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함에 따라 제2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 및 벡터 산출해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본 방식에서 스칼라값인 거리정보를 벡터화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3개의 좌표 정보 및 3개의 각도 정보, 총 6개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3차원 상에 존재하는 물체는 기준 좌표계의 0점을 중심으로 (x, y, z) 좌표값을 가지며, 그 방위는 각축의 회전값 (α, β, γ)에 의해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파 신호로 처음 대상체를 포인팅한 좌표계를 기준 좌표계로 설정할 경우 이후 포인팅되는 좌표는 x, y, z축의 이동거리와 α, β, γ 회전각만 알면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 때, x, y, z 3축의 이동거리는 가속도계, 영상처리센서 또는 변위센서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회전각 α, β, γ는 각속도계와 가속도계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점과 제2지점 및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 측정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a는 측정장치가 고정된 3차원 좌표를 가지는 경우에 제1지점과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3b는 측정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즉,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할 때의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할 때의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가 상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에서 측정장치는 고정된 상태로 (0, 0, 0)의 3차원 좌표를 가지며, 제1지점은 (x1, y1, z1)의 3차원 좌표를 가지고, 제2지점은 (x2, y2, z2)의 3차원 좌표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장치와 제1지점까지의 거리 L1, 측정장치와 제2지점까지의 거리 L2, 그리고 끼인각 θ를 측정하면 제1지점과 제2지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제1지점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지 않고도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길이를 획득할 수 있으나, 또 다른 활용을 위해 각 지점들의 3차원 좌표가 필요한 경우에는 후술할 방식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도 있다.
반면, 도 3b은 측정장치가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1지점(P1)을 측정할 때의 측정장치의 위치와 제2지점(P2)을 측정할 때의 측정장치의 위치가 상이한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도 3b의 왼쪽 그림과 같이 제1지점(P1)을 측정할 때에는 제1좌표계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1지점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한 후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제2지점(P2)을 측정할 때에는 제2좌표계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2지점을 y축으로 설정한 후 3차원 좌표를 획득한다. 이 때 각각의 좌표계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지점의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하며, 중력 방향을 z축, 나머지 한 방향을 x축으로 설정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 제1좌표계를 중심으로 제2지점의 측정 포인트 즉,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2지점까지의 벡터는 1P2Tar이고, 상기 1P2Tar = 1P2Org + 2P2Tar로 계산되는데, 1P2Org는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이동벡터이고, 2P2Tar는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2지점까지의 벡터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제1좌표계에서의 벡터인 1P2Tar을 구하기 위해서는 제2좌표계에서의 벡터인 2P2Tar를 제1좌표계로 치환하지 않고서는 벡터합을 연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우측 도면과 같이 동일한 좌표계로 해당 좌표들을 치환하여 연산하기 위해 후술할 로테이션 매트릭스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2지점까지의 벡터 2P(또는 2P2Tar)는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통해 제1좌표계에서의 측정장치부터 제2지점까지의 벡터 1P(또는 1P2Tar)로 치환될 수 있다.
반대로, 경우에 따라서는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1지점까지의 벡터 1P1Tar를 제2좌표계에서의 벡터합을 위해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1지점까지의 벡터 2P1Tar로 치환하여 연산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벡터 1P2Org 대신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벡터 2P1Org를 구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의 순서는 먼저 (a)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s10)로부터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1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1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1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 좌표축 중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하고, 중력 방향을 z축으로 설정하였으며, 나머지 하나의 축을 x축으로 설정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설정되는 축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전자기파 신호의 발신과 수신을 통해 측정된 스칼라값인 거리정보를 벡터값으로 산정하고, 제1좌표계의 영점인 측정장치의 좌표를 (x1, y1, z1)로 설정한 후, 전자기파 신호가 수신될 때 제1지점의 좌표 (x1, y1', z1)를 구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지점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1좌표계의 좌표 정보들은 전자기파 신호의 발광부, 수신부, 좌표연산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회전각센서(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통해 구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방법 외에도 영점 조정 수행 또는 절대좌표를 알 수 있는 위치에서 측정 수행 등 최초 측정장치의 좌표를 먼저 산출하여 구한 후 전자기파 신호가 닿는 대상체의 좌표를 구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최초 기준 좌표계를 지정하는 순서는 다양하며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위 예시와 달리 ⅰ) 제1좌표계에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제2좌표계에서 제3지점과 제4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ⅱ) 제1좌표계에서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제2좌표계에서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한 후, 제3좌표계에서 제3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의 벡터합을 구하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므로,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계속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획득한 3차원 좌표(또는 이를 이용한 벡터)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하여 원하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 많은 지점의 3차원 좌표, 그리고 해당 벡터를 도출하기 위해서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다수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후, (b)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위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본 단계 또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2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2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2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앞의 좌표 획득 방법과 동일하게, 이는 제2지점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하여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좌표와 제2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외부 입력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Wi-Fi, Z-웨이브 등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해 특정값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입력되는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는 제1좌표계에서의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일 수 있고 측정장치의 이동 후 제2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일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입력을 통해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설정하는 경우는,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입력하는 경우, 또는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입력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측정장치에서 특정 지점까지의 벡터를 구하거나 측정장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벡터를 획득함에 있어서 변수 하나를 지정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 또는 해당 벡터를 구할 수 있다.
특히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후의 제2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 상기 측정장치의 이동벡터를 도출하기 위한 필수적인 정보로서, 상기 측정장치의 이동을 가속도계, 각속도계, 영상처리센서 또는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좌표화함으로써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가속도계 또는 가속도 센서는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관성력, 전기변형, 자이로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감지한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가속도가 출력으로 발생하는데, 이 출력값을 적분하면 속도를 얻을 수 있고, 한 번 더 적분하는 경우 이동 거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속도계 또는 자이로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방향의 측정이나 유지에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각가속도를 출력한다. 자이로스코프는 축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놓일 수 있는 회전하는 바퀴이며, 로터(Rotor)와 짐벌(Gimbal)로 이루어진 하나의 메커니즘으로서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근거하는 특징이 있다.
자이로스코프가 빠르게 회전할 때에는 외부에서 토크가 주어졌을 때 그 방향이 회전에 의한 각운동량에 의해 회전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적게 변화하게 되며, 자이로스코프는 수평 유지 장치인 짐벌에 놓이게 되므로 외부의 토크는 최소화되고, 장착된 받침이 움직이더라도 그 방향은 거의 고정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가 출력한 각가속도를 적분하면 각속도를 알 수 있고, 이를 한 번 더 적분하는 경우에는 각도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은 각도는 연산을 통해 측정장치의 이동, 좌표축의 이동, 각도 측정, 최대/최소치 측정 등 다양한 기능에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와 함께 각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자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를 이용하여 절대위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가장 간단한 것은 지침으로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주기로부터 크기를 알 수도 있다.
현재에는 회전 코일을 이용한 자기의(磁氣儀), 강자성체의 자기포화 현상을 이용한 포화철심형 자력계(Flux gate magnetometer), 양성자의 핵자기 공명을 이용한 양자 자력계, 루비듐이나 세슘 원자의 제만효과를 이용한 광 펌핑 자력계, 초전도현상을 이용한 SQUID 등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자이로 센서는 각도값이 매우 정확하지만 오차가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오랜 시간 사용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지자기 센서는 자기장을 통한 절대값으로 측정이 되므로 오차누적이 없지만 값이 정밀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상보적인 관계의 두 가지 센서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측정되는 각도의 정확성을 매우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c) 획득한 3차원 좌표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시키는 단계(s30)가 수행되며,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지점들을 매핑하기 위한 전위벡터를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본 단계는 제1좌표계에서 구한 측정장치 및 제1지점의 3차원 좌표와 제2좌표계에서 구한 이동 후의 측정장치 및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길이, 크기, 곡선길이, 입체정보 및 측정장치의 이동정보 등을 도출해내기 위한 과정으로서,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 얻은 좌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절차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좌표계의 좌표축을 제1지점 방향을 y축으로, 중력 방향을 z축으로, 나머지 방향을 x축으로 설정하여 측정장치 또는 제1좌표계의 기준점에서 제1지점까지의 벡터 1P1Tar를 도출한다.
여기서, 1P1Tar의 좌측 상단 첨자는 제1좌표계를 나타내는데, P는 제1좌표계에서의 위치 벡터, 우측 하단 첨자는 제1좌표계에서의 목표지점을 말하며, 1Tar은 첫 번째 타겟점(제1지점), 2Tar은 두 번째 타겟점(제2지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후, 제2좌표계는 좌표축을 제2지점 방향을 y축으로, 중력 방향을 z축으로, 그리고 나머지 방향을 x축으로 설정하여 이동 후의 측정장치 또는 제2좌표계의 기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벡터 2P2Tar를 도출한다.
도 4에서 제1지점과 제2지점은 동일한 지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이 서로 다른 위치인 경우에도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벡터합을 연산할 수 있는 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동일하다.
그리고 제1좌표계의 기준점(측정장치의 이동 전 위치)에서부터 제2좌표계의 기준점(측정장치의 이동 후 위치)까지의 이동벡터 1P2Org를 도출한 후 후술할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적용함으로써 벡터합을 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단계(s30)는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테이션 매트릭스 산출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고,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1 2RZYX는 Z, Y, X축의 회전정보로 제1좌표계 기준으로 제2좌표계까지의 회전정보 매트릭스(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의미하며, RZ(α)는 Z축으로 회전한 α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Y(β)는 Y축으로 회전한 β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X(γ)는 X축으로 회전한 γ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를 의미하고, s는 사인(sine), c는 코사인(cosine)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2좌표계에서 획득한 제2지점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제1좌표계에서 제2지점의 3차원 좌표 1P2Tar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 2 1RZYX에 제2좌표계에서 측정장치부터 제2지점까지의 벡터 2P2Tar를 곱한 값에 제1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이동벡터 1P2Org를 더하면 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1P2Tar = 2 1RZYX 2P2Tar + 1P2Org'와 같다.
이러한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의 벡터합을 연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3차원 좌표를 획득함에 있어서 측정장치의 이동에 관한 제약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내용을 한 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처음 타겟팅한 제1지점의 좌표축(기준좌표축)이 제1좌표계, 이후 타겟팅되는 지점이 제2지점, 제3지점으로 진행될 때 첫 번째 포인팅되는 제1지점은 획득된 거리정보만큼의 제1좌표계의 y축 좌표값을 가지며 그 값은 (0, L1, 0)이 된다.
이후, 두 번째 타겟을 포인팅하기 위해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하게 되며, 이동 후의 좌표계는 제2좌표계가 되고, 마찬가지로 두 번째 포인팅되는 제2지점 또한 획득된 거리정보만큼의 제2좌표계의 y축 좌표값을 가지므로 그 값은 (0, L2, 0)이다.
만약 위 3차원 좌표들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길이 등 원하는 측정값을 구하고자 할 때, 이미 획득한 3차원 좌표값은 서로간의 좌표계가 상이한 제1좌표계 및 제2좌표계이므로 벡터합 등의 연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로테이션 매트릭스가 필요하게 되며, 수식 '1P2Tar = 2 1RZYX 2P2Tar + 1P2Org'를 통해 원하는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부호와 함께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하면, P는 위치 벡터이고 우측 하단의 첨자는 목표점을 의미하는데, 1Tar은 첫 번째 타겟 지점, 2Tar은 두 번째 타겟 지점을 뜻한다.
즉, 첫 번째 타겟에 대한 벡터 1P1Tar은 기준 좌표계로 선택됨에 따라 변위센서로 측정된 만큼의 제1좌표계의 y축 좌표값을 가지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0, 0, 0)으로 설정한 경우 그 값은 (0, L1, 0)이 된다. 여기서 L1은 측정장치에서 제1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이후, 첫 번째 타겟을 측정한 후 두 번째 타겟을 포인팅하기 위해 이동된 3축 좌표 1P2Org에서 좌측 상단의 첨자는 동일한 제1좌표계를 나타내며 기준 좌표계를 중심으로 두 번째 타겟의 중심(Org) 좌표계로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의미한다.
이동 후 측정 좌표계는 제2좌표계가 되며, 2P2Tar은 제2좌표계를 중심으로 두 번째 타겟까지의 벡터를 의미하고, 제1좌표계를 중심으로 제2좌표계의 측정 포인트는 1P1Tar = 1P2Org + 2P2Tar로 계산되는데, 이 때 제1좌표계와 제2좌표계의 벡터합이 불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매트릭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어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 각속도계 및 변위센서를 이용한 3차원 좌표의 획득을 나타낸 개념도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각속도계(자이로 센서)와 가속도계(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장치의 자세 형상 정보를 획득하고, 변위센서를 이용해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까지의 직선 거리정보를 획득하여 칼만 필터를 통한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 측정값들을 분석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통합한 후, 최종적으로 3차원 좌표로 구체화될 수 있는 통합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개념으로 구현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 각속도계 및 변위센서를 이용한 3차원 좌표 획득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wb는 자이로 센서로 측정한 각가속도이고, fb는 가속도 센서로 측정한 가속도이며, Rn b는 오일러각에 대응하는 회전행렬이고, gn은 항법 좌표계(기준 좌표계)에서 단위 중력가속도이며, Vn은 항법 좌표계(기준 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속도, rn은 항법 좌표계(기준 좌표계)에서 측정장치의 위치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개념과 동일하게, 자이로 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통해 얻은 각가속도를 HDR(Heuristic Drift Reduc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후 자세에 대한 칼만 필터를 통과시키고 오일러각에 대응하는 회전행렬을 적용하여 결과값을 후술할 속도, 위치에 대한 칼만 필터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얻은 가속도를 HSR(Heuristic Scale Regul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후 중력가속도를 적용하여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앞선 결과값과 함께 속도, 위치에 대한 칼만 필터를 통과시킨다.
결과적으로 항법 좌표계(또는 기준 좌표계)에서의 측정장치의 속도와 위치 등의 값을 산출해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HDR이란 자이로 센서의 드리프트 최소화를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자이로 센서를 각속도를 출력하고 상기 각속도를 적분하여 회전각을 계산하게 되는데, 이 때 작은 바이어스 드리프트(Bias Drift)라도 적분을 통해 누적되는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HDR은 이러한 바이어스 드리프트를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해당한다.
또한, HSR이란 가속도 센서의 스케일 팩터 조절 알고리즘으로,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출력하고 상기 가속도에는 중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을 제거한 후 적분하여 속도와 위치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 때 작은 스케일 팩터(Scale Factor)의 변화로 인하 중력 성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고 적분을 통해 누적되면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HSR은 이러한 스케일 팩터를 조절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d) 상기 획득된 측정장치, 제1지점 및 제2지점의 각 3차원 좌표들을 기준으로,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측정 공간과 다른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함으로써 계측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각 3차원 좌표들에 축소, 확대 또는 비율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측정한 결과 그대로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은 2차원 화면 또는 3차원 공간에 해당하며, 소정의 공간이 2차원 화면인 경우에는 측정 결과를 평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소정의 공간이 3차원 공간인 경우에는 측정 결과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컴퓨터, 스마트폰 등 현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장치와 본 발명의 측정장치가 연동함으로써 측정 결과를 2차원 평면적으로 또는 3차원 입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측정 결과를 중첩하여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대상체들을 보다 높은 시인성을 갖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대상체들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표현하여 여러 산업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편집 기능이 있는 다른 장치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TOF 기술을 적용한 측정장치가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 및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의 길이, 크기, 곡선길이, 입체정보 및 측정장치의 이동정보 등을 정확하게 도출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TOF 기술을 이용한 측정장치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대상체 또는 특정 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어 측정장치의 움직임 제약을 해소하여 측정 방법 및 환경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대상체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대상체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어 측정 대상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3의 장치 또는 외부기기와 연동하여 좌표값 획득을 지원하거나 획득한 좌표값을 활용할 수 있고, 게다가 얻어진 좌표를 통해 해당 대상체를 제3의 화면 또는 공간에 형상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기술분야에 본 기술 및 본 기술을 이용한 결과를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본체부
20: 손잡이부
21: 제어 버튼
100: 마이크로컨트롤러
110: 변위센서
111: 전자기파 발광부
112: 전자기파 수광부
120: 가속도 센서
130: 자이로스코프 센서
140: 지자기 센서
200: 출력부

Claims (14)

  1. 측정장치를 이용한 3차원 좌표 획득 방법에 있어서,
    (a) 제1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와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b)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 또는 회전한 위치의 3차원 좌표와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한 각 3차원 좌표들을 동일한 좌표계로 치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좌표계에서의 각 3차원 좌표들을 제1좌표계로 치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좌표계에서의 각 3차원 좌표들을 제2좌표계로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로테이션 매트릭스(Rotation Matrix)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매트릭스는,
    Figure pat00003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상기 2 1RZYX는 로테이션 매트릭스, RZ(α)는 Z축으로 회전한 α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Y(β)는 Y축으로 회전한 β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RX(γ)는 X축으로 회전한 γ만큼의 각정보 매트릭스, s는 사인(sine), 그리고 c는 코사인(cosine)에 해당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1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1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1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를 제2좌표계의 영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되는 제2지점 방향을 제1축으로, 중력 방향을 제2축으로,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수직인 방향을 제3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장치가 제2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지점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는 외부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블루투스, Wi-Fi 또는 Z-웨이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설정되되, 입력되는 상기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는 제1좌표계에서의 측정장치의 3차원 좌표 또는 측정장치의 이동 후 제2좌표계에서의 3차원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의 이동을 가속도계, 각속도계, 영상처리센서 또는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좌표화함으로써 제2좌표계에서 상기 측정장치가 이동한 위치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상기 획득된 측정장치, 제1지점 및 제2지점의 각 3차원 좌표들을 기준으로,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3차원 좌표들에 축소, 확대 또는 비율조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공간에 측정 결과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공간은 2차원 화면 또는 3차원 공간에 해당하고, 측정결과를 상기 2차원 화면에 평면적으로 표현하거나 상기 3차원 공간에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전자기파 신호의 발광과 수광을 이용하며, TOF(Time Of Flight) 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신호는 레이저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KR1020170069053A 2017-06-02 2017-06-02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KR10194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53A KR101948017B1 (ko) 2017-06-02 2017-06-02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53A KR101948017B1 (ko) 2017-06-02 2017-06-02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03A true KR20180132303A (ko) 2018-12-12
KR101948017B1 KR101948017B1 (ko) 2019-02-14

Family

ID=6467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53A KR101948017B1 (ko) 2017-06-02 2017-06-02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828A1 (ko) * 2019-10-14 2021-04-22 이형록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장치 및 거리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175A (ja) * 2003-04-02 2004-11-0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制御命令入力装置、制御命令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9916A (ja) * 2006-06-30 2008-01-1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2012058076A (ja) * 2010-09-09 2012-03-22 3D Media Co Ltd 3次元計測装置及び3次元計測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828A1 (ko) * 2019-10-14 2021-04-22 이형록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장치 및 거리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017B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0562B1 (en) Positioning interface for spatial query
Le Grand et al. 3-axis magnetic field mapping and fusion for indoor localization
KR20190043306A (ko) 3차원 좌표 측정장치
Huang et al. Accurate 3-D position and orientation method for indoor mobile robot navigation based on photoelectric scanning
CN106643792B (zh) 惯性测量单元和地磁传感器整体标定装置及标定方法
CN111156998A (zh) 一种基于rgb-d相机与imu信息融合的移动机器人定位方法
CN102289306A (zh) 姿态感知设备及其定位、鼠标指针的控制方法和装置
JP6823482B2 (ja) 三次元位置計測システム,三次元位置計測方法,および計測モジュール
KR101210394B1 (ko) 지자기 검지장치
US11408735B2 (e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ing method
US7287701B2 (en) Handheld coordinate reference system
JP2011059091A (ja) 室内位置検出装置
KR101948017B1 (ko) 3차원 좌표 획득 방법
CN103033181B (zh) 确定第三目标的光学目标定位器
CN102306054A (zh) 姿态感知设备及其定位、鼠标指针的控制方法和装置
JP5457890B2 (ja) 方位検知装置
JP2019178886A (ja) 距離測定装置
JP5498209B2 (ja) 磁界検知装置
CN211554996U (zh) 定位装置、定位系统及虚拟现实系统
KR20120028416A (ko) 통합 움직임 감지 장치
JP2017090448A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201503008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hange of Position of a 3D Measuring Head
CN107368186B (zh) Ar或vr系统及计算其中从机馈感增益变化量的方法
JP5490576B2 (ja) 磁界検知装置
Zhang Exploring imu attitude and position estimation for improved location in indoor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