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104A -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104A
KR20180131104A KR1020170067696A KR20170067696A KR20180131104A KR 20180131104 A KR20180131104 A KR 20180131104A KR 1020170067696 A KR1020170067696 A KR 1020170067696A KR 20170067696 A KR20170067696 A KR 20170067696A KR 20180131104 A KR20180131104 A KR 2018013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oisturizing
weight ratio
ess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635B1 (ko
Inventor
신용국
송효남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2 : 0.5~2 : 0.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astanea crenata or herbal extract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moisturizing}
본 발명은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크게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의 층으로 분류 되며, 체내의 기관을 온도 및 습도변화,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 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연령의 증가 또는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및 스트레스에 의해 점점 손상되고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 노화 현상이 촉진된다. 이러한 노화 현상은 주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절단과 저분자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collagen) 생성 부진 등으로 인하여 피부 각질분화세포의 발현이 억제되면서 수분 보유 능력이 감소하고, 엘라스틴 (elastine) 섬유 조직의 약화에 의해 피부 탄력이 감소함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 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수분 손실(Trans Epedermal Water Loss : TEWL)이라 하는데, 이러한 경피수분 손실은 각질 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에 의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각질 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질 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로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 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 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각질 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Scale)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 되는 것은 각질 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일어나 피부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각질 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보습 및 주름 예방 화장료는 비타민A(레티놀)이나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하는 제품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원료를 함유한 제품은 경시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유효농도 이상으로 피부에 침투되거나 분해될 경우, 상당한 피부 자극과 안정성의 문제로 사용량이 제한되어 왔고, 실질적인 보습능 및 주름 예방 효과가 미미 하였다.
또한, 피부 노화나 주름 억제를 위해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화학물질은 그 부작용 때문에 기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약 추출물 등의 천연물질 등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성이 높은 피부 보습 및 주름 억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여러 선행특허문헌에 제시되고 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605호 (특허문헌 1)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로서 당귀, 백지, 인삼, 녹용, 적작약 및 감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버섯균 발효물을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으로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조한 화장료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605호 (등록일 2009.03.12.)
본 발명은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2 : 0.5~2 : 0.5~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작약, 알로에, 풍년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율피, 황기, 복령 혼합 추출물에 작약, 알로에, 풍년화를 추가로 첨가하는 경우에 각 추출물은 율피 : 황기 : 복령 : 작약 : 알로에 : 풍년화 = 0.5~2 : 0.5~2 :0.5~1 : 0.5~2: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생약재 추출물을 사용하고, 피부세포 각질층의 분화를 촉진하며, 손상된 피부의 장벽기능을 회복시키고 , 보습력 증가 및 유지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생약 재료 중에서 율피, 황기 및 복령 이들 3종류의 생약재료의 추출물이 동시에 함유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배합비로 함유된 경우,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에 포함되는 율피, 황기 및 복령은 0.5~2 : 0.5~2 : 0.5~1의 중량비로 포함 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생약 재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약 재료마다 각각의 효과를 가지는데, 상기한 중량비보다 낮은 경우 그의 함유에 따른 생리 활성 작용효과가 미비하고, 상기한 중량비보다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생약 재료의 함량이 적어져 바람직 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율피의 경우 중량비가 0.5 미만이면 효과적인 수렴작용을 도모하기 어렵고, 중량비가 2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황기와 복령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 효과를 도모하기가 어렵다. 또한 황기의 경우 중량비가 0.5 미만일 경우 지한, 강장 효과의 도모가 어려우며, 중량비 2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율피와 복령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 효과를 도모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복령의 경우 중량비가 0.5 미만일 경우 노화 개선에 별다른 효과가 없으며, 중량비 1을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율피와 황기의 함량이 적어져 이들의 함유에 따른 상승적인 생리 활성 작용 효과를 도모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작약, 알로에, 풍년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혼합 추출물이 율피, 황기 및 복령에 더하여 작약, 알로에, 및 풍년화를 추가로 포함할 경우, 이들 추가로 포함되는 작약, 알로에, 및 풍년화는 율피 중량비 0.5~2 에 대하여 각각 0.5~2 중량비로 포함 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 추출물이 율피, 황기 및 복령에 더하여 작약, 알로에 및 풍년화를 포함하여 6가지 생약재료들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 율피 : 황기 : 복령 : 작약 : 알로에 : 풍년화는 0.5~2 : 0.5~2 : 0.5~1 : 0.5~2 : 0.5~2 : 0.5~2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생약 재료들은 예로부터 각종 질환의 증상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들로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된 생약재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들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율피(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밤나무의 밥 속껍질로 수렴작용이 있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지한, 이뇨, 소종, 강장 등에 쓰인다.상기 복령(Poria cocos Wolf)은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주로 이용한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촌본인 작약의 뿌리로 수렴작용과 해열작용이 있다. 상기 알로에(Aloe ferox)는 나리과(R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항균, 항궤양, 항암등에 쓰인다. 상기 풍년화(Hamamellis japonica)는 아열대에 속하는 낙엽수인 위치 하젤(Witch Hazel)로 피부진정 작용과 보호작용이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 예를들어 열수나 유기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초임계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압력, 특정 온도의 조건에서 기체와 액체의 양쪽 성질을 모두 갖는 초임계 상태에서 수행되는 초임계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이러한 초임계 추출법의 조작 조건에서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예시한 구현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약 재료를 분쇄한 혼합물(예, 율피 : 황기 : 복령 = 1 : 1 : 1)을 용매에 혼합, 교반한 후, 30분 ~2시간 동안 방치한다. 방치 후 상기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고압 기체펌프를 이용하여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300기압에 달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후, 온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승온(예, 40℃)하고, 추출조의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부 배출하면서 초임계 추출조에 20분 ~ 150분간 유지시킨 후, 고압 기체 펌프를 재가동하여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혼합물을 방출시키면서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음으로, 방출된 혼합물을 상압으로 감압하여,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하고, 상기 혼합물의 유효성분 추출물과 용매를 함께 포집기 내로회수한다.
위와 같은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경우, 열에 의한 변성이나 불순물이 없고,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지는 생리 활성성분이 추출물 내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추출물의 약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용매로서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어 추출성분별 임계 조건 조절이 용이하고, 저온공정, 비산화적 공정으로 인하여 추출물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혼합 추출물을 적어도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서의 화장료나 약제용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화장료나 약제의 베이스 성분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 외용 연고, 분말제, 크림,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비누, 입욕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분사형 액체등으로 부터 선택된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의 제형이 바람직 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율피 50g, 황기 50g, 복령 50g, 작약 50g, 알로에 50g, 풍년화 50g 이상 6가지 생약을 혼합한 것 (율피 : 황기 : 복령 : 작약 : 알로에 : 풍년화 = 1 : 1 : 1 : 1 : 1 : 1 의 중량비)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를 혼합하여 분쇄한 혼합물 300g을 조용매인 부틸렌 글리콜에 혼합하여 교반하고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방치되었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고압용 기체펌프를 이용하여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압력이 300기압에 달하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중단하였다. 온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추출조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열선을 통해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0.5℃/min 속도로 40℃까지 승온하고, 추출조의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부 배출하면서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50분간 유지한 후, 고압용 기체 펌프를 재가동하여 20L/min의 유량으로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방출시키며 추출조의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압력조절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방출된 방출물은 압력 및 온도의 강하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고체 드라이아이스로 전이되었다. 상기에서 방출된 추출물은 상압으로 감압하여,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고, 상기 혼합물의 유효성분 추출물과 부틸렌글리콜을 함께 포집기 내로 회수하였다. 위의 과정을 12시간 동안 수행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시료로 율피 50g, 황기 50g 및 복령 50g 이상 3가지의 생약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율피 : 황기 : 복령 = 1 : 1 : 1의 중량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1 : 0.5 : 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1 : 0.5 : 2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 :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2 : 1 : 2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3 : 1 : 2.5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 : 0.3 : 3의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율피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황기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복령 150g 1가지 생약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복령 75g, 황기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복령 75g, 율피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시료로 황기 75g, 율피 75g 이상 2가지 생약을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시험예 1 : 각질형성세포(HaCaT) 발현효과의 실험
HaCat 세포주에서 TNF-α+IFN-γ(10 ng/mL)의 처리에 의해 유도된 IP-10, Rantes, 그리고 MDC 단백질을 증가시킨 후, 각 효소가 어느 정도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HaCat 세포에서 각 효소에 대한 단백질 양을 측정하기 위해 ELISA를 시행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람 피부각질 HaCaT 세포 배양은 24-well culture plate에 넣고 standard incubator conditions(37℃, humidified, 5% CO2 / 95% air environment)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했고, 여기에 10㎍/㎖의 농도로 TNF-α+IFN-γ를 처리한 cyclosporin A(10 ㎍/ml), 상기 실시예 1 ~ 8과 상기 비교예 1 ~ 6 의 추출물을 각각 2ml씩 넣고 ,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냉동실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ELISA 측정은 사람 IP-10, Rantes, 그리고 MDC(eBioscience, USA)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코팅 antibody를 microwell에 100 ㎕씩 분주하고 4℃에서 16시간 두었으며 각 well을 wash buffer로 세척하고 assay diluent를 200㎕씩 넣어서 1시간 동안 well을 막은 후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표준품을 희석하고 상청액을 20배 희석한 후 microplate를 세척하고 각 표준품과 상청액을 100㎕ 씩 넣었으며 2시간 동안 well을 막은 후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Microplate를 세척하고 working detector를 만들어서 각 well에 100㎕씩 넣고 1시간 동안 well을 막은 후 실온에서 배양하였으며, microplate를 세척하고 suvstrate solution을 만들어서 각 well에 100 ㎕씩 넣고 30분 동안 어두운 곳에서 실온으로 배양하였다. Stop solution을 각 well에 50 ㎕씩 넣고 microplate spectrophotometer에서 흡광도 450㎚로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각질형성세포 발현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 아쿠아포린3(AQP3) 발현효과의 실험
아쿠아포린3(AQP3) 발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인체 유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를 24-웰 플레이트(Falcon, 미합중국)에 1×10⁴cell/well이 되도록 접종한 후에 하루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킨 다음, 2일 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등액을 취하여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 의 추출물을 넣고 아쿠아포린 3 측정용 키트(Aquaporin 3 ELISA KIT, Gill Blood Group,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450nm에서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아쿠아포린 3의 생성 정도를 비교하여 각 시료의 아쿠아포린3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아쿠아포린3 발현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 Mouse 유래의 섬유아 세포 NIH 3T3 에서의 히알루로닌 신타제 2 (HAS2) 발현효과의 실험.
Mouse유래의 섬유아세포 NIH 3T3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다시 12시간동안 동일배지를 처리하여 우혈청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상기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 ~ 6 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2시간 처리하였다. 12 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RNA 분리 kit(Tri-reagent, GibcoBRL) 1 ㎖을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정량적인 역전사 PCR을 수행하였다. HAS2 및 GAPDH의 PCR 수행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은 sense primer : 5′CTGTGAAAAGGCTGACCTAC-3′ anti-sense primer : 5′TCAGTAAGGCACTTGGACCG-3′이다. 1ug 의 total RNA를 reverse transcription system(Promega, USA)을 이용하여 역전사 하여 cDNA를 얻었다. 이후 역전사 반응 용액 2 ㎕를 50 mM KCl, 10 mM tris-HCl(pH 8.3), 5 mM MgCl2, 0.16mM dNTP의 PCR 반응 완충액 50 ㎕에 섞고, 20 pmol의 프라이머와 1.25 U의 Taq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94 ℃ 에서 60초, 60 ℃에서 120초, 72 ℃에서 120 초의 3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PCR 결과를 아가로스 젤에 전기영동하고 이를 Fluoro-S MultiImager(BioR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HAS2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농도 (%) 각질분화세포 발현(%) 아쿠아포린3 발현 (%) HAS2의mRNA 양 (%)

실시예 1
1 x 10­³ 11 28 30
1 x 10­² 29 44 62
1 x 10­¹ 46 60 101

실시예 2
1 x 10­³ 17 18 25
1 x 10­² 54 33 44
1 x 10­¹ 37 51 97

실시예 3
1 x 10­³ 10 13 22
1 x 10­² 26 22 50
1 x 10­¹ 48 34 99

실시예 4
1 x 10­³ 9 21 25
1 x 10­² 26 38 47
1 x 10­¹ 44 54 106

실시예 5
1 x 10­³ 12 11 33
1 x 10­² 22 33 56
1 x 10­¹ 31 46 78

실시예 6
1 x 10­³ 26 24 27
1 x 10­² 39 29 53
1 x 10­¹ 45 61 99

실시예 7
1 x 10­³ 13 33 12
1 x 10­² 15 40 33
1 x 10­¹ 22 68 66

실시예 8
1 x 10­³ 8 37 7
1 x 10­² 15 64 23
1 x 10­¹ 21 81 44
구분 시료농도 (%) 각질분화세포 발현(%) 아쿠아포린3 발현 (%) HAS2의mRNA 양 (%)

비교예 1
1 x 10­³ 8 1 17
1 x 10­² 23 3 35
1 x 10­¹ 27 6 59

비교예 2
1 x 10­³ 11 4 3
1 x 10­² 33 8 8
1 x 10­¹ 27 10 16

비교예 3
1 x 10­³ 5 53 3
1 x 10­² 8 82 7
1 x 10­¹ 13 98 15

비교예 4
1 x 10­³ 6 31 4
1 x 10­² 10 42 13
1 x 10­¹ 14 79 24

비교예 5
1 x 10­³ 8 23 15
1 x 10­² 12 41 21
1 x 10­¹ 18 62 48

비교예 6
1 x 10­³ 8 4 17
1 x 10­² 15 8 23
1 x 10­¹ 21 7 33

대조군
(미첨가)
1 x 10­³ 0 0 0
1 x 10­² 0 0 0
1 x 10­¹ 0 0 0
상기 [표 1] 및 [표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율피, 황기 및 복령은 각각의 생리활성 작용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표 2] 에서 비교예 1~3의 결과를 보면, 율피의 경우(비교예 1)에는 3종의 실험에 따른 여러가지 생리 활성 작용 효과 (각질분화세포 발현, 아쿠아포린3 발현, HAS2 발현) 중에서 각질 분화세포 발현과 HAS2 mRNA 발현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황기의 경우(비교예 2)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 작용효과 중에 각질분화세포 발현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복령의 경우(비교예3)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 작용효과 중에 아쿠아포린3 발현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1] 및 [표 2] 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을 미첨가 하였을 경우(대조군)나 율피, 황기, 복령을 단독 또는 2종으로 첨가하는 경우[비교예 1 ~ 6]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3종류의 생약을 동시에 첨가하는 경우(실시예 1~8)가 3종의 실험(각질분화세포 발현, 아쿠아포린3 발현, HAS2 발현) 모두에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6 으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과, 실시예 7 및 8로 이루어진 실험그룹을 대비하여 보면, 상기 3종류의 생약이 적정 중량비로 혼합된 경우, 즉 실시예 1~6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이 실시예 7 및 8로 이루어진 실험 그룹보다 3종의 실험 결과에서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한 것들이지만 본 발명자들의 다수의 실험적 연구에 따르면, 실시예 1~6에서와 같이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2 : 0.5~2 : 0.5~1 의 중량비로 적정 혼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제형예들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영양화장수의 제형예 (단위 : 중량부)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8 과 비교예 1~6 에서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 2.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 16.0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 1.0
-프로필렌글리콜 : 5.0
-에탄올 : 3.5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틸 : 1.5
-와셀린 : 2.0
-향 : 정량
-색소 : 정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유연화장수의 제형예 (단위: 중량부)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8 과 비교예 1~6에서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 2.0
-스테아린산 : 15.0
-글리세린 : 5.0
-프로필렌글리콜 : 3.5
-세탄올 : 1.0
-수산화칼륨 : 0.7
-방부제 : 정량
-향 : 정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에센스의 제형예 (단위 : 중량부)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8 과 비교예 1~6에서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 2.0
-글리세린 : 11.0
-프로필렌글리콜 : 9.0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 5.0
-에탄올 : 4.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1
-향 : 정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크림 제형예 (단위 : 중량부)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8 과 비교예 1~6에서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 2.0
-스테아린산 : 13.0
-세탄올 : 1.0
-수산화칼륨 : 0.5
-글리세린 : 5.0
-프로필렌글리콜 : 2.0
-방부제 : 정량
-향 : 정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팩의 제형예 (단위 : 중량부)
하기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의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8 과 비교예 1~6에서 따른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 2.0
-폴리비닐알코올 : 15.0
-에탄올 : 6.0
-글리세린 : 5.0
-프로필렌글리콜 : 5.0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틸 : 1.0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 0.5
-향 : 정량
-색소 : 정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하여 전체 중량부를 100으로 조절
시험예 4 :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시험
상기 제형예 중에서 영양화장수(실시예 1~8과 비교예 1~6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와 추출물 미첨가 영양화장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 건조증을 나타내는 성인 남, 녀 20명을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에 상기 실시예 1~8과 비교예 1~6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의 1주, 2주, 4주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 (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 수분 측정기)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하기 [표3]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3]의 결과는 시험 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 (1주, 2주, 4주, 6주)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도포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실시예 1 (유연화장수) 46 55 66 55
실시예 2 (유연화장수) 40 54 61 51
실시예 3 (유연화장수) 34 49 64 54
실시예 4 (유연화장수) 42 52 72 60
실시예 5 (유연화장수) 48 55 73 63
실시예 6 (유연화장수) 41 52 64 48
실시예 7 (유연화장수) 28 43 44 34
실시예 8 (유연화장수) 37 45 53 41
비교예 1 (유연화장수) 11 49 31 20
비교예 1 (유연화장수) 15 27 33 24
비교예 2 (유연화장수) 24 27 37 26
비교예 3 (유연화장수) 28 33 39 30
비교예 4 (유연화장수) 12 27 33 20
비교예 5 (유연화장수) 14 24 33 21
비교예 6 (유연화장수) 25 35 42 33
추출물 미첨가
(유연화장수)
13 22 27 15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군에서는 추출물 미첨가한 크림을 사용한 군이나 상기 율피, 황기, 복령이 단독 또는 2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비교예 1~6의 추출물 함유 유연화장수)에 비해 현저한 피부 수분량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욱이, 6주 경과 후 (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하고 2주 후)의 수치가 시험물질의 도포중인 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일정기간 동안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시험
상기 제형예 중에서 에센스 (실시예 1~8과 비교예 1~6 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와 추출물 미첨가 에센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0~50세의 여성 60명을 15명씩 4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10주간 안면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 실험이 끝난 10주 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피부 주름의 밀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피부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에센스 사용 전 피부 주름밀도에 대한 사용 후 피부 주름밀도의 비를 평균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피부 주름 밀도 감소율 (%)
실시예 1 (에센스) 51
실시예 2 (에센스) 45
실시예 3 (에센스) 39
실시예 4 (에센스) 37
실시예 5 (에센스) 43
실시예 6 (에센스) 45
실시예 7 (에센스) 36
실시예 8 (에센스) 33
비교예 1 (에센스) 12
비교예 2 (에센스) 18
비교예 3 (에센스) 22
비교예 4 (에센스) 15
비교예 5 (에센스) 26
비교예 6 (에센스) 20
추출물 미첨가 (에센스) 6
상기 [표 4]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사용한 군이 추출물을 미첨가한 에센스를 사용한 군이나 상기 율피, 황기, 복령이 단독 또는 2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비교예 1~6의 추출물 함유 에센스)에 비해 현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상승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 시험 과정에서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 및 에센스를 도포한 후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율피, 황기 및 복령의 혼합 추출물 그리고 여기에 작약, 알로에 및 풍년화를 더 포함시킨 혼합 추출물은 각질분화세포의 발현효과, 아쿠아포린3의 발현효과, 히알루로닌 신타제2의 mRNA의 생성 증가효과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결과 (제형예의 인체 적용 실험 결과)에서 실질적인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이 피부 안정성을 확보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율피, 황기 및 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율피, 황기 및 복령을 0.5~2 : 0.5~2 : 0.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작약, 알로에, 풍년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율피, 황기, 복령, 작약, 알로에, 풍년화의 추출물을 0.5~2 : 0.5~2 : 0.5~1 : 0.5~2 :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2항 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유연화장수 , 영양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67696A 2017-05-31 2017-05-31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96A KR102378635B1 (ko) 2017-05-31 2017-05-31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96A KR102378635B1 (ko) 2017-05-31 2017-05-31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04A true KR20180131104A (ko) 2018-12-10
KR102378635B1 KR102378635B1 (ko) 2022-03-24

Family

ID=6467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696A KR102378635B1 (ko) 2017-05-31 2017-05-31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12A (ko) * 1997-11-10 1999-06-05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5B1 (ko)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49A (ko) * 2015-06-25 2017-01-04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12A (ko) * 1997-11-10 1999-06-05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5B1 (ko)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49A (ko) * 2015-06-25 2017-01-04 이정복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635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721B2 (en) Active ingredient that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or activity of fibroblasts
US20100047361A1 (en) Active Principle which is capable of inducing the conversion of inactive TGFb-Latent into active TGFb
JP5686597B2 (ja) MC−1R、MC−2R、および/またはμオピオイド受容体刺激
TWI574702B (zh) 雅囊(tiliacora triandra)於化妝品之用途及其組合物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20237933A1 (en) Method for screening active agents for treating at least one cutaneous sign of aging by determing the ability to stimulate fn3k and/or fn3kp expression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20080068160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CN115227774A (zh) 大白蝴蝶兰萃取物用于制备抑制糖化终产物生成的组合物的用途
KR102342047B1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과 탄력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8635B1 (ko) 율피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09209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6332A (ko) 대추 발효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7454A (ko) 가시연꽃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006665B1 (ko) 실버위드, 히더, 밀크씨슬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7417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7898989A (zh) 修复肌肤屏障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206310A (zh) 柳兰提取物的新型化妆品用途
CN117338650A (zh) 包含松树发酵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125685A (ko) 수수 잎, 줄기 발효액 또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