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751A -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751A
KR20180130751A KR1020170066736A KR20170066736A KR20180130751A KR 20180130751 A KR20180130751 A KR 20180130751A KR 1020170066736 A KR1020170066736 A KR 1020170066736A KR 20170066736 A KR20170066736 A KR 20170066736A KR 20180130751 A KR20180130751 A KR 2018013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using
handle
handle body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930B1 (ko
Inventor
박래성
Original Assignee
아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93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저면 중심에 끼움공과 스템공이 연속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의 외측둘에는 가동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저면의 한쪽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안착홈과 연결되도록 키홀이 형성된 핸들몸체와, 상기 핸들몸체의 저면에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받침구와, 중심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핸들몸체의 스템공으로 끼워지는 스템과, 상기 핸들몸체의 끼움공으로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스템의 체결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둘레에 회전톱니부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측둘레에는 걸림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받침구의 안내홈에 놓여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작용을 가지면서 일측에 구비된 고정톱니부가 상기 하우징의 회전톱니부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작동구와,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유입구 구멍과 배출구 구멍의 개폐를 위한 다이어프램시트가 설치되어 상기 스템의 하단과 연결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바디를 연결키셔주는 바디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 with keylock handle for flow control}
본 발명은 마스터 키에 의해 단속되는 핸들의 회전을 통해 밸브를 유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에 의한 액체나 기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관로 상에 설치되는 밸브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밸브에 핸들을 설치한 후 그러한 핸들의 조작을 통하여 관로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핸들이 설치된 밸브가 진동이 발생 되는 곳이나, 유량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한 곳에 설치되는 경우,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에 따라 핸들이 임의로 움직여 유량의 제어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이에 그리고 밸브의 핸들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1432호가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이 포함되는 종래 핸들이 설치된 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에는 핸들에 끼워지는 마스터 키의 삽입방향이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 즉 밸브의 길이방향인 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핸들의 회전을 제어함에 따라 핸들에 끼워진 마스터 키가 밸브의 진동이나 주변의 환경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있으며, 마스터 키의 조작시 밸브 및 파이프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들의 회전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때 핸들의 회전 상태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상태 또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단순하게 설정됨에 따라 유체의 흐르는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1432호(2012.07.24.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밸브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핸들에 날착되어 핸들의 회전을 제어하는 마스터 키가 핸들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의 회전으로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저면은 안쪽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중심부에 내부를 향하여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의 중심에는 스템공이 연속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의 외측둘에는 가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저면의 한쪽에는 내부를 향하여 안착홈이 형성되면서 일측이 상기 끼움공과 연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는 상면에는 키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는 핸들몸체와,
상기 핸들몸체의 저면에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받침구와,
중심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핸들몸체의 스템공으로 끼워지는 스템과,
상기 받침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핸들몸체의 끼움공으로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스템의 체결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둘레에 회전톱니부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측둘레에는 걸림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받침구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여지면서 상기 핸들몸체의 안착홈에 수용되고, 일측에는 상기 안참홈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타측의 선단부에는 상기 받침구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톱니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고정톱니부가 형성된 작동구와,
마주하는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이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된 연결공간부를 가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둘레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각각 연결된 유입구 구멍과 배출구 구멍을 개폐해주는 다이어프램시트가 설치되어 상기 스템의 하단과 연결되는 푸쉬버튼에 작동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하우징이 관통되는 내측둘레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고, 상기 내측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걸림구에 걸리도록 구성된 바디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몸체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밸브바디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의 여부 및 유체의 흐름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몸체의 받침구와 상기 바디너트 사이에 회전표시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표시장치는 중앙에 제1구멍이 형성되어 환형을 이루며, 상면 일측에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구의 안내홈에 형성되는 걸림공으로 끼워지고, 상면 타측에는 투시창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외측둘레에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연장턱이 형성된 회전부와,
중앙에 제2구멍이 형성되어 환형을 이루며, 외측둘레가 상기 회전부의 연장턱 안쪽으로 끼워지고, 상면에는 상기 투시창을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복수의 표시부재가 형성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의 상면에는 대향된 양측에 상기 투시창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키홀은 마스터 키의 하부 단면 형상과 상응하며, 일자형 또는 십자형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시트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템의 하측에는 환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오링의 외측둘레가 상기 하우징의 체결공 내축둘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몸체의 바깥면 마주하는 양측에는 파지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마스터 키가 핸들에 수직 하방으로 끼워짐에 따라 마스터 키의 조작 효율성을 높이고, 마스터 키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스터 키가 삽입된 후 회전이 가능해지는 핸들의 회전량에 따라 밸브의 개폐량이 조절되면서 밸브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밸브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서 마스터 키가 분리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서 마스터 키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서 핸들이 회전 방지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5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에서 핸들이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는 마스터 키가 탈착되는 핸들몸체와, 핸들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구와, 핸들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템과, 그러한 스템이 중심에 나사결합되는 하우징과, 마스터 키의 탈착을 통해 핸들과 하우징을 연결 및 분리시켜주는 작동구와, 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는 밸브바디 및 그러한 하우징과 밸브바디를 결합시켜주는 바디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되는 도면을 통해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몸체(100)는,
배관을 연결하고 있는 밸브바디(600)에 연결되어 밸브바디(600)를 통과하는 유체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거나, 밸브바디(6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다.
핸들몸체(100)는 저면이 안쪽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된 상태에서 저면의 중심부에는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끼움공(110)이 형성되고, 그러한 끼움공(110)의 중심에는 안쪽을 향하여 연속된 소정 깊이의 스템공(111)이 형성된다.
핸들몸체(100)의 저면 한쪽에는 안쪽을 향하여 소정 깊이의 안착홈(130)이 형성되고, 그러한 안착홈(130)에 대응하는 핸들몸체(100)의 상면 한쪽에는 아래쪽으로 키홀(120)이 형성되어 안착홈(130)에 연결되며, 안착홈(130)의 한쪽은 끼움공(110)의 한쪽과 서로 연통된다.
핸들몸체(100)에 형성된 키홀(120)은 단면의 형태가 일자형 또는 십자형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키홀(120)에 탈착되는 마스터 키의 하부 단면 또한 키홀(120)의 단면 형상과 서로 상응하게 구성된다.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 내측둘레에는 호형의 가동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가동돌기(112)는 핸들몸체(100)의 회전 과정에서 끼움공(110)으로 끼워지게 되는 하우징(400)의 고정돌기(440)를 가동시켜 핸들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핸들몸체(1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핸들몸체(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주하는 바깥면에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구(200)는,
전술한 핸들몸체(100)의 저면 형상과 상응한 외형을 가지면서 핸들몸체(100)의 저면을 통해 안쪽으로 소정 깊이 끼워진다.
받침구(200)는 중심에 전술한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과 상응하여 일치하도록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받침구(200)의 상면 일측에는 측면에서 끼움공(110)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 깊이 함몰된 안내홈(2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내홈(220)에는 후술될 작동구(5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구(200)의 상면 타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공은 핸들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되는 나사공과 일치되면서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체결되어 받침구(200)와 핸들몸체(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스템(30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중심부에 체결부(310)가 소정 길이 형성되며, 상측은 전술한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을 통하여 스템공(111)에 끼워진다.
스템(300)의 하부는 후술될 하우징(4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체결공(410)으로 끼워져 관통되면서 체결부(310)가 하우징(400)의 체결공(4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하우징(40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의 체결공에 체결부(310)가 나사결합된 스템(300)이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스템(300)의 하측에는 외측둘레에 환형의 설치홈(3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홈(320)에는 오링(321)이 설치되며, 오링(321)은 그 외측둘레가 하우징(400)의 체결공(410) 아래쪽 내측둘레와 접면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스템(300)이 설치된 하우징(400)의 체결공(410)을 통해 유체가 핸들몸체(100)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후술되는 밸브바디(600)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술되는 바디너트(700)를 통해 고정되고, 상측은 전술한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으로 끼워지며, 핸들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하우징(400)은 상측의 외측둘레에 회전톱니부(420)가 소정 길이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톱니부(420)는 전술한 받침구(200)의 안내홈(220)에 설치되어 안내홈(220)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되는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와 이격될 경우, 핸들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은 함께 회전되며, 회전톱니부(420)와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가 맞물리면 핸들몸체(100)가 회전될 때 하우징(400)은 작동구(50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서 핸들몸체(100)의 회전을 방지해준다.
하우징(400)은 하측이 후술되는 밸브바디(600)의 상측 안쪽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때 하우징(400)의 하측 외측둘레에 환형의 걸림구(430)가 연장 형성됨에 따라 밸브바디(600)의 상측 안쪽으로 하우징(400)의 하측이 끼워질 때 걸림구(430)가 밸브바디(600) 상측에 안착되면서 밸브바디(600)에 대한 하우징(400) 하측의 설치 깊이가 정해질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측에 호형의 고정돌기(440)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돌기(440)는 하우징(400)의 상측이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으로 끼워질 때 끼움공(110)의 내측둘레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면서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에 형성된 가동돌기(112)의 회전 선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핸들몸체(100)가 회전되면서 가동돌기(112)가 회전되면 회전되는 가동돌기(112)가 하우징(400)의 고정돌기(440)를 밀어주게 되어 결국 하우징(40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핸들몸체(10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가동돌기(11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 과정에서 가동돌기(112)의 일측이 하우징(400)의 고정돌기(440) 일측에 걸리게 되어 하우징(400)이 일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며, 핸들몸체(100)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가동돌기(112)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 과정에서 가동돌기(112)의 타측이 하우징(400)의 고정돌기(440) 타측에 걸리게 되어 하우징(400)이 타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작동구(500)는,
전술한 받침구(200)의 안착홈(130)에 놓여져 안착홈(1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에 끼워져 있는 하우징(400)의 회전을 제어해준다.
작동구(500)는 대략 "」" 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면에는 탄성부재(510)가 설치되면서 탄성부재(510)의 일측은 작동구(500)의 후면에 지지되고, 탄성부재(510)의 타측은 작동구(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핸들몸체(100)에 구비된 안착홈(130)의 내면에 지지된다.
작동구(500)의 후면 상측은 안쪽면이 만곡지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구(50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면에는 받침구(200)의 관통공(210)을 관통하는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고정톱니부(520)가 형성된다.
작동구(500)는 탄성부재(51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받침구(200)의 안착홈(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톱니부(520)는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에 맞물리는 상태가 되며, 상측 안쪽면의 만곡진 부위는 핸들몸체(100)의 키홀(120) 선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몸체(100)를 회전시키더라도 작동구(500)에 의해 하우징(400)의 회전이 방지되어 결국 핸들몸체(100)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키홀(120)을 통해 마스터 키가 끼워지게 되면 키홀(120)로 끼워지는 마스터키가 작동구(500)의 만곡진 부위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구(500)가 하우징(4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결국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는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로부터 이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몸체(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500)의 구속을 받지 않는 하우징(400)이 함께 회전되면서 핸들몸체(100)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키홀(120)로부터 마스터 키를 제거하게 되면 하우징(400)으로부터 멀어지는 작동구(50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10)가 원상태가 되면서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가 다시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에 맞물리게 되어 핸들몸체(1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밸브바디(600)는,
마주하는 양측에 유입구(610)와 배출구(620)가 형성되어 유입구(610)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밸브바디(600)를 거쳐 배출구(620)로 이동된 후 배출구(620)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되며, 밸브바디(600)를 통과하는 유체는 스템(300)의 승강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유체의 흐르는 양을 조절해준다.
밸브바디(600)의 상측에는 하우징(400)의 하측 일부분이 소정 깊이로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된 링형의 결합부(630)가 형성되고, 결합부(630)의 외측둘레에는 나사부(631)가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부(631)는 후술될 바디너트(700)에 하우징(400)이 관통된 상태에서 바디너트(700)와 결합된다.
결합부(630)의 안쪽에 위치하는 밸브바디(6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유입구(610)와 연결되는 유입구 구멍(611) 및 전술한 배출구(620)와 연결되는 배출구 구멍(621)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밸브바디(600) 상면에는 이러한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을 차단 또는 단계적으로 연통시켜줄 수 있도록 다이어프램시트(650)가 설치된다.
다이어프램시트(650)는 하우징(400)의 체결공(410)을 통해 체결되어 관통되는 스템(300)의 하단과 연결되어 스템(300)의 승강을 통해 형상 변화를 일으키면서 동작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시트(650) 중앙부위의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을 차단 또는 단계적으로 연통시켜줄 수 있다.
즉, 다이어프램시트(650)의 중앙부위가 최대한 가압되면 다이어프램시트(650)의 저면이 밸브바디(600)의 상면에 완전하게 밀착되면서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이 다이어프램시트(650)에 의해 막히는 상태가 되며, 다이어프램시트(650)의 중앙부위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점차 제거되면 다이어프램시트(650)의 저면이 밸브바디(600)의 상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면서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은 연통되는 정도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스템(300)의 하단은 다이어프램시트(650)에 직접 접면될 수도 있지만, 스템(300)의 하단에 원판 형태의 푸쉬버튼(640)이 설치되고 그러한 푸쉬버튼(640)에 의해 다이어프램시트(6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의 차단 또는 점차적인 연통을 위한 제어를 위해 다이어프램시트(65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중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핸들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이 일측으로 회전되어 하우징(400)에 체결된 스템(300)이 하강되면 스템(300)의 하단과 연결된 푸쉬버튼(640)이 다이어프램시트(650)를 점차 가압함에 따라 밸브바디(600) 상면의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은 첨차적으로 차단되며, 핸들몸체(100)의 다른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이 타측으로 회전되어 하우징(400)에 체결된 스템(300)이 상승되면 스템(300)의 하단과 연결된 푸쉬버튼(640)이 다이어프램시트(650)로부터 점차 이격되면서 밸브바디(600) 상면의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은 점차적으로 연통되는 정도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바디너트(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바디(600)와 하우징(400)을 서로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디너트(700)는 중심에 나사공(710)이 형성되어 밸브바디(600) 결합부(630) 외측둘레에 구비된 나사부(631)와 나사결합되며, 나사공(710)의 내측둘레 상측에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711)이 형성됨에 따라 바디너트(700)의 나사공(710) 아래쪽에서 하우징(400)이 위쪽을 향하여 끼워지게 되면 바디너트(700)의 걸림턱(711)에 하우징(400)의 아래쪽 걸림구(430)가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너트(700)를 밸브바디(600)의 체결부(310)에 체결하면 밸브바디(600)의 상측에 위치한 하우징(400)이 불필요하게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받침구(200)와 바디너트(700)의 사이에는 핸들몸체(100)의 회전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회전표시장치(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표시장치(800)는 상하로 결합되는 회전부(810)와 표시부(8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회전부(810)는 중앙에 제1구멍(811)이 형성되고, 상면 한쪽에 끼움돌기(812)가 상향 돌출되고, 상면의 다른 한쪽에는 일부 절개된 투시창(813)이 형성되며, 외측둘레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연장턱(814)이 형성된다.
표시부(820)는 중앙에 제2구멍(821)이 형성되고, 외측둘레가 전술한 회전부(810)의 연장턱(814) 안쪽으로 끼워지게 되며, 상면에는 회전부(810)의 투시창(813)을 통해 확인될 수 있는 표시부재가 형성된다.
회전부(810)의 상면에 구비된 끼움돌기(812)는 받침구(200)의 안내홈(220)에 형성되는 걸림공(221)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핸들몸체(100)와 함께 받침구(200)가 회전되면 받침구(200)의 걸림공(221)에 끼움돌기(812)가 끼워져 있는 회전부(8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투시창(813)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변경된 투시창(813)을 통해 표시부(82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표시부재가 보이게 되어 그러한 표시부재를 통해 핸들몸체(100)의 회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810)에 형성되는 투시창(813)은 회전부(810)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면에서 대향된 양측 또는 마주하는 사방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820)의 상면에 표시되는 표시부재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 없이 눈금, 숫자, 기호, 문자, 특정 이미지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은 그 순서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면 핸들몸체(100)의 안착홈(130)에 탄성부재(510)와 작동구(500)를 수용한 상태에서 받침구(200)를 결합하고, 하우징(400)에는 스템(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400)의 상측으로 바디너트(700)를 끼우고, 바디너트(700)의 상측으로는 회전표시장치(800)를 설치하며, 바디스템(300)의 상측은 핸들몸체(100)의 끼움공(110)에 끼워지도록 하고, 푸쉬버튼(640)과 다이어프램시트(650)가 구비된 밸브바디(600)의 상측은 바디너트(700)와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동구(500)가 탄성부재(510)의 탄성력을 받아 하우징쪽으로 이동되어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가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에 맞물린 상태가 됨에 따라 핸들몸체(100)를 회전시키더라도 하우징(400)이 회전되지 않아 핸들몸체(100)의 회전이 방지되며, 이때 하우징(400)에 결합된 스템(300)은 하강된 상태가 되어 스템(300)의 하단이 푸쉬버튼(640)을 통해 다이어프램시트(650)를 가압함에 따라 다이어프램시트(650)에 의해 밸브바디(600) 상면의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이 서로 차단되면서 밸브바디(600)를 통해 유체는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밸브바디(600)를 통해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조작할 경우, 준비된 마스터 키를 핸들몸체(100)의 키홀(120)에 집어넣게 되면 마스터키에 의해 작동구(500)가 밀려 이동되면서 작동구(500)의 고정톱니부(520)와 하우징(400)의 회전톱니부(420)가 서로 이격되고, 하우징(400)은 핸들몸체(100)와 함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몸체(100)를 회전시키면 핸들몸체(100)의 가동돌기(112)가 하우징(400)의 고정돌기(440)를 밀어주게 되어 하우징(400)이 회전되고, 이러한 하우징(4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400)에 체결되어 있던 스템(300)이 승강되면, 스템(300)에 가압되어 되어 밸브바디(60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던 다이어프램시트(650)가 밸브바디(600) 상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면서 밸브바디(600) 상면의 유입구 구멍(611)과 배출구 구멍(621)의 연통되는 정도가 점점 커지게 됨에 따라 밸브바디(600)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양은 점차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핸들몸체(100)와 결합된 받침구(200)의 안내홈(220)에는 걸림공(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걸림공(221)에는 회전표시장치(800)의 회전부(810)에 구비된 끼움돌기(812)가 끼워짐에 따라 핸들몸체(100)가 회전되면 핸들몸체(100)와 받침구(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81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회전부(810)에 구비된 투시창(813)의 위치는 회전부(810)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며, 투시창(813)을 통해 투시되는 표시부(820)의 표시부재는 투시창(813)의 위치에 따라 해당되는 표시부재가 보이게 되면서 해당되는 표시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몸체(100)의 회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핸들몸체(100)의 회전 과정에서 투시창(813)을 통해 보이는 표시부재를 확인하면서 밸브바디(600)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흐르는 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핸들몸체 110 : 끼움공
111 : 스템공 112 : 가동돌기
120 : 키홀 130 : 안착홈
200 : 받침구 210 : 관통공
220 : 안내홈 221 : 걸림공
300 : 스템 310 : 체결부
320 : 설치홈 321 : 오링
400 : 하우징 410 : 체결공
420 : 회전톱니부 430 : 걸림구
440 : 고정돌기 500 : 작동구
510 : 탄성부재 520 : 고정톱니부
600 : 밸브바디 610 : 유입구
611 : 유입구 구멍 620 : 배출구
621 : 배출구 구멍 630 : 결합부
631 : 나사부 640 : 푸쉬버튼
650 : 다이어프램시트 700 : 바디너트
710 : 나사공 711 : 걸림턱
800 : 회전표시장치 810 : 회전부
811 : 제1구멍 812 : 끼움돌기
813 : 투시창 814 : 연장턱
820 : 표시부 821 : 제2구멍

Claims (8)

  1. 저면은 안쪽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중심부에 내부를 향하여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의 중심에는 스템공이 연속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의 외측둘에는 가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저면의 한쪽에는 내부를 향하여 안착홈이 형성되면서 일측이 상기 끼움공과 연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는 상면에는 키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는 핸들몸체;
    상기 핸들몸체의 저면에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받침구;
    중심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핸들몸체의 스템공으로 끼워지는 스템;
    상기 받침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핸들몸체의 끼움공으로 끼워지며, 중심에는 상기 스템의 체결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둘레에 회전톱니부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측둘레에는 걸림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받침구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이면서 상기 핸들몸체의 안착홈에 수용되고, 일측에는 상기 안참홈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타측의 선단부에는 상기 받침구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톱니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톱니부가 형성된 작동구;
    마주하는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이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함몰된 링형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둘레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안쪽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각각 연결된 유입구 구멍과 배출구 구멍을 개폐시킬 수 있는 다이어프램시트가 설치된 밸브바디; 및
    상기 하우징이 관통되며, 내측둘레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고, 상기 내측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걸림구에 걸리는 바디너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밸브바디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의 여부 및 유체의 흐르는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몸체의 받침구와 상기 바디너트 사이에 회전표시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표시장치는,
    중앙에 제1구멍이 형성되어 환형을 이루며, 상면 일측에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구의 안내홈에 형성되는 걸림공으로 끼워지고, 상면 타측에는 투시창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외측둘레는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연장턱이 형성된 회전부; 및
    중앙에 제2구멍이 형성되어 환형을 이루며, 외측둘레가 상기 회전부의 연장턱 안쪽으로 끼워지고, 상면에는 상기 투시창을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복수의 표시부재가 상면을 따라 형성된 표시부;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면에는 대향된 양측에 상기 투시창이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키홀은 마스터 키의 하부 단면 형상과 상응하며, 일자형 또는 십자형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시트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중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하측에는 환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오링의 외측둘레가 상기 하우징의 체결공 내축둘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 바깥면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파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KR1020170066736A 2017-05-30 2017-05-30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KR10194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36A KR101949930B1 (ko) 2017-05-30 2017-05-30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36A KR101949930B1 (ko) 2017-05-30 2017-05-30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51A true KR20180130751A (ko) 2018-12-10
KR101949930B1 KR101949930B1 (ko) 2019-02-19

Family

ID=6467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736A KR101949930B1 (ko) 2017-05-30 2017-05-30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9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22B1 (ko) * 2020-06-19 2021-10-14 아래스 주식회사 키락구조를 구비한 다이어프램 밸브
KR102347420B1 (ko) * 2020-12-08 2022-01-05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잠금형 다이어프램 밸브
CN113915402A (zh) * 2021-10-29 2022-01-11 昆山莱恒洁净材料有限公司 一种隔膜密封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32B1 (ko) 2011-01-14 2013-01-11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32B1 (ko) 2011-01-14 2013-01-11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22B1 (ko) * 2020-06-19 2021-10-14 아래스 주식회사 키락구조를 구비한 다이어프램 밸브
KR102347420B1 (ko) * 2020-12-08 2022-01-05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잠금형 다이어프램 밸브
CN113915402A (zh) * 2021-10-29 2022-01-11 昆山莱恒洁净材料有限公司 一种隔膜密封阀
CN113915402B (zh) * 2021-10-29 2024-01-30 昆山莱恒洁净材料有限公司 一种隔膜密封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930B1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30B1 (ko)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EP2059180B1 (en) Cannula sealing apparatus
US6283447B1 (en) Mixing valve with limit stop and pre-set
US20070170284A1 (en) Faucet spray head with volume control
EP1793299A1 (en) Dual gas pressure regulator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110022068A (ko) 2핸들 포셋용 밸브 조립체
KR101949928B1 (ko)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볼 밸브
KR102066992B1 (ko) 로킹 밸브
US7143997B2 (en) Plug assembly for a faucet to automatically stop water flow
US10287761B2 (en) Faucets providing additional control for water flow
JP4958068B2 (ja) 吐水装置
JP6835832B2 (ja) タップ又は減圧器の開放状態及び/又は閉鎖状態のインジケータ
JP2008256055A (ja) 水栓の操作装置
JP2007085525A (ja) 吐水装置
KR101756166B1 (ko) 마스터 키 잠금식 밸브
US11306831B2 (en) Relevant to taps and handles and their operation
US20070012308A1 (en) Gas control knob that produces vibration and sound during rotation
KR101706139B1 (ko) 버튼형 혼합 카트리지 및 그를 구비하는 수도밸브
CN109153558B (zh) 饮料龙头装置
CN210146289U (zh) 控水开关及喷枪、花洒
KR100803088B1 (ko) 밸브 잠금장치
KR100790517B1 (ko) 냉온수용 수도꼭지
KR101436148B1 (ko)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TW202016454A (zh) 具升降式閥塞的燃氣開關裝置
CA2990925A1 (en) Faucets providing additional control for water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