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659A - 미세먼지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659A
KR20180130659A KR1020170066498A KR20170066498A KR20180130659A KR 20180130659 A KR20180130659 A KR 20180130659A KR 1020170066498 A KR1020170066498 A KR 1020170066498A KR 20170066498 A KR20170066498 A KR 20170066498A KR 20180130659 A KR20180130659 A KR 20180130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main body
fine dust
inlet
chim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호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102017006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659A/ko
Publication of KR2018013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7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cyclon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40Intercepting solids by cycl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굴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유출구; 및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본체부의 내벽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설치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또는 소각로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중 미세먼지의 주요발생원인 중 하나로 화력발전소가 지목되고 있으며, 미국 항공우주연구원과 대한민국 국립환경연구원의 공동연구결과에서도, 화력발전소들이 밀집된 충청남도 당진, 태안, 보령 및 서천 지역의 상공에서의 미세먼지 농도가 서울 지역의 상공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최대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을 태워 발전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분진가루 등의 미세먼지가 굴뚝을 통해 대기 중으로 대량 배출되면서 대기를 오염시켜 사람의 호흡기 계통의 각종 질환 등을 유발한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6월 3일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노후화된 일부 화력발전소를 잠정적으로 사용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를 통한 효과는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일시적 미봉책에 불과하다.
또한,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굴뚝 내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굴뚝 안으로 분사되는 물이 팽창되어 폭발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므로, 미세먼지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의 물을 굴뚝 내부로 분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력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7913호의 먼지 집진기를 예로 들어 살펴 보면, 연소가스가 직선 운동을 통해 유동하여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이 짧으며 연소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연소가스 중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화력발전소의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7913호(2013년 7월 12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력발전소의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상기 굴뚝(80)의 상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1); 상기 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22); 및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23)을 형성하는 내벽(24)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의 내벽(24)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벽(24) 바닥에는 상기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수집되어 유동하는 유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25)는 상기 유출구(22)로부터 상기 유입구(21)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로(25)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60); 상기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조(60)로 이송하는 제1 배관(62); 상기 수조(6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수단(30)으로 이송하는 제2 배관(63); 및 상기 제2 배관(63)의 인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동 공간(24)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구(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구(26)는 상기 유출구(22)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연소가스의 직선 유동을 나선 유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내벽(24)에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본체부(20)는 하나의 유입구(21)를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4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상기 굴뚝(8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45); 상기 연장부(42)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결부(46); 및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의 내벽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따르면, 화력발전소의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화력발전소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굴뚝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굴뚝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로서, 분사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로서, 와류 형성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은 화력발전소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굴뚝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굴뚝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로서 분사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로서 와류 형성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화력발전소의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화력발전설비의 기존 굴뚝의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굴뚝(8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본체부(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화력발전설비의 기존 굴뚝(80)에도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20)는,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1), 유입구(22)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22) 및 유입구(21)로부터 유출구(22)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23)을 형성하는 내벽(24)을 포함하되, 본체부(20)의 내벽(24)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30)은 하나 이상의 분사구(31)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분사수단(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사수단(30)은 나선형 또는 원형 등으로 이루어져 벽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충분한 양의 물이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본체부(20)의 구성에 따르면,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유입구(21)를 통해 본체부(20) 내부의 유동 공간(23)으로 유입되고, 이후 유동 공간(23)을 통과하면서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미세먼지가 대부분 제거된 상태로 유출구(22)를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내벽(24) 바닥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수집되어 유동하는 유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25)는 유출구(22)로부터 유입구(21)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25)를 통해 흐르는 물은 본체부(20)에 형성된 배출구(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20)에는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을 수집하는 유로(25) 및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굴뚝(80) 내부로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굴뚝(80) 내부로 물이 유입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위험 등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1)로부터 유출구(22)를 향해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유입구(21)로부터 유출구(22)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진 본체부(20)의 상향 경사 구조에 의해 연소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본체부(20)의 유출구(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20) 내부에 설치된 분사수단(30) 및 후술하는 와류 형성 부재(28)의 존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연소가스 배출지연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유동 공간(24)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구(2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통구(26)는 유출구(22)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26)에 의해 본체부(20)의 유출구(22)와 대향하는 본체부(20)의 유입구(21) 부근의 내부 기압이 유출구(22)의 대기압과 동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체부(20) 내부의 연소가스가 본체부(20)의 유출구(22)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60),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조(60)로 이송하는 제1 배관(62), 수조(60)에 저장된 물을 펌프(P)에 의해 분사수단(30)으로 이송하는 제2 배관(63) 및 제2 배관(63)의 인입구에 설치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세먼지 저감장치(10)에 따르면, 외부 수원으로부터의 물 공급 없이도, 수조(60) 내의 물만으로도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장치(10)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저감장치(10)는 펌프의 작동여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직선 유동을 나선 유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내벽(24)에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 형성 부재(28)에 의해 연소가스의 흐름이 나선 유동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본체부(20)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과 연소가스의 접촉 시간도 아울러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거의 남김없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이 제1 실시예와 서로 관련 없는 것이 아니며,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적용이 명백히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하의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체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적어도 2개의 본체부(20)는 하나의 유입구(21)를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분리되어 적어도 2개의 본체부에 의해 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정화 효율이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4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4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42)를 거치면서 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정화 효율이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부(2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나선 형상의 본체부(20)을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정화 효율이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굴뚝(8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45); 연장부(42)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결부(46); 및 연결부(40)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고, 본체부(20)는,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 및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본체부(20)의 내벽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미세먼지 저감장치
20: 본체부
60: 수조
80: 굴뚝

Claims (13)

  1.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굴뚝(80)의 상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1);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22); 및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23)을 형성하는 내벽(24)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의 내벽(24)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0)이 설치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내벽(24) 바닥에는 상기 분사수단(30)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수집되어 유동하는 유로(25)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5)는 상기 유출구(22)로부터 상기 유입구(21)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로(25)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7)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물이 저장되는 수조(60); 상기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조(60)로 이송하는 제1 배관(62); 상기 수조(6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수단(30)으로 이송하는 제2 배관(63); 및 상기 제2 배관(63)의 인입구에 설치되는 필터(61)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유동 공간(24)과 대기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구(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구(26)는 상기 유출구(22)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연소가스의 직선 유동을 나선 유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내벽(24)에 형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28)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본체부(20)는 하나의 유입구(21)를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4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12.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굴뚝(8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연장부(45);
    상기 연장부(42)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연결부(46); 및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굴뚝(80)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며, 배출 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의 내벽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0)이 설치되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설비.
KR1020170066498A 2017-05-30 2017-05-30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180130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98A KR20180130659A (ko) 2017-05-30 2017-05-30 미세먼지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98A KR20180130659A (ko) 2017-05-30 2017-05-30 미세먼지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659A true KR20180130659A (ko) 2018-12-10

Family

ID=6467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498A KR20180130659A (ko) 2017-05-30 2017-05-30 미세먼지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65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364B1 (ko) * 2019-12-27 2020-07-08 (주)엠아이티코리아 화력발전소 굴뚝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210036484A (ko) 2019-09-26 2021-04-05 조운형 산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미세먼지의 제거설비
KR2021006885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포스코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20210148491A (ko) 2020-05-28 2021-12-08 (주)비엠에스 유동층 연소로에서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과립형 유동매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동층 연소로 운전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84A (ko) 2019-09-26 2021-04-05 조운형 산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미세먼지의 제거설비
KR2021006885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포스코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2131364B1 (ko) * 2019-12-27 2020-07-08 (주)엠아이티코리아 화력발전소 굴뚝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210148491A (ko) 2020-05-28 2021-12-08 (주)비엠에스 유동층 연소로에서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가지는 과립형 유동매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동층 연소로 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659A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923342B (zh) 用于对半导体废气进行处理的净气器
KR101688622B1 (ko)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구비한 스크러버
EA200000368A1 (ru) Скруббер для очистки дымовых газов
JP2008231749A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20130000722A (ko) 집진기용 벤츄리
KR101638803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03381333A (zh) 一种湿法除尘脱硫装置及方法
UA123726C2 (uk) Багаторівневий газопромивач із декількома затоплюваними промивальними насадками
US20110283887A1 (en) Gas cleaner
KR20170139765A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KR20130001561A (ko) 집진장치
US20190212007A1 (en) Burner head for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mbustion chamber for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of the same
CN206276217U (zh) 一种阶梯分流式喷淋塔
CN202962190U (zh) 焊接除尘净化装置
KR101153361B1 (ko) 스크러버를 이용한 집진장치
KR20220024833A (ko) 진공 포어라인에서의 입자 수집을 위한 고효율 트랩
KR101102453B1 (ko) 필터백 청소용 노즐
CN203790785U (zh) 一种组合式除尘器
KR101862147B1 (ko) 집진설비
CN206660825U (zh) 一种空气净化槽
CN104436974A (zh) 一种锅炉废气净化装置
CA2988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llution emitted by an industrial exhaust source
CN201073581Y (zh) 燃气喷淋净化器
CN209060759U (zh) 一种空气净化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